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280A - 커버 부재를 이용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커버 부재를 이용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280A
KR20140118280A KR1020130033897A KR20130033897A KR20140118280A KR 20140118280 A KR20140118280 A KR 20140118280A KR 1020130033897 A KR1020130033897 A KR 1020130033897A KR 20130033897 A KR20130033897 A KR 20130033897A KR 20140118280 A KR20140118280 A KR 2014011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exposed
output
smart devic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호
이정빈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8280A/ko
Priority to PCT/KR2014/002661 priority patent/WO2014157986A1/ko
Publication of KR2014011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8/00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secu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적어도 일측이 커버 부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시,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로부터 발생된 센싱 값을 검출하고, 센싱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기구분된 복수의 출력 영역 중 커버 부재에 의해 노출된 출력 영역을 판단하고, 노출된 출력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커버 부재에 의해 비노출된 출력 영역을 비활성화시킨다.

Description

커버 부재를 이용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YNAMIC DISPLAY USING COVER UNIT}
본 발명은 커버 부재를 이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부분 제어할 수 있는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가 대형화됨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소모가 증가하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한계가 발생하게 되었다.
실제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사용량 통계를 보면, 비교적 작은 화면의 스마트 폰 및 큰 화면의 스마트 패드까지 모두 화면 디스플레이로 인한 배터리 사용량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 시, 동영상 감상 또는 게임 등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의 모든 영역을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한정적이므로, 배터리 효율면에서 효율성이 크게 떨어진다.
기존의 디스플레이로 인한 배터리 소모를 절약하는 방법으로는, 전체 디스플레이를 오프(off) 시키는 커버 기술이 상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 기술은 커버가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모두 덮었을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의 상태를 대기 모드로 변경시키는 기술이다. 그러나 기존의 커버 기술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기 모드에서의 전력을 절약하는 것일 뿐,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만 노출되는 경우에도 스마트 디바이스의 상태가 대기 모드에서 풀려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가 온(on)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전력을 절감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8-0030172호(발명의 명칭: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는, 발광소자로 구성된 백라이트를 구비하며 화면분할 기능을 갖는 표시부, 표시부의 분할된 화면영역 중 원하는 화면영역을 선택하거나 소정 크기의 화면영역을 임의로 선택하는 선택부, 화면영역별로 대응되는 발광소자의 온/오프 및 밝기를 설정하는 설정부, 및 화면영역별 좌표인식정보를 생성하여, 발광소자의 온/오프 및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화면영역에 대응하는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한손으로 터치할 수 있는 영역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성된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넓게 퍼져 있는 조작 영역을 터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터치를 해야 한다거나, 안전한 공간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거치해두고 터치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길을 걸어가면서 음악 감상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버튼(뒤로 감기, 재생/정지, 앞으로 감기 등)과 노래 제목 정도의 최소 정보만 한 손으로 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공간에 표시하면 충분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뮤직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이용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를 활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닿지 않는 영역까지 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 부재를 이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부분 제어하되, UI 디스플레이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어도 일측이 커버 부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스마트 디바이스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센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출력 영역으로 구분하여 활성화를 제어하되, 상기 커버 부재의 상태에 따라 상기 센서부로부터 발생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구분된 출력 영역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 영역 중 노출된 출력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비노출된 출력 영역을 비활성화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적어도 일측이 커버 부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a)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로부터 발생된 센싱 값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기구분된 복수의 출력 영역 중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노출된 출력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비노출된 출력 영역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 시 실제 사용되는 화면 영역만 전력을 활성화시키고 비노출 영역은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켜 배터리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디바이스의 커버 부재를 전체 오픈하지 않고도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스마트 디바이스의 내구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존의 커버 부재로부터 최소의 변형만으로도 스마트 디바이스의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가 가능하여 향상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최소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커버 부재를 이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노출 출력 영역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 한 손 조작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및 커버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복수의 출력 영역을 구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노출된 출력 영역에 동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노출된 출력 영역에 동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및 커버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10)의 테두리 상에 서로 이격되어 장착된 복수의 센서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스마트 폰, 태플릿 PC 및스마트 패드 등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다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이 설치되어 기능의 변경 및 확장이 가능한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을 출력하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0)는 접촉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센서부(120)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노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커버 부재(2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가 덮여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커버 부재(200)가 접힘 처리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정 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정 영역이 노출됨에 따라 해당 영역의 센서부(120)의 센싱 값이 변동된다.
이러한, 센서부(120)는 그 종류에 따라 커버 부재(200)의 접촉 또는 비접촉 감지가 가능하고, 커버 부재(200)에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센서부(120)와의 반응하는 센서부(220)가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센서부(120)가 조도 센서 등의 별도의 송신 또는 수신 센서가 필요치 않은 센서로 구성될 경우, 커버 부재(200)는 센서부(220)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복수의 센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테두리를 보호하는 베젤(bazel)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내/외부측 테두리에 일체형으로 내장되거나 또는 외부측 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센서부(120)가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커버 부재(200) 중 적어도 하나가 센서부(120) 및 센서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값을 유/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커넥터(미도시) 또는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200)와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 부재(20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적어도 일측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전체 영역을 덮는 판형의 덮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200)의 덮개 부재에는 복수의 폴딩 라인(210) 및 복수의 센서부(220)가 포함된다.
폴딩 라인(210)은 커버 부재(200)의 덮개 부재가 일방향을 향해 적어도 1 회 이상 폴딩(즉, 접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덮개 부재가 폴딩됨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딩 라인(210)에 의해 덮개 부재는 복수의 영역(이하, ‘커버 영역’이라고 함)으로 구분 가능하며, 폴딩 라인(210)에 의한 복수의 커버 영역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센서부(120)의 각 위치에 대응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복수의 출력 영역을 구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커버 부재(200)와의 결합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영역이 덮일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200)의 덮개가 1 회 이상 폴딩됨에 따라 일 영역이 노출(P130)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커버 부재(200)의 덮개가 좌측 방향을 향해 1회 폴딩되되, 우측으로부터 2 번째 폴딩 라인이 접혀진 것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커버 부재(200)의 폴딩 라인(210)에 의한 복수의 커버 영역이 구분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센서부(110)에 의해 복수의 출력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사전에 디스플레이부(110)를 센서부(120)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출력 영역으로 구분해두되, 센서부(120)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노출된 출력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커버 부재(200)의 덮개가 폴딩되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20)가 노출된다. 이에 따라, 센서부(120)의 센싱 값의 변동이 발생되며,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의 노출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커버 부재(200)의 덮개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가로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폴딩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에서는, 커버 부재(200)의 폴딩 라인(21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세로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 3의 (b)에서는, 커버 부재(200)의 폴딩 라인(21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가로 또는 세로에 직각으로 폴딩되는 것이 아니라 비스듬히 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200)의 폴딩 라인(210)을 다양하게 형성시켜 사용자가 노출하고자 하는 영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다양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상기와 같은 커버 부재(200)의 다양한 폴딩 라인(210) 형태에 대응하는 출력 영역이 사전에 모두 설정해둘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적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센서부(120), 디스플레이 제어부(1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 및 센서부(120)에 대해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복수의 출력 영역으로 구분하여 활성화를 제어하되, 커버 부재(200)에 의해 센서부(120)로부터 발생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활성화를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활성화 제어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복수의 센서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출력 영역 중 노출된 출력 영역을 판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노출된 출력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비노출된 출력 영역을 비활성화시킨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복수의 센서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20)가 기설정된 센싱 값 이상의 센싱 값을 발생시키거나, 센싱 값이 비노출 값에서 노출 값으로 변동되는 경우 해당 출력 영역이 노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노출된 출력 영역에 대한 활성화 제어 시, 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온(on) 시키고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오프(off)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노출된 출력 영역에 대한 활성화 제어 시, 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보다 상기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낮게 인가하되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컬러를 최소 전력 컬러(예를 들어, 흑색 )로 설정하여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참고로,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백라이트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경우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백라이트를 오프(off) 시키거나,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비노출된 출력 영역을 휴지 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10)의 노출된 출력 영역과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상이하게 부분 제어하되, 노출된 출력 영역만 전력을 온(on) 시키거나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배터리 사용을 감소시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로부터 노출된 출력 영역에 대한 활성화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초기 바탕화면, 기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기설정된 어느 하나를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노출된 출력 영역에 동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노출된 출력 영역에 동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이다.
먼저, 도 5및 도6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4에서는 커버 부재(200)의 덮개가 폴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노출된 출력 영역에만 전력이 온(on)되되, 노출된 출력 영역에 초기 바탕화면이 출력된 것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초기 바탕화면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폴트(default) 화면을 의미하며, 초기 바탕화면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가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시, 기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키고, 노출된 출력 영역에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가 기설정된 위젯(widget) 애플리케이션(도 5에서는 “날씨” 위젯을 나타냄)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디스플레이부(110)의 노출된 출력 영역에 해당 위젯을 출력한 것을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는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의 크기, 사용 방향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실행시킬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노출된 출력 영역의 사용 방향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사용 방향과 동일하며, 사용자의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복수의 출력 영역 중 특정 출력 영역 별로 사용자가 설정해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키거나, 노출 출력 영역의 크기, 사용 방향 및 위치에 따라 자체적으로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기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노출된 출력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는 사전에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뮤직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상태에서, 커버 부재(200)의 접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이 노출된 것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는 기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 중 디스플레이부(110)의 노출된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애플리케이션 결정 시,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입/출력 포트(미도시)의 상태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어폰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재생 중인 음악을 청취 중인 상태에서 커버 부재(200)의 접힘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이어폰 포트(미도시)를 통한 데이터 출력 여부를 검출하여 우선적으로 뮤직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10)의 노출된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에 출력할 경우, 노출된 출력 영역의 크기, 사용 방향 및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영역이 노출된 경우, 즉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별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와 부분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상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부분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부분 영역(즉, 노출된 출력 영역)의 크기(또는 모양) 및 위치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참고로, 도 7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커버 부재(2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가 덮여있던 상태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 상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부(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센싱 값을 검출한다(S710).
이때, 복수의 센서부(120)는 커버 부재(200)에 의해 전체가 덮여 있던 상태로서, 커버 부재(200)의 일 커버 영역이 폴딩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출력 영역이 노출될 경우 해당 위치의 센서부(120)의 센싱 값이 변경된다.
그런 다음, 검출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기부분된 복수의 출력 영역 중 노출된 출력 영역을 판단한다(S720).
이때, 상기 단계 (S710)에서 검출된 센싱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센서부(120) 또는 센싱 값이 기설정된 노출 판단 값으로 변경된 센서부(120)를 판단하여, 해당 센서부(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출력 영역이 노출된 것으로 판단한다.
참고로, 이와 같은 노출된 출력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커버 부재(200)의 폴딩된 커버 영역에 대응된다.
그런 후, 노출된 출력 영역은 활성화시키고, 비노출된 출력 영역은 비활성화시킨다(S730).
이때, 노출된 출력 영역만 전력을 온(on) 시키거나, 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보다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낮게 인가하여 사용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노출된 출력 영역에 초기 바탕화면, 기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기설정된 어느 하나를 출력한다(S740).
이때, 상기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시,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기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키고,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에 상기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참고로,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전에 사용자가 출력 순서 또는 출력 영역에 따라 설정해둔 것이거나, 노출된 출력 영역의 크기(또는 모양) 및 위치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자체적으로 자동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한편, 단계 (S740)에서 기실행중이거나 자동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시,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의 크기, 사용 방향 및 위치에 최적화되도록 변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마트 디바이스
200: 커버부재
110: 디스플레이부
120: 센서부
130: 디스플레이 제어부
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
210: 폴딩 라인
220: 센서부

Claims (20)

  1. 적어도 일측이 커버 부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스마트 디바이스에 있어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센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출력 영역으로 구분하여 활성화를 제어하되, 상기 커버 부재의 상태에 따라 상기 센서부로부터 발생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구분된 출력 영역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 영역 중 노출된 출력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비노출된 출력 영역을 비활성화시키는 스마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온(on) 시키고, 상기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오프(off)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마트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보다 상기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낮게 인가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컬러를 최소 전력 컬러로 설정하여 전력을 인가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초기 바탕화면, 기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기설정된 어느 하나를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에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시, 기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상기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키고,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에 상기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의 크기, 사용 방향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실행시킬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기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시,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의 크기, 사용 방향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형하여 출력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접촉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을 덮는 판형의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일방향을 향해 적어도 1회 이상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폴딩 라인에 의해 복수의 커버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복수의 커버 영역은 각각 상기 복수의 센서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커버 영역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센서부와 반응하는 커버 부재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12. 적어도 일측이 커버 부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로부터 발생된 센싱 값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기구분된 복수의 출력 영역 중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노출된 출력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비노출된 출력 영역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온(on) 시키고, 상기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오프(off) 상태로 유지시키는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보다 상기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전력을 낮게 인가하는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노출된 출력 영역의 컬러를 최소 전력 컬러로 설정하여 전력을 인가하는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초기 바탕화면, 기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기설정된 어느 하나를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상기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키는 단계;
    (d-2)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에 상기 실행시킨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는,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의 크기, 사용 방향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실행시킬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기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시, 상기 노출된 출력 영역의 크기, 사용 방향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형하여 출력하는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복수의 출력 영역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커버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복수의 커버 영역은 상기 복수의 센서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것인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130033897A 2013-03-28 2013-03-28 커버 부재를 이용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KR20140118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897A KR20140118280A (ko) 2013-03-28 2013-03-28 커버 부재를 이용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PCT/KR2014/002661 WO2014157986A1 (ko) 2013-03-28 2014-03-28 커버 부재를 이용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897A KR20140118280A (ko) 2013-03-28 2013-03-28 커버 부재를 이용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280A true KR20140118280A (ko) 2014-10-08

Family

ID=5162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897A KR20140118280A (ko) 2013-03-28 2013-03-28 커버 부재를 이용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18280A (ko)
WO (1) WO20141579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772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스, 케이스와 결합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81763B2 (en) 2016-09-21 2021-1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391B1 (ko) * 2010-09-17 2012-10-11 애플 인크. 액세서리 유닛, 보호 커버, 및 분리가능한 액세서리 장치
KR20120140504A (ko) * 2011-06-21 2012-12-31 (주)금오전자 태블릿pc용 케이스
US20130020214A1 (en) * 2011-07-20 2013-01-24 Chiou Shih-Hsun Cover for packaging and supporting flat computer
KR101257199B1 (ko) * 2011-08-13 2013-04-22 김덕승 휴대용 기기의 자기 센서와 대면하는 부분에 마그네트가 내장된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의 스크린 켜짐 및 꺼짐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200463713Y1 (ko) * 2012-09-14 2012-11-20 유윤재 휴대폰의 기본동작 제어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772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스, 케이스와 결합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81763B2 (en) 2016-09-21 2021-1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57986A1 (ko)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6307B2 (en) Method for low power driving of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8847998B2 (en) Interrupt-based notifications for display setting changes
KR102140134B1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TWI431363B (zh) 可撓式顯示裝置及其防誤觸方法
TWI461663B (zh) 具有顯示器之裝置與其光伏陣列之光感測方法
KR102180479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CN107210024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4084224A1 (ja) 電子機器および視線入力方法
US20190371270A1 (en) Electronic Device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CN107637069B (zh)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屏幕的方法
US11789608B2 (en) Key structure, ke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15045902A5 (ko)
KR102531333B1 (ko) 저전력 모드에서 전자 장치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N110661949A (zh) 显示面板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10720111B2 (en) Display screen backligh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KR20160118565A (ko) 전자 장치의 보조 입력 장치 및 그의 기능 실행 방법
KR102563638B1 (ko)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번인 방지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00111519A (ko)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화면의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40118280A (ko) 커버 부재를 이용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KR2019012698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00019210A1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544709B1 (ko) 외부 조도에 기반하여 복수개의 카메라를 구동하는 전자 장치
KR20200050582A (ko)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터치 데이터의 보상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049572A1 (en) Display Systems With Handshaking for Rapid Backlight Activation
KR102566143B1 (ko)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