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26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262A
KR20180032262A KR1020160120947A KR20160120947A KR20180032262A KR 20180032262 A KR20180032262 A KR 20180032262A KR 1020160120947 A KR1020160120947 A KR 1020160120947A KR 20160120947 A KR20160120947 A KR 20160120947A KR 20180032262 A KR20180032262 A KR 20180032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pattern
pattern
sensing
region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289B1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289B1/ko
Priority to US15/648,058 priority patent/US11181763B2/en
Priority to CN201710846922.8A priority patent/CN107861652A/zh
Publication of KR2018003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ceramics or electro-optical crystals, e.g. exhibiting Pockels effect or Kerr effect
    • G02F1/0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ceramics or electro-optical crystals, e.g. exhibiting Pockels effect or Kerr effect with ferro-electric properties
    • G02F1/054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ceramics or electro-optical crystals, e.g. exhibiting Pockels effect or Kerr effect with ferro-electric properties using photorefractive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정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센싱 패턴, 상기 제1 센싱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제2 센싱 패턴, 및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과 각각 이격되는 제1 더미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더미 패턴을 배치하여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얼룩의 발생을 감소시킨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센싱패턴이 주변의 다른 센싱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의 외면에 부착되어 제품화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높은 투명도 및 얇은 두께의 특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더미 패턴을 배치하여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얼룩의 발생을 감소시킨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정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센싱 패턴, 상기 제1 센싱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제2 센싱 패턴, 및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과 각각 이격되는 제1 더미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벤딩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벤딩축에 기초하여 벤딩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비벤딩되고,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과 각각 절연된다.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복수로 제공된다.
상기 제1 더미 패턴들은 랜덤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센싱 패턴, 상기 제2 센싱 패턴, 및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동일한 층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3 센싱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제4 센싱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은 동일한 층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과 각각 이격되는 제2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과 동일한 층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더미 패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은 상기 터치의 압력을 감지한다.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정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센싱 패턴, 상기 제1 센싱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제2 센싱 패턴,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과 각각 이격되는 제1 더미 패턴;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배치되는 압력 센싱 패턴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압력 센싱 패턴은 상기 터치의 압력을 감지한다.
상기 벤딩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벤딩축에 기초하여 벤딩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비벤딩된다.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더미 패턴들은 랜덤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센싱 패턴, 상기 제2 센싱 패턴, 및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동일한 층상에 배치된다.,
상기 압력 센싱 패턴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3 센싱 패턴, 상기 제3 센싱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제4 센싱 패턴, 및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과 각각 이격되는 제2 더미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의 압력을 감지한다.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복수로 제공된다.
상기 제2 더미 패턴들은 랜덤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더미 패턴,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과 동일한 층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표시 장치는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더미 패턴을 구비함으로써, 제1 센싱 패턴 및 제2 센싱 패턴이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벤딩 영역과 플랫한(비벤딩) 영역의 외광 반사율이 달라지게 되어 외부에서 시인되는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2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3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센싱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센싱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1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2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3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동작 모드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 도 2a, 및 도 2b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일례로 폴더블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말려지는 롤러블 표시 장치 또는 밴디드 표시 장치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플랫한 리지드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테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화병을 도시하였다. 일 예로써,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에워싸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는 동작 형태에 따라 정의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벤딩축(BX)에 기초하여(on the basis of) 벤딩되는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적어도 하나의 벤딩축(미도시)에 기초하여 벤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벤딩축에 기초하여 비벤딩되는제1 영역(NBA1), 및 제2 영역(NBA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1 영역(NBA1) 및 제2 영역(NB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제1 영역(NBA1), 및 상기 제2 영역(NBA)은 플랫(flat)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는 제1 영역(NBA1)의 표시면(IS)과 제2 영역(NBA2)의 표시면(IS)이 마주하도록 내측 벤딩(inner-bending)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는 표시면(I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외측 벤딩(outer-bending)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는 복수 개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표시 장치(DD)를 조작하는 형태에 대응하게 벤딩 영역(BA)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벤딩 영역(BA)은 도 2a 및 도 2b와 달리 제1 방향축(DR1)에 평행하게 정의될 수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벤딩 영역(BA)의 면적은 고정되지 않고, 곡률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는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동작모드만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는 보호필름(PM), 표시 모듈(DM), 광학부재(LM), 윈도우(WM), 제1 접착부재(AM1), 제3 접착부재(AM3), 및 제4 접착부재(AM4)를 포함한다. 표시 모듈(DM)은 보호필름(PM)과 광학부재(LM) 사이에 배치된다. 광학부재(LM)는 표시 모듈(DM)과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접착부재(AM1)는 표시 모듈(DM)과 보호필름(PM)을 결합하고, 제3 접착부재(AM3)는 표시 모듈(DM)과 광학부재(LM)를 결합하고, 제4 접착부재(AM4)는 광학부재(LM)와 윈도우(WM)를 결합한다.
보호필름(PM)은 표시 모듈(DM)을 보호한다. 보호필름(PM)은 외부에 노출된 제1 외면(OS-L)을 제공하고, 제1 접착부재(AM1)에 접착되는 접착면을 제공한다. 보호필름(PM)은 외부의 습기가 표시 모듈(DM)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보호필름(PM)은 플라스틱 필름을 베이스 기판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 ether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을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수지들에 제한되지 않고, 유/무기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은 다공성 유기층 및 유기층의 기공들에 충전된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은 플라스틱 필름에 형성된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은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은 코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호필름(PM)은 생략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WM)는 유리 기판,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기판으로부터 선택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WM)는 베젤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는 연속공정 또는 접착층을 이용한 접착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광학부재(LM)는 외부광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광학부재(LM)는 적어도 편광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재(LM)는 위상차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학부재(LM)는 생략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유기발광 표시패널(DP), 위치 센싱 유닛(TU), 압력 센싱 유닛(PU), 및 위치 센싱 유닛(TU)과 압력 센싱 유닛(PU)을 결합시키는 제2 접착부재(AM2)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는 제1 영역(NBA1), 제2 영역(NBA2), 및 벤딩 영역(BA)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싱 유닛(TU)은 유기발광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별도의 접착층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며,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예로, 위치 센싱 유닛(TU) 상에 압력 센싱 유닛(PU)은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IM, 도 1 참조)를 생성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두께 방향(DR3)에서 마주하는 제1 표시패널면(BS1-L) 및 제2 표시패널면(BS1-U)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표시패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치 센싱 유닛(TU)은 제1 센싱 패턴(SP1), 제2 센싱 패턴(SP2), 및 제1 센싱 패턴(SP1)과 제2 센싱 패턴(SP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더미 패턴(D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 패턴(SP1) 및 제2 센싱 패턴(SP2)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패턴(SP1) 및 제2 센싱 패턴(SP2)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1 센싱 패턴(SP1)은 제1 영역(NBA1)과 중첩할 수 있다. 제2 센싱 패턴(SP2)은 제2 영역(NBA2)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DP1)은 벤딩 영역(BA)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센싱 패턴(SP1), 제2 센싱 패턴(SP2), 및 제1 더미 패턴(DP1)은 동일한 층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DP1)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a에서 제1 더미 패턴들(DP1)은 단면 상에서 4개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센싱 패턴(SP1) 및 제2 센싱 패턴(SP2)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패턴(SP1) 및 제2 센싱 패턴(SP2)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DP1)은 제1 센싱 패턴(SP1) 및 제2 센싱 패턴(SP2)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DP1)은 제1 센싱 패턴(SP1) 및 제2 센싱 패턴(SP2)과 각각 절연될 수 있다. 제1 센싱 패턴(SP1), 제2 센싱 패턴(SP2), 및 제1 더미 패턴(DP1)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압력 센싱 유닛(PU)은 위치 센싱 유닛(TU)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치 센싱 유닛(TU)이 압력 센싱 유닛(PU)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압력 센싱 유닛(PU)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의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력 센싱 유닛(PU)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싱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터치가 인가되면 센싱 패턴의 변형에 의해서 센싱 패턴의 단자 저항이 변하게 되고, 이 변화를 근거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은 반사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반사방지층은 컬러필터 또는 도전층/절연층/도전층의 적층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흡수 또는 상쇄간섭 또는 편광시켜 외부광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사방지층은 광학부재(LM)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M1), 제2 접착부재(AM2), 제3 접착부재(AM3), 제4 접착부재(AM4) 각각은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과 같은 유기 접착층일 수 있다. 유기 접착층은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폭시계, 폴리초산비닐계 등의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기 접착층은 유기층의 하나에 해당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DD)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능층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은 관절 구조 또는 힌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SUB), 베이스층(SUB) 상에 배치된 회로층(DP-CL), 소자층(DP-OLED), 및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한다. 베이스층(SUB)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메탈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DP-CL)은 복수개의 절연층들, 복수개의 도전층들 및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DP-CL)의 복수개의 도전층들은 신호 라인들 또는 화소의 제어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소자층(DP-OLED)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무기층과 유기층을 포함한다. 무기층들은 수분/산소로부터 발광소자층(DP-OLED)을 보호하고,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소자층(DP-OLED)을 보호한다. 무기층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은 아크릴 계열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박막 봉지층 상에는 위치 센싱 유닛(TU)이 직접 배치될 수 있고, 위치 센싱 유닛(TU) 상에는 압력 센싱 유닛(PU)이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센싱 유닛(TU) 및 압력 센싱 유닛(PU)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센싱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패턴들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센싱 패턴들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패턴들은 금속층, 예컨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의 나머지 내용에 대해서는 도 3과 중복되는 바 생략하도록 한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표시영역(DD-DA, 도 1 참조) 및 비표시영역(DD-NDA, 도 1 참조)에 각각 대응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표시영역(DD-DA, 도 1a 참조) 및 비표시영역(DD-NDA, 도 1 참조)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구조/디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복수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화소들(PX)이 배치된 영역이 표시영역(DA)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발광 라인들(EL), 제어신호 라인(SL-D), 초기화 전압 라인(SL-Vint), 전압 라인(SL-VDD), 및 제1 패드(PD1), 및 전원 공급 라인(E-VSS)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들(GL)은 복수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복수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발광 라인들(EL) 각각은 게이트 라인들(GL) 중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어신호 라인(SL-D)은 게이트 구동회로(GDC)에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초기화 전압 라인(SL-Vint)은 복수개의 화소들(PX)에 초기화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압 라인(SL-VDD)은 복수개의 화소들(PX)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화소들(PX)에 제1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압 라인(SL-VDD)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라인들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라인(E-VSS)은 비표시영역(NDA)에는 표시영역(DA)의 3개의 측면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 라인(E-VSS)의 복수개의 화소들(PX)에 공통 전압(예컨대, 제2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공통 전압은 제1 전압보다 낮을 레벨의 전압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의 일측에는 게이트 라인들(GL) 및 발광 라인들(EL)이 연결된 게이트 구동회로(GDC)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발광 라인들(EL), 제어신호 라인(SL-D), 초기화 전압 라인(SL-Vint), 전압 라인 중 일부는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일부는 다른 층에 배치된다.
제1 패드(PD1)는 데이터 라인들(DL), 제어신호 라인(SL-D), 초기화 전압 라인(SL-Vint), 및 전압 라인(SL-VDD)의 말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c에는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들(DL, 도 4b 참조) 중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연결된 i번째 화소(PXi)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i번째 화소(PXi)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하는 화소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구동회로는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T1~T7) 및 하나의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전극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전극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와 직접 접촉하거나, 다른 트랜지스터(본 실시예에서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어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번째 화소(PXi)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는 i-1번째 게이트 신호(Si-1), i번째 게이트 신호(Si), i+1번째 게이트 신호(Si+1), 데이터 신호(Dk), 및 i번째 발광 제어 신호(Ei)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 트랜지스터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3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3~T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접속된 입력전극, i번째 게이트 라인(GLi)에 접속된 제어 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전극에 접속된 출력전극을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i번째 게이트 라인(GLi)에 인가된 게이트 신호(Si, 이하 i번째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되고,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Dk)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센싱 유닛(TU)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싱 패턴(SP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는 제1_1 터치 전극들(TE1_1),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는 제2_1 터치 전극들(TE2_1), 제1_1 터치 전극들(TE1_1) 중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제1_1 터치 전극들(TE1_1)을 연결하는 제1_1 연결 전극들(CP1_1), 및 제2_1 터치 전극들(TE2_1) 중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제2_1 터치 전극들(TE2_1)을 연결하는 제2_1 연결 전극들(CP2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_1 터치 전극들(TE1_1), 제2_1 터치 전극들(TE2_1), 제1_1 연결 전극들(CP1_1), 제2_1 연결 전극들(CP2_1)의 개수는 도 5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_1 터치 전극들(TE1_1), 제2_1 터치 전극들(TE2_1), 제1_1 연결 전극들(CP1_1), 및 제2_1 연결 전극들(CP2_1) 각각은 복수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_1 연결 전극들(CP1_1)과 제2_1 연결 전극들(CP2_1)은 절연 교차할 수 있다.
제1_1 터치 전극들(TE1_1)과 제2_1 터치 전극들(TE2_1)은 정전 결합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터치가 인가됨에 따라, 제1_1 터치 전극들(TE1_1)과 제2_1 터치 전극들(TE2_1) 사이에는 커패시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센싱 패턴(SP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는 제1_2 터치 전극들(TE1_2),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는 제2_2 터치 전극들(TE2_2), 제1_2 터치 전극들(TE1_2) 중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제1_2 터치 전극들(TE1_2)을 연결하는 제1_2 연결 전극들(CP1_2), 및 제2_2 터치 전극들(TE2_2) 중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제2_2 터치 전극들(TE2_2)을 연결하는 제2_2 연결 전극들(CP2_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_2 터치 전극들(TE1_2), 제2_2 터치 전극들(TE2_2), 제1_2 연결 전극들(CP1_2), 제2_2 연결 전극들(CP2_2)의 개수는 도 5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_2 터치 전극들(TE1_2), 제2_2 터치 전극들(TE2_2), 제1_2 연결 전극들(CP1_2), 제2_2 연결 전극들(CP2_2) 각각은 복수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_2 연결 전극들(CP1_2)과 제2_2 연결 전극들(CP2_2)은 절연 교차할 수 있다.
제1_2 터치 전극들(TE1_2)과 제2_2 터치 전극들(TE2_2)은 정전 결합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터치가 인가됨에 따라, 제1_2 터치 전극들(TE1_2)과 제2_2 터치 전극들(TE2_2) 사이에는 커패시터들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전극들(TE1_1, TE1_2, TE2_1, TE2_2)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전극들로부터 터치 신호 라인(TSL)이 연장될 수 있다. 터치 신호 라인(TSL)은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터치 신호 라인(TSL)은 터치 전극들(TE1_1, TE1_2, TE2_1, TE2_2)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전극들 각각과 제2 패드부(PD2)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센싱 패턴(SP1)과 제2 센싱 패턴(SP2)은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벤딩 영역(BA) 상에 제1 센싱 패턴(SP1) 및 제2 센싱 패턴(SP2)이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표시 장치(DD)가 벤딩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센싱 감도의 저하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표시 장치(DD)가 앞서 설명한 내측 벤딩 및 외측 벤딩과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DP1)은 제1 센싱 패턴(SP1) 및 제2 센싱 패턴(S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DP1)은 복수개일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더미 패턴들(DP1) 중 인접한 제1 더미 패턴들(DP1)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서 제1 더미 패턴들(DP1)은 평면 상에서 직사각형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더미 패턴들(DP1)의 형상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DP1)은 제1 센싱 패턴(SP1) 및 제2 센싱 패턴(SP2)과 같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금속층, 예컨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DP1)은 제1 센싱 패턴(SP1) 및 제2 센싱 패턴(SP2)이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벤딩 영역(BA)과 제1 내지 2 영역 영역(BA1, BA2)의 외광 반사율이 달라지게 되어 외부에서 시인되는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유닛(PU)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압력 센싱 유닛(PU)은 압력 센싱 패턴(PSP)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싱 패턴(PSP)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서 압력 센싱 패턴(PSP)은 평면상에서 직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압력 센싱 패턴(PSP)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력 센싱 패턴(PSP)은 표시 영역(DA) 전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싱 패턴(PSP)들로부터는 전압 입력 라인(SIL) 및 전압 감지 라인(SSL)이 연장될 수 있다. 전압 입력 라인(SIL) 및 전압 감지 라인(SSL)은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고,, 전압 입력 라인(SIL) 및 전압 감지 라인(SSL)은 압력 센싱 패턴(PSP)과 제3 패드부(PD3)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3 패드부(PD3)는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다.
전압 입력 라인(SIL)을 통해 전압 입력 회로(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전압이 압력 센싱 패턴(PSP)에 인가될 수 있다.
전압 감지 라인(SSL)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에 의해 변형된 압력 센싱 패턴(PSP)으로 인해 변화된 전압이 전압 감지 회로(미도시)로 인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D')의 표시 모듈(DM')은 위치 센싱 유닛(TU')과 압력 센싱 유닛(PU')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싱 유닛(TU')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싱 유닛(TU')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위치 센싱 유닛(TU') 상에는 압력 센싱 유닛(PU')이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싱 유닛(PU)은 제3 센싱 패턴(SP3), 제4 센싱 패턴(SP4), 및 제3 센싱 패턴(SP3)과 제4 센싱 패턴(SP4)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더미 패턴(D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3 센싱 패턴(SP3)은 제1 영역(NBA1)과 중첩할 수 있다. 제4 센싱 패턴(SP4)은 제2 영역(NBA2)과 중첩할 수 있다. 제2 더미 패턴(DP2)은 벤딩 영역(BA)과 중첩할 수 있다.
제3 센싱 패턴(SP3), 제4 센싱 패턴(SP4), 및 제2 더미 패턴(DP2)은 동일한 층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더미 패턴(DP2)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서 제2 더미 패턴들(DP2)은 단면 상에서 4개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의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로부터 터치가 인가되면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의 변형에 의해서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 각각의 단자 저항이 변하게 되고, 이 변화를 근거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더미 패턴(DP2)은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더미 패턴(DP2)은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과 각각 절연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센싱 유닛(TU')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위치 센싱 유닛(TU)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는 제1 터치 전극들(TE1),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는 제2 터치 전극들(TE2), 제1 터치 전극들(TE1) 중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제1 터치 전극들(TE1)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전극들(CP1), 및 제2 터치 전극들(TE2) 중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제2 터치 전극들(TE2)을 연결하는 제2 연결 전극들(C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들(TE1), 제2 터치 전극들(TE2), 제1 연결 전극들(CP1), 및 제2 연결 전극들(CP2) 각각은 복수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 전극들(CP1)과 제2 연결 전극들(CP2)은 절연 교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들(TE1)과 제2 터치 전극들(TE2)은 정전 결합할 있고, 외부로부터 터치가 인가됨에 따라 제1 터치 전극들(TE1)과 제2 터치 전극들(TE2) 사이에는 커패시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 내용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하였는 바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유닛(PU')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3 센싱 패턴(SP3)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서 제3 센싱 패턴(SP3)은 평면상에서 직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3 센싱 패턴(SP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센싱 패턴(SP3)은 표시 영역(DA)과 제1 영역(NBA1)이 중첩하는 영역 전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4 센싱 패턴(SP4)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서 제4 센싱 패턴(SP4)은 평면상에서 직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4 센싱 패턴(SP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센싱 패턴(SP4)은 표시 영역(DA)과 제2 영역(NBA2)이 중첩하는 영역 전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으로부터는 전압 입력 라인(SIL) 및 전압 감지 라인(SSL)이 연장될 수 있다. 전압 입력 라인(SIL) 및 전압 감지 라인(SSL)은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고, 전압 입력 라인(SIL) 및 전압 감지 라인(SSL)은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과 제3 패드부(PD3)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압 입력 라인(SIL)을 통해 전압 입력 회로(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전압이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에 인가될 수 있다.
전압 감지 라인(SSL)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에 의해 변형된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으로 인해 변화된 전압이 전압 감지 회로(미도시)로 인가될 수 있다.
제3 센싱 패턴(SP3)과 제4 센싱 패턴(SP4)은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벤딩 영역(BA) 상에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이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표시 장치(DD')가 벤딩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센싱 감도의 저하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더미 패턴(DP2)은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더미 패턴(DP2)은 복수개일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더미 패턴들(DP2) 중 인접한 제2 더미 패턴들(DP2)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에서 제2 더미 패턴들(DP2)은 평면 상에서 직사각형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더미 패턴들(DP2)의 형상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더미 패턴(DP2)은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과 같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금속층, 예컨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더미 패턴(DP2)은 제3 센싱 패턴(SP3) 및 제4 센싱 패턴(SP4)이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벤딩 영역(BA)과 제1 내지 2 영역(BA1, BA2)의 외광 반사율이 달라지게 되어 외부에서 시인되는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의 표시 모듈(DM'')은 위치 센싱 유닛(TU) 및 압력 센싱 유닛(PU')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싱 유닛(TU)은 도 3에 도시된 위치 센싱 유닛(TU)과 동일할 수 있다.
압력 센싱 유닛(PU')은 도 7에 도시된 압력 센싱 유닛(PU')과 동일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 3과 동일한 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과 같이 표시 모듈(DM'')가 제1 더미 패턴(DP1) 및 제2 더미 패턴(DP2)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센싱 패턴들(SP1-SP4)이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벤딩 영역(BA)과 제1 내지 2 영역(BA1, BA2)의 외광 반사율이 달라지게 되어 외부에서 시인되는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도 3 및 도 7에 비해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NBA1: 제1 영역 SP1: 제1 센싱 패턴
NBA2: 제2 영역 SP2: 제2 센싱 패턴
BA: 벤딩 영역 DP1: 제1 더미 패턴

Claims (20)

  1.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정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센싱 패턴;
    상기 제1 센싱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제2 센싱 패턴; 및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과 각각 이격되는 제1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벤딩축에 기초하여 벤딩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비벤딩되고,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과 각각 절연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복수로 제공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들은 랜덤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패턴, 상기 제2 센싱 패턴, 및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동일한 층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3 센싱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제4 센싱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은 동일한 층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과 각각 이격되는 제2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과 동일한 층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더미 패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은 상기 터치의 압력을 감지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정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센싱 패턴;
    상기 제1 센싱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제2 센싱 패턴;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과 각각 이격되는 제1 더미 패턴;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배치되는 압력 센싱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패턴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압력 센싱 패턴은 상기 터치의 압력을 감지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벤딩축에 기초하여 벤딩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비벤딩되는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더미 패턴들은 랜덤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패턴, 상기 제2 센싱 패턴, 및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동일한 층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싱 패턴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3 센싱 패턴;
    상기 제3 센싱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제4 센싱 패턴; 및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과 각각 이격되는 제2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의 압력을 감지하는 표시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복수로 제공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더미 패턴들은 랜덤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더미 패턴, 상기 제3 센싱 패턴, 및 상기 제4 센싱 패턴과 동일한 층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KR1020160120947A 2016-09-21 2016-09-21 표시 장치 KR102600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947A KR102600289B1 (ko) 2016-09-21 2016-09-21 표시 장치
US15/648,058 US11181763B2 (en) 2016-09-21 2017-07-12 Display device
CN201710846922.8A CN107861652A (zh) 2016-09-21 2017-09-19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947A KR102600289B1 (ko) 2016-09-21 2016-09-2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262A true KR20180032262A (ko) 2018-03-30
KR102600289B1 KR102600289B1 (ko) 2023-11-13

Family

ID=6162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947A KR102600289B1 (ko) 2016-09-21 2016-09-2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81763B2 (ko)
KR (1) KR102600289B1 (ko)
CN (1) CN1078616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228A1 (ko) * 2018-10-30 2020-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262866B2 (en) 2020-03-31 2022-03-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in a foldable ar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589B1 (ko) * 2016-09-3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36547B1 (ko) 2017-09-29 2022-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370422B1 (ko) * 2018-03-05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547124B1 (ko) 2018-03-30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8563364B (zh) * 2018-04-28 2024-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其制作方法、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81974B1 (ko) * 2018-07-31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34388A (ko) * 2018-09-21 2020-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9408023B (zh) * 2018-10-13 2022-04-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发声方法及装置、控制器件、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528266B1 (ko) 2018-11-16 2023-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562807B1 (ko) 2018-11-23 2023-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582641B1 (ko) * 2018-11-30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582207B (zh) * 2018-11-30 2020-12-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多任务管理界面的显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KR102441330B1 (ko) * 2019-03-27 2022-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20200120825A (ko) *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792905B (zh) * 2019-11-19 2021-08-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结构及显示装置
KR20210073699A (ko) * 2019-12-10 2021-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2987957A (zh) * 2019-12-17 2021-06-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7032488A (zh) * 2020-02-14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06671A (ko) * 2020-07-08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10692A (ko) * 2020-07-17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34294A (ko) * 2020-09-10 2022-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48500A (ko) * 2020-10-12 2022-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73302A (ko) * 2020-11-26 2022-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11693451B2 (en) * 2021-01-19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Digit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62234A (ko) * 2021-05-31 2022-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143398U (zh) * 2014-05-30 2015-02-04 和鑫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式触控感应模组及其显示装置
US20150241924A1 (en) * 2014-02-27 2015-08-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US20150346863A1 (en) * 2014-05-29 2015-12-03 Kabushiki Kaisha Toshiba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panel
KR20160027342A (ko) * 2014-08-28 2016-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구동 장치
US20160188098A1 (en) * 2014-12-26 2016-06-30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6486B2 (en) 2011-12-16 2016-01-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noise-cancelling force sensor
KR101905789B1 (ko) 2012-05-10 2018-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40118280A (ko) 2013-03-28 2014-10-08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커버 부재를 이용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US10324580B2 (en) * 2013-08-02 2019-06-18 Nokia Technologies Oy Causing display of a notification
TWI688850B (zh) * 2013-08-13 2020-03-21 飛利斯有限公司 具有電子顯示器之物品
TWM496802U (zh) * 2014-05-09 2015-03-01 Hannstouch Solution Inc 可撓式觸控感應模組及其顯示裝置
KR101654602B1 (ko) 2014-12-05 2016-09-06 주식회사 하이딥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입력장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터치위치와 터치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CN105739803B (zh) * 2016-02-26 2018-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屏及其制作方法、触摸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41924A1 (en) * 2014-02-27 2015-08-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US20150346863A1 (en) * 2014-05-29 2015-12-03 Kabushiki Kaisha Toshiba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panel
CN204143398U (zh) * 2014-05-30 2015-02-04 和鑫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式触控感应模组及其显示装置
KR20160027342A (ko) * 2014-08-28 2016-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구동 장치
US20160188098A1 (en) * 2014-12-26 2016-06-30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228A1 (ko) * 2018-10-30 2020-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039648A (zh) * 2018-10-30 2021-06-25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957034B2 (en) 2018-10-30 2024-04-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display quality and a reduced peripheral (non-display) region for use i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ypass data line arranged in the display and peripheral regions
US11262866B2 (en) 2020-03-31 2022-03-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in a foldable area
US11669196B2 (en) 2020-03-31 2023-06-06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in a foldable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289B1 (ko) 2023-11-13
CN107861652A (zh) 2018-03-30
US20180081219A1 (en) 2018-03-22
US11181763B2 (en)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289B1 (ko) 표시 장치
EP3276462B1 (en) Display device
CN107665908B (zh) 显示装置
KR101929452B1 (ko) 표시 장치
KR10196493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680986B (zh) 显示装置
KR102415370B1 (ko) 표시 장치
KR102017767B1 (ko) 표시장치
KR2019003721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26614B1 (ko) 표시 장치
KR20190104285A (ko) 표시장치
KR102546953B1 (ko) 표시 장치
KR102081986B1 (ko) 표시장치
KR102131801B1 (ko) 표시장치
KR102357271B1 (ko) 표시장치
KR102658896B1 (ko) 표시장치
KR20240067055A (ko) 표시 장치
KR20220018524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