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860B1 -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 Google Patents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860B1
KR101530860B1 KR1020140070251A KR20140070251A KR101530860B1 KR 101530860 B1 KR101530860 B1 KR 101530860B1 KR 1020140070251 A KR1020140070251 A KR 1020140070251A KR 20140070251 A KR20140070251 A KR 20140070251A KR 101530860 B1 KR101530860 B1 KR 101530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layer
film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식
Original Assignee
엘이디아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이디아트 (주) filed Critical 엘이디아트 (주)
Priority to KR102014007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12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툴링(Tooling)에 의해 원하는 특정형태로 부착된 유기물질 및 ITO로 필름형 광고패널을 발광하는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필름의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가 인쇄되는 프린팅층과, 툴링(Tooling)에 의해 원하는 특정형태로 부착된 유기물질(OLED) 및 ITO(투명 전극)를 갖는 유기발광층과, 양면이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린팅층과 유기발광층 사이에서 상기 두 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층과, 상기 유기발광층에 적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SMPS와, 상기 SMPS와 유기발광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The film type advertising panel using partially forme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본 발명은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툴링(Tooling)에 의해 원하는 특정형태로 부착된 유기물질 및 ITO로 필름형 광고패널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전계 발광장치(OLED)는 지지 기판 및 밀봉 기판을 포함하며 지지 기판과 밀봉 기판은 밀봉재에 의해 서로 밀봉되어 있다. 지지 기판의 상부에는 적/녹/청색의 빛을 발하며 발광영역을 구성하는 유기층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층에는 화소(pixel)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이 패턴형성되어 있다.
OLED는 자기발광형이기 때문에 LCD에 비해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좋으며 또한 백라이트가 필요 없기 때문에 경량화가 가능하며 소비전력도 TFT-LCD보다 적다. 또한 다른 디스플레이에 비해 감성화면 구현 및 응답속도가 빨라 동영상 표시가 용이하며 고체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은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유기전계 발광장치는 저전력, 고휘도, 고반응속도, 저중량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OELD는 이동통신 단말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 PDA, Palm PC등의 휴대용 통신제품에 응용될 수 있는 강력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체의 침입을 막고 미세크기의 표시소자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표면 평탄성과 기계적 특성 그리고 투광성이 좋은 소재로 유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플렉시블한 특성을 더하기 위해서 유리의 두께를 줄이면 파손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플라스틱 소재는 일반적으로 0.1 내지 0.2mm 두께의 필름형태로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으로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유리보다 더 유연하고 깨짐성이 적으며 밀도가 유리보다 작아 가벼운 표시소자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리에 비해 산소, 수분의 투과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어 디스플레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124557호는 유기전계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 기판 및 상기 유리 기판 상면 및 하면에 지지체가 라미네이트 되며, 상기 유리 기판의 두께가 10~400㎛인 플렉시블한 지지 기판; 상기 지지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유기 발광층이 포함된 유기전계 발광부; 및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를 외기로부터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판과 밀봉재로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밀봉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 기판을 활용한 유기전계 발광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대형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에 비용 소모가 커서 적합하지 않고 화소별 RGB 발광 유기물질을 제어해 주어야 화면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를 형성하기가 복잡하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철거하고 새로 설치해야 하는 등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12455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 비용 및 유지 비용 절약 효과가 우수한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디든 부착 가능하여 기존의 광고패널 상에 덧씌워 사용할 수 있는 광고패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얇은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이동이 편리하며 소모 에너지가 적어 활용도가 높은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고 화면을 표현하기 위하여 복잡한 연산이나 변환이 요구되지 않는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은, 플렉시블 필름의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가 인쇄되는 프린팅층과, 툴링(Tooling)에 의해 원하는 특정형태로 부착된 유기물질(OLED) 및 ITO(투명 전극)를 갖는 유기발광층과, 양면이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린팅층과 유기발광층 사이에서 상기 두 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층과, 상기 유기발광층에 적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SMPS와, 상기 SMPS와 유기발광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상기 프린팅층 상위에 인쇄된 광고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상기 프린팅층의 플렉시블 필름은 PE, PET, PP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상기 유기물질은 상기 프린팅층에 인쇄된 광고의 글자나 그림의 형태를 따라 부분 부착되며 독립된 영역의 유기물질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상기 광고패널의 상기 SMPS는 직류전원장치, 태양광 장치, 풍력 장치, 배터리 중 어느 하나에서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상기 제어부는 물체의 접근, 주변 광량, 열,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출력값을 바탕으로 상기 유기발광층의 발광을 특정 패턴으로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발광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타이머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의하면 제작 비용 및 유지 비용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의하면 어디에든 부착할 수 있어 기존의 광고패널을 철거하지 않고 그 상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의하면 매우 얇은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롤 형태로 말 수 있으며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이동이 편리하고 소모 에너지가 적어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의하면 광고 화면을 표현하기 위하여 복잡한 연산이나 변환이 요구되지 않아 제어부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유기발광층 형태에 따른 발광 모습의 도시도.
도 3은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을 손목시계 광고에 적용한 발광 모습의 도시도.
도 4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이 차량 외부에 적용된 모습의 도시도.
도 5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이 대형 광고판에 적용된 모습의 도시도.
도 6은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후면도.
도 7은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후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툴링(Tooling)에 의해 원하는 특정형태로 부착된 유기물질 및 ITO로 필름형 광고패널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유기발광층 형태에 따른 발광 모습의 도시도이며, 도 3은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을 손목시계 광고에 적용한 발광 모습의 도시도이고, 도 4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이 차량 외부에 적용된 모습의 도시도이며, 도 5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이 대형 광고판에 적용된 모습의 도시도이고, 도 6은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후면도이며, 도 7은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후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은, 플렉시블 필름의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가 인쇄되는 프린팅층(200)과, 툴링(Tooling)에 의해 원하는 특정형태로 부착된 유기물질(OLED) 및 ITO(투명 전극)를 갖는 유기발광층(400)과, 양면이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린팅층과 유기발광층 사이에서 상기 두 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층(300)과, 상기 유기발광층에 적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SMPS(500)와, 상기 SMPS와 유기발광층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상기 프린팅층 상위에 인쇄된 광고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코팅층(100)을 더 포함한다.
코팅층(100)은 이후에 설명할 프린팅층 및 그 하단에 형성되는 접착층, 유기발광층을 보호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평면이나 곡면에 부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광고패널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코팅층은 유연한 필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호용 코팅층의 소재로는 투명하고 얇게 형성될 수 있는 PE, PET, PP 등의 고분자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고분자 소재는 값이 매우 저렴한 장점이 있고 그 중 PE는 공기 투과성이 매우 낮아 공기 접촉에 민감한 물질을 보호하기 용이하며 PET는 다른 소재에 비해 높은 투명도를 가질 수 있고 안정적이며 재활용 가능한 소재이고 PP는 내열성이 우수하며 증기와 액체의 투과성이 극소하고 포장지로 많이 사용되는 소재이다.
상기 코팅층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이 설치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야외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유연하며 공기 접촉에 민감한 내부 구성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PE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이후에 설명할 프린팅층에 인쇄된 광고가 햇빛에 의해 변색되지 않도록 UV 차단 기능을 갖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린팅층(200)은 플렉시블 필름의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나 그림 등으로 구성된 광고가 인쇄된 층이다. 광고문구나 그림 등은 흑백이나 컬러로 인쇄될 수 있으며 인쇄되는 색의 구성에는 제약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의 상기 프린팅층(200)의 플렉시블 필름은 PE, PET, PP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이 롤 형태로 말아질 수 있도록 유연하게 구성되기 위하여 상기 프린팅층은 고분자 플렉시블 소재인 P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PE는 다른 고분자 소재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소재이다. 또한 폴리에틸렌 소재는 절연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프린팅층을 구성하기 적당한 소재이다.
통상적으로 프린팅층은 얇은 형태의 플렉시블 필름으로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광고가 인쇄된 대형 광고패널 등도 상기 프린팅층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유기발광층(400)은 툴링(Tooling)에 의해 원하는 특정형태로 부착된 유기물질(OLED) 및 ITO(투명 전극)를 갖는 층이다.
툴링은 유기물질이 광고 이미지나 문구 형태에 맞게 부착되어 컬러 및 연출 효과를 주기 위한 도포 용도의 망사 틀이다. 상기 툴링에 유기물질이 형성되어야 하는 영역(형태)에 파라핀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상기 파라핀이 도포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아교 등과 같은 절연물질을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소정의 온도 이상이 가해지면 상기 파라핀이 녹아 제거되면서 절연물질이 도포된 영역을 제외하고 유기물질이 형성되어야 하는 특정 영역만큼 빈 영역이 생긴다. 상기 특정 영역만큼 빈 영역을 가지는 툴링을 ITO 상위에 둔 상태에서 유기물질이 도포되면 상기 ITO 상에 원하는 형태로 도포된 유기물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하는 형태로 도포된 유기물질 층에 있어서 ITO가 존재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면전극을 형성하여 상기 유기발광층이 발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기발광층에 복수 개 형성되는 유기물질 영역이 물리적으로나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다면 이후에 설명할 제어부를 통하여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프린팅층에 인쇄된 그림이나 문구 등이 입체적이고 생동감있게 표현될 수 있다.
단순한 문자라도 문자의 테두리 부분의 발광과 내부 영역의 발광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하나의 그림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발광을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와 같은 총 전력이 한정된 전력 공급 장치가 사용될 때에 전력이 얼마 남지 않음을 감지하여 상기 프린팅층 중에 반드시 발광이 필요한 영역에만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절약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도 있다.
필요한 부분에만 부착되는 유기발광층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OLED 장치에 비해 소모 전력이 더욱 감소되므로 유지비용이 매우 저렴한 광고패널을 얻을 수 있다.
접착층(300)은 상기 프린팅층(200)과 유기발광층(400)의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프린팅층과 닿는 면과 유기발광층과 닿는 반대면 모두 접착될 수 있는 양면 접착층이다.
상기 유기발광층에서 발산되는 빛이 가려지지 않도록 지나치게 두껍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한 두께는 0.01~0.5mm일 것이며 투명도 높은 접착 물질이 사용되어야 한다.
상기 접착층은 높은 투과율과 낮은 탁도를 가지며 ITO에 대한 내부식성을 확보한 광학용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작업의 용이성 및 불량 감소를 위하여 기포의 발생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층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의 일부 영역에만 부착되므로 상기 유기발광층이 부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은 접착 가능한 영역일 것이므로 기존의 광고패널이나 조성물 등에도 쉽게 부착될 수 있다.
SMPS(500)는 상기 유기발광층에 적정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 요소이다. 상기 유기발광층을 구동하기 위한 적정 전원은 12V일 수 있다. 또한 교류전압을 상기 SMPS에서 사용되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AC→DC 컨버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광고패널의 상기 광고패널의 상기 SMPS는 직류전원장치, 태양광 장치, 풍력 장치, 배터리 중 어느 하나에서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다.
직류전원장치는 일반적으로 전기 공급 업체에서 콘센트를 통해 제공하는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장치, 풍력 장치, 배터리는 직류 전원을 생산 또는 제공하므로 상기 SMPS에 전원을 직접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은 다른 발광 패널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적은 OLED 방식인 동시에 유기물질 및 ITO이 필요한 일부 영역에만 부착된 형태이므로 소비전력이 매우 적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 공급단자뿐만 아니라 소규모 전력을 제공하는 태양광 장치, 풍력 장치, 휴대용 배터리 등과 같은 장치로도 충분히 상기 유기발광층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상기 SMPS와 유기발광층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부분 부착된 유기발광층은 영역별로 단순하게 구동이 제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은 상기 프린팅층에 글자 또는 그림 등으로 구성된 광고가 이미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각 픽셀별로 색이나 발광정도가 제어되어 광고를 표현하기 위한 글자나 그림 등을 다시 나타낼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어부는 복잡한 연산이나 변환 등을 거칠 필요가 없으므로 간단하고 저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광고패널의 상기 제어부는 물체의 접근, 주변 광량, 열,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일정 반경 이내에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을 확인하는 사람이 없는 경우 상기 유기발광층에 제공되는 전력은 낭비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영역 내에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거리센서와 인체의 열을 감지하는 열센서, 근처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센서 등으로 일정 영역 내에 접근하는 사람을 인식하고 상기 유기발광층을 자동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주변 광량을 감지하는 조도센서는 광고패널의 내용을 잘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주위가 어두워지는 것을 감지하여 낮과 밤, 날씨가 흐려서 주변이 어두운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기발광층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광고패널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출력값을 바탕으로 상기 유기발광층의 발광을 특정 패턴으로 자동 제어한다.
상기 유기발광층의 발광이 특정 패턴으로 제어됨으로써 단순한 글자나 그림 등이 인쇄된 프린팅층 하단의 유기발광층의 점등이 영역별로 분할 제어될 수 있어 생동감있고 입체적인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광고패널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발광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타이머와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조도센서의 유무와 관계없이 일정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전력 제공 스위치의 ON/OFF를 제어하여 상기 유기발광층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밤이 되면 상기 스위치를 ON하여 발광상태로 제어하고 낮이 되면 상기 스위치를 OFF하여 전력공급을 중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은 영역별로 제어될 수 있다. 첫 번째 그림은 광고패널에 포함되는 상기 유기발광층 전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전체 광고패널에 불이 켜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두 번째 그림을 참조하면, 좌측의 글자(=Grow Light) 후면에 상기 글자와 동일한 형태로 부분 형성된 유기발광층이 발광하는 상태이다.
세 번째 그림을 참조하면, 우측 하단의 글자(=LEDart) 후면에 상기 글자와 동일한 형태로 부분 형성된 유기발광층이 발광하는 상태이다.
마지막 그림을 참조하면, 좌측의 글자와 가운데 그림, 우측 하단 글자에 모두 발광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은 하나의 그림 내 또는 한 영역 내에서도 분할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3의 손목시계 그림에서 분침과 시침, 테두리, 외부 영역 등이 각각 분할되어 발광되며 도 3 우측 하단의 도면과 같이 입체감 있게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층에 광고가 이미 표현되어 있어 상기 유기발광층의 발광 색이 제어될 필요는 없으나 밝기의 정도 등은 제어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은 자동차 외부 프레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광고패널은 어떠한 형태에도 쉽게 부착될 수 있는 필름형태이며 전력의 소모가 매우 적어 자동차 외부의 어느 부분에나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광고뿐만 아니라 차주의 개성에 맞게 디자인된 도면이나 야간용 안내 선 등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은 대형 광고판에 적용될 수도 있다. 특히 기존에 설치된 대형 광고판이 그대로 쓰일 수 있으므로 철거비용이나 새로운 광고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가 절약된다. 도 5의 유기발광층은 크게 좌측의 맥주잔 및 우측의 문구로 나누어 제어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더 세세하게 제어되도록 상기 유기발광층이 분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발광층(400)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의 전체 영역 중에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사과 형태 및 잎 형태의 광고패널 후면에 상기 형태와 동일하게 유기발광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녹색 테두리의 선은 SMPS로부터 상기 유기발광층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며 상기 유기발광층과 절연된 상태이다.
도 6에서 사과 형태의 제 1 영역과 상단 잎 형태의 제 2 영역은 분할 제어되며 상기 유기발광층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은 상위의 접착층(300)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에 어느 곳에나 부착되기 쉽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발광층(400)은 상기 프린팅층(200)의 하단에 광고 형태에 따라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각 제어 영역에 따라 전원공급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혼선되지 않도록 서로 절연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직접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유기발광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유기발광 영역과도 절연되어야 한다.
도 6와 도 7에서 보이는 유기발광층의 하단 부분은 불투명한 전극부분이며 상단의 광고가 인쇄된 프린팅층으로는 유기발광층에서 발산되는 빛이 전달되어야 하므로 투명 전극인 ITO가 형성되어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의하면 제작 비용 및 유지 비용이 절약될 수 있으며, 어디에든 부착할 수 있어 기존의 광고패널을 철거할 필요없이 그 상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매우 얇은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이동이 편리하며 소모 에너지가 적어 활용도가 높으며, 광고 화면을 표현하기 위하여 복잡한 연산이나 변환이 요구되지 않아 제어부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은 기존의 광고패널에 덧붙여 사용될 수 있고 새로운 광고패널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실내·외부의 다양한 조형물, 소형 물품, 건물 내·외벽 등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저전력을 소모하므로 자동차 외부에 래핑될 수도 있으며 도로 안전을 위한 표지판, 각종 사인, 안내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은 매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짐으로 롤 형태로 말아서 이동될 수도 있어 활용도가 매우 넓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패널의 유기발광층은 무기 전계 발광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형광등, 백열등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발광장치가 상기 프린팅층 하단에 위치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프린팅층에 인쇄된 광고가 점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코팅층
200 : 프린팅층
300 : 접착층
400 : 유기발광층
500 : SMPS
600 : 제어부

Claims (8)

  1.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에 있어서,
    플렉시블 필름의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가 인쇄되는 프린팅층;과
    툴링(Tooling)에 의해 원하는 특정형태로 부착된 유기물질(OLED) 및 ITO(투명 전극)를 갖는 유기발광층;과
    양면이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린팅층과 유기발광층 사이에서 상기 두 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층;과
    상기 유기발광층에 적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SMPS;와
    상기 SMPS와 유기발광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팅층 상위에 인쇄된 광고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린팅층의 플렉시블 필름 또는 상기 코팅층은 PE, PET, PP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유기물질은 상기 프린팅층에 인쇄된 광고의 글자나 그림의 형태를 따라 부분 부착되며,
    독립된 영역의 유기물질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MPS는 직류전원장치, 태양광 장치, 풍력 장치, 배터리 중 어느 하나에서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체의 접근, 주변 광량, 열,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출력값을 바탕으로 상기 유기발광층의 발광을 특정 패턴으로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발광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타이머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KR1020140070251A 2014-06-10 2014-06-10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KR101530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51A KR101530860B1 (ko) 2014-06-10 2014-06-10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51A KR101530860B1 (ko) 2014-06-10 2014-06-10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860B1 true KR101530860B1 (ko) 2015-06-24

Family

ID=5351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251A KR101530860B1 (ko) 2014-06-10 2014-06-10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271A (ko) * 2020-09-24 2022-04-01 이준영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54Y1 (ko) * 2003-02-24 2003-05-16 주식회사 애드월드일일사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106827A (ko) * 2007-07-25 2008-12-09 (주)알지비테크놀러지 고분자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시트를 사용한 절전형입체광고판
KR20130119540A (ko) * 2012-04-24 2013-11-01 류시봉 디지털벽시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54Y1 (ko) * 2003-02-24 2003-05-16 주식회사 애드월드일일사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106827A (ko) * 2007-07-25 2008-12-09 (주)알지비테크놀러지 고분자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시트를 사용한 절전형입체광고판
KR20130119540A (ko) * 2012-04-24 2013-11-01 류시봉 디지털벽시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271A (ko) * 2020-09-24 2022-04-01 이준영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KR102416185B1 (ko) * 2020-09-24 2022-07-04 이준영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0962289Y (zh) 自身照明的标志牌
JP2001051624A (ja) 表示装置
WO2011031802A3 (en) Display with a backlight incorporating reflecting layer
CN102549332A (zh) 光输出粘贴物
US9039245B2 (en) Energy efficient sign
CN104102061A (zh) 一种显示面板及其显示方法、显示装置
KR101530860B1 (ko) 부분 유기발광층을 이용한 필름형 광고패널
JP6083811B2 (ja) 案内表示板
CN1707582A (zh) Led管形灯平板图形显示兼照明
KR101448132B1 (ko) 밝기에 기초하여 다양한 동작 모드를 가지는 led 전광판
CN105182653A (zh) 一种电泳显示面板和电泳显示装置
TW201303835A (zh) 顯示裝置
KR200395821Y1 (ko) 광고안내판
US10733918B2 (en) Method of converting a static display to a changing display
KR200283015Y1 (ko) 옥외 광고 표시장치
KR200363132Y1 (ko) 유연성 전계발광시트를 이용한 광고판
KR101967951B1 (ko) 필름발광체를 겸비한 액자형 el표지판
JP2004212443A (ja) 表示素子及び表示装置
US20220158016A1 (en) A luminescent optical device and a film for use with such a luminescent optical device
KR200284200Y1 (ko) 점멸형 발광 액자
CN108061988A (zh) 反射式液晶模组和反射式液晶显示装置
JP2003255871A (ja) El表示装置
JP2007187996A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CN113587036A (zh) 一种透明压电多色ld氛围灯模组
JPH03105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