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713A - 사인패드 장치 - Google Patents

사인패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713A
KR20160089713A KR1020150009279A KR20150009279A KR20160089713A KR 20160089713 A KR20160089713 A KR 20160089713A KR 1020150009279 A KR1020150009279 A KR 1020150009279A KR 20150009279 A KR20150009279 A KR 20150009279A KR 20160089713 A KR20160089713 A KR 2016008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pad device
display unit
handwriting
handwri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159B1 (ko
Inventor
허성환
김홍채
이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레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레이스
Priority to KR1020150009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1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적 방식으로 서명을 입력 받는 사인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사인패드 장치는 필기 입력부와, 주변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필기 입력부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자기력펜 및 필기 입력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자기력펜 거치 홀을 포함하고, 필기 입력부는 자기력펜의 필기 흔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 하단에 배치되어 자기력 펜의 이동에 따른 3축 자기장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과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MC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인패드 장치{APPARATUS FOR SIGN PAD}
본 발명은 전자적 방식으로 서명을 입력 받는 사인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타이저(Digitizer)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의 한 종류로서, 매트릭스 형태의 전극 구조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펜 또는 커서를 움직이면 매트릭스 상의 X, Y 좌표를 읽어 입력 장치의 위치 신호를 전달하고, 그에 해당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디지타이저는 광의적으로 터치패널 또는 태블릿이라고도 불리며, 투명전극 층이 코팅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을 Dot Spacer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합착시켜, 손가락이나 펜에 의해 상부 기판을 접촉할 시 위치 검출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저항막 방식과, 표면파 발생의 트랜스듀서를 응용한 압전소자를 이용하는 초음파 반사 방식, 전자기파를 발생하는 패턴층 위에서 전자기파를 공명 흡수하는 코일을 이용하는 전자기공명 방식 및 사람의 몸에 있는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전류의 양이 변경된 부분을 인식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정전 용량 방식 등에 따라 구현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소형 디지타이저는 전자 서명이 확대되고, 의료, 보험 분야의 법적 증빙 자료로 전자 서명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안되었으며, 결재 또는 사실 확인 등에 관하여 전자적 방식으로 서명을 입력 받기 위하여 사인 패드 제품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인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저항막 또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를 인식하여야 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입력부(10)의 측단면을 살펴보면, 입력펜(11)으로부터의 터치 신호를 인식하기 위하여, 최상층에는 저항막 또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센서(12)와, 센서(12) 하단에 배치되어 터치 입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14)와, 디스플레이(14) 하단에 배치되는 메인보드(16)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인패드는 저항막 또는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부가 하나의 층을 형성하므로, 공정이 복잡하며, 제작 원가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센싱을 위한 센서층을 별도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자기력펜의 이동에 따른 3축 자기장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통한 필기 흔적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사인패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사인패드 장치는 필기 입력부와, 주변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필기 입력부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자기력펜 및 필기 입력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자기력펜 거치 홀을 포함하고, 필기 입력부는 자기력펜의 필기 흔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 하단에 배치되어 자기력 펜의 이동에 따른 3축 자기장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과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MC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부는 전체 장치가 거치되는 면을 기준으로 사용자를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에 따라 기울여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펜 거치 홀은 필기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CU는 디스플레이부 하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센서 모듈은 채널을 공유하며 슬레이브 집합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CU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3축 자기장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여, 자기력펜의 이동에 따른 위치 신호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필기 흔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인패드 장치는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를 인식하지 아니하고, 메인보드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디지타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필기 흔적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므로, 사인패드 제작의 공정이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인 패드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인패드 장치의 전체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인패드 장치의 필기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CU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인패드 장치의 전체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인패드 장치의 필기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CU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인패드 장치는 필기 입력부(110)와, 주변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필기 입력부(110)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자기력펜 및 필기 입력부(110)의 외면에 배치되는 자기력펜 거치 홀(106)을 포함하되, 필기 입력부(110)는 자기력펜의 필기 흔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1)와, 디스플레이부(111) 하단에 배치되어 자기력 펜의 이동에 따른 3축 자기장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과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MCU(11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부(110)는, 인체공학 책상 설계 기준 쓰기 행동에 가장 적합한 상판의 기울기는 약 15도이고, 사용자의 작업 환경에 가장 적합한 경사 기울기는 0도 내지 15도인 인체공학적 설계 레퍼런스를 고려하여, 전체 사인패드 장치가 거치되는 면을 기준으로 사용자를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에 따라 기울여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사인패드에 가장 적합한 디스플레이의 기울기로써 3도 내지 10도를 그 각도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펜 거치 홀(106)은 필기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데, 터치 스크린용 자기력펜이 길이 140mm, 직경 8mm를 적정 사이즈로 제작된 경우, 자기력펜 거치 홀(106)은 자기력펜의 직경을 고려하여 그 반경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 때,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력 펜이 사인패드 장치와 끈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펜 거치 홀(106)은 사용자가 자기력 펜을 자기력펜 거치 홀(106)로부터 탈거하여 필기 입력부(110)에 대하여 필기함에 불편함이 없도록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필기 입력부(110) 기준 하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필기 입력부(110) 기준 측면, 상측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CU(112)는 센서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메인보드의 구성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1) 하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112a 내지 112d)을 포함하고, 복수의 센서 모듈(112a 내지 112d)은 채널을 공유하며 슬레이브 집합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CU(112)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3축 자기장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1)로 전달하여, 자기력 펜의 이동에 따른 위치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하여 필기 흔적으로 표시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입력부 11: 입력펜
12: 센서 14: 디스플레이
16: 메인보드 106: 자기력펜 거치홀
110: 필기 입력부 111: 디스플레이부
112: MCU

Claims (5)

  1. 필기 입력부;
    주변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필기 입력부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자기력펜; 및
    상기 필기 입력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자기력펜 거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필기 입력부는 상기 자기력펜의 필기 흔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자기력 펜의 이동에 따른 3축 자기장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과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MCU로 구성되는 것
    인 사인패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부는 전체 장치가 거치되는 면을 기준으로 사용자를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에 따라 기울여져 배치되는 것
    인 사인패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펜 거치 홀은 상기 필기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
    인 사인패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하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은 채널을 공유하며 슬레이브 집합을 구성하는 것
    인 사인패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3축 자기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여, 상기 자기력펜의 이동에 따른 위치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필기 흔적으로 표시되는 것
    인 사인패드 장치.
KR1020150009279A 2015-01-20 2015-01-20 사인패드 장치 KR101645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279A KR101645159B1 (ko) 2015-01-20 2015-01-20 사인패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279A KR101645159B1 (ko) 2015-01-20 2015-01-20 사인패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713A true KR20160089713A (ko) 2016-07-28
KR101645159B1 KR101645159B1 (ko) 2016-08-03

Family

ID=5668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279A KR101645159B1 (ko) 2015-01-20 2015-01-20 사인패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1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06U (ko) * 2010-02-23 2011-08-31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사인 패드 카드 리더기
KR101459077B1 (ko) * 2013-08-14 2014-11-12 (주)이월리서치 스마트 펜을 이용한 필기 입력에 따른 전송장치
KR101457336B1 (ko) * 2014-02-21 2014-11-13 주식회사 트레이스 3축 자기력 센서와 자기력 펜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융합 디지타이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06U (ko) * 2010-02-23 2011-08-31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사인 패드 카드 리더기
KR101459077B1 (ko) * 2013-08-14 2014-11-12 (주)이월리서치 스마트 펜을 이용한 필기 입력에 따른 전송장치
KR101457336B1 (ko) * 2014-02-21 2014-11-13 주식회사 트레이스 3축 자기력 센서와 자기력 펜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융합 디지타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159B1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5168B2 (ja) 力イメージング入力のデバイスとシステム
JP6129994B2 (ja) 局所化された力の感知の為の装置および方法
JP5748274B2 (ja) 位置検出センサ、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方法
JP6723226B2 (ja) 中間遮蔽電極層を採用した力及び近接感知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CN105518596B (zh) 用于局部力和近距离感测的装置和方法
JP5677423B2 (ja) 湾曲面上における接触の検出
US9304948B2 (en) Sensing user input at display area edge
KR101661786B1 (ko) 곡선형 표면 위의 터치 감지 방법
US20170075465A1 (en) Transparent Strain Sensors in an Electronic Device
EP3410280A1 (en) Object orientation detection with a digitizer
US20140049703A1 (en) Pen writing on one-dimensional capacitive touch sensor
CN109643176B (zh) 触控笔、触摸感测系统、触摸感测控制器及触摸感测方法
US10540023B2 (en) User interface devices for virtual reality system
CN105992992A (zh) 低外形指点杆
US9696576B2 (en) Pen writing on one-dimensional capacitive touch sensor
CN109791454A (zh) 手写板
KR101645159B1 (ko) 사인패드 장치
KR101644796B1 (ko) 멀티 스케일 디지타이저 시스템
KR101748173B1 (ko) 터치 검출 장치
KR101229296B1 (ko) 필기인식용 터치스크린
KR20120082995A (ko) 파우치방식의 휴대기기용 필기정보 입력시스템
KR101673135B1 (ko) 디지타이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