KR2018005644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444A
KR20180056444A KR1020160153904A KR20160153904A KR20180056444A KR 20180056444 A KR20180056444 A KR 20180056444A KR 1020160153904 A KR1020160153904 A KR 1020160153904A KR 20160153904 A KR20160153904 A KR 20160153904A KR 20180056444 A KR20180056444 A KR 20180056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plate
display panel
join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만식
이아람
기인서
류한선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444A/ko
Priority to US15/657,529 priority patent/US10347852B2/en
Priority to CN201711031121.2A priority patent/CN108074488B/zh
Publication of KR2018005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444A/ko
Priority to US16/423,319 priority patent/US1111462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01L51/0097
    • H01L51/52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접힘 상태에서 표시 패널이 받는 응력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패널 지지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벤딩 가능 영역을 포함한다. 패널 지지부는 표시 패널에 결합되며, 벤딩 가능 영역을 지지하는 다관절 부재를 포함한다. 다관절 부재는 연속 배열된 복수의 관절부와,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하며 패널 지지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는 복수의 관절부를 나란하게 정렬시키기 위한 판형부와, 판형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복수의 관절부를 원호 모양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고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FOLDABLE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식(foldable)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flexible) 표시 패널은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가요성 기판 위에 복수의 화소를 배치한 표시 패널로서 쉽게 휘어지는 성질을 가진다. 최근, 가요성 표시 패널을 이용한 접이식 표시 장치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접이식 표시 장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한다. 패널 지지부는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의 전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접힘 상태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의 일부는 휘어지는데, 휘어짐 정도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여러 재료들 중 변형에 취약한 재료, 예를 들어 무기 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아야 한다. 접이식 표시 장치는 접힘 상태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이 받는 응력을 줄일수록 사용 수명을 길게 보장받을 수 있다.
본 개시는 접힘 상태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이 받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패널 지지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벤딩 가능 영역을 포함한다. 패널 지지부는 표시 패널에 결합되며, 벤딩 가능 영역을 지지하는 다관절 부재를 포함한다. 다관절 부재는 연속 배열된 복수의 관절부와,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하며 패널 지지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는 복수의 관절부를 나란하게 정렬시키기 위한 판형부와, 판형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복수의 관절부를 원호 모양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고리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관절부 각각은 벤딩 가능 영역을 향한 지지면과, 지지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경사면과,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은 중앙 지지면과, 중앙 지지면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모따기면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지지부는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판은 복수의 관절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고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를 포함한다. 제2 지지판은 복수의 관절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판형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를 포함한다.
펼침 상태에서, 고리부는 제1 수용부에 위치할 수 있고, 판형부의 일부는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할 수 있으며, 판형부의 나머지는 제2 수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접힘 상태에서, 고리부는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할 수 있고, 판형부 전체는 제2 수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지지판과 복수의 관절부 및 제2 지지판은 펼침 상태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따른 표시 패널의 양측 바깥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는 제1 지지판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와, 복수의 돌출부 각각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2 돌출부와, 제2 지지판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3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의 양 측면은 수직면과, 수직면의 하단에 연결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면은 제1 경사면과 같은 기울기를 가지며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관절부 각각은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수직면과 제2 경사면의 경계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표시부가 위치하는 제1면과, 제1면과 반대되며 패널 지지부와 마주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면과 제2 경사면의 경계는 제2면으로부터 제1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지지면과 이격될 수 있다.
펼침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면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고, 표시 패널과 마주하는 제1 지지판의 상면 및 제2 지지판의 상면과 나란할 수 있다. 접힘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면은 서로 이어질 수 있고, 복수의 지지면 중 최외곽 지지면의 가장자리는 제1 지지판의 상면 및 제2 지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벤딩 가능 영역의 곡률 중심을 향해 이격될 수 있다.
접힘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면은 제1 지지판의 상면과 제2 지지판의 상면을 연결하는 가상 원호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은 회동 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고, 제2 지지판은 상태 전환 시 제1 지지판에 대해 회전과 동시에 슬라이딩할 수 있다. 회동 결합부는 제1 지지판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축과, 회동축으로부터 제2 지지판을 향해 뻗은 가이드 판과, 제2 지지판의 측면에 위치하며 가이드 판이 수용되는 가이드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패널 지지부를 포함한다. 패널 지지부는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과 다관절 부재 및 제2 지지판을 포함한다. 다관절 부재는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사이에서 연속 배열된 복수의 관절부와,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하며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관절부는 펼침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며, 접힘 상태에서 표시 패널을 향한 제1 지지판의 일면과 제2 지지판의 일면을 연결하는 가상 원호의 내측에 위치한다.
복수의 관절부는 펼침 상태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될 수 있고, 복수의 관절부 각각은 표시 패널을 향한 지지면과, 지지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경사면과,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은 중앙 지지면과, 중앙 지지면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모따기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관절 부재는 한 쌍의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돌출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따른 지지면의 양단에 위치하며, 표시 패널의 바깥에 위치한다.
한 쌍의 제2 돌출부 각각의 양 측면은 수직면과, 수직면의 하단에 연결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면은 제1 경사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관절부 각각은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수직면과 제2 경사면의 경계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는, 펼침 상태에서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하는 판형부와, 판형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접힘 상태에서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하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힘 상태에서 복수의 관절부는 벤딩 가능 영역의 곡률 중심을 향해 밀려나 위치하므로, 표시 패널이 받는 응력을 최소화하며 표시 패널의 인장을 완화시킨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파손 가능성을 낮추어 제품의 내구성과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표시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패널 지지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제1 지지판과 회동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표시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0)과, 표시 패널(10)에 결합되어 표시 패널(1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2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표시 장치(100)는 A-A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룬다.
표시 패널(10)은 가요성 기판(11)과, 가요성 기판(11) 상에 위치하는 표시부(12)를 포함한다. 가요성 기판(11)은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12)는 복수의 화소와 복수의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0)은 평탄 영역(FA1, FA2)과 벤딩 가능 영역(BA)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은 제1 평탄 영역(FA1)과, 제1 평탄 영역(FA1)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벤딩 가능 영역(BA)과, 두 개의 벤딩 가능 영역(BA) 각각의 일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평탄 영역(F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는 제1 평탄 영역(FA1)에 대응하는 제1 지지판(30)과, 두 개의 벤딩 가능 영역(BA)에 대응하는 두 개의 다관절 부재(40)와, 두 개의 제2 평탄 영역(FA2)에 대응하는 두 개의 제2 지지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다관절 부재(40) 각각은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된 복수의 관절부(41)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의 제1 평탄 영역(FA1)은 점착층에 의해 제1 지지판(30)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평탄 영역(FA2) 또한 점착층에 의해 제2 지지판(50)에 고정될 수 있다. 반면, 벤딩 가능 영역(BA)은 다관절 부재(40)에 고정되지 않는다. 펼침 상태에서, 벤딩 가능 영역(BA)은 복수의 관절부(41)와 접촉하거나 복수의 관절부(41)로부터 살짝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관절부(41) 각각은 제1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Y 방향)을 따라 뻗은 막대 형상일 수 있으며, 단면상에서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다관절 부재(40)는 슬라이딩 부재(42)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42)는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절부(41)를 관통하여 복수의 관절부(41)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통상의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관절부는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관절부(41)는 슬라이딩 부재(42)에 의해 상호 결합됨과 아울러 제1 지지판(30) 및 제2 지지판(50)과 결합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관절부(41)는 벤딩 가능 영역(BA)을 향한 지지면(411)과, 지지면(411)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두 개의 제1 경사면(412)과, 지지면(411)과 반대되는 바닥면(4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413)의 길이는 지지면(411)의 길이보다 작다.
패널 지지부(20)는 제2 방향(Y 방향)에 따른 표시 패널(10)의 양측 바깥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는 제1 지지판(30)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35)와, 복수의 관절부(41) 각각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2 돌출부(45)와, 제2 지지판(50)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3 돌출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5)는 제1 지지판(30)의 상면(31) 가장자리에서 양(+)의 제3 방향(Z 방향)을 향해 돌출된 부분이다. 제3 돌출부(55)는 제2 지지판(50)의 상면(51) 가장자리에서 양(+)의 제3 방향(Z 방향)을 향해 돌출된 부분이다. 제1 돌출부(35)의 양 측면과 제3 돌출부(55)의 양 측면은 제3 방향(Z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돌출부(45)는 관절부(41)의 지지면(411) 가장자리에서 양(+)의 제3 방향(Z 방향)을 향해 돌출된 부분이다. 제2 돌출부(45)의 양 측면은 수직면(451)과, 수직면(451)의 하단에 연결된 제2 경사면(4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면(452)은 제1 경사면(412)과 같은 기울기를 가지며, 제1 경사면(412)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펼침 상태에서, 수직면(451)은 이웃한 제2 돌출부(45)의 수직면(451) 또는 제1 돌출부(35)의 측면 또는 제3 돌출부(55)의 측면과 접촉한다. 제2 경사면(452)은 이웃한 제2 돌출부(45)의 제2 경사면(452) 또는 제1 돌출부(35)의 측면 또는 제3 돌출부(55)의 측면과 이격된다. 복수의 지지면(411)은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표시 패널(10)을 향한 제1 지지판(30)의 상면(31) 및 제2 지지판(50)의 상면(51)과도 이격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패널 지지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관절부를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관절부(41) 각각은 두 개의 제1 경사면(412)을 관통하는 개구부(414)를 포함한다. 개구부(414)는 지지면(411) 및 바닥면(413)과 이격되며, 제2 방향(Y 방향)에 따른 관절부(41)의 양측 단부와도 이격된다. 복수의 개구부(414)는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나란하다.
제1 지지판(30)은 관절부(41)를 향한 일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확장된 제1 수용부(32)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32)는 슬라이딩 부재(42)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지지판(30)의 내부 공간으로서, 단면상에서 90˚ 휘어진 대략적인 원호 모양을 이룬다.
제2 지지판(50)은 관절부(41)를 향한 일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확장된 제2 수용부(52)를 포함한다. 제2 수용부(52)는 슬라이딩 부재(42)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지지판(50)의 내부 공간으로서, 일정 높이를 가진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5를 참고하면, 슬라이딩 부재(42)는 판형부(421)와, 판형부(421)의 일측에 위치하는 원호 모양의 고리부(422)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42)는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 시, 그리고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전환 시 패널 지지부(20) 내부에서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 부재(42)는 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펼침 상태에서, 판형부(421)는 제2 지지판(50)에 형성된 제2 수용부(52)의 일부와, 복수의 관절부(41)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414)에 위치한다. 고리부(422)는 제1 지지판(30)에 형성된 제1 수용부(32)에 위치한다. 슬라이딩 부재(42)는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절부(41)를 나란하게 정렬시키며, 제1 지지판(30)과 다관절 부재(40) 및 제2 지지판(50)을 결합시킨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에서 표시 장치는 A-A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룬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100)는 제1 지지판(30)에 대해 두 개의 제2 지지판(50)이 90˚로 꺾이는 것과 동시에 복수의 관절부(41)가 제1 경사면(412) 및 제2 경사면(452)끼리 밀착되면서 접힘 상태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슬라이딩 부재(42)는 판형부(421)가 제1 지지판(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접힘 상태에서, 판형부(421) 전체는 제2 지지판(50)에 형성된 제2 수용부(52)에 위치한다. 고리부(422)는 복수의 관절부(41)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414)와, 제1 지지판(30)에 형성된 제1 수용부(32)의 일부에 위치한다. 복수의 관절부(41)는 판형부(421) 대신 고리부(422)가 복수의 관절부(41)를 관통하게 되면서 고리부(422)를 따라 원호 모양으로 정렬된다.
슬라이딩 부재(42)는 상태 전환 시 패널 지지부(20) 내부에서 이동하여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에서 그 위치가 변한다. 복수의 관절부(41)는 판형부(421)에 의해 펼침 상태에서 제1 방향(도 2의 X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정렬되고, 접힘 상태에서 고리부(422)를 따라 원호 모양으로 정렬된다.
접힘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면(411)은 서로 이어져 90˚ 휘어진 원호에 대응한다. 각 관절부(41)의 제1 경사면(412)은 이웃한 관절부(41)의 제1 경사면(412) 또는 제1 지지판(30)의 측면 또는 제2 지지판(50)의 측면과 접촉한다. 그리고 제2 돌출부(45)의 제2 경사면(452)은 이웃한 제2 돌출부(45)의 제2 경사면(452) 또는 제1 돌출부(35)의 측면 또는 제3 돌출부(55)의 측면과 접촉한다.
반면, 제2 돌출부(45)의 수직면(451)은 이웃한 제2 돌출부(45)의 수직면(451) 또는 제1 돌출부(35)의 측면 또는 제3 돌출부(55)의 측면과 이격된다. 즉 제2 돌출부(45)의 수직면(451)은 수직면(451)과 제2 경사면(452)의 경계인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벌어진다.
도 3과 도 7을 참고하면, 제2 돌출부(45)에서 수직면(451)과 제2 경사면(452)의 경계인 제1 지점(P1)이 다관절 부재(40)에서 실질적인 회동축으로 기능한다. 다시 말해, 다관절 부재(40)는 제1 지점(P1)에 회동축이 설치된 경우와 동일한 거동을 나타낸다.
표시 패널(10)은 표시부(12)가 위치하는 제1면(S10)과, 제1면(S10)과 반대되는 제2면(S20)을 가진다. 제1면(S10)은 표시면이고, 제2면(S20)은 표시면이거나 비표시면일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는 제2면(S20)과 마주한다.
제1 지점(P1)은 제2면(S20)으로부터 제1면(S10)을 향하는 방향(펼침 상태에서 양(+)의 제3 방향(Z 방향))을 따라 지지면(411)과 이격된다. 지지면(411)과 제1 지점(P1)의 이격 거리(G1)(도 3 참조)는 표시 패널(1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제1 지점(P1)이 관절부(41)의 지지면(411)에 대해 이격 거리(G1)를 가짐에 따라, 접힘 상태에서 최외곽 관절부(41)의 지지면(411) 가장자리는 제1 지지판(30)의 상면(31) 및 제2 지지판(50)의 상면(51)으로부터 벤딩 가능 영역(BA)의 곡률 중심(C)을 향해 소정의 이격 거리(G2)를 가진다.
제2 지지판(50)과 이웃한 최외곽 관절부(41)의 제1 지점(P1)에 있어서, 제1 지점(P1)과 지지면(411) 사이의 거리(G1)는 제1 지점(P1)과 제2 지지판(50)의 상면(51) 사이의 거리(G3)보다 크다. 이러한 G1과 G3의 차이가 접힘 상태에서 전술한 G2의 이격 거리로 나타난다.
펼침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면(411)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는 복수의 지지면(411)의 길이의 합이 펼침 상태에서 제1 지지판(30)의 상면(31)과 제2 지지판(50)의 상면(51)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접힘 상태에서 서로 이어진 복수의 지지면(411)은 제1 지지판(30)의 상면(31)과 제2 지지판(50)의 상면(51)을 연결하는 가상 원호(IA)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한 두 개의 지지면(411)이 접하는 복수의 제2 지점(P2)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점(P2)은 가상 원호(IA) 상에 위치할 수 있고, 가장자리를 제외한 지지면(411)의 나머지 부분은 가상 원호(IA)와 거리를 두고 가상 원호(IA)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접힘 상태에서 벤딩 가능 영역(BA)의 제2면(S20)은 가상 원호(I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관절부(41)는 지지면(411)과 제1 지점(P1)의 높이 차이로 인해 접힘 상태에서 벤딩 가능 영역(BA)의 제2면(S20)으로부터 내측으로(벤딩 가능 영역(BA)의 곡률 중심(C)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려나 위치한다. 따라서 복수의 관절부(41)는 접힘 상태에서 표시 패널(10)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표시 패널(10)이 받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고하면, 비교예의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관절부(60)는 힌지축(61)을 가지는 힌지 결합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복수의 관절부(60) 각각은 두 개의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펼침 상태에서 두 개의 힌지축(61)은 표시 패널(10)과 마주하는 지지면(62)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비교예의 경우, 접힘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면(62)이 서로 이어지는 복수의 제3 지점(P3)은 제1 지지판(30)의 상면(31)과 제2 지지판(50)의 상면(51)을 연결하는 가상 원호(IA)의 바깥에 위치한다. 따라서 복수의 관절부(60)는 복수의 제3 지점(P3)에서 표시 패널(10)의 벤딩 가능 영역(BA)을 바깥 방향(곡률 중심(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변형시킨다.
표시 패널(10)의 벤딩 가능 영역(BA)은 복수의 제3 지점(P3)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꺾이며, 이 부분에서 응력이 급격하게 상승한다. 이러한 꺾임 변형은 표시 패널(10)을 구성하는 다층막 중 변형량에 민감한 층의 파손 확률을 높인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은 가요성 기판, 표시부, 밀봉층, 터치 센서부, 편광 필름, 커버 윈도우 등의 다층막으로 구성된다. 이때 커버 윈도우의 하드 코팅층이나 표시부의 무기 절연막 등은 취성의 성질을 가지며, 변형에 의해 파손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비교예의 표시 장치는 접힘 상태에서 급격한 응력 상승에 의해 표시 패널(10)의 특정 층이 파손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는 접힘 상태에서 복수의 관절부(41)가 벤딩 가능 영역(BA)의 곡률 중심(C)을 향해 밀려나 위치하므로, 접힘 상태에서 표시 패널(10)이 받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0)의 파손 가능성을 낮추어 제품의 내구성과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다시 도 2와 도 6을 참고하면, 제1 지지판(30)과 제2 지지판(50)은 회동 결합부(70)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회동 결합부(70)는 제2 지지판(50)을 향한 제1 지지판(30)의 일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 부재(71)와, 제1 지지판(30)을 향한 제2 지지판(50)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가이드 슬릿(7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에 도시한 표시 장치 중 제1 지지판과 회동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6 및 도 11을 참고하면, 회동 부재(71)는 회동축(72)과, 회동축(72)에 결합되며 회동축(72)으로부터 제2 지지판(50)을 향해 뻗은 한 쌍의 가이드 판(73)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축(72)은 제2 방향(Y 방향)과 나란하고, 양단이 제1 지지판(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가이드 판(73)은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며, 펼침 상태에서 회동 부재(71)는 다관절 부재(40)의 아래에 위치한다.
가이드 슬릿(75)은 제1 지지판(30)을 향한 제2 지지판(50)의 일 측면에서 제2 지지판(50)의 내부를 향해 뻗은 공간으로서, 펼침 상태에서 제1 방향(X 방향)과 나란하다. 한 쌍의 가이드 판(73)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판(73)은 가이드 슬릿(75)에 끼워지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 판(73)은 제2 지지판(50)의 하면과 접촉한다. 도 2와 도 6에서 부호 76은 가이드 슬릿(75)에 의해 제2 지지판(50)의 본체와 구분되는 슬라이더를 나타낸다.
제2 지지판(50)은 펼침 상태에서 제1 지지판(30)과 나란하고, 제1 지지판(30)에 대해 회동축(72)을 중심으로 90˚ 회전하여 접힘 상태로 전환된다. 접힘 상태로 전환 시 제2 지지판(50)은 제1 지지판(30)을 향해 슬라이딩한다. 즉 회동 부재(71)의 회전과 동시에 슬라이더(76)가 한 쌍의 가이드 판(73) 사이에서 회동축(72)을 향해 이동한다. 접힘 상태에서 슬라이더(76) 전체는 한 쌍의 가이드 판(7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회동 결합부(70)를 포함한 패널 지지부(20)는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 시,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전환 시, 보다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표시 장치(200)에서 복수의 지지면(411) 각각은 두 개의 모따기면(411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지지면(411) 각각은 펼침 상태에서 제1 방향(X 방향)과 나란한 중앙면(411a)과, 중앙면(411a)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모따기면(411b)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모따기면(411b) 각각은 중앙면(411a)과 제1 경사면(412) 사이에 위치한다. 두 모따기면(411b)의 폭은 서로 같을 수 있고, 두 모따기면(411b)의 모따기 각은 서로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지지면(411) 각각은 좌우 대칭을 이룬다.
복수의 지지면(411) 각각이 두 개의 모따기면(411b)을 포함함에 따라, 접힘 상태에서 이웃한 두 개의 지지면(411)이 접하는 복수의 지점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보다 벤딩 가능 영역(BA)의 곡률 중심(C)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제1 실시예의 경우 접힘 상태에서 이웃한 두 개의 지지면은 제2 지점(P2)에서 접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의 경우 접힘 상태에서 이웃한 두 개의 지지면(411)은 제4 지점(P4)(도 13 참조)에서 접한다. 제4 지점(P4)은 제2 지점(P2)보다 벤딩 가능 영역(BA)의 곡률 중심(C)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제2 실시예의 표시 장치(200)는 제2 지점(P2)과 제4 지점(P4) 사이의 거리만큼 관절부(41)의 지지면(411)을 표시 패널(1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관절부(41)는 접힘 상태에서 표시 패널(10)에 실질적인 변형을 가하지 않으며, 표시 패널(10)의 응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표시 장치(200)는 관절부(41)의 지지면(411)이 두 개의 모따기면(411b)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200: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20: 패널 지지부 30: 제1 지지판
35: 제1 돌출부 40: 다관절 부재
41: 관절부 42: 슬라이딩 부재
45: 제2 돌출부 50: 제2 지지판
55: 제3 돌출부 70: 회동 결합부
71: 회동 부재 72: 회동축
73: 가이드 판 75: 가이드 슬릿

Claims (22)

  1. 벤딩 가능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벤딩 가능 영역을 지지하는 다관절 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관절 부재는 연속 배열된 복수의 관절부와, 상기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복수의 관절부를 나란하게 정렬시키기 위한 판형부와, 상기 판형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관절부를 원호 모양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고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절부 각각은 상기 벤딩 가능 영역을 향한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경사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중앙 지지면과, 상기 중앙 지지면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모따기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관절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를 가지는 제1 지지판, 및
    상기 복수의 관절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판형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를 가지는 제2 지지판
    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펼침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위치하고, 상기 판형부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하며, 상기 판형부의 나머지는 상기 제2 수용부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접힘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하고, 상기 판형부 전체는 상기 제2 수용부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복수의 관절부 및 상기 제2 지지판은 펼침 상태에서제1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고,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표시 패널의 양측 바깥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지지판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지지판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3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양 측면은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 연결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과 같은 기울기를 가지며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절부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수직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경계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부가 위치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되며 상기 패널 지지부와 마주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경계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면과 이격되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펼침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면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지지판의 상면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상면과 나란한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접힘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면은 서로 이어지고, 상기 복수의 지지면 중 최외곽 지지면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지지판의 상면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벤딩 가능 영역의 곡률 중심을 향해 이격되는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접힘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면은 상기 제1 지지판의 상면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상면을 연결하는 가상 원호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은 회동 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2 지지판은 상태 전환 시 상기 제1 지지판에 대해 회전과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결합부는,
    상기 제1 지지판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판을 향해 뻗은 가이드 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판이 수용되는 가이드 슬릿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과 다관절 부재 및 제2 지지판을 포함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관절 부재는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 사이에서 연속 배열된 복수의 관절부와, 상기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절부는 펼침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며, 접힘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한 상기 제1 지지판의 일면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일면을 연결하는 가상 원호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절부는 펼침 상태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관절부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한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경사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중앙 지지면과, 상기 중앙 지지면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모따기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부재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지지면의 양단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바깥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부 각각의 양 측면은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 연결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관절부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수직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경계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표시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펼침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하는 판형부와,
    상기 판형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접힘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관절부를 관통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60153904A 2016-11-18 2016-11-18 표시 장치 KR20180056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904A KR20180056444A (ko) 2016-11-18 2016-11-18 표시 장치
US15/657,529 US10347852B2 (en) 2016-11-18 2017-07-24 Foldable display device
CN201711031121.2A CN108074488B (zh) 2016-11-18 2017-10-26 可折叠显示装置
US16/423,319 US11114629B2 (en) 2016-11-18 2019-05-28 Fold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904A KR20180056444A (ko) 2016-11-18 2016-11-18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44A true KR20180056444A (ko) 2018-05-29

Family

ID=6214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904A KR20180056444A (ko) 2016-11-18 2016-11-1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347852B2 (ko)
KR (1) KR20180056444A (ko)
CN (1) CN108074488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8638B2 (en) 2019-04-29 2021-02-02 Samsung Display Co., Ltd. Fold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489561A (zh) * 2020-12-09 2021-03-1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US11579658B2 (en) 2019-04-29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hinge part
US11755074B2 (en) 2019-12-26 2023-09-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pporting pa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9516A4 (en) * 2015-12-31 2019-08-14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FOLDING MOBILE TERMINAL
WO2017188988A2 (en) * 2016-04-29 2017-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structures
KR20180042485A (ko) * 2016-10-17 2018-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D901495S1 (en) * 2017-05-31 2020-1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19018251A1 (en) * 2017-07-17 2019-0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END LIMIT FILM
KR102421304B1 (ko) * 2017-09-18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D949147S1 (en) * 2017-12-27 2022-04-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84743S1 (en) * 2018-02-11 2020-05-1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Foldable screen
CN108428731B (zh) * 2018-05-17 2021-01-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及柔性oled显示装置
KR102512482B1 (ko) * 2018-07-31 2023-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CN109032412B (zh) * 2018-08-01 2020-06-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TWD200859S (zh) * 2018-10-19 2019-11-11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x9 顯示器
KR102645189B1 (ko) 2018-11-20 2024-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559639B (zh) * 2018-11-29 2022-04-05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300403B (zh) * 2018-11-30 2021-07-09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KR102637006B1 (ko) 2018-12-19 2024-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1204627B2 (en) * 2019-01-08 2021-12-2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evice
KR20200097854A (ko) * 2019-02-08 2020-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831059A (zh) * 2019-04-19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屏幕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140126A (ko) * 2019-06-05 202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CN110336904B (zh) * 2019-07-16 2021-07-09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0570760B (zh) * 2019-08-13 2022-01-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柔性显示装置
CN110675746B (zh) * 2019-08-26 2021-07-02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及折叠手机
CN110649070A (zh) * 2019-09-03 2020-01-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衬底、柔性显示面板及柔性衬底的制作方法
CN110976566B (zh) * 2019-12-06 2021-06-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弯折装置
KR20210103610A (ko) * 2020-02-13 2021-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294434A (zh) * 2020-02-17 2020-06-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屏模组、移动终端及折叠屏模组的贴合方法
CN111292623B (zh) * 2020-02-27 2022-04-01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设备
KR20210143982A (ko) * 2020-05-20 2021-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22501A (ko) * 2020-08-18 2022-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13514960B (zh) * 2021-04-14 2023-08-29 歌尔科技有限公司 转轴连接结构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3063B2 (ja) * 1997-12-08 2002-06-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蓋体の開閉構造
US7558057B1 (en) * 2005-06-06 2009-07-07 Alex Naksen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adjustable interface
NL2006862C2 (en) * 2011-05-30 2012-12-03 Polymer Vision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9176535B2 (en)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EP3428774A1 (en) 2011-07-11 2019-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KR101916416B1 (ko) * 2012-07-30 2018-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9304549B2 (en) 2013-03-28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rotatable component attachment
JP6376355B2 (ja) * 2013-05-22 2018-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機器
TWI643056B (zh) * 2013-07-22 2018-12-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KR101663728B1 (ko) * 2013-08-26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GB2521152A (en) * 2013-12-10 2015-06-17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KR102251081B1 (ko) 2014-02-05 2021-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0047B1 (ko) 2014-03-05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2846B1 (ko) * 2014-04-28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95922B1 (ko) * 2014-05-06 2023-02-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장치
JP6454482B2 (ja) * 2014-05-28 2019-01-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TWI493517B (zh) * 2014-06-18 2015-07-21 Au Optronics Corp 摺疊式顯示裝置
KR102201928B1 (ko) * 2014-06-24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장치 및 그의 접이 장치
KR102015398B1 (ko) 2014-07-16 2019-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3917B1 (ko) 2014-08-06 2021-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8857B1 (ko) * 2014-09-05 202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KR102209514B1 (ko) * 2014-09-05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19835B1 (ko) * 2014-09-22 2021-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9411B1 (ko) * 2014-10-27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KR102281845B1 (ko) 2014-11-11 2021-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지지 장치
US10225936B2 (en) 2014-12-31 2019-03-05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341879B1 (ko) 2015-01-1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345556B1 (ko) 2015-01-20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라미네션 방법
JP2016181662A (ja) 2015-03-25 2016-10-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モバイル電子機器用ケース
CN106028697A (zh) * 2015-03-25 2016-10-12 夏普株式会社 便携式电子设备用壳体
CN104821975B (zh) * 2015-05-25 2018-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底座
US9857832B2 (en) * 2015-06-23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isplay panel with variable curvature
KR102385232B1 (ko) * 2015-06-30 2022-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6516B1 (ko) * 2015-08-31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1579B1 (ko) * 2015-11-16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0063677B2 (en) * 2016-03-18 2018-08-2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hinged housing,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8638B2 (en) 2019-04-29 2021-02-02 Samsung Display Co., Ltd. Fold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79658B2 (en) 2019-04-29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hinge part
US11755074B2 (en) 2019-12-26 2023-09-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pporting part
CN112489561A (zh) * 2020-12-09 2021-03-1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74488B (zh) 2021-06-25
US20190280226A1 (en) 2019-09-12
CN108074488A (zh) 2018-05-25
US10347852B2 (en) 2019-07-09
US11114629B2 (en) 2021-09-07
US20180145269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6444A (ko) 표시 장치
KR102628024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56395B1 (ko) 표시 장치
KR20180097195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1477901B2 (en) Display device
US10620668B2 (en) Display device
US10185367B2 (en) Display device
KR102627801B1 (ko)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613522B1 (ko) 베젤 처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9826626B2 (en) Display device
US1012198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uxiliary member at bending axis
US991045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stoppable hinge
WO2017113393A1 (zh) 可弯折移动终端
KR20080093340A (ko) 폴딩형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246692A1 (en) Foldable multi-display apparatus
US20220206537A1 (en) Substrate for display
US20230240029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supporting assembly thereof
WO2023040714A9 (zh) 一种电子设备的折叠组件及电子设备
CN1531305A (zh) 防止可折叠便携式电子设备的上部、下部单元接触时被擦伤的结构
US20230280790A1 (en) Display device
JP2007086575A (ja) 半透過型液晶表示パネル
WO2019173948A1 (zh) 铰链装置及柔性显示装置
JP2008079069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