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049A - 발음기 - Google Patents

발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049A
KR20190099049A KR1020197021564A KR20197021564A KR20190099049A KR 20190099049 A KR20190099049 A KR 20190099049A KR 1020197021564 A KR1020197021564 A KR 1020197021564A KR 20197021564 A KR20197021564 A KR 20197021564A KR 20190099049 A KR20190099049 A KR 20190099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space
shielding plate
inner peripheral
out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370B1 (ko
Inventor
스스무 미야타
고시로 하야카와
Original Assignee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다이어프램(72)을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 발음기는, 방음 구멍(84)에 의해 대기에 개방된 제1 공간(5) 및 다이어프램에 의해 제1 공간과 이격된 제2 공간(6)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1)과, 다이어프램에 대향하도록 다이어프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제1 공간에 배치된 차폐판(28)을 구비한다. 제1 공간과 제2 공간의 압력차에 의해 다이어프램이 제1 공간을 향해 변위되었을 때, 다이어프램이 차폐판에 접촉함으로써,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제한된다.

Description

발음기
본 출원은, 2017년 1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12356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발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경보기나 차량용 접근 통보 장치 등에 사용되는 차량용 발음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발음기에서는, 음향 성능과 물이나 눈의 침입 방지 기능을 양립시킬 목적으로,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의 앞쪽에 차폐판이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25558호 공보
발음기는 밀폐 제품이며, 발음기의 방수 성능 및 밀폐 성능의 보증을 위해 기밀 검사가 행해진다. 이 기밀 검사에서는, 공기압에 의한 다이어프램의 반전 등을 억제하고, 검사 결과를 안정시키기 위해, 지그 등으로 다이어프램을 누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서 다이어프램의 앞쪽에 차폐판이 설치된 구성에서는, 지그를 사용하여 다이어프램을 누르기 위해서는, 차폐판을 떼어낼 필요가 있어, 부품 수의 증가나 금형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본 개시는, 다이어프램을 누르는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기밀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발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을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 발음기는, 방음 구멍에 의해 대기에 개방된 제1 공간 및 다이어프램에 의해 제1 공간과 이격된 제2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과, 다이어프램에 대향하도록 다이어프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제1 공간에 배치된 차폐판을 구비한다. 제1 공간과 제2 공간의 압력차에 의해 다이어프램이 제1 공간을 향해 변위되었을 때, 다이어프램이 차폐판에 접촉함으로써,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제한된다.
이것에 의하면, 다이어프램과 차폐판의 접촉에 의해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제한되어, 차폐판이 다이어프램을 누르는 지그를 대신하게 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을 누르는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기밀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발음기는,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다이어프램과, 차폐판 중 다이어프램에 접촉하는 접촉면 사이의 거리는, 구동부에 의해 다이어프램이 진동할 때의 다이어프램의 변위량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음 동작에 의한 다이어프램과 차폐판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다이어프램 중 제2 공간을 향해 기립 설치된 통 형상의 코어부와, 코어부에 권취된 보이스 코일과, 코어부와 축 방향이 일치하는 통 형상의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보이스 코일에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코어부를 공간에 끼움 삽입된 상태에서 변위시키는 자기 회로부를 구비해도 된다. 다이어프램의 변위량은, 코어부가 공간에 끼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다이어프램의 변위량은, 예를 들어 이와 같이 코어부가 공간에 끼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되고, 이 변위량보다 다이어프램과 차폐판의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발음 동작에 의한 다이어프램과 차폐판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과, 차폐판 중 다이어프램에 접촉하는 접촉면 사이의 거리는, 1㎜ 이상 6㎜ 이하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차폐판과 다이어프램의 거리를 1㎜ 이상 6㎜ 이하로 함으로써도, 발음 동작에 의한 다이어프램과 차폐판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의 변형은, 다이어프램의 내주부의 외연이 차폐판의 내주부의 외연에 접촉함으로써 제한되고,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차폐판에 의해 제한되었을 때, 다이어프램의 내주부와 차폐판의 내주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다이어프램의 내주부는 강도가 낮지만, 다이어프램의 내주부와 차폐판의 내주부가 외연에서 접촉하고, 이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이어프램의 변형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은, 내주부의 외연으로부터 제2 공간을 향해 기립 설치된 기립 설치부를 구비해도 된다.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차폐판에 의해 제한되었을 때, 다이어프램은, 기립 설치부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차폐판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다이어프램이, 기립 설치부가 형성되어 강도가 향상된 부분에서 차폐판에 접촉함으로써, 다이어프램의 변형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Ⅱ-Ⅱ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발음체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발음기에 있어서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Ⅴ-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2의 발음체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음체의 확대도이다.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 상호에 있어서, 서로 동일 혹은 균등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행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발음기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실 밖에 설치되고,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음기는, 내부에 2개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은, 각각 수지제의 베이스(2)와, 커버(3)와, 케이스(4)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2)는, 대략 원통 형상의 베이스 통부(21)를 구비하고, 이 베이스 통부(21)의 일단측 개구부에, 이 개구부를 덮는 원판상의 커버(3)가 끼워 맞춤되어 있고, 베이스 통부(21)의 타단측 개구부에, 원판상의 케이스(4)가 접착에 의해 기밀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통부(21) 내의 공간은, 베이스 통부(21) 내에 마련된 격벽(22)에 의해 축 방향으로 2 분할되어 있고, 베이스 통부(21)와 격벽(22)과 커버(3)에 의해 제1 공간(5)이 형성되고, 베이스 통부(21)와 격벽(22)과 케이스(4)에 의해 제2 공간(6)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22)에는, 제1 공간(5)과 제2 공간(6)을 연통시키는 원형의 관통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발음체(7)가, 관통 구멍(23)을 폐색하도록 하여 제2 공간(6)에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23)은, 발음체(7)의 다이어프램(72)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제2 공간(6)은, 다이어프램(72)에 의해 제1 공간(5)과 이격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22)에는, 관통 구멍(23)과 이격된 장소에 통기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24)은, 온도 변화에 의해 제1 공간(5)과 제2 공간(6)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통기 구멍(24)에는, 통기막(25)이 부착되어 있다. 통기막(25)은, 공기를 통과시키고, 물을 차단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고어텍스(등록상표)로 구성된다.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22)의 개구 단부에는, 관통 구멍(23)을 둘러싸고 격벽(22)으로부터 커버(3)측을 향해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차폐 통부(26)가 접속되어 있다. 차폐 통부(26) 중 커버(3)측의 개구부 단부면보다 격벽(22)에 가까운 부분에는, 빔 형상의 연결부(27)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27)는, 차폐 통부(26)로부터 관통 구멍(23)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 설치되어 있고, 차폐 통부(26)는 연결부(27)를 통해 차폐판(28)에 접속되어 있다.
차폐판(28)은, 고압 세차 시의 수류나 커버(3)의 표면에 부착된 눈이 발음체(7)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고, 물의 부착에 의한 발음체(7)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하우징(1)의 내부에 있어서, 후술하는 방음 구멍(84)과 다이어프램(7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폐판(28)은, 기밀 검사 시에 다이어프램(72)이 변위되었을 때, 다이어프램(72)에 접촉하여, 다이어프램(72)의 변형을 제한하는 것이다. 도 2,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폐판(28)은, 다이어프램(72)에 대향하도록, 다이어프램(72)과 이격된 상태에서 제1 공간(5)에 배치되어 있고, 다이어프램(72)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폐판(28)의 내주부(281)는, 다이어프램(72)과는 반대측을 향해 볼록해지는 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외주부(282)는, 다이어프램(72)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주부(282)는, 내주부(281)의 외연으로부터 제1 공간(5)측을 향해 넓어지는 중공의 원뿔대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반경 방향을 따른 단면이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내주부(281), 외주부(282)가, 각각, 후술하는 다이어프램(72)의 내주부(721), 외주부(722)에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폐판(28)은, 내주부(281)의 외연, 및 외주부(282)에 있어서, 다이어프램(72)에 접촉한다. 외주부(282)는, 다이어프램(72)이 변형되었을 때의 외주부(722)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다이어프램(72)의 파손이 억제된다.
내주부(281)는, 베이스 통부(21)의 축 방향에 있어서 격벽(22)보다 케이스(4)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외주부(282)는, 관통 구멍(23)을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주부(282) 중 내주부(281)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커버(3)측을 향해 돌출되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부(282)는, 원통 형상으로 된 단부에 있어서 연결부(27)에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27)는 복수 형성되어 있고, 차폐 통부(26)와, 복수의 연결부(27)와, 차폐판(28)에 의해, 발음체(7)가 발생시킨 소리를 통과시키는 소리 통로(81)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폐판(28)에는, 내주부(281)의 외연으로부터 커버(3)측을 향해 돌출되는 원통부(28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부(282), 원통부(283), 및 커버(3)에 의해 공명실(82)이 형성되고, 내주부(281), 원통부(283), 및 커버(3)에 의해 공명실(83)이 형성되어 있다. 발음체(7)가 발생시킨 소리의 음압은, 공명실(82) 및 공명실(83)에 의해 증폭된다.
도 1,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통부(21)의 외측에는, 발음체(7)를 도시하지 않은 외부 하니스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대략 사각 통 형상의 커넥터(29)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통부(21) 중 커넥터(29)가 형성된 부분에는, 베이스 통부(21)를 관통하여 커넥터(29)의 내부와 제2 공간(6)을 접속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을 통하도록 터미널(9)이 배치되어 있다.
터미널(9)은, 베이스 통부(21)의 내부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 통부(21)에 고정되어 있고, 터미널(9)을 배치하기 위해 형성된 관통 구멍은, 이 접착제와 터미널(9)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터미널(9)은, 제2 공간(6)에 있어서 후술하는 리드 핀(78)에 접속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3)는, 베이스 통부(21)에 대응하여 원판상으로 되어 있다. 커버(3) 중 연결부(27) 및 소리 통로(81)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하우징(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3) 중 돌출부(31)보다 내측의 부분에는, 발음체(7)가 발생시킨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원 형상의 관통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2)의 개구 단부에는, 빔 형상의 연결부(33)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33)는, 관통 구멍(32)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 설치되고, 차폐판(34)에 접속되어 있다. 차폐판(34)은, 원판상으로 되어 있고, 차폐판(28)의 원통부(283)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33)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연결부(33)에 의해 관통 구멍(32)이 분할됨으로써, 복수의 방음 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 방음 구멍(84)은, 제1 공간(5)을 대기에 개방하여, 발음체(7)가 발생시킨 소리를 외부로 방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3) 중, 돌출부(31)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격벽(22)을 향해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통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통부(35)는, 제1 공간(5) 중, 격벽(22)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통부(35)의 선단은, 베이스 통부(21)와, 격벽(22)과, 차폐 통부(26)로 둘러싸인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음체(7)가 발생시킨 소리의 음압을 증폭시키는 공명실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통부(21)와, 격벽(22)과, 커버(3)의 외주부와, 통부(35)에 의해 공명실(85)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22)과, 차폐 통부(26)와, 커버(3)의 외주부와, 돌출부(31)와, 통부(35)에 의해 공명실(8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31)의 일부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통부(3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공간(5)에는, 발음체(7)가 발생시킨 소리의 음압을 증폭시키는 공명실(82, 83, 85, 8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공명실을 형성함으로써, 넓은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큰 음압을 얻을 수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음체(7)는, 대략 단차가 있는 원통 형상의 프레임(71)과, 다이어프램(72)과, 다이어프램(72)을 진동시키는 구동부(73)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71)은 축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고, 프레임(71)의 2개의 개구부 중 개구 폭이 넓은 쪽은, 다이어프램(72)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프레임(71)은, 다이어프램(72)에 의해 개구부가 폐색된 측의 단부에 있어서, 격벽(22)에 접착에 의해 기밀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71)에는, 프레임(7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 구멍(74)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71)의 내부 공간에 의해 제2 공간(6)의 일부가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공간(6)은, 격벽(22) 및 다이어프램(72)에 의해 제1 공간(5)과 이격되어 있다.
도 3,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72)의 내주부(721)는, 제1 공간(5)측을 향해 볼록해지는 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72)의 외주부(722)는, 제1 공간(5)측으로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주부(722)는, 내주부(721)의 외연으로부터 제1 공간(5)측을 향해 넓어지는 중공의 원뿔대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반경 방향을 따른 단면이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만곡되어 있다.
내주부(721), 외주부(722)는, 각각, 차폐판(28)의 내주부(281), 외주부(282)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내주부(721)와 내주부(281)의 외연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주부(721)의 외연은 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내주부(281)의 외연은, 내주부(721)의 외연과 직경이 동등한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음기의 기밀 검사 시에는, 내주부(721)가 제1 공간(5)을 향해 변위되고, 다이어프램(72)은 제1 공간(5)측으로 팽창되도록 변형되어, 차폐판(28)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부(722)가 외주부(282)에 접촉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주부(721)와 내주부(281)의 외연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어프램(72) 및 차폐판(28)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72)이 변형되었을 때, 내주부(721)의 외연이 내주부(281)의 외연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72)이 변형되었을 때, 내주부(721)와 내주부(28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내주부(281)는, 내주부(721)보다 곡률이 높게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음체(7)에서는, 다이어프램(72)의 진동에 의해 소리가 발생한다. 음압이 충분히 큰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다이어프램(72)과 차폐판(28)의 거리를 어느 정도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한, 다이어프램(72) 중 차폐판(28)에 접촉하는 면과, 차폐판(28) 중 다이어프램(72)에 접촉하는 면의 거리는, 발음 동작에 의해 다이어프램(72)이 차폐판(28)에 접촉하지 않도록, 발음 동작에 의한 다이어프램(72)의 변위량보다 크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72) 중 차폐판(28)에 접촉하는 면과, 차폐판(28) 중 다이어프램(72)에 접촉하는 면 사이의 거리가 1㎜ 이상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부(282)와 외주부(722)의 거리가 2㎜로 되어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72) 중 차폐판(28)에 접촉하는 면과, 차폐판(28) 중 다이어프램(72)에 접촉하는 면 사이의 거리는, 기밀 검사 시에 다이어프램(72)이 변위되었을 때, 후술하는 보빈(75)이 공간(776)에 끼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기밀 검사 후, 다이어프램(72)의 변위에 의해, 보빈(75)이 공간(776) 내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보빈(75)의 축 방향의 치수나, 후술하는 톱 플레이트(772)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보빈(75)이 공간(776)에 끼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단, 다이어프램(72)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75)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밀 검사에서의 다이어프램(72)의 변위에 의해 보빈(75)이 공간(776)으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주부(281)는, 베이스 통부(21)의 축 방향에 있어서 격벽(22)보다 케이스(4)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외주부(282)는, 관통 구멍(23)을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폐판(28)과 다이어프램(72)의 접촉에 의해 다이어프램(72)의 변형이 제한되었을 때, 도 3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72)은 반전되지 않고 변위된다.
즉, 다이어프램(72)이 차폐판(28)에 접촉하였을 때, 프레임(71)의 축 방향에 있어서, 다이어프램(72) 중 프레임(71)에 고정된 단부보다, 내주부(721)가, 내주부(721)의 원래의 위치에 가까워진다.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보빈(75) 중 다이어프램(72)에 접속된 단부를 단부(751)로 하면, 보빈(75)의 축 방향에 있어서, 다이어프램(72) 중 프레임(71)에 고정된 부분보다, 단부(751)가, 단부(751)의 원래의 위치에 가까워진다. 또한, 도 3의 일점쇄선은, 다이어프램(72) 중 프레임(71)에 고정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다이어프램(72)이 반전된 상태라 함은, 도 3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 즉, 보빈(75)의 단부(751)가,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넘어 이동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다이어프램(72)이 반전되면, 다이어프램(72)은,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서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다.
외주부(722) 중 내주부(72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외주부(722)의 축 방향으로부터 본 형상이 링 형상으로 되고, 반경 방향을 따른 단면이 S자 형상으로 된 스프링부(723)가 접속되어 있다. 다이어프램(72)은, 스프링부(723)의 단부에 있어서 프레임(71)에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주부(721), 외주부(722), 스프링부(723)는, 1매의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73)는, 프레임(71)의 2개의 개구부 중 개구 폭이 좁은 쪽을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부(73)는, 보빈(75)과, 보이스 코일(76)과, 자기 회로부(77)를 구비하고 있다.
보빈(75)은,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다이어프램(72)의 내주부(721)의 외연에 접속되고, 다이어프램(72)으로부터 제2 공간(6)을 향해 기립 설치되어 있다. 보빈(75)의 외측에는, 보이스 코일(76)이 권취되어 있다. 보빈(75)은, 기립 설치부 및 코어부에 상당한다.
자기 회로부(77)는, 보이스 코일(76)에 자계를 인가하기 위한 것이며, 일면 및 다른 면을 갖는 원판 형상의 자석(771)과, 자석(771)의 일면에 접속된 톱 플레이트(772)와, 자석(771)의 다른 면에 접속된 요크(773)를 구비하고 있다.
요크(773)는, 자석(771)에 접속된 원판 형상의 저부(774)와, 저부(774)의 외주부로부터 다이어프램(72)을 향해 자석(771), 톱 플레이트(772), 저부(774)의 축 방향으로 돌출된 원통부(775)를 구비하고 있다. 톱 플레이트(772), 요크(773)는, 각각, 철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고, 제1 자성부, 제2 자성부에 상당한다.
자석(771), 톱 플레이트(772)는 원통부(775)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자석(771) 및 톱 플레이트(772)와, 원통부(775) 사이에는, 원통 형상의 공간(776)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75)은, 공간(776)과 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공간(776)에 끼움 삽입되어 있다.
자기 회로부(77)는, 자석(771)과, 톱 플레이트(772)와, 원통부(775)가 프레임(71)의 내부에 위치하고, 저부(774)가 프레임(71)의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간(776)에 보빈(75)이 끼움 삽입되어 있고, 보빈(75)에 권취된 보이스 코일(76)에는, 톱 플레이트(772)의 측면과, 원통부(775)의 측면 사이에 발생하는 자계가 인가된다. 자계가 인가된 상태의 보이스 코일(76)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보빈(75)은 공간(776)에 끼움 삽입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다이어프램(72)이 진동하여, 소리가 발생한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이 진동할 때의 다이어프램(72)의 변위량은, 보빈(75)이 공간(776)에 끼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보빈(75)의 축 방향에 있어서, 보빈(75) 중 다이어프램(72)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톱 플레이트(772) 중 다이어프램(72)측의 면보다, 다이어프램(72)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다이어프램(72)이 진동한다.
발음체(7)는 보이스 코일(7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리드 핀(78)을 구비하고 있고, 리드 핀(78)을 터미널(9)에 압입함으로써, 보이스 코일(76)이 외부 하니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발음기는, 차실 밖에 배치되고, 더 상세하게는, 베이스(2)보다 커버(3)가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차량의 프론트 범퍼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보이스 코일(76)에의 통전에 의해, 다이어프램(72)은 차폐판(28)에 접촉하는 일 없이 진동하여, 소리가 발생한다. 발음체(7)가 발한 소리는, 차폐판(28)과 다이어프램(72) 사이에 형성된 간극과, 소리 통로(81)를 통해, 공명실(82, 83, 85, 86)에 의해 음압이 증폭되어, 방음 구멍(84) 등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발음기의 기밀 검사 시에는, 제1 공간(5)과 제2 공간(6)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된다. 구체적으로는, 통기 구멍(24)이 폐색된 상태에서 제1 공간(5)이 감압되거나, 혹은 통기 구멍(24)으로부터 제2 공간(6)으로 공기가 보내짐으로써 제2 공간(6)이 가압되어, 제2 공간(6)의 압력이 제1 공간(5)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이에 의해, 다이어프램(72)의 내주부(721)가 제1 공간(5)을 향해 변위되고, 다이어프램(72)은 제1 공간(5)측으로 팽창되도록 변형된다.
이때, 변형된 다이어프램(72)은 차폐판(28)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다이어프램(72)의 변형이 제한된다. 즉,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된 차폐판(28)이, 다이어프램(72)을 누르는 지그 대신에 다이어프램(72)의 반전이나 변형을 억제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72)을 누르는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기밀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72)이 변형되었을 때, 내주부(721)의 외연이 내주부(281)의 외연에 접촉한다. 내주부(721)의 외연은, 보빈(75)이 접속되어 강도가 향상되어 있으므로, 다이어프램(72)이 내주부(721)의 외연에 있어서 차폐판(28)에 접촉함으로써, 다이어프램(72)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72)이 변형되었을 때, 다이어프램(72)은 외주부(722)와 내주부(721)의 외연에 있어서 차폐판(28)에 접촉하고, 내주부(721)와 내주부(281)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강도가 낮은 내주부(721)에 있어서의 다이어프램(72)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밀 검사 시의 내주부(721)의 변위에 의해 다이어프램(72)이 반전되면, 제1 공간(5)과 제2 공간(6)의 압력차가 감소하였을 때, 다이어프램(72)이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 또는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주부(281)가, 베이스 통부(21)의 축 방향에 있어서 격벽(22)보다 케이스(4)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외주부(282)가, 관통 구멍(23)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이어프램(72)의 반전이 억제되어, 제1 공간(5)과 제2 공간(6)의 압력차가 감소하였을 때, 다이어프램(72)이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 또는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빈(75)의 치수 등을 조정함으로써, 기밀 검사 시에 보빈(75)이 공간(776)에 끼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이러한 상태를 다른 방법으로 유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 플레이트(772) 상에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체로 구성되는 플레이트(777)를 적층함으로써, 보빈(75)이 공간(776)에 끼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개시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주부(721)와 외주부(722)를 다른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외주부(282) 중 외주부(722)와의 접촉면에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다이어프램(72)이 차폐판(28)에 접촉하였을 때, 외주부(722)와 외주부(28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내주부(281), 외주부(282), 내주부(721), 외주부(722)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내주부(281, 721)를 원통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내주부(281)가 제2 공간(6)을 향해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외주부(282), 외주부(722)의 반경 방향을 따른 단면이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16)

  1. 다이어프램(72)을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 발음기이며,
    방음 구멍(84)에 의해 대기에 개방된 제1 공간(5) 및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이격된 제2 공간(6)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1)과,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향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된 차폐판(28)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이 상기 제1 공간을 향해 변위되었을 때, 상기 다이어프램이 상기 차폐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제한되는, 발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발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 공간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된 내주부(721)와, 당해 내주부의 외연으로부터 상기 제1 공간을 향해 경사진 외주부(722)를 구비하고,
    상기 차폐판은, 상기 다이어프램과는 반대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된 내주부(281)와, 당해 내주부의 외연으로부터 상기 다이어프램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진 외주부(282)를 구비하는, 발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된 내주부(721)와, 당해 내주부의 외연으로부터 상기 제1 공간을 향해 경사진 외주부(722)를 구비하고,
    상기 차폐판은, 상기 다이어프램과는 반대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된 내주부(281)와, 당해 내주부의 외연으로부터 상기 다이어프램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진 외주부(282)를 구비하는, 발음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형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부가 상기 차폐판의 외주부에 접촉함으로써 제한되는, 발음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형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내주부의 외연이 상기 차폐판의 내주부의 외연에 접촉함으로써 제한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상기 차폐판에 의해 제한되었을 때, 상기 다이어프램의 내주부와 상기 차폐판의 내주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발음기.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내주부의 외연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기립 설치된 기립 설치부(75)를 구비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상기 차폐판에 의해 제한되었을 때,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기립 설치부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에 접촉하는, 발음기.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의 내주부의 외연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내주부의 외연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발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내주부의 외연은, 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차폐판의 내주부의 외연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내주부의 외연과 직경이 동등한 원 형상으로 되어 있는, 발음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차폐판 중 상기 다이어프램에 접촉하는 접촉면 사이의 거리는, 1㎜ 이상 6㎜ 이하로 되어 있는, 발음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구동부(73)를 구비하고,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차폐판 중 상기 다이어프램에 접촉하는 접촉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이 진동할 때의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위량보다 크게 되어 있는, 발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다이어프램 중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기립 설치된 통 형상의 코어부(75)와,
    상기 코어부에 권취된 보이스 코일(76)과,
    상기 코어부와 축 방향이 일치하는 통 형상의 공간(776)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이스 코일에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코어부를 상기 통 형상의 공간에 끼움 삽입된 상태에서 변위시키는 자기 회로부(77)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이 진동할 때의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위량은, 상기 코어부가 상기 통 형상의 공간에 끼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발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로부는,
    일면 및 다른 면을 갖는 자석(771)과,
    상기 자석의 상기 일면에 접속된 제1 자성부(772)와,
    상기 자석의 상기 다른 면에 접속된 저부(774), 및 상기 저부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으로 돌출된 통부(775)를 갖는 제2 자성부(773)를 구비하고,
    상기 통 형상의 공간은, 상기 자석 및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통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발음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을 고정하는 프레임(71)을 구비하고,
    상기 차폐판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접촉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제한되었을 때, 상기 코어부 중 상기 다이어프램에 접속된 단부(751)는, 상기 코어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중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부분보다 당해 단부의 원래의 위치에 가까운, 발음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차폐판의 접촉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제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의 압력차가 감소하였을 때, 상기 다이어프램은,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 또는 위치로 복귀하는, 발음기.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차폐판의 접촉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제한되었을 때, 상기 코어부는, 상기 통 형상의 공간으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되고,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차폐판의 접촉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제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의 압력차가 감소하였을 때, 상기 다이어프램은,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 또는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이 원래의 형상 또는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통 형상의 공간에 끼움 삽입된 상태로 복귀하는, 발음기.
KR1020197021564A 2017-01-26 2017-09-12 발음기 KR102160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2356 2017-01-26
JP2017012356A JP6635061B2 (ja) 2017-01-26 2017-01-26 発音器
PCT/JP2017/032754 WO2018138955A1 (ja) 2017-01-26 2017-09-12 発音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049A true KR20190099049A (ko) 2019-08-23
KR102160370B1 KR102160370B1 (ko) 2020-09-28

Family

ID=6297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564A KR102160370B1 (ko) 2017-01-26 2017-09-12 발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1110B2 (ko)
JP (1) JP6635061B2 (ko)
KR (1) KR102160370B1 (ko)
CN (1) CN110226332B (ko)
DE (1) DE112017006930T5 (ko)
WO (1) WO2018138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0143B1 (en) * 2018-02-15 2019-08-20 Bose Corporatio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open audio device
DK180111B1 (en) * 2018-10-04 2020-05-06 Upper Level Aps A magnetic system for a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JP7092153B2 (ja) 2019-03-13 2022-06-28 株式会社デンソーエレクトロニクス 発音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12020001180T5 (de) 2019-03-13 2022-03-17 Denso Electronics Corporation Schallerzeug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7294916B2 (ja) * 2019-07-01 2023-06-20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ピーカ筐体
WO2021134214A1 (zh) * 2019-12-30 2021-07-08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发声器件
CN212086487U (zh) * 2020-05-25 2020-12-04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压电式mems麦克风
JP7425938B2 (ja) * 2021-03-12 2024-02-01 株式会社デンソーエレクトロニクス 電気装置
WO2023002883A1 (ja) 2021-07-20 2023-01-26 株式会社デンソーエレクトロニクス 電気装置
JP2023018351A (ja) 2021-07-27 2023-02-08 株式会社デンソーエレクトロニクス 電気装置、および電気装置の製造方法
WO2023171469A1 (ja) * 2022-03-07 2023-09-14 株式会社デンソーエレクトロニクス 発音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9698A (ja) * 2002-11-22 2004-06-24 Citizen Electronics Co Ltd 発音体の構造
JP2016025558A (ja) 2014-07-23 2016-02-08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発音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6030E (en) * 1956-02-28 1966-05-24 Dynamic transducer
US3230319A (en) * 1963-05-24 1966-01-18 Plastic Mold & Engineering Co Dynamic ear phone
JPS5716499A (en) * 1980-07-04 1982-01-27 Citizen Watch Co Ltd Sound generator
US4790020A (en) * 1987-10-26 1988-12-06 Lin Kuang Yao Horn type loudspeakers
ATE400977T1 (de) * 2001-02-26 2008-07-15 Uetax Corp Lautsprecher
JP4444728B2 (ja) * 2004-05-11 2010-03-31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WO2008004272A1 (fr) * 2006-07-03 2008-01-10 Pioneer Corporation Haut-parleur et unité de haut-parleur
US20120266590A1 (en) * 2011-04-25 2012-10-25 Resonance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Broad pressure and frequency range accumulator
JP2013011315A (ja) * 2011-06-30 2013-01-17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防振装置
US10022268B2 (en) * 2013-12-17 2018-07-17 Medical Instrument Development Laboratories, Inc. Diaphragm-position-controlled, multi-mode ocular flui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6419031B2 (ja) 2015-06-30 2018-11-0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用サイドレール
CN205356669U (zh) * 2015-11-30 2016-06-29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扬声器单体
JP2018050141A (ja) * 2016-09-21 2018-03-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音響装置
BR112020019993A2 (pt) * 2018-03-30 2021-01-26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cassetes de bombeamento de líquidos e coletor de distribuição de pressão associado e métodos relacionado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9698A (ja) * 2002-11-22 2004-06-24 Citizen Electronics Co Ltd 発音体の構造
JP2016025558A (ja) 2014-07-23 2016-02-08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発音器
KR20170005111A (ko) * 2014-07-23 2017-01-11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음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51110B2 (en) 2021-06-29
CN110226332A (zh) 2019-09-10
US20190313192A1 (en) 2019-10-10
KR102160370B1 (ko) 2020-09-28
CN110226332B (zh) 2020-11-13
JP6635061B2 (ja) 2020-01-22
DE112017006930T5 (de) 2019-10-10
JP2018121249A (ja) 2018-08-02
WO2018138955A1 (ja)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370B1 (ko) 발음기
US10015599B2 (en) Micro speaker
US11463815B2 (en) Yoke assembly for two-way receiver and two-way receiver having the same
US20220295162A1 (en) Acous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559304B1 (ko) 방수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스피커
CN113545103A (zh) 发声器及其制造方法
JPWO2008059595A1 (ja) スピーカ
EP3119110A1 (en) Loudspeaker
KR101595175B1 (ko) 이중 구동부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JP6206906B2 (ja) 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および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ホン
WO2021187080A1 (ja) 発音器、発音器の取付構造および発音器を取り付けた車両
US11012785B2 (en) Electroacoustic driver and related loudspeaker/sounder
EP1835782A2 (en) Speaker
JP2008141274A (ja) 電気音響変換器
WO2017037755A1 (ja) 電気音響変換器、電気音響変換器を有する組立体およびその組立体を有する電気音響変換器装置
JP4301531B2 (ja) 多機能型発音体
JP2008182394A (ja) 電気音響変換器
US20150341727A1 (en) Electrodynam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diaphragm there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WO2008059596A1 (ja) スピーカ
WO2023171469A1 (ja) 発音器
WO2023203654A1 (ja) マイクロフォン
JP4850245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の実装構造
JP7494815B2 (ja) 電気装置
JP3868851B2 (ja) 電気音響変換器
US20170171665A1 (en) Speak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