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565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565A
KR20200042565A KR1020180122574A KR20180122574A KR20200042565A KR 20200042565 A KR20200042565 A KR 20200042565A KR 1020180122574 A KR1020180122574 A KR 1020180122574A KR 20180122574 A KR20180122574 A KR 20180122574A KR 20200042565 A KR20200042565 A KR 20200042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area
optical sheet
overlapping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성
김정진
강승우
이정봉
최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2565A/ko
Priority to US16/549,693 priority patent/US10932369B2/en
Priority to CN201910979761.9A priority patent/CN111047985B/zh
Publication of KR2020004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윈도우, 입력감지패널, 제1 내지 제3 연결회로기판, 표시패널, 응력제어필름 및 상기 광학시트와 상기 입력감지패널을 결합하는 제1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1 접착부재는 광학시트에 중첩하는 내측 부분 및 내측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광학시트에 비중첩하며, 상기 응력제어필름에 중첩하는 외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의 엣지의 제1 부분은 광학시트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내측 부분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영역을 정의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불량이 감소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테블릿,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정보제공을 위해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전자장치들은 표시장치 이외에 다양한 전자모듈들을 더 포함한다.
표시장치와 전자모듈들을 조립하여 전자장치를 제조한다. 이때 전자장치의 외부 케이스와 브라켓을 이용하여 전자모듈들을 유기적으로 배치한다.
전자장치는 슬림한 베젤을 구현하기 위해서 일부분이 밴딩된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를 밴딩하는 과정에서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밴딩영역 주변에서 발생하는 불량률이 감소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하면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패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상면 상에 접속된 제1 연결회로기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하면 상에 접속된 제2 연결회로기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광학시트 및 상기 광학시트에 중첩하는 제1 비밴딩영역, 상기 제1 비밴딩영역으로부터 밴딩된 밴딩영역, 및 상기 밴딩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에 마주하는 제2 비밴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시트의 하측에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밴딩영역, 상기 밴딩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1 비밴딩영역의 일부 영역, 및 상기 밴딩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2 비밴딩영역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에 결합된 응력제어필름 및 상기 광학시트와 상기 입력감지패널을 결합하는 제1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상기 광학시트에 중첩하는 내측 부분 및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광학시트에 비중첩하며, 상기 응력제어필름에 중첩하는 외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엣지의 제1 부분은 상기 광학시트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 부분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오목 영역에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외측 부분에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부분은 면적이 다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비중첩하며,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상기 엣지의 제2 부분은 상기 외측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외측 부분은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상기 엣지의 상기 제2 부분까지의 거리가 제1 거리인 제1 영역 및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상기 엣지의 상기 제2 부분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인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상기 상면 상에 접속된 제3 연결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과 상기 제3 연결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부분은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에 대응하는 제1 외측 부분과 상기 제3 연결회로기판에 대응하는 제2 외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감지패널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 상에 배치된 제1 전극들,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들 중 일부에 연결된 제1 신호라인들,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들 중 다른 일부에 연결된 제2 신호라인들,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들과 교차하는 제2 전극들,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들에 연결된 제3 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1 신호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3 신호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3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2 신호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와 상기 입력감지패널을 결합하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접착부재는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과 상기 제3 연결회로기판 각각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호필름과 이격되고, 상기 제2 비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2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제1 보호필름의 하면 상에 배치된 금속플레이트 및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보호필름을 결합하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제1 보호필름의 하면 상에 배치된 압력검출센서 및 상기 압력검출센서와 상기 제2 보호필름을 결합하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비밴딩영역, 상기 밴딩영역, 및 상기 제2 비밴딩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 상기 밴딩영역, 및 상기 제2 비밴딩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에 중첩하는 표시소자층 및 상기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는 편광자 및 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밴딩축과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제2 비밴딩영역의 너비는 상기 제1 비밴딩영역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제2 비밴딩영역에 접속된 제1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접속된 제2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 및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2 회로기판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하면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패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상면 상에 접속된 제1 연결회로기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하면 상에 접속된 제2 연결회로기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광학시트, 및 상기 광학시트에 중첩하는 제1 비밴딩영역, 상기 제1 비밴딩영역으로부터 밴딩된 밴딩영역, 및 상기 밴딩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에 마주하는 제2 비밴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시트의 하측에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광학시트의 엣지와 마주하는 엣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밴딩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에 결합된 응력제어필름 및 상기 광학시트와 상기 입력감지패널을 결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광학시트에 중첩하는 내측 부분, 및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광학시트의 상기 엣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응력제어필름에 중첩하는 외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의 엣지의 일부분은 상기 광학시트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 부분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외측 부분에 중첩하고,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오목 영역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하면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패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광학시트, 상기 광학시트에 중첩하는 제1 비밴딩영역, 상기 제1 비밴딩영역으로부터 밴딩된 밴딩영역, 및 상기 밴딩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에 마주하는 제2 비밴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시트의 하측에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광학시트의 엣지와 마주하는 엣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밴딩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에 결합된 응력제어필름, 및 상기 광학시트와 상기 입력감지패널을 결합하고, 상기 보호필름에 중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광학시트에 접촉하는 내측 부분 및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광학시트의 상기 엣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응력제어필름에 부착된 외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응력제어필름의 제1 비밴딩영역에 중첩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탈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와 상기 응력제어필름의 결합력이 응력제어필름의 밴딩 형상에 의해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상쇄하기 때문이다.
제1 접착부재에 오목영역이 정의됨으로써 제1 접착부재의 들뜸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c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분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일부분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ED)의 일예로 스마트 폰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ED)는 테블릿, 노트북 컴퓨터, 또는 스마트 텔레비젼 등일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에 평행한다. 표시면은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에 인접한 베젤영역(BZA)을 포함한다. 도 1a에서 이미지(IM)의 일 예로 인터넷 검색창이 도시되었다. 일 예로써, 표시영역(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베젤영역(BZA)은 표시영역(DA)을 에워싸을수 있다. 다시 말해, 베젤영역(BZA)은 표시면의 테두리를 이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젤영역(BZA)은 제1 방향축(DR1)에서 마주하는 2개의 영역에만 배치되거나, 제2 방향축(DR2)에서 마주하는 2개의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면의 법선 방향, 즉 전자장치(E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이미지(IM)가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 또는 제1 면)과 배면(또는 하면, 또는 제2 면)이 정의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장치(ED)는 표시장치(DD), 전자모듈(EM), 전원공급 모듈(PM), 브라켓(BRK), 및 외부 케이스(EDC)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 상기 구성들은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표시장치(DD)는 윈도우(WM) 및 표시모듈(DM)을 포함한다. 윈도우(WM)는 전자장치(ED)의 전면을 제공한다. 표시모듈(DM)은 윈도우(WM)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이미지를 생성한다. 또한, 표시모듈(DM)은 사용자 입력(예컨대, 사용자 터치 및/또는 사용자의 압력 인가)을 감지할 수도 있다. 표시모듈(DM)은 플렉서블 회로기판 또는 전자부품 커넥터 등을 통해 전자모듈(EM)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랫한 표시면을 제공하는 표시모듈(DM)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표시모듈(DM)의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의 제1 방향(DR1)에서 마주하는 엣지들은 중심부분들로부터 밴딩되어 곡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 모듈(PM)은 전자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통상적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BRK)은 표시장치(DD) 및/또는 외부 케이스(EDC)와 결합되어 전자장치(ED)의 내부 공간을 분할한다. 브라켓(BRK)은 다른 구성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브라켓(BRK)은 표시장치(DD)가 흔들림없이 고정되도록 표시장치(DD)를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BRK)에는 전자모듈(EM)이 고정되도록 전자모듈(EM)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정의될 수 있다. 브라켓(BRK)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한다. 하나의 브라켓(BRK)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자장치(ED)는 복수 개의 브라켓(BRK)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EDC)는 브라켓(BRK) 및/또는 표시장치(DD)에 결합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EDC)는 전자장치(ED)의 외면을 제공한다.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진 외부 케이스(EDC)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외부 케이스(EDC)는 서로 조립되는 복수 개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EDC)는 글라스, 플라스틱, 메탈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모듈(EM)은 마더보드 및 마더보드에 실장되며 전자장치(ED)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한다. 마더보드는 통상의 전자부품 커넥터 등을 통해 표시장치(D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마더보드는 리지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모듈(EM)은 제어 모듈(10), 무선통신 모듈(20), 영상입력 모듈(30), 음향입력 모듈(40), 음향출력 모듈(50), 메모리(60), 외부 인터페이스(70), 발광 모듈(80), 수광 모듈(90), 및 카메라 모듈(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 중 일부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지 않고, 플렉서블 회로기판 또는 전자부품 커넥터를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10)은 전자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모듈(10)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은 표시장치(DD)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킨다. 제어 모듈(10)은 표시장치(DD)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입력 모듈(30), 음향입력 모듈(40), 음향출력 모듈(5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2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24)를 포함한다.
영상입력 모듈(30)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장치(DD)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입력 모듈(40)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출력 모듈(50)은 무선통신 모듈(2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6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외부 인터페이스(70)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발광 모듈(80)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발광 모듈(80)은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80)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소정 레벨 이상의 적외선이 감지된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80)에서 생성된 적외광이 출력된 후, 외부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얼굴)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적외광이 수광 모듈(90)에 입사될 수 있다. 발광 모듈(80)과 수광 모듈(90)은 용도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카메라 모듈(100)은 용도 및 전자장치(ED)에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 및 입력감지패널(ISP)을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은 도 1a의 이미지(IM)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감지패널(ISP)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패널(ISP)의 평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패널(ISP)의 단면도이다. 도 3a에서 접착부재들은 미도시되었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윈도우(WM) 및 표시모듈(DM)을 포함한다. 윈도우(WM)는 베이스층 및 베이스층의 하면 상에 배치된 베젤층을 포함한다. 베젤층이 배치된 영역이 도 3a에 도시된 베젤영역(BZA)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영역(DA) 내에서 플랫한 형태의 윈도우(WM)를 도시하였으나, 윈도우(WM)의 형태는 변형될 수 있다. 윈도우(WM)의 제1 방향(DR1)에서 마주하는 엣지들은 곡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베이스층은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으로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은 다층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층(BS)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는 유리 기판 및 유리 기판과 접착부재로 결합된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층은 유리 기판의 하면에 직접 배치되거나, 합성수지 필름의 일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유기 기판에 직접 증착 또는 인쇄 할 수 있다. 베젤층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유리 기판의 하면에 부착할 수 있다.
베젤층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의 베젤층은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버퍼층, 소정의 무늬를 제공하는 패턴층, 및 무채색층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층은 헤어라인이라 지칭되는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무채색층은 블랙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들은 증착, 프린트, 코팅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윈도우(WM)는 베이스층(BS)의 상면에 배치된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은 지문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은 입력감지패널(ISP), 광학시트(LS), 표시패널(DP), 보호필름(PF), 구동제어모듈(DCM), 연결회로기판들(FCB1, FCB2, FCB3) 및 하측부재(LM), 응력제어필름(SCF)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패널(ISP)과 광학시트(LS) 사이, 광학시트(LS)와 표시패널(DP) 사이, 표시패널(DP)과 보호필름(PF) 사이, 보호필름(PF)과 하측부재(LM) 사이 각각에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하며 시트 타입 또는 레진 타입일 수 있다. 접착부재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일 수 있다.
입력감지패널(ISP)은 사용자 입력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입력감지패널(ISP)은 전자장치(ED)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감지패널(ISP)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광, 열, 또는 압력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감지패널(ISP)은 감지면에 접촉하는 입력은 물론, 감지면에 근접한 입력 역시 감지할 수도 있다. 입력감지패널(ISP)은 예컨대,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전자기유도방식 터치패널 등일 수 있다.
입력감지패널(ISP)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감지패널(ISP)는 베이스층(IS-B), 제1 도전층(IS-CL1), 제1 절연층(IS-IL1), 제2 도전층(IS-CL2), 및 제2 절연층(IS-I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1 절연층(IS-IL1)은 베이스층(IS-B)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2 도전층(IS-CL2) 및 제2 절연층(IS-IL2)은 베이스층(IS-B)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층(IS-B)은 유리기판 또는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축(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들과 금속층들 중 적어도 2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3층의 금속층 구조, 예컨대,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복수 개의 도전패턴들을 포함한다. 이하, 제1 도전층(IS-CL1)은 제1 도전패턴들을 포함하고, 제2 도전층(IS-CL2)은 제2 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 각각은 감지전극들 및 이에 연결된 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 각각은 무기막 및/또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감지패널(ISP)는 표시영역(DA, 도 1a 참조) 및 베젤영역(BZA, 도 1a 참조)에 대응하는 센싱영역(IS-DA)과 배선영역(IS-ND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싱영역(IS-DA)과 표시영역(DA, 도 1a 참조)의 면적 또는 형상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감지패널(ISP)는 제1 전극 그룹(EG1), 제2 전극 그룹(EG2), 제1 전극 그룹(EG1)의 일부에 연결된 제1 신호라인 그룹(SG1), 제1 전극 그룹(EG1)의 다른 일부에 연결된 제2 신호라인 그룹(SG2) 및 제2 전극 그룹(EG2)에 연결된 제3 신호라인 그룹(SG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그룹(EG1)의 전극들 중 홀수번째 전극들과 제1 신호라인 그룹(SG1)이 연결되고, 제1 전극 그룹(EG1)의 전극들 중 짝수번째 전극들과 제2 신호라인 그룹(SG2)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 그룹(EG1)의 전극들 각각은 복수 개의 제1 센서부들(SP1)과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을 포함한다. 제2 전극 그룹(EG2)의 전극들 각각은 복수 개의 제2 센서부들(SP2)과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한다. 제1 전극 그룹(EG1) 및 제2 전극 그룹(EG2)의 전극들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전극 그룹(EG1), 제1 신호라인 그룹(SG1), 및 제2 신호라인 그룹(SG2)은 도 3b의 제1 도전층(IS-CL1)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 그룹(EG2) 및 제3 신호라인 그룹(SG3)은 도 3b의 제2 도전층(IS-CL2)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패드들(PD1 내지 PD3)은 제1 신호라인 그룹(SG1) 내지 제3 신호라인 그룹(SG3)의 신호라인들의 일부분이거나 추가 공정에 의해 형성된 도전 패턴일 수 있다.
제1 전극 그룹(EG1), 제1 신호라인 그룹(SG1), 및 제2 신호라인 그룹(SG2)은 제2 전극 그룹(EG2) 및 제3 신호라인 그룹(SG3)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된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내지 제3 연결회로기판들(FCB1, FCB2, FCB3) 중 제1 및 제3 연결회로기판들(FCB1, FCB3)은 입력감지패널(ISP)의 상면을 통해 접속된다. 제1 및 제3 연결회로기판들(FCB1, FCB3)은 도 3c의 제1 패드들(PD1) 및 제2 패드들(PD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들(PD1)과 제2 패드들(PD2)이 배선영역(IS-NDA)의 일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1 및 제3 연결회로기판들(FCB1, FCB3)은 제1 패드들(PD1)과 제2 패드들(PD2)에 연결된 하나의 연결회로기판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 연결회로기판(FCB2)은 입력감지패널(ISP)의 하면을 통해 접속된다. 제 제2 연결회로기판(FCB2)은 도 3c의 제3 패드들(PD3)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회로기판들(FCB1 내지 FCB3)의 입력감지패널(ISP)에 대한 접속 위치(전면 또는 하면 접속 위치)는 제1 내지 제3 패드들(PD3)의 베이스층(IS-B)에 대한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광학시트(LS)은 편광자 및 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와 리타더는 연신형 편광필름와 연신형 리타더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LS)의 동작 원리에 따라 리타더의 개수와 리타더의 위상지연 길이(λ/4 또는 λ/2)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자와 리타더는 베이스 필름에 액정조성물을 코팅/배향한 코팅형 편광필름과 코팅형 리타더필름일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표시패널(DP)은 플렉서블한 표시패널로 예컨대,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평면상에서 화소(PX)가 배치되는 화소영역(PXA)과 화소영역(PXA)에 인접한 비화소영역(NPXA)을 포함한다. 비화소영역(NPXA)에는 화소(PX)가 배치되지 않고, 신호배선들 및 절연패턴들과 같은 주변 구성들이 배치된다. 화소영역(PXA)과 비화소영역(NPXA)은 표시영역(DA, 도 1a 참조)과 베젤영역(BZA 도 1a 참조)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대응하는 영역들(예컨대, 형상/면적 등)이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다.
화소(PX)는 복수로 제공되어 대응되는 신호라인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화소(PX)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커패시터(CP), 및 발광소자(EL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된다. 발광 소자(ELD)는 전원 라인(PL)이 제공하는 전원 전압을 수신한다.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 라인(PL)과 같은 신호라인들과 연결되는 패드들은 비화소영역(NPXA)에 배치된다.
도 3d에서 표시패널(DP)의 적층구조를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BL), 회로층(CL), 표시소자층(LEL), 및 봉지층(ECL)을 포함한다.
베이스층(BL)은 합성수지 필름으로써 예컨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회로층(CL)은 베이스층(BL)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회로층(CL)은 절연층, 도전층, 및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갖는다. 회로층(CL)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커패시터(CP)와 같은 화소 회로 및 화소 회로에 연결된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표시소자층(LEL)은 회로층(CL)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표시소자층(LEL)은 발광소자(ELD), 예컨대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ECL)은 표시소자층(LEL) 상에 배치되어 표시소자층(LEL)을 밀봉한다. 봉지층(ECL)은 TFE(thin film encasulation)로 일컷는 유기막/무기막 복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봉지층(ECL)은 무기막만을 포함하거나, 유기막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패널(DP)은 봉지층(ECL)을 대체하는 봉지기판과 실런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런트는 봉지기판을 표시소자층(LEL) 상에 결합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패널(DP)은 3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밴딩영역(NBA1), 제1 비밴딩영역(NBA1)으로부터 밴딩될 수 있는 밴딩영역(BA), 및 밴딩영역(BA)으로부터 연장된 제2 비밴딩영역(NBA2)을 포함할 수 있다. 밴딩 상태에서 제2 비밴딩영역(NBA2)은 제1 비밴딩영역(NBA1)에 마주한다. 밴딩영역(BA)은 밴딩된 상태에서 소정의 곡률을 갖는다.
베이스층(BL) 및 회로층(CL)은 제1 및 제2 비밴딩영역(NBA1, NBA2) 및 밴딩영역(BA)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표시소자층(LEL)과 봉지층(ECL)은 제1 비밴딩영역(NBA1)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여 펼쳐진 상태의 표시패널(DP)의 평면 형상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패널(DP)의 제1 방향(DR1)의 너비는, 즉 밴딩축에 평행하는 방향의 너비, 영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밴딩영역(BA)은 제1 비밴딩영역(NBA)보다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밴딩영역(BA)이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를 가짐으로써 밴딩이 용이해진다.
도 3a에는 밴딩영역(BA)은 제1 방향(DR1)의 너비가 제1 비밴딩영역(NBA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밴딩영역(BA)의 너비는 일정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를 참조하면, 보호필름(PF)은 표시패널(DP)의 하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필름(PF)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보호필름(PF1) 및 제2 보호필름(PF2)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F)은 합성수지 필름을 베이스층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F)는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bonate),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ether 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F)을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수지들에 제한되지 않고, 유/무기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F)은 다공성 유기층 및 유기층의 기공들에 충전된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패널(DP)과 보호필름(PF)은 접착부재(AM4, 이하 제4 접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4 접착부재(AM4)는 제1 보호필름(PF1)과 제2 보호필름(PF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접착 부분(AM4-1)과 제2 접착 부분(AM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제어모듈(DCM)은 제1 회로기판(MCB, 또는 구동 회로기판), 제1 회로기판(MCB)과 표시패널(DP)을 연결하는 제2 회로기판(FCB), 및 제2 회로기판(FCB)에 실장된 구동칩(F-IC)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회로기판(MCB)에는 복수 개의 수동소자와 능동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MCB)은 리지드 회로기판 또는 플렉서블 회로기판일 수 있고, 제2 회로기판(FCB)은 플렉서블 회로기판일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회로기판(MCB)에는 입력감지패널(ISP)의 구동칩이 실장될 수도 있다. 연결회로기판들(FCB1, FCB2, FCB3)은 제1 회로기판(MCB)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로기판(MCB)은 전자부품 커넥터를 통해서 전자모듈(EM, 도 1b 참조)의 마더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측부재(LM)는 보호필름(PF)의 하면에 배치되고, 지지기판을 포함하거나 압력검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패널(SPP)은 보호필름(PF)의 하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 및 보호필름(PF)을 지지한다. 지지패널(SPP)은 기준 이상의 강성을 갖는 금속플레이트일 수 있다. 지지패널(SPP)은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일 수 있다. 지지패널(SPP)은 표시패널(DP)에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해 검정색을 가질 수 있다.
압력검출센서는 표시모듈에 인가되는 외부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압력검출센서는 베이스층, 압전소자들, 및 압전소자들에 연결된 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d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적어도 밴딩영역(BA)에 대응하도록 회로층 상에 배치된 응력제어필름(SC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력제어필름(SCF)은 전체 면적의 50% 이상이 곡률영역(CA)에 배치될 수 있다. 응력제어필름(SCF)의 일부분은 제1 비밴딩영역(NBA1)과 제2 비밴딩영역(NBA2)에도 중첩할 수 있다. 응력제어필름(SCF)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보호필름(PF)을 구성할 수 있는 합성수지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응력제어필름(SCF)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c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표시장치(DD)가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구성 대비 윈도우(WM) 및 입력감지패널(ISP)이 제거된 상태의 표시장치(DD)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입력감지패널(ISP)과 광학시트(LS)를 결합하는 접착부재(AM2, 이하 제2 접착부재)가 최상측에 배치된다. 평면상에서 볼 때, 제2 접착부재(AM2)에 비중첩하는 광학시트(LS)의 일부 영역이 도시되었다. 또한 제2 접착부재(AM2)에 비중첩하는 응력제어필름(SCF)의 밴딩된 일부영역이 도시되었다.
도 4b는 도 4a의 AA 영역을 확대 도시하였다. 도 4c 및 도 4d는 도 4b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4c는 표시패널(DP)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4d는 표시패널(DP)의 밴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4e는 도 4b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4f는 도 4b의 II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4c 내지 도 4f에 있어서 도 3d에서 설명된 표시패널(DP)은 단층으로 도시되었다.
도 4c 내지 도 4f는 베이스층(BS) 및 베이스층(BS)의 하면 상에 직접 배치된 베젤층(BZL)을 포함하는 윈도우(WM)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입력감지패널(ISP)과 광학시트(LS) 사이의 접착부재(AM1, 이하 제1 접착부재), 광학시트(LS)와 표시패널(DP) 사이의 접착부재(AM3, 이하 제3 접착부재), 보호필름(PF)과 하측부재(LM) 사이의 접착부재(AM5, 이하 제5 접착부재)가 도시되었다.
제2 보호필름(PF2)과 하측부재(LM) 사이에 접착부재(AM6, 이하 제6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회로기판(MCB)과 하측부재(LM) 사이에 접착부재(AM7, 이하 제7 접착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6 접착부재(AM6)는 곡률반경을 유지시킬뿐 아니라 제2 보호필름(PF2)과 하측부재(LM)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역할을 갖는다.
미 도시되었으나, 응력제어필름(SCF)와 표시패널(DP) 사이에 접착층이 배치된다. 응력제어필름(SCF)의 일부 영역은 제1 비밴딩영역(NBA1)에 중첩하고, 응력제어필름(SCF)의 다른 일부 영역은 제2 비밴딩영역(NBA2)에 중첩한다. 응력제어필름(SCF)의 대부분의 영역은 밴딩축(BX)을 중심으로 표시패널(DP)의 밴딩영역(BA)과 같이 곡률을 형성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 접착부재(AM2)는 내측 부분(AM2-I) 및 내측 부분(AM2-I)으로부터 연장된 외측 부분(AM2-O)을 포함한다. 제2 접착부재(AM2)의 광학시트(LS)에 중첩하는 부분이 내측 부분(AM2-I)으로 정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외측 부분(AM2-O)은 내측 부분(AM2-I)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광학시트(LS)에 비중첩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외측 부분(AM2-O) 중 적어도 일부는 응력제어필름(SCF)에 중첩할 수 있다.
도 4b에는 응력제어필름(SCF)에 중첩하는 외측 부분(AM2-O)만을 도시하였다. 도 4b에는 제1 방향(DR1)에서 이격된 2개의 외측 부분(AM2-O)을 도시하였다. 도 4b에는 좌우 대칭인 2개의 외측 부분(AM2-O)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외측 부분(AM2-O)은 서로 구분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서는 제2 방향(DR2)의 너비가 다른 제1 영역(AM2-O1)과 제2 영역(AM2-O2)을 포함하는 외측 부분(AM2-O)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2 접착부재(AM2)의 엣지(AM2-E)의 제1 부분(AM2-E1)은 광학시트(LS)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내측 부분(AM2-I)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영역(AM2-CC)을 정의할 수 있다.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측 부분(AM2-O)과 내측 부분(AM2-I)의 경계는 광학시트(LS)의 엣지(LS-E)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외측 부분(AM2-O)과 내측 부분(AM2-I)의 경계에 인접하게 광학시트(LS)의 엣지(LS-E)와 마주하는 응력제어필름(SCF)의 엣지(SCF-E)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시트(LS)의 엣지(LS-E)와 응력제어필름(SCF)의 엣지(SCF-E)는 수 mm이내의 간격 내에서 밀접하게 배치된다.
제2 접착부재(AM2)의 엣지(AM2-E)의 제2 부분(AM2-E2)은 제1 영역(AM2-O1)과 제2 영역(AM2-O2)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영역(AM2-O1)은 광학시트(LS)의 엣지(LS-E)로부터 엣지(AM2-E)의 제2 부분(AM2-E2)까지의 거리가 제1 거리(D1)인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영역(AM2-O2)은 광학시트(LS)의 엣지(LS-E)로부터 엣지(AM2-E)의 제2 부분(AM2-E2)까지의 거리가 제1 거리(D1)보다 큰 제2 거리(D2)인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는 해당 영역의 제2 방향(DR2)의 너비와 같을 수 있다.
도 4b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입력감지패널(ISP)의 하면을 통해 제3 패드(PD3, 도 3c)에 제2 연결회로기판(FCB2)이 연결되더라도, 오목 영역(AM2-CC)의 내측에 제2 연결회로기판(FCB2)의 접속영역이 배치됨으로써 입력감지패널(ISP)과 제2 접착부재(AM2) 사이의 들뜸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연결회로기판(FCB2)의 접속영역은 입력감지패널(ISP)에 중첩하는 일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b, 도 4e, 및 도 4f를 참조하면, 제1 영역(AM2-O1)보다 제2 방향(DR2)의 너비가 큰 제2 영역(AM2-O2)은 제1 연결회로기판(FCB1)의 접속영역에 중첩한다. 제1 영역(AM2-O1) 대비 면적이 큰 제2 영역(AM2-O2)이 제1 연결회로기판(FCB1)의 접속영역을 충분히 지지함으로써 입력감지패널(ISP)에 대한 제1 연결회로기판(FCB1)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접착부재(AM1)는 제1 연결회로기판(FCB1)의 접속영역과 중첩하고, 제1 연결회로기판(FCB1)에 부착된다. 제1 접착부재(AM1)는 제1 연결회로기판(FCB1)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동일한 목적을 위해서 제1 접착부재(AM1)는 제3 연결회로기판(FCB3)의 접속영역과 중첩하고, 제3 연결회로기판(FCB3)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b, 도 4e 및 도 4f를 참조하면, 제1 영역(AM2-O1)과 제2 영역(AM2-O2)이 응력제어필름(SCF)에 중첩 및 부착됨으로써 응력제어필름(SCF)의 제1 비밴딩영역(NBA1)에 중첩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탈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AM2)와 응력제어필름(SCF)의 사이의 결합력이 응력제어필름(SCF)의 밴딩 형상에 의해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상쇄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일부분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일부분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4c 내지 도 4f에 도시된 제3 접착부재(AM3) 대비 얇은 접착층이 배치되었기 때문에 도 5a에서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다.
응력제어필름(SCF)이 표시패널(DP)에 부착된 상태로 밴딩되면, 응력제어필름(SCF)이 플랫한 상태로 복구되려는 복원력에 의해 응력제어필름(SCF)의 말단 영역에 큰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도 5a를 기준으로 제3 방향(DR3)과 제2 방향(DR2)으로 스트레스가 발행한다. 도 5b의 제1 그래프(GP1)는 도 4b, 도 4e 및 도 4f를 참조한 제1 영역(AM2-O1)과 제2 영역(AM2-O2)이 미존재하는 구조에서의 전단 스트레스(제2 방향(DR2)의 스트레스)를 나타내고, 도 5b의 제2 그래프(GP2)는 제1 영역(AM2-O1)과 제2 영역(AM2-O2)이 존재하는 구조에서의 전단 스트레스(제2 방향(DR2)의 스트레스)를 나타낸다. 상술한 것과 같이, 외측 부분(AM2-O)과 응력제어필름(SCF)의 사이의 결합력이 응력제어필름(SCF)의 밴딩 형상에 의해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상쇄하기 때문에 전단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b에 대응하고, 도 6b 및 도 6c는 도 4e 및 도 4f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 부분(AM2-O)은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측 부분(AM2-O)의 제1 연결회로기판(FCB1)의 접속영역에 중첩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제2 방향(DR2)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외측 부분(AM2-O)과 응력제어필름(SCF) 사이의 접착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응력제어필름(SCF)의 말단영역에서 발생하는 전단 스트레스가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D: 전자장치 DM: 표시모듈
EM: 전자모듈 PM: 전원공급 모듈
AM1, AM2, AM3: 접착부재 ISP: 입력감지패널

Claims (20)

  1.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하면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패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상면 상에 접속된 제1 연결회로기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하면 상에 접속된 제2 연결회로기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광학시트;
    상기 광학시트에 중첩하는 제1 비밴딩영역, 상기 제1 비밴딩영역으로부터 밴딩된 밴딩영역, 및 상기 밴딩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에 마주하는 제2 비밴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시트의 하측에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밴딩영역, 상기 밴딩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1 비밴딩영역의 일부 영역, 및 상기 밴딩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2 비밴딩영역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에 결합된 응력제어필름; 및
    상기 광학시트와 상기 입력감지패널을 결합하는 제1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상기 광학시트에 중첩하는 내측 부분; 및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광학시트에 비중첩하며, 상기 응력제어필름에 중첩하는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엣지의 제1 부분은 상기 광학시트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 부분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영역을 정의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오목 영역에 중첩하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외측 부분에 중첩하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분은 면적이 다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비중첩하며,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큰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상기 엣지의 제2 부분은 상기 외측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외측 부분은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상기 엣지의 상기 제2 부분까지의 거리가 제1 거리인 제1 영역 및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상기 엣지의 상기 제2 부분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인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하는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상기 상면 상에 접속된 제3 연결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과 상기 제3 연결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분은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에 대응하는 제1 외측 부분과 상기 제3 연결회로기판에 대응하는 제2 외측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패널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 상에 배치된 제1 전극들;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들 중 일부에 연결된 제1 신호라인들;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들 중 다른 일부에 연결된 제2 신호라인들;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들과 교차하는 제2 전극들;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들에 연결된 제3 신호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1 신호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3 신호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3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2 신호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와 상기 입력감지패널을 결합하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접착부재는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과 상기 제3 연결회로기판 각각에 중첩하는 표시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호필름과 이격되고, 상기 제2 비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2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의 하면 상에 배치된 금속플레이트; 및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보호필름을 결합하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의 하면 상에 배치된 압력검출센서; 및
    상기 압력검출센서와 상기 제2 보호필름을 결합하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비밴딩영역, 상기 밴딩영역, 및 상기 제2 비밴딩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 상기 밴딩영역, 및 상기 제2 비밴딩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에 중첩하는 표시소자층; 및
    상기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는 편광자 및 리타더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밴딩축과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제2 비밴딩영역의 너비는 상기 제1 비밴딩영역의 너비보다 작은 표시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밴딩영역에 접속된 제1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접속된 제2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 및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제2 회로기판에 접속된 표시장치.
  18.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하면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패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상면 상에 접속된 제1 연결회로기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하면 상에 접속된 제2 연결회로기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광학시트;
    상기 광학시트에 중첩하는 제1 비밴딩영역, 상기 제1 비밴딩영역으로부터 밴딩된 밴딩영역, 및 상기 밴딩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에 마주하는 제2 비밴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시트의 하측에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광학시트의 엣지와 마주하는 엣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밴딩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에 결합된 응력제어필름; 및
    상기 광학시트와 상기 입력감지패널을 결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광학시트에 중첩하는 내측 부분; 및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광학시트의 상기 엣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응력제어필름에 중첩하는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의 엣지의 일부분은 상기 광학시트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 부분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영역을 정의하는 표시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외측 부분에 중첩하고,
    상기 제2 연결회로기판은 상기 오목 영역에 중첩하는 표시장치.
  20.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하면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패널;
    상기 입력감지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광학시트;
    상기 광학시트에 중첩하는 제1 비밴딩영역, 상기 제1 비밴딩영역으로부터 밴딩된 밴딩영역, 및 상기 밴딩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비밴딩영역에 마주하는 제2 비밴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시트의 하측에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광학시트의 엣지와 마주하는 엣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밴딩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에 결합된 응력제어필름; 및
    상기 광학시트와 상기 입력감지패널을 결합하고, 상기 보호필름에 중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광학시트에 접촉하는 내측 부분; 및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광학시트의 상기 엣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응력제어필름에 부착된 외측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80122574A 2018-10-15 2018-10-15 표시장치 KR20200042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574A KR20200042565A (ko) 2018-10-15 2018-10-15 표시장치
US16/549,693 US10932369B2 (en) 2018-10-15 2019-08-23 Display device
CN201910979761.9A CN111047985B (zh) 2018-10-15 2019-10-10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574A KR20200042565A (ko) 2018-10-15 2018-10-15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565A true KR20200042565A (ko) 2020-04-24

Family

ID=7016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574A KR20200042565A (ko) 2018-10-15 2018-10-15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32369B2 (ko)
KR (1) KR20200042565A (ko)
CN (1) CN1110479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5002144T5 (de) 2014-05-06 2017-03-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ktronische Vorrichtung
CN110610662B (zh) * 2019-08-30 2021-08-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1206734B1 (en) * 2020-06-08 2021-12-21 Roger Huang Electronic device and wiring structure thereof
KR20210158462A (ko) * 2020-06-23 2021-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51944A1 (en) * 2020-09-09 2022-03-1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apparatus
DE102020124513A1 (de) * 2020-09-21 2022-03-24 Lisa Dräxlmaier GmbH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laden einer fahrzeugbatterie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laden einer fahrzeugbatterie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s
CN114333602B (zh) * 2022-01-21 2023-11-21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8880B2 (ja) * 2006-04-03 2009-03-18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I320114B (en) * 2006-08-15 2010-02-01 Fixed structure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or the backlight module of lcd
KR102253530B1 (ko) * 2014-11-21 2021-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305489B1 (ko) * 2015-01-26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5318B1 (ko) 2015-03-02 2021-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EP3362850B1 (en) * 2015-10-13 2021-04-21 Corning Incorporated Bendable electronic device module
KR101797728B1 (ko) * 2016-03-11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9214B1 (ko) * 2016-06-03 2023-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6829B1 (ko) * 2016-06-29 2023-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기능을 갖는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87061B1 (ko) * 2016-06-30 2023-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74377B1 (ko) * 2016-07-29 2019-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7809873B (zh) * 2016-09-09 2021-09-1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使用显示装置制造电子装置的方法
KR20180073762A (ko) * 2016-12-22 201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2822B1 (ko) * 2017-07-1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281089B (zh) * 2018-03-29 2020-04-2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CN108648622B (zh) * 2018-04-23 2021-04-2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终端及其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32369B2 (en) 2021-02-23
CN111047985B (zh) 2023-04-14
US20200120807A1 (en) 2020-04-16
CN111047985A (zh)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497B1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770963B2 (en) Display device
KR10241215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3552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odule provided therein
KR20200042565A (ko) 표시장치
TWI679469B (zh) 顯示裝置
CN110676295B (zh) 显示装置
US20190146611A1 (en) Display apparatus
US10535837B2 (en) Display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9159313A (ja) 表示装置
KR20180032262A (ko) 표시 장치
KR102320709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KR102333206B1 (ko) 전자 장치
US11348989B2 (en) Electronic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076820A (ko) 전자장치
KR20200138529A (ko) 표시 장치
KR20190104285A (ko) 표시장치
KR102168236B1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005447A (ko) 전자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