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800A -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800A
KR20190098800A KR1020180011677A KR20180011677A KR20190098800A KR 20190098800 A KR20190098800 A KR 20190098800A KR 1020180011677 A KR1020180011677 A KR 1020180011677A KR 20180011677 A KR20180011677 A KR 20180011677A KR 20190098800 A KR20190098800 A KR 20190098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state
status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4694B1 (ko
Inventor
조용성
손승녀
어효경
김승일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Priority to KR102018001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6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60K237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휠체어 이용자에게 교통수단 내의 휠체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동시에 휠체어의 상태를 운전자에 알려 운전자가 안전 운전을 도모하도록 한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휠체어를 탑승시키고 이동할 수 있는 교통수단에 설치되어 탑승하는 휠체어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는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 탑승한 휠체어의 구속상태를 감시하는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에서 감시한 휠체어 고정 상태 정보와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에서 감시한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의 상태 정보를 이용자에 알려주고, 상기 휠체어의 상태정보를 운전자 알림 수단으로 전송하는 이용자 알림 수단 및 이용자 알림 수단과 통신으로 접속되어 휠체어 상태정보를 안전 정보로 운전자에 통보해주는 운전자 알림 수단을 포함하여,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Wheelchair status notification device in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체어 이용자에게 교통수단 내의 휠체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동시에 휠체어의 상태를 운전자에 알려 운전자가 안전 운전을 도모하도록 한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 혹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구로서, 통상 좌석의 양측에 장착된 커다란 휠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키는 수동식 휠체어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팔에 장애가 있거나 여성이나 노약자와 같이 기력이 약한 사용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거의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체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용 휠을 구동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직접적인 힘을 필요하지 않고 조이스틱과 같은 조작 장치를 조작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휠체어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전기를 구동력으로 사용하는 전동식 휠체어는 자체에 유선으로 연결된 조이스틱형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방향제어가 자유롭기 때문에 신체가 불편한 사용자에게 편리한 교통수단이 되고 있으며, 점차 경량화 및 주행제어가 용이하도록 발전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근래의 차량(특히, 저상버스)에는 수동 및 전동식 휠체어를 위한 전용 스테이션도 마련되어 있으며, 휠체어만 전용으로 탑승하기 위한 특수 차량(ST 차량)도 제작되어 운영되고 있다.
휠체어를 교통수단에 탑승시켜 이동하는 교통수단에 대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컨트롤 홈을 구비한 컨트롤러 및 이를 구비한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조이스틱의 상단부에 오목한 형태의 컨트롤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검지나 중지 등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조작하거나 다른 신체 일부만을 걸치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조이스틱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거나 그 외의 신체 일부를 걸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오목한 형태의 컨트롤 홈이 형성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해준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버스탑승을 기다리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있음을 버스 운전자에게 알리어 버스 운전자가 휠체어를 탄 장애인의 탑승 유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저상버스 운전자에게 탑승할 장애인의 정보가 자동으로 전달되어 장애인의 버스 탑승을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하여 저상버스의 계기판 일측에 장애인의 탑승 정보를 신호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인식을 확실하게 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휠체어나 전동휠체어에 장착한 고정 바가 근접함에 따라 액추에이터가 동작하여 걸림 고리가 휠체어나 전동 휠체어에 고정한 고정 바에 걸쳐지면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걸림 고리로 고정 바를 통해 휠체어나 전동 휠체어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60035(2012.06.11. 공개)(컨트롤 홈을 구비한 컨트롤러 및 이를 구동한 전동 휠체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93205(2016.08.08. 공개)(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 탑승 알림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4141(2017.07.27. 등록)(차량용 휠체어 안전 고정장치)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휠체어가 탑승한 일반적인 교통수단 및 종래기술은 이용자의 휠체어를 교통수단(차량)에 고정하거나, 휠체어를 저상버스와 같은 교통수단에 편리하게 탑승시키거나, 이용자가 전동 휠체어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휠체어 이용자가 교통수단에 휠체어와 함께 탑승한 경우 이용자가 휠체어의 상태를 인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운전자도 탑승한 휠체어의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므로, 안전 운전을 도모하기에는 부족하여, 교통수단에 탑승한 휠체어 이용자의 안전을 최적으로 도모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휠체어의 탑승이 가능한 일반적인 교통수단이나 종래기술은 운전자가 휠체어의 탑승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용자 도우미를 통해 확인하거나 운전자가 직접 운전석으로부터 이석한 후 휠체어 장착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는 방식이므로, 운전자가 휠체어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복잡하고, 운전자가 직접 확인하는 방식은 운전자의 이동을 수반하므로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휠체어 이용자에게 교통수단 내의 휠체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동시에 휠체어의 상태를 운전자에 알려 운전자가 안전 운전을 도모하도록 한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는, 휠체어를 탑승시키고 이동할 수 있는 교통수단에 설치되어 탑승하는 휠체어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는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 상기 탑승된 휠체어의 구속상태를 감시하는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 상기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에서 감시한 휠체어 고정 상태 정보와 상기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에서 감시한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의 상태 정보를 이용자에 알려주고, 상기 휠체어의 상태정보를 운전자 알림 수단으로 전송하는 이용자 알림 수단;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과 통신으로 접속되어 휠체어 상태정보를 안전 정보로 운전자에 통보해주는 운전자 알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이용자 알림 수단은 상기 교통수단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휠체어의 고정상태와 구속상태를 도형문자(픽토그램)로 표출해주며, 상기 고정상태는 휠체어를 교통수단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상태정보이며, 상기 구속상태는 휠체어에 탑승한 이용자를 차량에 고정하는 안전벨트의 상태정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이용자 알림 수단은 상기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에서 감시한 휠체어 고정 상태 정보와 상기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에서 감시한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휠체어의 상태를 판별하는 상태정보 분석부; 상기 상태정보 분석부에서 분석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의 상태정보 표시와 전송을 제어하는 상태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이용자 알림 수단은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의 상태표시 제어에 따라 휠체어의 상태를 도형문자로 표시하여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상태 표시부;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휠체어의 상태 정보를 운전자 알림 수단으로 전송하는 상태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태 표시부는 휠체어의 고정 유무를 표시해주는 자물쇠 아이콘; 휠체어 이용자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의 장착 유무를 표시해주는 안전벨트 아이콘; 휠체어의 탑승 유무를 표시해주는 휠체어 탑승 아이콘;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호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에 전달하는 호출 벨을 포함하고, 아이콘 전체 또는 일부 아이콘만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상태를 표출해주거나, 아이콘의 색상을 변경하여 상태를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운전자 알림 수단은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과 통신으로 연결되어 휠체어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휠체어의 상태를 판별하는 상태정보 분석부; 상기 상태정보 분석부에서 분석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의 상태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상태표시 제어부;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의 상태표시 제어에 따라 휠체어의 상태를 도형문자와 문자로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태 표시부는 휠체어의 감지 유무를 표시해주는 휠체어 탑승 아이콘;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이용자 호출 정보를 표출해주는 이용자 호출 아이콘; 이용자 휠체어의 고정 유무를 표시해주는 자물쇠 아이콘; 휠체어 이용자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의 장착 유무를 표시해주는 안전벨트 아이콘을 포함하고,
아이콘 전체 또는 일부 아이콘만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상태를 표출해주거나, 아이콘의 색상을 변경하여 이용자 휠체어 상태를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 사용자에게 교통수단 내의 휠체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의 상태를 운전자에 알려 운전자가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가 내장된 교통수단의 예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이용자 알림 수단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의 운영 시나리오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의 예시도로서, 휠체어(2)를 탑승시키고 이동할 수 있는 교통수단(1), 상기 교통수단(1) 내에 설치되어 탑승하는 휠체어(2)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는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20), 탑승 휠체어(2)의 구속상태를 감시하는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30), 상기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20)에서 감시한 휠체어 고정 상태 정보와 상기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20)에서 감시한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의 상태 정보를 이용자에 알려주고, 상기 휠체어의 상태정보를 운전자 알림 수단(50)으로 전송하는 이용자 알림 수단(40),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40)과 통신으로 접속되어 휠체어 상태정보를 안전 정보로 운전자에 통보해주는 운전자 알림 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20)는 휠체어가 탑승되면 고정상태 감시센서를 이용하여 고정장치가 휠체어를 고정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휠체어(2)의 바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11)에 휠체어의 바퀴가 정상적으로 삽입되면 고정 모듈(12)이 상기 휠체어를 고정하고, 이때 고정상태 감시센서가 상기 고정 모듈(12)과 연동하거나 고정 모듈(12)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휠체어 고정 상태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10)는 휠체어를 탑승한 이용자를 다시 구속하는 안전벨트의 체결 유무를 감시하여 휠체어 구속상태를 판단한다. 안전벨트의 체결 유무를 감지하는 것은 일반적인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기능이므로, 이를 그대로 채택하여 안전벨트의 체결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40)은 상기 교통수단(1)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휠체어(2)의 고정상태와 구속상태를 도형문자(픽토그램)로 표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용자 알림 수단(40)은 휠체어에 탑승한 이용자가 용이하게 휠체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용자는 휠체어에 탑승한 사람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상태는 휠체어를 교통수단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상태정보이며, 상기 구속상태는 휠체어에 탑승한 이용자를 차량에 고정하는 안전벨트의 상태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용자 알림 수단(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20)에서 감시한 휠체어 고정 상태 정보와 상기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30)에서 감시한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41),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41)에서 수신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휠체어의 상태를 판별하는 상태정보 분석부(42), 상기 상태정보 분석부(42)에서 분석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의 상태정보 표시와 전송을 제어하는 상태표시 제어부(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40)은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43)의 상태표시 제어에 따라 휠체어(2)의 상태를 도형문자로 표시하여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상태 표시부(44),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43)의 제어에 따라 휠체어의 상태 정보를 운전자 알림 수단(50)으로 전송하는 상태정보 전송부(45),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43)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상태(휠체어 탑승 상태, 휠체어 고정상태, 휠체어 구속상태, 기타)를 이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4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태 표시부(4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2)의 고정 유무를 표시해주는 자물쇠 아이콘(44a), 휠체어 이용자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의 장착 유무를 표시해주는 안전벨트 아이콘(44c), 휠체어의 탑승 유무를 표시해주는 휠체어 탑승 아이콘(44b),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호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43)에 전달하는 호출 벨(44d)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 표시부(44)는 아이콘 전체 또는 일부 아이콘만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상태를 표출해주거나, 아이콘의 색상을 변경하여 상태를 표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전자 알림 수단(50)은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40)과 통신으로 연결되어 휠체어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51),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51)에서 수신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휠체어의 상태를 판별하는 상태정보 분석부(52), 상기 상태정보 분석부(52)에서 분석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의 상태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상태표시 제어부(53) 및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53)의 상태표시 제어에 따라 휠체어의 상태를 도형문자와 문자로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상태 표시부(54),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상태(휠체어 탑승 상태, 휠체어 고정상태, 휠체어 구속상태, 휠체어 하차 상태, 기타)를 이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55)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표시부(54)는 휠체어의 감지 유무를 표시해주는 휠체어 탑승 아이콘,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40)으로부터 전송된 이용자 호출 정보를 표출해주는 이용자 호출 아이콘, 이용자 휠체어의 고정 유무를 표시해주는 자물쇠 아이콘, 휠체어 이용자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의 장착 유무를 표시해주는 안전벨트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표시부(54)는 아이콘 전체 또는 일부 아이콘만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상태를 표출해주거나, 아이콘의 색상을 변경하여 이용자 휠체어 상태를 표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휠체어(2)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휠체어(2)에 탑승한 상태에서, 교통수단(1)의 정해진 탑승 위치에 탑승을 한다.
휠체어(2)가 정해진 위치에 탑승을 하게 되면,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20)는 휠체어(2)가 고정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고정되었는지를 감시한다. 예컨대, 휠체어(2)의 바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11)에 휠체어(2)의 바퀴가 정상적으로 삽입되면 고정 모듈(12)이 상기 휠체어(2)를 고정한다. 이때 고정상태 감시센서가 상기 고정 모듈(12)과 연동하거나 고정 모듈(12)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휠체어 고정 상태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게 된다.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20)가 휠체어(2)의 고정 상태를 감지하면, 휠체어 고정 상태 정보를 이용자 알림 수단(40)에 전달한다.
또한, 휠체어 이용자가 구속장치인 안전벨트를 정해진 위치에 체결하면,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10)는 휠체어를 탑승한 이용자를 다시 구속하는 안전벨트의 체결 유무를 감시하여 휠체어 구속상태를 감시하고, 그 감시 결과를 구속상태 정보로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40)에 전달한다.
한편,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40)은 상태정보 수신부(41)에서 상기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20)에서 감시한 휠체어 고정상태 정보와 상기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30)에서 감시한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이어, 상태정보 분석부(42)는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41)에서 수신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휠체어의 상태를 판별한다. 예컨대, 휠체어 고정상태 정보로 휠체어가 정상 위치에 고정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로 이용자가 안전벨트를 체결했는지를 판단한다. 이렇게 분석된 휠체어 고정상태 정보 및/또는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상태표시 제어부(43)에 전달된다. 여기서 휠체어(2)가 정해진 위치에 탑승하게 되면, 상기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20)와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30)는 휠체어가 상기 교통수단(1)으로부터 하차할 때까지 실시간으로 휠체어 고정상태와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40)에 전송한다.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정보와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는 인터럽트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휠체어 고정상태가 감지되면 "1"이라는 신호를, 휠체어 고정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0"이라는 신호를, 휠체어 구속상태가 감지되면 "1"이라는 신호를, 휠체어 구속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0"이라는 신호를 인터럽트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43)는 상기 상태정보 분석부(42)에서 분석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의 상태정보 표시와 전송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태표시 제어부(43)는 상기 상태 표시부(44)를 제어하여 휠체어 상태를 표시하되, 휠체어 탑승, 교통수단 주행, 휠체어 하차에 따라 제어 동작을 구분하여 상태 표시 정보를 표시와 전송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에 대응하여 상태 표시부(44)는 휠체어(2)의 상태(휠체어 감지 상태, 고정상태, 구속장치 체결상태. 기타)를 도형문자(픽토그램)로 표시하여 이용자가 용이하게 휠체어의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
예컨대, 휠체어 탑승 초기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표시부(44)는 모든 아이콘을 미표출한다. 이때, 휠체어 탑승 유무를 수행한다. 휠체어 탑승 유무는 휠체어 탑승부터 휠체어 고정까지 시간 측정을 통해 휠체어 탑승을 인지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휠체어 탑승 유무를 확인한 결과 휠체어 탑승으로 판단이 되면, 휠체어 탑승 아이콘(44b)을 표시한다. 이때, 휠체어 탑승 아이콘(44b)은 주황색으로 점등되며, 경보음 발생부(48)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3초 간격)하여 휠체어 탑승 상태를 이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어, 휠체어가 정해진 위치에 정상적으로 탑승한 상태를 표시한 후,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43)의 휠체어 고정상태 정보 및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아이콘을 표출 및 점멸시켜 이용자가 해당 상태를 조작하도록 한다. 즉, 휠체어 탑승이 완료되면, 고정장치를 이행하라는 자물쇠 아이콘(44a)과 안전벨트를 체결하라는 안전벨트 아이콘(44c)을 표출 및 점멸시키고, 경보음 발생부(48)를 통해 경보음(3초 간격)을 발생하여 이용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상태 정보를 인지한 이용자가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정상적으로 고정하면, 휠체어 고정상태 정보를 기초로 자물쇠 아이콘(44a)을 오프시켜, 고정장치가 정상적으로 휠체어를 고정한 것을 이용자에게 알려준다. 동시에 경보음 발생부(48)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3초 간격)하여 휠체어 고정상태를 이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또한, 이용자가 구속장치인 안전벨트에 체결하여 휠체어를 정상적으로 구속하면,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벨트 아이콘(44c)을 오프시켜 안전벨트가 정상적으로 체결되었음을 이용자에게 알려준다. 이어, 경보음 발생부(48)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3초 간격)하여 휠체어 구속상태를 이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때, 휠체어 탑승 아이콘(44b)은 회색으로 점등 색상이 변경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휠체어가 정상 위치에 탑승하고, 고정장치 및 구속장치에 의해 휠체어 고정과 안전벨트 체결이 전부 이루어지면, 상기 휠체어 탑승 아이콘(44b)을 초록색으로 점등시키고 경고음을 소거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탑승시의 상태별로 발생하는 상태정보는 실시간으로 상태정보 전송부(45)를 통해 운전자 알림 수단(50)으로 전송된다.
상기 운전자 알림 수단(50)은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4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휠체어 탑승, 하차, 이동에 따른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태 표시부(54)를 통해 상태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도록 한다.
즉, 휠체어 탑승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 알림 수단(50)의 상태 표시부(54)는 탑승 완료 정보를 수신하기까지 휠체어 탑승 아이콘과 탑승자 확인 아이콘을 교차로 표시하고, 경보음을 표출한다(3초 간격). 이러한 휠체어 탑승 아이콘과 탑승자 확인 아이콘의 교차 표시와 경보음을 통해 운전자는 이용자 휠체어가 정상적으로 탑승하지 않았음을 인지하고, 교통수단(1)의 이동을 중지한다. 이후, 이용자 알림 수단(40)으로부터 전송된 휠체어 상태 정보를 상태정보 분석부(52)에서 분석하여 휠체어가 정상적으로 탑승 완료했다는 상태정보이면, 상태표시 제어부(53)는 상태 표시부(54)를 통해 휠체어 탑승 아이콘을 녹색으로 점등시킨다. 이를 인지한 운전자가 상기 녹색으로 점등된 휠체어 탑승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상기 상패 표시부(54)의 모든 아이콘이 소거된다.
다음으로, 휠체어 하차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가 정상적으로 탑승한 상태에서 교통수단(1)의 주행이 이루어지면, 상기 휠체어 탑승 아이콘(44b)을 초록색으로 점등시키고 경고음을 소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하차를 위해 휠체어 고정장치를 해제하면, 휠체어 탑승 아이콘(44b)이 주황색으로 점등되고, 고정장치 아이콘인 자물쇠 아이콘(44a)이 주황색으로 표출됨과 동시에 점멸 상태로 표시된다. 이어 경보음 발생부(48)에 의해 경보음이 발생하여 이용자가 고정장치가 정상적으로 해제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고정장치를 해제한 이용자가 휠체어 구속장치인 안전벨트를 해제하면,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에 따라, 휠체어 탑승 아이콘(44b)이 주황색으로 점등되고, 구속장치 아이콘인 안전벨트 아이콘(44c)이 주황색으로 표출됨과 동시에 점멸 상태로 표시된다. 이어 경고음 발생부(48)에 의해 경보음이 발생하여 이용자가 안전벨트가 정상적으로 해제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이어, 휠체어 탑승 아이콘(44b)만 주황색으로 점등된 상태에서 경보음 발생부(48)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여 이용자가 휠체어를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이후, 이용자가 휠체어를 이동시켜 하차를 완료되면, 휠체어 감지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가 정해진 탑승 위치에 없는 것으로 인지되면, 모든 아이콘의 표출을 제거하여 초기 상태의 표시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휠체어 하차시의 상태별로 발생하는 상태정보도 실시간으로 상태정보 전송부(45)를 통해 운전자 알림 수단(50)으로 전송된다.
상기 운전자 알림 수단(50)은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40)으로부터 휠체어 하차에 따른 각각의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태를 상태 표시부(54)를 통해 표출하여, 운전자가 휠체어 하차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가 정상적으로 탑승한 상태에서 교통수단(1)의 주행이 이루어지고, 이후 정차를 한 상태에서 구속장치 해제정보가 수신되면, 휠체어 하차 또는 체결 완료시까지 상태표시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상태 표시부(54)는 휠체어 탑승 아이콘과 구속장치인 안전벨트 아이콘을 교차로 표시하고, 경보음을 표출(3초 간격) 하여 운전자가 이용자 구속장치가 해제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고정장치 해제신호가 수신되면, 휠체어 하차 또는 체결 완료시까지 상태표시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상태 표시부(54)는 휠체어 탑승 아이콘과 고정장치 아이콘인 자물쇠 아이콘을 교차로 표시하고, 경보음을 표출(3초 간격) 하여 운전자가 이용자 고정장치가 해제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휠체어 하차 완료시까지 휠체어 탑승 아이콘과 탑승자 확인 아이콘을 교차로 표시하고, 경보음 발생부(55)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하여 운전자가 휠체어 하차중임을 인지하도록 한다.
이어, 휠체어의 하차가 완료되면 휠체어 탑승 아이콘을 회색으로 점등시키고, 운전자의 조작이나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상기 휠체어 탑승 아이콘을 소거하게 된다.
이로써 운전자는 휠체어가 정상적으로 하차했음을 인지하게 된다.
한편, 휠체어를 정상적으로 탑승시키고 교통수단(1)이 이동하는 중에 이용자가 상태 표시부(44)에 구비된 호출 벨(44d)을 누르면, 이용자 호출정보가 발생하고, 상태표시 제어부(43)는 이를 이용하여 호출 정보를 생성하여 상태정보 전송부(45)를 통해 운전자 알림 수단(50)에 호출 정보를 전송하여, 운전자가 운전 도중에 이용자 호출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휠체어를 정상적으로 탑승시키고 교통수단(1)이 이동하는 중에 이용자가 구속장치인 안전벨트를 해제하면, 상태 표시부(44)에는 구속장치 아이콘인 안전벨트 아이콘(44c)이 주황색으로 표출되어 점멸되고, 동시에 경보음 발생부(48)(3초 간격)가 경보음을 발생하여 이용자에게 안전벨트가 해제되었음을 인지시켜준다.
마찬가지로, 휠체어를 정상적으로 탑승시키고 교통수단(1)이 이동하는 중에 이용자가 휠체어 고정장치를 해제하면, 상태 표시부(44)에는 고정장치 아이콘인 자물쇠 아이콘(44a)이 주황색으로 표출되어 점멸되고, 동시에 경보음 발생부(48)(3초 간격)가 경보음을 발생하여 이용자에게 고정장치가 해제되었음을 인지시켜준다.
이후, 이용자가 고정장치를 다시 정상적으로 체결하고, 안전벨트를 정상적으로 체결하면 휠체어 탑승 아이콘이 초록색으로 점등되고, 경보음이 소거된다.
여기서 교통수단(1)의 이동 중 발생하는 각각의 상태정보도 실시간으로 운전자 알림 수단(50)으로 전송된다.
상기 운전자 알림 수단(50)은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40)으로부터 교통수단(1) 이동 중에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각각의 상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운전자가 안전운전과 휠체어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한다.
예컨대, 호출 정보가 수신되면 상태 표시부(54)를 통해 호출 아이콘을 팝-업 형태로 표출한다. 표출되는 호출 아이콘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 형태로 표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보음 발생부(55)를 통해 경보음도 발생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호출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 팝-업으로 표출되는 호출 아이콘은 운전자가 터치를 하거나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소거된다.
다음으로, 수신한 상태 정보가 구속장치 이탈 정보이면 휠체어 탑승 아이콘 및 구속장치 아이콘인 안전벨트 아이콘을 교차로 표시하고, 경보음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태를 픽토그램과 같은 도형문자로 표시하거나 장치 확인이라는 문구를 동시에 이용하여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상태 정보가 고정장치 이탈 정보이면 휠체어 탑승 아이콘 및 고정장치 아이콘인 자물쇠 아이콘을 교차로 표시하고, 경보음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태를 픽토그램과 같은 도형문자로 표시하거나 장치 확인이라는 문구를 동시에 이용하여 표출할 수 있다.
아울러 휠체어 탑승 완료시까지, 휠체어 탑승 아이콘 및 탑승자 확인 아이콘을 교차로 표시하고, 경보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자가 교통수단에 탑승하면 이용자가 한눈에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게 휠체어 탑승 상태를 인지하도록 하고, 동시에 휠체어를 탑승시키고 교통수단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도 운전자가 직접 육안으로 휠체어 상태를 확인하는 불편함 없이 운전석에서 정확하게 휠체어 탑승 또는 하차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교통수단에 휠체어를 탑승하고 이동할 때 휠체어 이용자 및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휠체어의 탑승 또는 하차 상태를 인지하도록 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 교통수단
2: 휠체어
11: 고정장치
12: 고정모듈
20: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
30: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
40: 이용자 알림 수단
41: 상태정보 수신부
42: 상태정보 분석부
43: 상태표시 제어부
44: 상태 표시부
45: 상태정보 전송부
48: 경보음 발생부
50: 운전자 알림 수단
51: 상태정보 수신부
52: 상태정보 분석부
53: 상태표시 제어부
54: 상태 표시부
55: 경보음 발생부

Claims (7)

  1. 교통수단에서 탑승 또는 하차한 휠체어 상태를 휠체어 이용자 및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장치로서,
    휠체어를 탑승시키고 이동할 수 있는 교통수단에 설치되어 탑승하는 휠체어의 고정 상태를 감시하는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
    상기 탑승한 휠체어의 구속상태를 감시하는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
    상기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에서 감시한 휠체어 고정 상태 정보와 상기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에서 감시한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의 상태 정보를 이용자에 알려주고, 상기 휠체어의 상태정보를 운전자 알림 수단으로 전송하는 이용자 알림 수단; 및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과 통신으로 접속되어 휠체어 상태정보를 안전 정보로 운전자에 통보해주는 운전자 알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은 상기 교통수단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휠체어의 고정상태와 구속상태를 도형문자(픽토그램)로 표출해주며, 상기 고정상태는 휠체어를 교통수단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상태정보이며, 상기 구속상태는 휠체어에 탑승한 이용자를 차량에 고정하는 안전벨트의 상태정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은 상기 휠체어 고정상태 감시부에서 감시한 휠체어 고정 상태 정보와 상기 휠체어 구속상태 감시부에서 감시한 휠체어 구속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휠체어의 상태를 판별하는 상태정보 분석부; 상기 상태정보 분석부에서 분석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의 상태정보 표시와 전송을 제어하는 상태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은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의 상태표시 제어에 따라 휠체어의 상태를 도형문자로 표시하여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상태 표시부;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휠체어의 상태 정보를 운전자 알림 수단으로 전송하는 상태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5. 청구항 3에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휠체어의 고정 유무를 표시해주는 자물쇠 아이콘; 휠체어 이용자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의 장착 유무를 표시해주는 안전벨트 아이콘; 휠체어의 탑승 유무를 표시해주는 휠체어 탑승 아이콘;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호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에 전달하는 호출 벨을 포함하고, 아이콘 전체 또는 일부 아이콘만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상태를 표출해주거나, 아이콘의 색상을 변경하여 상태를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운전자 알림 수단은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과 통신으로 연결되어 휠체어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휠체어의 상태를 판별하는 상태정보 분석부; 상기 상태정보 분석부에서 분석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휠체어의 상태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상태표시 제어부;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의 상태표시 제어에 따라 휠체어의 상태를 도형문자와 문자로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7. 청구항 6에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휠체어의 감지 유무를 표시해주는 휠체어 탑승 아이콘; 상기 이용자 알림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이용자 호출 정보를 표출해주는 이용자 호출 아이콘; 이용자 휠체어의 고정 유무를 표시해주는 자물쇠 아이콘; 휠체어 이용자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의 장착 유무를 표시해주는 안전벨트 아이콘을 포함하고,
    아이콘 전체 또는 일부 아이콘만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상태를 표출해주거나, 아이콘의 색상을 변경하여 이용자 휠체어 상태를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KR1020180011677A 2018-01-30 2018-01-30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KR10209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677A KR102094694B1 (ko) 2018-01-30 2018-01-30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677A KR102094694B1 (ko) 2018-01-30 2018-01-30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800A true KR20190098800A (ko) 2019-08-23
KR102094694B1 KR102094694B1 (ko) 2020-03-30

Family

ID=6776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677A KR102094694B1 (ko) 2018-01-30 2018-01-30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69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226A (ja) * 1997-07-11 1999-02-02 Ige:Kk 車椅子運転型車両
KR20120060035A (ko) 2010-12-01 2012-06-11 이관식 컨트롤 홈을 구비한 컨트롤러 및 이를 구비한 전동 휠체어
US20130088348A1 (en) * 2011-09-15 2013-04-11 Verbu B.V.B.A. Methods for ensuring the safety of a wheelchair passenger in a transport vehicle
KR20160093205A (ko) 2015-01-28 2016-08-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 탑승 알림장치
JP6145418B2 (ja) * 2014-03-25 2017-06-1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載機および車両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758721B1 (ko) * 2015-09-11 2017-07-18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대중교통 수단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KR101764141B1 (ko) 2016-04-29 2017-08-03 주식회사이지무브 차량용 휠체어 안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226A (ja) * 1997-07-11 1999-02-02 Ige:Kk 車椅子運転型車両
KR20120060035A (ko) 2010-12-01 2012-06-11 이관식 컨트롤 홈을 구비한 컨트롤러 및 이를 구비한 전동 휠체어
US20130088348A1 (en) * 2011-09-15 2013-04-11 Verbu B.V.B.A. Methods for ensuring the safety of a wheelchair passenger in a transport vehicle
JP6145418B2 (ja) * 2014-03-25 2017-06-1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載機および車両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60093205A (ko) 2015-01-28 2016-08-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 탑승 알림장치
KR101758721B1 (ko) * 2015-09-11 2017-07-18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대중교통 수단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KR101764141B1 (ko) 2016-04-29 2017-08-03 주식회사이지무브 차량용 휠체어 안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694B1 (ko) 202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1655B2 (en) Methods for ensuring the safety of a wheelchair passenger in a transport vehicle
JP5183044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CN110386101B (zh) 座椅组件、安全带安全性系统和方法
KR101889963B1 (ko)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WO2013008300A1 (ja) 車両の緊急退避装置
WO2004047034A3 (en) Infant safety device
CN109715463A (zh) 用于运行机动车的方法
KR101877673B1 (ko) 어린이 탑승 차량용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40126928A (ko) 차량용 하차 경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248850A (ja) 居眠り防止装置
KR20190080199A (ko)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
JP2015064764A (ja) 車載装置
JP2002166743A (ja) 車両安全運行管理装置
KR20160061160A (ko) 안전벨트 착용 판단 시스템
KR20190098800A (ko) 교통수단에서 휠체어 상태 알림 장치
KR102458287B1 (ko) 택배 트럭 안전제어기
KR101611926B1 (ko) 차량 탑승객 안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차량 탑승객 안전 관리 방법
JP2010140394A (ja) バスロケーションシステム、表示装置
JP2002079910A (ja) シートベルト用警報装置及び方法
JP2006082602A (ja) 自動ブレーキ補助システム
JP3554043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安全監視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安全監視方法
KR102425632B1 (ko)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KR102416185B1 (ko)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JP2004189451A (ja) 車両の無資格者運転防止装置
KR20190000493U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