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129A -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129A
KR20190102129A KR1020180022328A KR20180022328A KR20190102129A KR 20190102129 A KR20190102129 A KR 20190102129A KR 1020180022328 A KR1020180022328 A KR 1020180022328A KR 20180022328 A KR20180022328 A KR 20180022328A KR 20190102129 A KR20190102129 A KR 20190102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salt
per
same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하
박승재
Original Assignee
박창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하 filed Critical 박창하
Priority to KR102018002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2129A/ko
Publication of KR2019010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1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은 (a) 홍삼, 수국차잎을 수분 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여, 10 ~ 2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홍삼 100g당 분쇄된 수국차잎 50 ~ 5g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 100g당 정제수 200g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에 유산균을 투입하여 20~35℃의 온도에서 3일 ~ 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재료 100g당 정제수를 10kg을 혼합하여 80~90℃의 온도에서 2시간 ~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f) 상기(e)단계의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g) 천일염 1kg당 상기(f)단계의 여과된 추출액 10g ~ 100g을 첨가하여 20~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 (h) 상기(g)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천일염을 수분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i) 상기(h)단계의 천일염을 용도별로 분쇄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Description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Red ginseng containing sun-dried salt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삼의 제조 공정에서 우리 몸에 좋은 여러 가지 새로운 생리활성 성분들이 생성된다. 이들 성분들은 수삼이나 백삼에는 없는 홍삼 특유의 성분이다. 또한 홍삼은 수삼 등에 비해 오래 보관할 수 있다.
홍삼의 특징으로 홍삼은 증포(증기로 찌는 것) 과정에서 생삼의 독소들이 제거되고 신체에 유익한 새로운 생리활성 성분들이 생성되며, 수삼, 백삼 등 다른 어떤 인삼보다 가장 많은 종류의 사포닌이 들어 있으며, 신체에 유효한 성분의 함량이 높아 면역 기능 강화에 도움을 주고, 체질 개선에 도움을 주며, 정상 세포의 왕성한 활동을 도와주며, 소화, 흡수가 잘 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복용해도 좋고, 장기간 보관(10년 이상 장기 보관)해도 내용 성분의 변화가 없는 것 등이 있다.
홍삼 성분 함유 제품의 기능성에는 원기 회복, 면역력 증진, 자양 강장에 도움 등이 있다. 홍삼에는 백삼에 없는 항산화 작용 성분인 말톨과 다양한 아미노산, 유기지방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계절적으로 5월은 활동량이 늘어나면서 원기가 소진되기 쉬우므로 인삼을 복용할 적기(適期)이다. 특히 위장 등 소화기 계통이 약하면서 원기가 떨어진 사람에게 효과가 좋다.
홍삼 제조 과정에서 인삼의 주요 약리 작용을 하는 진세노사이드의 화학구조가 변한다. 이때 항암 성분, 항당뇨 성분, 항염증 성분, 항산화 성분, 간 기능 해독 성분, 중금속 해독 성분 등 수삼에는 없거나 함유량이 극히 미미했던 성분 10여 가지가 새로 생겨나거나 함유량이 몇 배로 커진다. 홍삼은 인삼에 비해 장기 보관이 용이하고 효능도 훨씬 좋다.
수국차는 감차수국이라고도 한다. 수국(水菊, Hydrangea macrophylla SERIN. var. otaksa Makino)과는 다른종이다. 줄기는 높이 22~70cm 정도이다. 잎은 긴타원형으로 대생하고 끝부분이 뽀족한 편이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톱니모양이며 잎 표면의 측맥과 뒷면의 맥 위에는 털이 나 있다. 꽃은 초여름에 피며 처음에는 푸른색이나 나중에는 홍색이 된다. 중심부는 양성화이다. 주변부는 꽃받침이 변한 장식화로 둘러져 있다. 꽃잎과 꽃받침은 4개씩 있다.
잎에는 단맛이 있어 일본에서는 이 단맛을 이용하기 위하여 재배한다. 여름에 잎을 삶아서 초록빛을 제거한 다음 말렸다가 사용하는데, 일본에서는 음력 4월 8일 석가탄신일에 이 차를 바치는 풍습이 있다. 이것은 인도에서 탄생했을 때 용왕이 단비를 내렸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본시 향탕을 사용하였으나 후에 수국차로 바꾸었다. 간장의 향료, 당뇨병 환자의 음료 또는 구충제로도 사용하였다.
선행기술로는 본인 발명의 특허출원10-2011-0132434(다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음식조리에 사용하는 맛소금은 조미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MSG등 화학첨가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천일염의 용도는 배추절임이나 육류나 생선의 염지 등 활용도가 낮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천일염에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의 성분을 발현되도록 하여 조미효과와 더불어 건강에 도움을 줄 수있는 천일염을 제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은 (a) 홍삼, 수국차잎을 수분 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여, 10 ~ 2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홍삼 100g당 분쇄된 수국차잎 50 ~ 5g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 100g당 정제수 200g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에 유산균을 투입하여 20~35℃의 온도에서 3일 ~ 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재료 100g당 정제수를 10kg을 혼합하여 80~90℃의 온도에서 2시간 ~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f) 상기(e)단계의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g) 천일염 1kg당 상기(f)단계의 여과된 추출액 10g ~ 100g을 첨가하여 20~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 (h) 상기(g)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천일염을 수분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i) 상기(h)단계의 천일염을 용도별로 분쇄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생산된 천일염은 육류 및 생선의 비린내, 잡냄새 제거효과 및 조미효과가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SG등 화학첨가물이 함유된 맛소금을 대체할 수 있다. 각종 식품의 절임, 육류숙성 및 수산물염지, 각종 장류제조, 조미료 등으로 활용도가 다양화 되어 천일염의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은 (a) 홍삼, 수국차잎을 수분 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여, 10 ~ 2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홍삼 100g당 분쇄된 수국차잎 50 ~ 5g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 100g당 정제수 200g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에 유산균을 투입하여 20~35℃의 온도에서 3일 ~ 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재료 100g당 정제수를 10kg을 혼합하여 80~90℃의 온도에서 2시간 ~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f) 상기(e)단계의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g) 천일염 1kg당 상기(f)단계의 여과된 추출액 10g ~ 100g을 첨가하여 20~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 (h) 상기(g)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천일염을 수분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i) 상기(h)단계의 천일염을 용도별로 분쇄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생산된 홍삼함유 천일염은 각종 육류나 생선류를 숙성하면 특유의 비린내와 잡냄새가 없으며, 육질이 향상되고 육즙이 풍부하며, 육류의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1
돈육 삼겹살 100g당 상기 발명의 의한 홍삼함유 천일염을 2g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숙성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1
돈육 삼겹살 100g당 천일염을 2g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숙성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2
정제수에 상기의 발명의 의한 홍삼함유 천일염을 첨가하여 염도1%의 염지액에 고등어를 투입하여 3~5℃에서 5시간 동안 염지한 후 세척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2
정제수에 천일염을 첨가하여 염도1%의 염지액에 고등어를 투입하여 3~5℃에서 5시간 동안 염지한 후 세척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1 및 비교예1에 의하여 숙성되어진 돈육 삼겹살을 구이용팬에 구워서 섭취하도록 하고, 실시예2 및 비교예2에 의하여 숙성되어진 고등어를 구이용 팬에 구워서 섭취하도록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 하였다. 평가방법은 20 ~ 50대의 남녀 40명에 대해 실시예1, 2 및 비교예1, 2의 돈육삼겹살 및 고등어를 시식하게 한 다음 맛과 육질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는데, 맛, 향미, 육질, 육즙,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법으로 하여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관능검사 항목에 대해(매우 나쁘다 : 1점, 조금 나쁘다 : 2점, 보통이다 : 3점, 조금 좋다 : 4점, 매우 좋다 : 5점) 평가 하였다.
< 사포닌 성분분석표>
구분 사포닌(mg/100g당)
실시예 57
비교예 0
<구이용 팬에 구워서 시식한 돈육삼겹살의 평가표>
구분 냄새 육즙 육질 섭취감 전체적인기호도
실시예 4.8 4.6 4.7 4.6 4.7 4.7
비교예 2.5 2.6 2.7 2.6 2.5 2.5
<구이용 팬에 구워서 시식한 고등어의 평가표>
구분 냄새 육즙 육질 섭취감 전체적인기호도
실시예 4.7 4.6 4.7 4.5 4.6 4.6
비교예 2.5 2.6 2.4 2.6 2.7 2.6
<돈육삼겹살의 콜레스테롤 비교표>
구분 콜레스테롤(mg/가식부 100g당)
실시예 301
비교예 357
표 2에서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특유의 비란내 및 잡냄새가 없고, 육즙과 육질, 섭취감이 현저하게 좋음을 알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베타글루칸이 함유되어 있으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콜레스테롤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a) 홍삼, 수국차잎을 수분 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여, 10 ~ 2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홍삼 100g당 분쇄된 수국차잎 50 ~ 5g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 100g당 정제수 200g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에 유산균을 투입하여 20~35℃의 온도에서 3일 ~ 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재료 100g당 정제수를 10kg을 혼합하여 80~90℃의 온도에서 2시간 ~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f) 상기(e)단계의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g) 천일염 1kg당 상기(f)단계의 여과된 추출액 10g ~ 100g을 첨가하여 20~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
    (h) 상기(g)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천일염을 수분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i) 상기(h)단계의 천일염을 용도별로 분쇄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천일염.
KR1020180022328A 2018-02-24 2018-02-24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 KR20190102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328A KR20190102129A (ko) 2018-02-24 2018-02-24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328A KR20190102129A (ko) 2018-02-24 2018-02-24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129A true KR20190102129A (ko) 2019-09-03

Family

ID=6795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328A KR20190102129A (ko) 2018-02-24 2018-02-24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21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833A (ko) * 2019-12-04 2021-06-14 최인귀 홍삼 발효액을 함유한 하몽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발효액을 함유한 하몽
KR102324437B1 (ko) * 2021-05-10 2021-11-11 주식회사 봉황천종삼중앙연구소 홍삼 희귀 진세노사이드 5종 함유 기능성 소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833A (ko) * 2019-12-04 2021-06-14 최인귀 홍삼 발효액을 함유한 하몽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발효액을 함유한 하몽
KR102324437B1 (ko) * 2021-05-10 2021-11-11 주식회사 봉황천종삼중앙연구소 홍삼 희귀 진세노사이드 5종 함유 기능성 소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10003B (zh) 一种梅菜的腌制方法
KR101812006B1 (ko)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
KR20190102129A (ko) 홍삼을 함유한 천일염의 제조방법.
KR102159675B1 (ko) 명란을 이용한 고추냉이 드레싱 소스 제조방법
KR100515973B1 (ko) 식품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102322070B1 (ko) 갈치와 송화버섯을 이용한 김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0052B1 (ko) 황태구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황태구이
KR101515528B1 (ko) 소 양지 육수를 포함하는 김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0277B1 (ko) 연을 이용한 냉면육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14899A (ko) 흑마늘 간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020514B1 (ko) 뽕잎절임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26424B1 (ko) 청국장 햄의 제조방법
KR100725015B1 (ko) 새우육수를 함유한 배추김치 제조방법
KR20190102128A (ko) 차가버섯을 함유한 고품질천일염의 제조방법
KR102534992B1 (ko) 오징어 구이의 제조방법
KR20200132321A (ko) 부추 및 수수를 이용한 소스 제조방법
KR102075515B1 (ko) 열무김치
KR102202176B1 (ko) 구기자 숙성 간장 간고등어
KR102498450B1 (ko) 타래 소스 및 그 제조방법
CN113040341B (zh) 一种卤肉的加工方法
KR100571524B1 (ko) 양념소스용 건조김치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한양념소스용 건조김치 및 상기 건조김치가 배합된양념소스와 그 제조방법
KR102533478B1 (ko) 만능 양념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14563B1 (ko) 잡내와 식감이 개선된 소불고기용 양념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소불고기의 제조방법
KR102277356B1 (ko) 전복 내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소스
KR102509718B1 (ko) 찰쌀보리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