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726A -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726A
KR20190107726A KR1020197025000A KR20197025000A KR20190107726A KR 20190107726 A KR20190107726 A KR 20190107726A KR 1020197025000 A KR1020197025000 A KR 1020197025000A KR 20197025000 A KR20197025000 A KR 20197025000A KR 20190107726 A KR20190107726 A KR 20190107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wedge
wedge body
state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995B1 (ko
Inventor
다다카츠 세키야마
데츠로 오카다
소헤이 와다
마사키 이토
히로후미 사사키
시노부 사토
하즈키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닛켄 리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켄 리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켄 리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과제] 연결 해제 시에 있어서의 부재의 빠져 나감의 방지와, 분해 작업 시에 있어서의 부재의 취출의 용이성의 양립을 실현한다.
[해결 수단] 횡부재(Y)의 단부에서 상하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한 쐐기체(A)와, 쐐기체(A) 하이동으로 클로부(70)가 초기 위치로부터 계지 위치로 이동하는 계지체(B)와, 상기 계지체(B)를 상기 쐐기체(A)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체(C)를 적어도 구비한다. 쐐기체(A)에는 계지체(B)측으로 돌출하는 견부(40)를 마련하고, 계지체(B)는 쐐기체(A)측으로 돌출하는 간섭부(80)를 마련한다. 클로부(7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견부(40)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간섭부(80)에 의해 가로 막힘으로써, 쐐기체(A)의 상이동과 계지체(B)의 가압체(C)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Description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본 발명은, 가설 비계를 구성하는 지주(支柱)의 주위에 마련한 받음구와 쐐기 연결하기 위해, 횡(橫)부재의 단부(端部)에 마련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 현장 등에 구축하는 가설 비계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세워 마련한 지주 사이에, 난간이나 횡가재(橫架材) 등의 횡부재를 연결하기 위해서, 횡부재의 단부에 마련하는 연결 장치로서, 출원인은, 이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을 착상했다.
도 7에 나타내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결 장치는, 지주(x)의 주위에 마련한 플랜지상의 받음구(x1)의 삽입구에 삽입 본체(a)를 삽입(도 7(a))하고 나서, 제 1 계지(係止)용 부재(b)의 상단을 작업원이 해머 등으로 두드림으로써, 내부의 탄성재(d)와 쐐기 기구에 의해 제 2 계지용 부재(c)의 계지편(片)부를 받음구(x1)의 삽입구(x2)에 계지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지주(X)에 횡부재(Y)를 연결하고 있다(도 7(b)).
그리고, 연결 장치를 지주(x)의 받음구(x1)로부터 떼어내기 위해 제 1 계지용 부재(b)를 하방으로부터 해머 등으로 두드려서 제 2 계지용 부재(c)의 계지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제 1 계지용 부재(b)가 삽입 본체(a)의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나가지 않도록, 제 1 계지용 부재(b)의 하단 근방에 제 2 계지용 부재(c)의 하단과 간섭하는 돌출 단부(e)를 마련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 제5264008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결 장치에서는, 제 1 계지용 부재(b)를 두드리는 힘이 지나치게 강하면, 계지편부가 돌출 단부(段部)(e)와의 접촉에 의해 변형이나 파괴가 생길 우려가 있었다.
또한, 해머로 두드리는 힘이 지나치게 강하면, 제 2 계지용 부재(c)가 초기 위치로부터 더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에, 제 1 계지용 부재(b)의 돌출부에, 제 2 계지용 부재(c)의 돌출부의 대향면이 밀려서 제 2 계지용 부재(c)가 후퇴해버려, 의도하지 않게 제 1 계지용 부재(b)가 상방으로 빠져 나가버릴 우려도 있었다.
그래서, 실제의 제품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계지용 부재(b)의 빠져 나감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보조적으로 제 1 계지용 부재(b)의 하단에 빠져 나감 방지용의 리벳(f)을 마련해두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리벳(f)을 마련해버리면, 연결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위해 각 부재를 분해할 때에, 리벳(f)을 그라인더로 깎아 내지 않으면 안돼서, 분해 작업에 수고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연결 해제 시에 있어서의 부재의 빠져 나감 방지와, 분해 작업 시에 있어서의 부재의 취출의 용이성의 양립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의 제공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이뤄진 본원의 제 1 발명은, 가설 비계를 구성하는 지주의 주위에 마련한 받음구와 쐐기 연결하기 위해, 횡부재의 단부에 마련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횡부재의 단부에서, 상하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한 쐐기체와, 상기 쐐기체의 하(下)이동으로, 상기 받음구와의 사이에서 초기 위치로부터 계지 위치로 이동하는 클로부를 가지는 계지체와, 상기 계지체를 상기 쐐기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쐐기체는, 상기 계지체측으로 돌출하는 견부(肩部)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계지체는, 상기 쐐기체측으로 돌출하는 간섭부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견부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상기 간섭부에 의해 가로막혀, 상기 쐐기체의 상(上)이동과 상기 계지체의 가압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견부의 상면이, 수평 또는, 당해 견부의 근본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있으며, 상기 간섭부의 하면은,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견부의 상면과 면접촉 가능한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에, 당해 간섭부의 하면과 선단면의 사이의 모서리부를 모따기한 안내면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제 4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쐐기체는, 상기 계지체측을 향한 면에 있어서, 상기 견부의 바로 위에 있는, 제 1 오목부와, 상기 제 1 오목부의 바로 위에 있는, 제 1 장출(張出)부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쐐기체의 하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장출부가 상기 간섭부를 상기 가압체측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클로부가 상기 계지 위치측으로 천이(遷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제 5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쐐기체는, 상기 계지체측을 향한 면에 있어서, 상기 견부의 하변을 구성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하방에서, 당해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계지체측과 반대측에 단차를 마련하도록 연장되는 단차면과, 상기 경사면과 단차면을 연결하는 연락면과, 상기 경사면과 연락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계지체는,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제 1 대향면과, 상기 연락면과 접하는 제 2 대향면과, 상기 단차면과 접하는 제 3 대향면과, 상기 제 2 대향면과 제 3 대향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쐐기체의 하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제 2 대향면에 맞닿아서 상기 계지체를 상기 가압체측으로 누른 후, 상기 경사면이 상기 제 2 돌출부와 맞닿아서 상기 계지체를 상기 가압체측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클로부가 상기 계지 위치측으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제 6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쐐기체가,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클로부의 하단에 계합(engaging) 가능한 돌출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제 7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6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쐐기체의 하이동에 의해 상기 계지체가 요동하는 동작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제 8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를 탄성재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기재하는 효과를 가진다.
(1) 연결 해제 작업 시에, 쐐기체의 빠져 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
클로부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쐐기체에 마련한 견부와 계지체에 마련한 간섭부의 조합에 의해, 쐐기체의 상이동과 계지체의 후퇴 이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쐐기체의 바닥부를 두드리는 힘이 과잉하게 되어도, 쐐기체가 상방으로부터 빠져 나갈 일이 없다.
(2)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쐐기체를 떼어낼 수 있다.
부재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 시에는, 지그 등을 이용하여 계지체를 가압체측에 압입(壓入)하여 견부와 간섭부의 간섭을 해제하면, 간단하게 쐐기체를 상방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연결구의 각 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연결구를 지주의 받음구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쐐기체의 하이동에 있어서의 각 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1).
도 4는 쐐기체의 하이동에 있어서의 각 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2).
도 5는 쐐기체의 하이동에 있어서의 각 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3).
도 6은 쐐기체를 상방으로부터 떼어낼 때의 각 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종래의 연결 장치의 초기 상태와 계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연결 장치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모서리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에서는, 각 부재의 형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각 부재간에 원래 생기지 않는 간극을 도시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1> 전체 구성(도 1)
도 1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이하, 단지 「연결구」라고도 한다.)의 연결 전의 상태(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배치 양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연결구는, 가설 비계를 구성하는 지주(X)의 주위에 마련한 받음구(X1)와 쐐기 연결하기 위해서, 횡부재(Y)의 단부에 마련하는 것이며, 주로서, 쐐기체(A), 계지체(B) 및 가압체(C)를 횡부재(Y)의 단부 내부의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통형상의 횡부재(Y)와, 당해 횡부재(Y)의 둘레벽에 형성한 슬릿에 끼워 넣어서 용접한 시스체(Z)와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당해 수용 공간에 쐐기체(A), 계지체(B) 및 가압체(C)를 수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하, 각 부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2> 쐐기체(도 1)
쐐기체(A)는, 당해 쐐기체(A)의 상하동으로, 후술하는 계지체(B)의 계지 동작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부재이다.
쐐기체(A)는, 상기 수용 공간의 중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양태로 수용되어 있다.
쐐기체(A)의 헤드부(10)와 바닥부(20)는, 시스체(Z)로부터 노출되어, 해머 등으로 해머링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쐐기체(A)는, 상기 수용 공간 중에서, 일방측은 계지체(B)와 이웃하고, 타방측은, 상기 시스체(Z)의 내벽과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2.1> 시스체측의 양태
우선, 쐐기체(A)에 있어서 시스체(Z)와 대향하는 측에는, 슬라이딩면(30)을 가진다.
이 슬라이딩면(30)은 평탄형상이며, 마찬가지로 평탄형상을 나타내는 시스체(Z)의 내벽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한다.
<2.2> 쐐기체측의 양태
또한, 쐐기체(A)에 있어서 계지체(B)와 대향하는 측에는, 적어도 견부(40)를 가진다.
그 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견부(40) 외에, 상기 견부(40)로부터 상방으로 순서대로 마련한, 제 1 오목부(51), 제 1 장출부(52) 및 제 2 오목부(53)와, 상기 견부(40)로부터 하방으로 순서대로 마련한, 경사면(61), 제 1 돌출부(62), 연락면(63), 단차면(64) 및 돌출 단부(65)를 가지고 있다.
<2.3> 견부
견부(40)는, 쐐기체(A)의 상방으로의 빠져 나감을 저지하기 위한 부위이다.
견부(40)의 상면은, 수평 방향(횡부재(Y)의 축방향) 또는, 당해 수평 방향으로부터 당해 견부(40)의 근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있다.
또한, 견부(40)의 상면의 해방단(端)으로부터 하방은, 상기 경사면(61)으로 이어지고 있다.
<2.4> 제 1 오목부
제 1 오목부(51)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계지체(B)의 간섭부(80)를 수용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오목부(51)의 단면(端面)은, 상기 견부(40)의 해방단보다도 안쪽(횡부재(Y)의 외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2.5> 제 1 장출부
제 1 장출부(52)는, 쐐기체(A)의 하이동에 수반하여, 계지체(B)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장출부(52)의 단면은, 상기 견부(40)의 해방단보다도 안쪽이며, 상기 제 1 오목부(51)의 단면보다도 앞쪽(가압체(C)측)에 위치하고 있다.
<2.6> 제 2 오목부
제 2 오목부(53)는, 쐐기체(A)의 하이동에 수반하여, 계지체(B)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오목부(53)의 단면은, 제 1 장출부(52)의 단면보다도 안쪽이며, 상기 제 1 오목부(51)의 단면보다도 앞쪽(가압체(C)측)에 위치하고 있다.
<2.7> 경사면
경사면(61)은, 쐐기체(A)의 하이동에 수반하여, 계지체(B)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부위이다.
계지체(B)의 클로부(70)를 계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계지체(B)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61)은, 견부(40)의 해방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2.8> 연락면·제 1 돌출부
연락면(63)은, 경사면(61)과 단차면(64)을 연결시키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락면(63)은, 경사면(61)과의 사이의 내각, 및 단차면(64)과의 사이의 외각이, 서로 둔각을 구성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61)으로부터 연락면(63)에 연결되는 개소는, 내각측을 둔각으로 한 제 1 돌출부(62)가 된다.
<2.9> 단차면
단차면(64)은, 계지체(B)의 클로부(70)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차면(64)은, 경사면(61)보다도 안쪽의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2.10> 돌출 단부
돌출 단부(65)는, 견부(40)와 함께, 쐐기체(A)의 상방으로의 빠져 나감을 저지하기 위한 부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돌출 단부(65)는 견부(40)의 보조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 단부(65)의 상면은, 단차면(64)에 연결되는 근본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보다도 상방으로 경사져있으며, 당해 상면의 해방단측은, 쐐기체(A)의 바닥부(20)측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3> 계지체(도 1)
계지체(B)는, 상기 쐐기체(A)의 상하동에 따라 지주(X)의 주위에 마련한 받음구(X1)의 삽입구(X2)에 계지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지주(X)와 횡부재(Y)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계지체(B)는, 횡부재(Y)의 단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시스체(Z)의 내부 공간에 걸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며, 일방측은 가압체(C)와 이웃하고, 타방측은 쐐기체(A)와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계지체(B)에 의한 받음구(X1)에의 계지 동작은, 쐐기체(A)의 하이동에 의해 생기는 계지체(B)의 가압체(C)측으로의 후퇴 동작 또는 계지체(B)의 요동 동작, 혹은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3.1> 클로부
계지체(B)에 있어서, 가압체(C)측을 향하는 면에는, 적어도 클로부(70)를 가진다.
클로부(70)는, 지주(X)의 받음구(X1)의 삽입구(X2)에 계지하여 지주(X)와 횡부재(Y)를 연결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 클로부(70)는, 초기 위치에서는 시스체(Z)의 내부에 거의 가려진 상태이며, 쐐기체(A)의 하이동에 의해, 쐐기체(A)에 압출되는 모양으로 시스체(Z)의 개방구로부터 노출되어, 받음구(X1)의 삽입 구멍의 측벽에 계지하도록 동작한다.
<3.2> 간섭부
계지체(B)에 있어서, 쐐기체(A)측을 향하는 면에는, 적어도 간섭부(80)를 가진다.
간섭부(80)는, 쐐기체(A)가 시스체(Z)의 상방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 간섭부(80)의 하면(81)은, 상기 클로부(70)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견부(40)의 상면과 면접촉 가능한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간섭부(80)의 두께는, 가능한 한 두껍게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3.2.1> 안내면
간섭부(80)에는, 당해 간섭부(80)의 하면(81)과 선단면(82)의 사이의 모서리부를 모따기한 안내면(83)을 마련해 둘 수도 있다.
안내면(83)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일직선상, 다각선상, 곡선상 등의 공지된 형상을
이 안내면(83)은, 쐐기체(A)를 의도적으로 떼어낼 때를 위한 부위이며, 상세한 설명은 상세히 설명한다.
<3.3> 각 대향면 및 제 2 돌출부
그 외, 본 실시예에서는, 계지체(B)에 있어서 쐐기체(A)측을 향하는 면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80)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제 1 대향면(91), 제 2 대향면(92), 제 3 대향면(94)을 순서대로 마련하고 있다.
이하, 각 대향면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3.3.1> 제 1 대향면
제 1 대향면(91)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쐐기체(A)의 경사면(61)과 접하는 부위이다.
제 1 대향면(91)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61)과 거의 병행이 되는 평면을 나타내고 있다.
<3.3.2> 제 2 대향면
제 2 대향면(92)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쐐기체(A)의 연락면(63)과 접하는 부위이다.
제 2 대향면(92)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락면(63)과 거의 병행이 되는 평면을 나타내고 있다.
<3.3.3> 제 3 대향면·제 2 돌출부
제 3 대향면(94)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쐐기체(A)의 단차면(64)과 접하는 부위이다.
제 3 대향면(94)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락면(63)과 거의 병행이 되는 평면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대향면(92)으로부터 제 3 대향면(94)에 연결되는 개소는, 내각측을 둔각으로 한 제 2 돌출부(93)가 된다.
<4> 가압체(도 1)
가압체(C)는, 상기 계지체(B)를, 상기 쐐기체(A)측으로 가압해두기 위한 부재이다.
가압체(C)는, 탄성변형 가능한 공지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체(C)는, 횡부재(Y)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측벽과 계지체(B)의 사이의 공간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가압체(C)의 복원력으로 항상 상기 측벽을 반력점으로서 상기 계지체(B)를 상기 쐐기체(A)측으로 가압하도록 기능한다.
<5> 지주에의 연결 작업(도 2~도 5)
이어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연결구의 사용 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배치 양태의 추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5.1> 초기 상태(도 2)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연결구를 지주(X)의 받음구(X1)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계지체(B)의 간섭부(80)는, 견부(40)에 얹어진 상태이며, 제 1 대향면(91)은 경사면(61), 제 2 대향면(92)은 단차면(64), 제 3 대향면(94)은 연락면(63)과 서로 인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쐐기체(A)의 견부(40)와 제 1 돌기부에 사이에 있는 위치에 있는 제 1 오목부(51)에는, 계지체(B)의 간섭부(80)가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쐐기체(A)는, 쐐기체(A)측으로 가압된 계지체(B)의 간섭부(80)와 제 1 장출부(52)의 압접이나 제 2 대향면(92)과 연락면(63)의 압접으로, 계지체(B)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며, 쐐기체(A)가 하방으로 낙하할 일은 없다.
또한, 계지체(B)의 클로부(70)는, 시스체(Z)로부터 거의 노출하지 않고 초기 위치에 머무르고 있으며, 연결구를 지주(X)의 받음구(X1)에 삽입·떼어냄 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계지체(B)의 클로부(70)에는, 쐐기체(A)의 돌출 단부(65)와 접촉하고 있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쐐기체(A)의 헤드부(10)을 해머링하여 쐐기체(A)의 하이동을 개시한다.
<5.2> 제 1 단계(도 3)
도 3은, 쐐기체(A)의 하이동에 의한 제 1 단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서 각 부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5.2.1> 제 1 장출부에 의한 압입
제 1 오목부(51)에 수용되어 있었던 계지체(B)의 간섭부(80)는, 하이동하는 쐐기체(A)의 제 1 장출부(52)로부터 제 1 오목부(51)에 연결되는 사로(斜路)로 서서히 압입된다.
<5.2.2> 제 1 돌출부에 의한 압입
또한, 상기 작용과 병행되어, 상기 경사면(61)과 연락면(63)의 접속 개소에 있는 제 1 돌출부(62)는, 상기 제 2 대향면(92)에 맞닿고, 상기 계지체(B)를 상기 가압체(C)측으로 압입하고 있다.
상기한 각 동작에 수반하여, 계지체(B)의 클로부(70)가 받음구(X1)와의 계지 위치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상기 계지체(B)의 이동은, 계지체(B)의 후퇴 동작 또는 요동 동작, 혹은 이들의 동작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5.3> 제 2 단계(도 4)
도 4는, 쐐기체(A)의 하이동에 의한 제 2 단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면서 각 부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5.3.1> 제 1 장출부에 의한 압입
쐐기체(A)의 제 1 장출부(52)는, 계지체(B)의 간섭부(80)의 선단에 도달하고 있다.
<5.3.2> 경사면(61)에 의한 압입
계지체(B)의 제 2 돌출부(93)는, 쐐기체(A)의 경사면(61)과 맞닿고, 상기 경사면(61)은, 상기 제 2 돌출부(93)를 개재하여 상기 계지체(B)를 상기 가압체(C)측으로 압입하고 있다.
으로써, 상기 클로부(70)가 상기 계지 위치측으로 천이한다.
상기한 각 동작에 수반하여, 계지체(B)의 클로부(70)는, 더 받음구(X1)와의 계지 위치측으로 천이한다. 또한, 상기 계지체(B)의 이동은, 계지체(B)의 후퇴 동작 또는 요동 동작, 혹은 이들의 동작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5.4> 제 3 단계(도 5)
도 5는, 쐐기체(A)의 하이동에 의한 제 3 단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면서 각 부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5.4.1> 간섭부의 제 2 오목부에의 수용
계지체(B)의 간섭부(80)는, 제 1 장출부(52)를 넘어서 가압체(C)의 탄성력에 의해 쐐기체(A)측으로 밀려서 쐐기체(A)의 제 2 오목부(53)에 수용되어 있다.
<5.4.2> 경사면에 의한 압입의 계속
계지체(B)의 제 2 돌출부(93)는 쐐기체(A)의 경사면(61)의 보다 상방의 위치에 맞닿고 있으며, 상기 경사면(61)은, 계속하여 상기 제 2 돌출부(93)를 개재하여 상기 계지체(B)를 상기 가압체(C)측으로 압입하고 있다.
상기한 각 동작에 수반하여, 계지체(B)의 클로부(70)는, 더 받음구(X1)와의 계지 위치측으로 천이한다. 특히, 경사면(61)에 의한 계지체(B)의 하부의 압입과, 간섭부(80)의 제 2 오목부(53)에의 수용에 의하여, 계지체(B)가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받음구(X1)와의 계지 위치측에 클로부(70)가 천이하는 동작은 촉진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 2 오목부(53)의 상방에 있는 쐐기체(A)의 헤드부(10)와의 단차가 크고, 가압체(C)를 압축하려고 해도 여유가 없어져 있기 때문에, 이제는 쐐기체(A)의 해머링을 실시해도, 쐐기체(A)를 하이동시킬 수는 없다.
<5.5> 보충 설명(연결 완료 상태의 정의)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연결구는, 통상, 도 5와 관련되는 제 3 단계의 상태로서 받음구(X1)와의 계지가 완료하고, 지주(X)와 확실하게 연결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받음구(X1)의 삽입구(X2)의 폭길이가 좁아져 있는 것 등으로, 상기 제 3 단계에 이르는 도중의 단계에서 계지체(B)의 클로부(70)가 받음구(X1)에 충분히 계지되어 있으면, 당해 도중 단계여도, 지주(X)와 확실하게 연결된 상태로서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2 오목부(53)를 필수적인 요소로 하는 것이 아니다.
<6> 지주로부터의 이탈 작업(도 5~도 2)
지주(X)로부터 연결구를 떼어낼 때에는, 쐐기체(A)의 바닥부(20)를 해머 등으로 상방으로 해머링함으로써, 클로부(70)를 계지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작업을 행하면 된다.
<6.1> 쐐기체의 빠져 나감 방지 기구(도 2)
또한, 이 때, 도 1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 단계에서, 추가로 쐐기체(A)의 하단을 해머링해도, 쐐기체(A)의 견부(40)에는, 계지체(B)의 간섭부(80)가 얹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쐐기체(A)의 상이동은 간섭부(80)에 의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쐐기체(A)가 상방으로 빠져 나갈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계지체(B)의 클로부(70)는 쐐기체(A)의 돌출 단부(65)와 접촉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돌출 단부(65)에 의해 클로부(70)가 파괴될 일도 없다.
보다 상세하게는, 견부(40)의 상면이, 수평 방향 또는, 당해 간섭부(80)의 선단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간섭부(80)의 하면(81)이, 상기 견부(40)의 상면에 일정 정도의 길이를 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음으로써, 쐐기체(A)의 하단을 해머링하여 상이동을 촉진시켜도, 계지체(B)가 후퇴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쐐기체(A)의 하단에 빠짐 방지용의 리벳 등을 마련할 필요는 없다.
<7> 쐐기체의 떼어냄 작업(도 6)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쐐기체(A)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쐐기체(A)의 하단의 해머링 동작에 의해서는 상이동할 수 없지만, 고장 수리 등을 위해서는, 쐐기체(A)를 적절히 본체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계지체(B)와 쐐기체(A)의 사이에 삽입 가능한 지그를 준비하고, 당해 지그에 의해 계지체(B)를 가압체(C)측으로 강제적으로 후퇴시킴으로써, 견부(40)와 간섭부(80)의 간섭 상태를 해제하고 나서 쐐기체(A)의 하단을 해머링 등 함으로써, 쐐기체(A)를 상방으로부터 뽑아서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지그의 삽입 길이에 따라서는, 돌출 단부(65)와 클로부(70)의 계합(engaging)을 해제할 수 있어도, 간섭부(80)의 후퇴 길이의 부족에 의해 간섭부(80)와 견부(40)의 간섭 상태가 충분하게 해제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도, 간섭부(80)의 선단면(82)과 하면(81)의 사이의 모서리부를 모따기한 안내면(83)을 마련해두면, 견부(40)의 모서리부가 안내면(83)에 도달하는 정도까지 간섭부(80)를 후퇴할 수 있으면, 다음은 쐐기체(A)의 하단을 해머링하면 자연히 간섭부(80)의 후퇴를 촉진시켜, 쐐기체(A)를 상방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A 쐐기체
10 헤드부
20 바닥부
30 슬라이딩면
40 견부
51 제 1 오목부
52 제 1 장출부
53 제 2 오목부
61 경사면
62 제 1 돌출부
63 연락면
64 단차면
65 돌출 단부
B 계지체
70 클로부
80 간섭부
81 하면
82 선단면
83 안내면
91 제 1 대향면
92 제 2 대향면
93 제 2 돌출부
94 제 3 대향면
C 가압체
X 지주
X1 받음구
X2 삽입구
Y 횡부재
Z 시스체
a 삽입 본체
b 제 1 계지용 부재
c 제 2 계지용 부재
d 탄성재
e 돌출 단부
f 리벳
x 지주
x1 받음구
x2 삽입구
y 횡부재

Claims (8)

  1. 가설 비계를 구성하는 지주의 주위에 마련한 받음구와 쐐기 연결하기 위해, 횡부재의 단부에 마련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횡부재의 단부에서, 상하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한 쐐기체와,
    상기 쐐기체의 하이동으로, 상기 받음구와의 사이에서 초기 위치로부터 계지 위치로 이동하는 클로부를 가지는 계지체와,
    상기 계지체를 상기 쐐기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쐐기체는, 상기 계지체측으로 돌출하는 견부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계지체는, 상기 쐐기체측으로 돌출하는 간섭부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견부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상기 간섭부에 의해 가로막혀, 상기 쐐기체의 상이동과 상기 계지체의 가압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부의 상면이, 수평 또는, 당해 견부의 근본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있으며,
    상기 간섭부의 하면은,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견부의 상면과 면접촉 가능한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에, 당해 간섭부의 하면과 선단면의 사이의 모서리부를 모따기한 안내면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체는, 상기 계지체측을 향한 면에 있어서,
    상기 견부의 바로 위에 있는, 제 1 오목부와,
    상기 제 1 오목부의 바로 위에 있는, 제 1 장출부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쐐기체의 하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장출부가 상기 간섭부를 상기 가압체측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클로부가 상기 계지 위치측으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체는, 상기 계지체측을 향한 면에 있어서,
    상기 견부의 하변을 구성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하방에서, 당해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계지체측과 반대측에 단차를 마련하도록 연장되는 단차면과,
    상기 경사면과 단차면을 연결하는 연락면과,
    상기 경사면과 연락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계지체는,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제 1 대향면과,
    상기 연락면과 접하는 제 2 대향면과,
    상기 단차면과 접하는 제 3 대향면과,
    상기 제 2 대향면과 제 3 대향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돌출부를 가지며,
    를 가지며,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쐐기체의 하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제 2 대향면에 맞닿아서 상기 계지체를 상기 가압체측으로 누른 후, 상기 경사면이 상기 제 2 돌출부와 맞닿아서 상기 계지체를 상기 가압체측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클로부가 상기 계지 위치측으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체가,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클로부의 하단에 계합 가능한 돌출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부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쐐기체의 하이동에 의해 상기 계지체가 요동하는 동작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를 탄성재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KR1020197025000A 2017-01-27 2017-01-27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KR102115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2964 WO2018138873A1 (ja) 2017-01-27 2017-01-27 仮設足場用の連結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726A true KR20190107726A (ko) 2019-09-20
KR102115995B1 KR102115995B1 (ko) 2020-05-28

Family

ID=6248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000A KR102115995B1 (ko) 2017-01-27 2017-01-27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97189B2 (ko)
JP (1) JP6340483B1 (ko)
KR (1) KR102115995B1 (ko)
CN (1) CN110226014B (ko)
AU (1) AU2017395902B2 (ko)
CA (1) CA3051654C (ko)
PH (1) PH12019501695B1 (ko)
WO (1) WO2018138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04B1 (ko) * 2018-01-10 2019-11-06 닛켄 리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비계용 수평지지대
CN112211395A (zh) * 2020-09-28 2021-01-12 安徽长青建筑制品有限公司 一种盘式脚手架
CN114622715A (zh) * 2022-04-27 2022-06-14 微中子(西安)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脚手架连接组件及脚手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197U (ja) * 2006-04-25 2006-07-06 三栄工業株式会社 組立て足場の連結装置
JP5264008B1 (ja) 2013-01-31 2013-08-14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仮設足場用の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80562A (en) * 1966-04-29 1970-02-04 Kwikform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ilders Scaffolding
DE2737859A1 (de) * 1977-08-23 1979-03-08 Eberhard Layher Metallrohrgeruest
US4273463A (en) * 1979-10-03 1981-06-16 Gerhard Dobersch Steel tube scaffold
US4493578A (en) * 1982-09-30 1985-01-15 Harsco Corporation Scaffolding connector and system
DE3236648A1 (de) * 1982-10-04 1984-04-05 Plettac Gmbh Stahlbau Und Gesenkschmiede, 5970 Plettenberg Geruest, insbesondere baugeruest
US4840513A (en) * 1986-11-05 1989-06-20 Hackett Steven B Scaffolding connector apparatus
DE3824823A1 (de) * 1988-07-21 1990-01-25 Langer Ruth Geb Layher Anschlussausbildung fuer horizontaltraeger von geruestboeden
FR2660708B1 (fr) * 1990-04-04 1993-05-21 Perruelle Claude Piece d'assemblage pour elements longiformes.
US5078532A (en) * 1990-09-13 1992-01-07 Williams Joe W Scaffold connection
CA2073648A1 (en) * 1991-07-12 1993-01-13 Ronald Lubinski Aluminum scaffold system
US5207527A (en) * 1992-04-13 1993-05-04 Warren Duncan System scaffold wedging arrangement
JP3123197B2 (ja) * 1992-04-17 2001-01-09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CA2086984A1 (en) * 1993-01-08 1994-07-09 Ronald Lubinski Wedge-operated scaffold joint
ES2068136B1 (es) * 1993-05-04 1998-01-16 Ulma S Coop Andamio multidireccional perfeccionado.
CN2160702Y (zh) * 1993-06-21 1994-04-06 陈远宪 快速夹紧变径脚手架扣件
DE19602737A1 (de) * 1996-01-26 1997-07-31 Peri Gmbh Gerüstknoten
CA2201535C (en) * 1997-04-02 2006-09-19 Aluma Systems Corp. Scaffolding connector
CA2634573C (en) * 2008-06-10 2011-05-24 Peter J. Rogers Modular scaffold system
CN201326272Y (zh) * 2008-12-12 2009-10-14 中国葛洲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脚手架连接件
JP2011140769A (ja) * 2010-01-06 2011-07-21 Sakamoto Katsuhiko 足場用の樹脂くさび
US8303207B2 (en) * 2010-01-26 2012-11-06 Saferlte Platforms Inc Hybrid scaffold system
US8393439B2 (en) * 2010-01-26 2013-03-12 Steve Howard Thacker Scaffold system and method
US20120186911A1 (en) * 2011-01-25 2012-07-26 Next Generation Scaffold Services Inc. Scaffold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N103255910B (zh) * 2013-05-13 2015-05-27 西安博奇实业有限公司 可增加连接强度的组合脚手架节点连接组件
JP5926712B2 (ja) * 2013-09-10 2016-05-25 Krh株式会社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197U (ja) * 2006-04-25 2006-07-06 三栄工業株式会社 組立て足場の連結装置
JP5264008B1 (ja) 2013-01-31 2013-08-14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仮設足場用の連結装置
JP2014148796A (ja) * 2013-01-31 2014-08-21 Nikken Lease Kogyo Kk 仮設足場用の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9501695A1 (en) 2020-06-15
US10697189B2 (en) 2020-06-30
CA3051654C (en) 2020-03-24
CN110226014A (zh) 2019-09-10
JPWO2018138873A1 (ja) 2019-02-07
AU2017395902A1 (en) 2019-08-29
AU2017395902B2 (en) 2020-03-12
PH12019501695B1 (en) 2020-06-15
JP6340483B1 (ja) 2018-06-06
CN110226014B (zh) 2020-06-16
KR102115995B1 (ko) 2020-05-28
US20190345725A1 (en) 2019-11-14
WO2018138873A1 (ja) 2018-08-02
CA3051654A1 (en)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7726A (ko) 가설 비계용의 연결구
KR102030889B1 (ko) 록 볼트
US20080044221A1 (en) Quick-locking connector
CN109496254B (zh) 保持元件和具有该保持元件的连接器
WO2013153943A1 (ja) 仮設足場用継手
JP2012200815A (ja) 割ピン挿入・引抜き用工具
JP6318944B2 (ja) 杭継手の回転抑止構造
WO2004063487A1 (en) Reinforcing bar coupler
JP4330415B2 (ja) 管継手
EP2314797A1 (en) Moving scaffold
JPH07286438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KR100650376B1 (ko) 철근 연결구
JP4181939B2 (ja) わく組足場用手摺の取付け金具
CN114293668A (zh) 一种装配式建筑的组合连接模块及其组合板体结构
JP2006233482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JPH0618549U (ja) パイプジョイント
JP2548893B2 (ja) 足場建枠用連結ピン
JP2543635B2 (ja) 仮設用単管の連結装置
KR200215932Y1 (ko) 건축용 거푸집 간격고정대용 세퍼레이터
JP7417243B2 (ja) 仮設構造物の仮設床材
JP2013032807A (ja) 配管用コネクタ
JP5308587B1 (ja) 鋼管杭用継手に用いるかしめ治具
KR200426213Y1 (ko) 건축용 거푸집 간격고정대용 세퍼레이터
JP2019049159A (ja) ロックピンの落下防止機構を有するパイプジョイント
JP4458983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