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185B1 -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185B1
KR102416185B1 KR1020200123689A KR20200123689A KR102416185B1 KR 102416185 B1 KR102416185 B1 KR 102416185B1 KR 1020200123689 A KR1020200123689 A KR 1020200123689A KR 20200123689 A KR20200123689 A KR 20200123689A KR 102416185 B1 KR102416185 B1 KR 10241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elt
unit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271A (ko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이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영 filed Critical 이준영
Priority to KR102020012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1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271A/ko
Priority to KR1020220079043A priority patent/KR2022009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occupants, e.g. for indicating disabled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B60R2022/4875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어린이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표시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시지 표시 장치는 적어도 벨트의 착용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벨트의 착용 여부에 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광원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발광부; 및 상기 수신부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부가 벨트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STICKER VEHICLE MESSAGE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CHILDREN SAFE BELT}
본 발명은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어린이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표시하는 스티커 형태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집 통학 차량에서 어린이를 하차시키는 것을 학생 책임자가 깜빡 잊어버려 어린이가 땡볕에 노출된 차안에 장시간 방치돼 안타깝게 목숨을 잃는 사고가 종종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건으로 인해 이른바 슬리핑 차일드 체크(sleeping child check) 제도의 도입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슬리핑 차일드 체크 제도는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 시행중인 제도로 통학 차량의 가장 뒷자리에 버튼을 설치해서 운전기사가 이 버튼을 누르지 않고 시동을 끄면 경고음이 울리는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차 안에 남아 있는 아이들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이다.
슬리핑 차일드 체크 제도 외에도 어린이의 승하차 과정을 전산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어린이가 지문이나 카드로 승차할 때와 하차할 때 단말기에 등록을 하면, 담당 교사와 부모에게 실시간으로 아이가 어디서 타고 내렸는지 알림 문자가 전송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들은 어린이가 차량에 방치되었는지 확인하는 보조적인 방법에 불과해서 어린이의 차량 내 방치 사고의 예방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시도들은 어린이 통학 차량 외에 각 가정의 차량에서 활용하기에는 다소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한편, 위와 같은 어린이의 승하차 확인과 관련된 어린이 안전 문제는 아주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어린이의 차량 탑승과 관련한 안전 문제는 매우 다양한 부분에서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로교통법 및 그 시행령에 따라 6세 미만의 영유아는 유아보호용장구(카시트)를 장착하고 카시트의 안전 벨트를 매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그러나 보호자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카시트의 안전 벨트를 올바르게 매지 않거나, 또는 보호자가 운전하는 동안 보호자도 모르게 어린이가 안전 벨트를 풀어버려서 카시트의 안전 실효성이 문제되기도 한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에 어린이가 탑승하고 있음을 주위 차량에 알리기 위해 어린이 탑승 차량의 뒷유리 등에 "아이가 타고 있어요", "위급시 아이 먼저 구해주세요", 또는 "baby on board" 등의 메시지를 담은 스티커를 부착하기도 한다. 이러한 스티커를 통해 주위 차량의 양보 내지는 배려를 구하거나, 또는 어린이 탑승 차량의 사고 발생시 어린이를 우선적으로 구조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위와 같은 스티커는 본래의 의미와는 다르게 패션 아이템과 같이 이용되는 실정이다. 예컨대 "까칠한 아이가 타고 있어요", "아이 말고 저부터 구해주세요", "차안에 판검사될 내 새끼 있다" 등의 메시지를 담은 스티커 문구는 유머스러운 표현 방식으로 인해 실소를 자아내기도 하는 반면, 경우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의구심을 품게 하여 되려 불쾌감을 자아내거나 눈살을 찌푸리게 하기도 한다.
더욱이, 초보 운전자이니 배려를 구한다는 취지로 부착하는 스티커 중에도 "초보라고 얕보다가 큰일납니다", "사고나도 책임 못지니까 알아서 비키세요", "차주 성격 있음" 등의 스티커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풍겨 반발 심리를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스티커들을 부착한 차량을 주위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탓에 어린이 안전을 위한 스티커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인식이 무덤덤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어린이 안전을 위한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차량을 각별히 배려 한다거나, 주의를 기울이는 일이 드물어지고 있으며, 위와 같은 어린이 안전 스티커의 실효성은 거의 사라지고 있다.
이에 어린이의 차량 탑승과 관련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961761호 "통학차량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2019.03.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린이의 차량 관련 사고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어린이 안전 사고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어린이의 차량 탑승 안전도 향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메시지 표시 장치는, 적어도 벨트의 착용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벨트의 착용 여부에 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광원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발광부; 및 상기 수신부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부가 벨트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수신부가 벨트 미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는 소정의 세기 이상의 충격 여부를 더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충격 여부에 관한 충격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의 충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발광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는 동안 상기 수신부가 충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의 광원을 점멸시키는 점멸 신호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충격 정보가 상기 소정의 세기 보다 큰 제1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광원을 소정의 시간 동안 점멸한 후 점멸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정보가 제1 세기 보다 큰 제2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센싱부로부터 벨트 미착용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점멸을 지속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무선으로 상기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센싱부는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수신부 및 상기 발광부는 차량의 상시 전원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발광부는, 유연성을 갖는 면발광 LED 기판으로서, 메시지가 문자인 경우, 통상의 사람이 상기 문자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문자를 올바르게 읽을 수 있는 일면, 및 상기 문자가 거꾸로 읽히는 타면을 갖는 면발광 LED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부는,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된 점착층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발광부는 차량의 뒷유리의 내측면 상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면발광 LED 기판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을 향해 모두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고, 각각 광원을 포함하는 제1 발광 영역과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발광 영역은 차량의 상시 전원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제2 발광 영역은 차량의 시동 전원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상기 동작 신호는 상기 제1 발광 영역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동력 제어부로부터 전진 기어(drive gear) 상태, 후진 기어(back gear) 상태, 중립(neutral) 상태 및 주차(parking)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동력 제어부의 기어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부는, 후진 기어 상태 또는 주차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발광 영역에 점멸 신호를 제공하고, 전진 기어 상태 또는 중립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발광 영역에 점멸 신호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후미등 제어부로부터 제동등(break lamp)의 동작 상태, 후진등(back-up lamp)의 동작 상태 및 방향 지시등(turn signal lamp)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후미등 제어부의 후미등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부는, 제동등 동작 상태, 후진등 동작 상태 또는 방향 지시등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발광 영역에 점멸 신호를 제공하고, 제동등 미동작 상태, 후진등 미동작 상태 또는 방향 지시등 미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발광 영역에 점멸 신호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동작 또는 점멸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제1 발광 영역은 상기 벨트 착용 여부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의 센싱부가 하나의 수신부와 매칭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센싱부 중 어느 하나라도 벨트의 착용 상태를 수신부에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신부는 좌석 또는 카시트의 착석 여부에 관한 착석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의 상태 정보와 상기 착석 정보에 기반하여, 착석 정보가 수신되나, 벨트 미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벨트 착용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과 관련된 어린이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는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전원이 계속해서 공급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시동을 끄고 차에서 내리더라도 아직 벨트를 매고 차 내부에 남아 있는 어린이가 있음을 운전자에게 쉽게 안내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하차 후 메시지 표시 장치에 불이 들어온 걸 보고서 하차를 누락시킨 어린이를 다시 하차시키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고, 메시지 표시 장치가 발광을 하지 않은 경우에야 비로소 완전한 하차를 다시 한번 확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차량용 스티커는 차의 외부에 부착되어서 오염되기 쉬우며 야간이나 날씨가 좋지 못한 경우에는 시인성이 극도로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도 언제나 동일한 메시지가 노출되기 때문에 해당 메시지의 정보 전달력이 약해져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패션 아이템 정도로 취급되고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오염에도 강하며 자체 광원으로 인해 야간에도 시인성이 높고 정보 전달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 어린이가 탑승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동작을 하지 않는 반면,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러한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과 같은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가 보편화되어 해당 메시지 표시 장치를 부착한 차량을 발견한 경우, 주위 차량은 어린이 안전 스티커의 의미를 다시금 상기하고서 "저 메시지는 패션 아이템이 아니라, 저 차량에는 정말로 아이가 탑승하고 있으니 각별히 주의를 해야 겠군!"과 같은 인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는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 외에도 사전에 설정된 소리를 알람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서 단순히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된 스티커에 비해서 정보 전달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보호자가 운전 중에라도 어린이가 카시트의 안전 벨트를 풀어버린 경우 소리를 통해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어린이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다.
그 외에도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면서 룸미러를 통해서 본 발명의 메시지 표시 장치의 발광 여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 중에 아이가 카시트를 풀더라도 이를 손쉽게 알아차려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센싱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벨트 센싱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발광부가 차량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센싱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차량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1)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에 따른 벨트 센싱부(100)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400)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발광부(400)가 차량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1)는 벨트 센싱부(100), 벨트 센싱부(100)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0), 수신부(200)에서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발광부(40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및 광원을 포함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 센싱부(100)는 차량 내 탑승자, 예컨대 영유아 또는 어린이의 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유아 또는 어린이를 위한 카시트의 벨트 장치는 양 어깨로부터 내려오는 두개의 어깨 벨트(B)와 다리 사이로부터 올라오는 벨트 소켓(S)을 포함하는 중앙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두개의 어깨 벨트(B)는 중앙 벨트(S)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카시트의 벨트 안전 장치가 3점식 벨트로 구성될 경우, 벨트 센싱부(100)는 벨트 소켓(S)에 내장될 수 있다. 즉, 어깨 벨트(B)가 벨트 소켓(S)에 삽입되어 결합이 수행되면 접촉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이 이를 감지하고, 안전 벨트를 착용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반면 어깨 벨트(B)가 벨트 소켓(S)에서 이탈 및 분리되면 이를 감지하고, 안전 벨트가 미착용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 센싱부(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카시트의 벨트 장치는 양 어깨로부터 내려오는 두개의 어깨 벨트(B)와 다리 사이로부터 올라오는 중앙 벨트(B)를 포함하고, 세개의 벨트(B)들은 벨트 소켓(S)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벨트 센싱부(100)는 벨트 소켓(S)에 내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성인의 벨트 착용, 또는 카시트의 고정을 위한 차량의 벨트 장치는 벨트(B) 및 벨트 소켓(S)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센서가 내장된 벨트 센싱부(100)에는 벨트(B)가 삽입되고, 벨트 소켓(S)에는 벨트 센싱부(100)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성인의 벨트 착용, 또는 카시트의 고정을 위한 차량의 벨트는 벨트 및 벨트 소켓을 포함하되, 차량에 설치된 상기 벨트 소켓에 벨트 센싱부(100)가 내장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벨트 센싱부(100)는 영유아, 어린이를 위한 카시트의 벨트 장치, 또는 차량에 이미 설치된 벨트 소켓, 또는 이들과 상응하는 결합 구조를 갖는 별도의 추가 소켓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벨트 센싱부(100)는 소켓 등에 내장된 자체 전원인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수신부(200), 제어부(300) 및 발광부(400)는 일체화되어 하나의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세트는 전술한 벨트 센싱부(100)를 포함하는 벨트 소켓과 물리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수신부(200)는 벨트 센싱부(100)와 차량 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에 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발광부(400)의 동작을 위한 트리거로 활용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Bluetoot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부(200)와 벨트 센싱부(100)는 유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신부(200)는 차량 제어부와도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의 예로는 차량이 운행 중인지 여부, 차량의 운행 속도 또는 운행 속도가 소정의 기준 이상 또는 이하인지에 관한 정보, 차량의 도어의 개폐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수신부(200)는 상기 정보를 발광부(400)의 동작을 위한 트리거로 활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수신부(200)가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발광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수신부(200) 등이 수신한 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S100), 벨트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발광부(4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200). 반면, 벨트 미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발광부(400)를 미동작시키기 위한, 즉 광원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신호를 제공하거나, 또는 신호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S250).
발광부(400)는 광원을 포함하여 제어부(300) 신호에 따라 발광을 하거나, 하지 않거나, 또는 발광의 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광부(400)는 유연성을 갖는 면발광 LED 기판일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400)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변화할 수 없고, 미리 정해진 문자만을 사람에게 시인되도록 전달할 수 있다.
면발광 LED 기판은 매우 얇은 두께, 예컨대 약 1.0cm 이하, 또는 약 0.8cm 이하, 또는 약 0.6cm 이하, 또는 약 0.4c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면발광 LED 기판은 일면과 타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면발광 LED 기판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문자인 경우, 발광부(400)는 통상의 사람이 상기 문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문자를 올바르게 읽을 수 있는 일면과, 상기 문자가 거꾸로 읽히는 타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메시지가 한글인 경우, 한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 문자를 바르게 읽을 수 있는 면을 일면으로 지칭한다. 도 6 및 도 7은 발광부(400)의 상기 일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400)는 상기 일면 측 상에 배치된 점착층 내지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여 스티커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을 이용해 발광부(400)를 차량의 내측면, 예컨대 뒷유리의 내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종래의 차량용 메시지 스티커는 차량의 뒷유리 외측면 등에 부착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부(400)는 차량의 뒷유리 내측면에 부착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종래의 차량용 스티커는 차량의 외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오염에 취약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 즉 발광부(400)는 차량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도록 부착되어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자체 발광이 가능하기 때문에 날씨가 좋지 않은 경우, 또는 밤에도 쉽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발광부(400), 즉 면발광 LED 기판은 상기 일면과 타면을 향해 모두 발광할 수 있다. 즉, 차량 뒷유리에 부착된 면발광 LED 기판이 상기 일면 측으로 발광한 빛은 차량의 뒷유리를 투과하여 후방 차량에게 시인될 수 있고, 상기 타면 측으로 발광한 빛은 앞 열(front row) 시트 측으로 진행되어 운전자가 룸미러 등을 통해 타면 측으로 발광한 빛을 시인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어린이가 차량의 운행 중에서 혼자서 카시트의 안전 벨트를 푸는 경우, 벨트 센싱부(100)가 이를 감지하여 발광부(400)를 발광을 중단시키되, 발광부(400)가 상기 일면 측(차량 후방측) 뿐 아니라 상기 타면 측(차량 전방측)으로 빛을 진행시켜 운전자가 쉽게 알아차리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부(400)는 박막형 면발광 LED가 아니라, LED 패널 또는 점등식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부(400)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복수개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가변적으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발광부(400)(및 수신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세트)는 차량의 시동, 또는 전원의 on/off와 무관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400)는 차량의 상시 전원, 즉 블랙 박스가 연결되는 것과 동일한 상시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부(400)가 독립된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나, 전술한 벨트 센싱부(100)는 주로 스위칭 온, 또는 스위칭 오프의 신호만을 발생시키는 반면, 발광부(400)는 광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전원의 수명 측면에서 차량의 상시 전원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발광부(400)와 벨트 센싱부(100)가 각각 차량의 시동, 또는 전원의 on/off와 무관하게 독립된 전원, 또는 차량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받는 상시 전원 배선과 연결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 내에 실수로 영유아, 또는 어린이를 하차시키지 않고 남겨두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끄고 하차한 후에도, 벨트 센싱부(100)가 벨트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고 발광부(400)가 빛을 발광하는 경우, 하차한 운전자는 발광하는 발광부(400)를 보고 실수하였음을 알아차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발광부(400)는 발광 영역(410) 및 미발광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영역(410)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담은 문자 형태로 구현되고, 미발광 영역(420)은 발광 영역(4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미발광 영역(420)은 발광 영역(410)이 발광할 경우에, 발광 영역(410)의 시인성을 돋보이도록 하는 색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발광 영역(410)이 각각 폐곡선을 그리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경우, 예컨대 발광 영역(410)이 문자 '아'의 'ㅇ', 문자 '아'의 'ㅏ' 영역들을 포함하는 경우 미발광 영역(420)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영역들을 연결하는 배선 등이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1)는 어린이의 안전 벨트와 연계된 벨트 센싱부(100) 및 발광부(400)를 이용하여 주위 차량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종래의 차량용 스티커가 패션 아이템과 같이 사용되는 실정을 고려할 때, 본 발명과 같이 특유하게 동작하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1)를 바라본 주위 차량의 운전자는 해당 차량에 실제로 아이가 탑승하고 안전 벨트를 착용 중임을 알아차릴 수 있고, 보다 적극적인 양보 내지는 배려가 가능하다. 반면 아이가 있는 가정의 차량이라 하더라도 실제로 아이가 탑승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1)의 발광부(400)가 발광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을 주위 차량에게 알릴 수 있고, 정말 필요한 경우에만 작동하고, 그렇기 때문에 작동하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배려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 내용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도 1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방법 또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도 2에서 설명한 동작에 더하여, 벨트 센싱부의 충격 여부를 센싱하고 이를 발광부의 동작에 반영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어부는 수신부 등이 수신한 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S100), 벨트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발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200). 반면, 벨트 미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발광부를 미동작시키기 위한, 즉 광원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신호를 제공하거나, 또는 신호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S250).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광부가 동작하는 동안(S200), 벨트 센싱부, 또는 별도의 충격 센싱부는 충격 상태를 센싱하고 수신부를 이를 수신하며, 제어부는 수신부 등이 수신한 충격 상태와 충격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S310). 반면, 발광부가 동작하지 않는 동안(S250)에는 본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수신부가 센싱부로부터 충격이 있음에 관한 충격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제1 세기, 또는 제2 세기), 제어부는 발광부를 점멸 동작하기 위한 점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330, S350).
상기 센싱부가 측정한 충격은 영유아 또는 어린이가 벨트를 벨트 소켓에서 억지로 분리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한 충격, 또는 차량 사고 발생시 벨트 소켓에 내장된 센싱부에 전해지는 충격 등일 수 있다. 충격의 센싱을 위한 센싱부의 구현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충격 센서,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만일 자이로 센서에 의해 센싱부가 정상 범위 밖의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차량의 가속도 또는 감속도가 정상 범위 외인 경우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 즉 어린이가 안전 벨트를 강제로 풀려는 시도를 하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상황에는 발광부를 단순히 점등하는게 아니라, 점멸 동작을 하도록 하여 이를 주위 차량 및 운전자에게 긴급도를 부각하고, 메시지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baby on board'는 차량 내에 아이가 타고 있으나 아이를 우선적으로 구해달라는 의미로 통용된다. 만일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를 부착한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고, 발광부가 점멸 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 주위 차량으로서는 아이를 구하기 위한 시도를 하거나, 적어도 응급 대원 들에게 사고 신고를 함에 있어 아이가 탑승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 등이 센싱된 충격이 제1 세기 이상(그리고 후술할 제2 세기 미만)일 경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만 발광부가 점멸하고, 이후 정상 동작, 즉 지속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30).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제1 세기 이상의 정도는 어린이가 강제로 벨트를 벗기려는 상황으로 추정되는 충격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를 일정 시간, 예컨대 10초 동안만 점멸 동작하게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아이의 벨트 착용 여부를 재확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 등이 센싱된 충격이 제1 세기 보다 큰 제2 세기 이상일 경우, 시간의 제한 없이 발광부를 계속해서 점멸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50).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제2 세기 이상의 정도는 사고의 발생 상황으로 추정되는 충격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상황과 달리, 단순히 운전자에게 알리는 정도가 아니라, 사고 상태가 해소될 때까지 점멸을 지속하여 긴급 상황을 주위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점멸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은 벨트 센싱부로부터 벨트의 착용 상태를 수신하고(S370), 이를 트리거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만일 벨트의 미착용 상태가 수신될 경우, 사고 차량으로부터 아이를 구출하기 위해 벨트를 벗긴 상황으로 추정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불필요한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기 보다 발광부를 미동작시킬 수 있다(S250). 반면 계속해서 벨트 착용 상태가 수신될 경우 아이가 여전히 차량의 카시트 내에 있는 상황으로 추정될 수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발광부를 점멸 동작시킬 수 있다(S35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2)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1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 센싱부(120)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방법 또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도 2 또는 도 8에서 설명한 동작에 더하여, 또는 전술한 동작과 다른 측면에서, 벨트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00) 뿐 아니라 이와 병렬적으로 착석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석 센싱부(120)는 카시트 내부에 설치되어, 영유아 또는 어린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시트의 바닥 부분에 설치된 압력 센서, 무게 센서, 또는 온도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착석 센싱부(120)는 벨트 센싱부(110)와 마찬가지로 차량 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부(20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200)는 착석 센싱부(120)로부터 좌석 또는 카시트의 착석 여부에 관한 착석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단순히 벨트의 착용 여부에 따라 발광부(400)를 동작하거나, 동작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착석 센싱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더 활용하여 보다 정밀하고 다양화된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벨트의 착용 상태와 아이의 착석 상태가 모두 감지될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이 발광부(400)를 발광시켜 면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안전 벨트의 착용 상태는 감지되나 착석 상태는 감지되지 않거나, 안전 벨트의 착용 상태와 착석 상태가 모두 미감지될 경우 발광부(400)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경우, 사용자가 악의적으로 아이가 탑승하지 않았음에도 카시트 안전 벨트의 벨트 센싱부(110)를 이용할 경우 발광부(400)를 동작시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접목시킬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아이의 착석 상태는 감지되나 벨트의 착용 상태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스피커 등을 이용해 알람을 제공하거나, 발광부(400)를 점멸 동작시킬 수 있다. 본 상황은 아이가 차량에 탑승했음에도, 보호자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카시트 벨트를 매지 않은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카시트 벨트를 착용할 때까지 시각적 또는 청각적 알람을 발생하여 아이의 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3)의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3)는 하나의 수신부(200)가 복수의 벨트 센싱부(101, 102)와 매칭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가정용 차량, 예컨대 승용차 외에 다수의 어린이가 탑승하는 어린이 통학 차량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통학을 위한 선생님이나 운전자가 각 좌석의 어린이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일일이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3)는 제1 벨트 센싱부(101) 및 제2 벨트 센싱부(102)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싱부들의 신호가 하나의 수신부(200)에 수신되고, 이를 기초로 발광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벨트 센싱부들(101, 102) 중 어느 하나라도 벨트 착용 상태를 수신부(200)에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발광부(400)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여 발광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미리 설정된 개수의 모든 센싱부들(101, 102)에서 모두 벨트 미착용 상태가 감지되어야 비로소 제어부(300)는 발광부(400)의 동작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슬리핑 차일드 체크 방식이 버튼을 누르기 위해 운전자가 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나씩 좌석을 확인해야 하는 방식임에 비해 본 발명은 어느 하나라도 벨트가 풀리지 않을 경우, 운전자 또는 통학 도우미 선생님이 하차 후에도 발광부(400)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 미하차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400)는 '아기가 타고 있어요'라는 메시지 뿐 아니라, 벨트 센싱부들(101, 102)이 감지한 숫자를 카운트하여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카운트된 숫자 표시는 차량의 후방(즉, 전술한 일면 측, 후방 차량이 올바르게 읽을 수 있는 측) 또는 차량의 전방(즉, 전술한 타면 측, 운전자가 올바르게 읽을 수 있는 측)을 향해 모두 발광하도록 구성된 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특히 숫자 표시를 시인함에 있어서, 발광부(400)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거꾸로된 메시지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운전자 또한 룸미러를 통해 뒤집힌 이미지를 시인하기 때문에, 룸미러를 통해 발광부(400)를 바라보는 운전자는 결과적으로 바르게 된 문자를 읽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3)는 아이가 한명이라도 탑승했을 경우, '아이가 타고 있어요' 부분을 발광하여 아이를 미하차시키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벨트 센싱부들에 의해 카운트된 숫자 부분을 함께 발광하여 현재 탑승 중인 아이의 숫자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몇 명이 탑승하였고, 몇 명이 하차하였는지, 현재 위치에서 몇 명이 남아 있는 것이 정상인지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4)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차량 제어부(900)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400)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방법 또는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동작에 더하여, 또는 전술한 동작과 다른 측면에서, 차량 제어부(9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900)는 차량의 배전반 등과 같이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4)와 별개의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차량 제어부(900)는 동력 제어부(910) 및 후미등 제어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제어부(910)(또는 구동계 제어부, 기어 제어부)는 차량의 전진, 후진 등을 제어하고, 신호를 제공받거나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4)의 제어부(300)는 차량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차량의 동력 제어부(910)로부터 전진 기어(drive gear) 상태, 후진 기어(back gear) 상태, 중립(neutral) 상태 및 주차(parking)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발광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후미등 제어부(920)는 차량의 후면에 위치한 복수의 램프를 제어하고, 신호를 제공받거나,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4)의 제어부(300)는 차량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차량의 후미등 제어부(920)로부터 제동등(break lamp)의 동작 상태, 후진등(back-up lamp)의 동작 상태 및 방향 지시등(turn signal lamp)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발광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광부(400)는 발광 영역(410)과 미발광 영역(420)을 포함하고, 발광 영역(410)은 제1 발광 영역(411)(또는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 영역(412)(또는 제2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411)과 제2 발광 영역(412)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 영역(411)과 제2 발광 영역(412) 중 어느 하나는 꺼지고 다른 하나는 켜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발광 영역(411)과 제2 발광 영역(412)의 발광의 세기, 즉 휘도는 다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발광 영역(411)과 제2 발광 영역(412)의 발광 색상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411)은 미리 정해진 문자 모양대로 발광하는 부분일 수 있고, 제2 발광 영역(412)은 제1 발광 영역(411)을 둘러싸며, 제1 발광 영역(411)을 강조하거나, 또는 타인의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또는 독자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발광 영역(420)은 제2 발광 영역(412)을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광부(400)의 제1 발광 영역(411)은 차량의 상시 전원과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이 꺼지거나, 또는 차량의 전원이 on/off 상태와 무관하게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발광부(400)의 제2 발광 영역(412)은 차량의 시동 전원과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이 켜지거나, 적어도 차량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만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발광부(400)의 제1 발광 영역(411)은 전술한 도 2 등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벨트 센싱부(100), 충격 센싱부(미도시), 착석 센싱부(미도시) 등의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발광 상태를 유지하거나, 점멸 동작하거나, 미발광할 수 있다.
반면, 발광부(400)의 제2 발광 영역(412)은 차량의 동력 제어부(910) 또는 후미등 제어부(9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제어부(910)로부터 후진 기어에 관한 상태, 또는 주차 기어에 관한 상태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S500), 제어부(300)는 제2 발광 영역(412)을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S230). 제2 발광 영역(412)의 동작은 제1 발광 영역(411)과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거나, 점멸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후진 기어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후방 차량 또는 후방의 보행자들에게 점멸 신호 등을 통해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비슷한 취지로, 차량에 주차 기어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어린이의 승차 또는 하차 상황으로 추정될 수 있기 때문에 후방 차량 등에게 추월하지 말거나, 앞지르기를 할 때에 주의를 해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전진 기어 신호 또는 중립 기어 신호는 일반적인 상황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제2 발광 영역(412)을 동작시키지 않고, 제어부(300)는 벨트의 착용 여부에 관한 상태만을 지속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100).
다른 예를 들어, 후미등 제어부(920)로부터 제동등 동작 상태, 후진등 동작 상태 또는 방향 지시등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S500), 제어부(300)는 제2 발광 영역(412)을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S230). 차량의 제동등, 후진등 및 방향 지시등은 차량의 속도, 방향 등의 변화를 주위 차량에 알리기 위한 램프이고,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을 제2 발광 영역(412)을 이용하여 특히 강조하여 전달할 수 있다.
반면 후미등 제어부(920)가 별다른 동작을 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제2 발광 영역(412)을 동작시키지 않고, 제어부(300)는 벨트의 착용 여부에 관한 상태만을 지속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100).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14)는 제1 발광 영역(411)을 이용하여 안전 벨트와 연계된 동작을 수행하되, 제1 발광 영역(411)을 강조하거나, 부각시키고,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순간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제2 발광 영역(412)을 추가로 구비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메시지 표시 장치
100: 벨트 센싱부
200: 수신부
300: 제어부
400: 발광부

Claims (10)

  1. 적어도 벨트의 착용 여부, 및 소정 세기 이상의 충격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벨트의 착용 여부에 관한 상태 정보, 및 충격 여부에 관한 충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광원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발광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부가 벨트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수신부가 벨트 미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의 충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발광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는 동안 상기 수신부가 충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의 광원을 점멸시키는 점멸 신호를 더 제공하되,
    상기 충격 정보가 상기 소정의 세기 보다 큰 제1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의 광원을 소정의 시간 동안 점멸한 후 점멸을 중지하고,
    상기 충격 정보가 제1 세기 보다 큰 제2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센싱부로부터 벨트 미착용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점멸을 지속하는,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무선으로 상기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센싱부는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수신부 및 상기 발광부는 차량의 상시 전원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도록 구성된,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유연성을 갖는 면발광 LED 기판으로서, 메시지가 문자인 경우,
    통상의 사람이 상기 문자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문자를 올바르게 읽을 수 있는 일면, 및
    상기 문자가 거꾸로 읽히는 타면을 갖는 면발광 LED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된 점착층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발광부는 차량의 뒷유리의 내측면 상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면발광 LED 기판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을 향해 모두 발광하도록 구성된,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6. 적어도 벨트의 착용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벨트의 착용 여부에 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광원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표시하는 발광부로서,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고 각각 광원을 포함하는 제1 발광 영역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수신부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부가 벨트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제1 발광 영역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수신부가 벨트 미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 영역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발광 영역은 차량의 상시 전원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제2 발광 영역은 차량의 시동 전원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동력 제어부로부터 전진 기어(drive gear) 상태, 후진 기어(back gear) 상태, 중립(neutral) 상태 및 주차(parking) 상태에 관한 정보를 더 제공받고,
    상기 동력 제어부의 기어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부는,
    후진 기어 상태 또는 주차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발광 영역에 점멸 신호를 제공하고,
    전진 기어 상태 또는 중립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발광 영역에 점멸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7. 삭제
  8. 적어도 벨트의 착용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벨트의 착용 여부에 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광원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표시하는 발광부로서,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고 각각 광원을 포함하는 제1 발광 영역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수신부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부가 벨트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제1 발광 영역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수신부가 벨트 미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 영역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발광 영역은 차량의 상시 전원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제2 발광 영역은 차량의 시동 전원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후미등 제어부로부터 제동등(break lamp)의 동작 상태, 후진등(back-up lamp)의 동작 상태 및 방향 지시등(turn signal lamp)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더 제공받고,
    상기 후미등 제어부의 후미등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부는,
    제동등 동작 상태, 후진등 동작 상태 또는 방향 지시등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발광 영역에 점멸 신호를 제공하고,
    제동등 미동작 상태, 후진등 미동작 상태 또는 방향 지시등 미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발광 영역에 점멸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동작 또는 점멸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제1 발광 영역은 상기 벨트 착용 여부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의 센싱부가 하나의 수신부와 매칭되고,
    복수의 센싱부 중 어느 하나라도 벨트의 착용 상태를 수신부에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수신부는 좌석 또는 카시트의 착석 여부에 관한 착석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의 상태 정보와 상기 착석 정보에 기반하여, 착석 정보가 수신되나, 벨트 미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벨트 착용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제공하는,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KR1020200123689A 2020-09-24 2020-09-24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KR102416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89A KR102416185B1 (ko) 2020-09-24 2020-09-24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KR1020220079043A KR20220098700A (ko) 2020-09-24 2022-06-28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89A KR102416185B1 (ko) 2020-09-24 2020-09-24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043A Division KR20220098700A (ko) 2020-09-24 2022-06-28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271A KR20220041271A (ko) 2022-04-01
KR102416185B1 true KR102416185B1 (ko) 2022-07-04

Family

ID=811834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689A KR102416185B1 (ko) 2020-09-24 2020-09-24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KR1020220079043A KR20220098700A (ko) 2020-09-24 2022-06-28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043A KR20220098700A (ko) 2020-09-24 2022-06-28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61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860B1 (ko) * 2014-06-10 2015-06-24 엘이디아트 (주)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US20160236678A1 (en) * 2015-02-18 2016-08-18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safety function for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761B1 (ko) 2018-09-20 2019-03-25 최홍철 통학차량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2189B1 (ko) * 2018-12-27 2021-03-2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유아 탑승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아 탑승 알림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860B1 (ko) * 2014-06-10 2015-06-24 엘이디아트 (주)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US20160236678A1 (en) * 2015-02-18 2016-08-18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safety function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271A (ko) 2022-04-01
KR20220098700A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1914B2 (en) Vehicular system having a warning system to alert motorists that a mobile phone is in use
US20090040036A1 (en) Vehicular warning system and method of signage
US20090299577A1 (en) External Seatbelt Usage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US7777617B2 (en) Wireless signal apparatus for assisting drivers to back large vehicles
US20220179432A1 (en) Active occupant status and vehicle operational status warning system and methods
BR112020019229A2 (pt) Sistema de detecção de atividades de risco ao dirigir com base no controle da posição de ambas as mãos segurando o volante.
JP2021096696A (ja) 車両用状態報知装置及び車両用状態報知方法
US20150374061A1 (en) Auto-powered safety equipment
JP2013171445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JP2023134551A (ja) 車両照明に対応するように動作可能なリモート照明システム
KR102416185B1 (ko)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US9260054B1 (en) External seat belt indicator light
JP2019069725A (ja) 乗り物用搭乗者シートベルト着用検知システム
JP3209576U (ja) 車両用後進警報装置
JP3203807U (ja) 自動車用ペダル踏み間違い防止装置
CN206217833U (zh) 用于车辆的报警装置和具有其的车辆
CN111546980A (zh) 自动门警报和通知系统
KR102202137B1 (ko) 개인형 이동체의 후방 차량 접근 경보 장치
TWM486580U (zh) 傾倒閃光警報裝置
CN212889864U (zh) 一种车载酒精检测预警装置及车辆
US20160351055A1 (en) Accident prevention device
TWI604976B (zh) 載具防撞警示系統以及運作方法
US20240149783A1 (en) Vehicle front alert system
TWM509143U (zh) 車用鏡片顯示裝置
KR20230061694A (ko) 차량간 의사소통 및 긴급구조요청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인식 차량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