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963B1 -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963B1
KR101889963B1 KR1020160169797A KR20160169797A KR101889963B1 KR 101889963 B1 KR101889963 B1 KR 101889963B1 KR 1020160169797 A KR1020160169797 A KR 1020160169797A KR 20160169797 A KR20160169797 A KR 20160169797A KR 101889963 B1 KR101889963 B1 KR 101889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ntrol unit
sensor
vehicle
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146A (ko
Inventor
손선영
김종연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타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타오스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9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in combination with seat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는 센서부와 전송부 및 단말기를 포함한다. 센서부는 차량 내부의 각 좌석마다 설치되어 좌석에 부가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및 좌석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각 좌석의 안전 벨트에 설치되어 안전 벨트 착용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를 포함한다. 전송부는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한다. 단말기는 전송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의 신호로부터 각 좌석의 착석 여부와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출력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GETTING ON AND GETTING OF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어린이가 이용하는 통학 차량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예를 들어 통학 차량의 안전 관리는 하차한 어린이가 차량에 치이지 않도록 하는 차량 외부의 안전 관리와, 승차한 어린이가 안전 벨트를 제대로 착용하였는지 확인하고 하차 시 남은 어린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차량 내부의 안전 관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관리는 운전자와 인솔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들의 사소한 실수 또는 부주의가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승차한 사람의 안전 벨트 착용 유무와, 하차 시 남은 인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는 센서부와 전송부 및 단말기를 포함한다. 센서부는 차량 내부의 각 좌석마다 설치되어 좌석에 부가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및 좌석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각 좌석의 안전 벨트에 설치되어 안전 벨트 착용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를 포함한다. 전송부는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한다. 단말기는 전송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의 신호로부터 각 좌석의 착석 여부와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출력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는 압력 센서가 압력을 감지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좌석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는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상승이 감지될 때 좌석의 착석을 확정할 수 있다.
전송부는 각 좌석별 압력 센서와 온도 센서 및 접촉 센서의 데이터를 수합하여 일괄처리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는 운전석 근처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장치와 모바일 기기에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승차 모드와 하차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와, 승차 모드 선택 시, 제어부에서 압력 센서 및 온도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차량의 좌석들에 대해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탑승자의 착석이 확정된 좌석들에 대해 제어부에서 접촉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제어부에서 탑승자 전원의 안전 벨트 착용을 확정하면 표시부로 승차 완료 확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승차 모드 선택 시, 표시부는 차량 내부의 좌석 배치도를 표시할 수 있고, 제어부는 각 좌석을 탑승자의 착석 여부와 안전 벨트 착용 여부에 따라 표시 방식이 상이한 세 가지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착석이 확정된 좌석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안전 벨트 착용이 확정되지 않을 때, 표시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안전 벨트 착용이 확정되지 않은 좌석에 알림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단말기의 스피커와 진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로 신호를 출력하여 소리 알람과 진동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은, 하차 모드 선택 시, 제어부에서 접촉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탑승자의 안전 벨트 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안전 벨트 해제가 확정된 좌석들에 대해 제어부에서 압력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탑승자의 탈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제어부에서 탑승자 전원의 탈석을 확정하면 표시부로 하차 완료 확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에서 표시부로 승차 완료 확인 신호를 출력할 때, 제어부의 메모리에 탑승자의 착석이 확정된 좌석들의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하차 모드 선택 시, 메모리에 저장된 좌석들의 위치 정보가 로딩될 수 있다.
제어부는 탑승자의 착석이 확정된 좌석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안전 벨트 해제가 확정되지 않을 때, 표시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안전 벨트 해제가 확정되지 않은 좌석에 알림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단말기의 스피커와 진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로 신호를 출력하여 소리 알람과 진동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안전 벨트 해제가 확정된 좌석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탈석이 확정되지 않을 때, 표시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탈석이 확정되지 않은 좌석에 알림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단말기의 스피커와 진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로 신호를 출력하여 소리 알람과 진동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운행자는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승차 시 탑승자의 수와 좌석 위치 및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하차 시 차량에 남은 인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니터링 장치는 운전자와 인솔 교사의 실수 또는 부주의를 줄여 인명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니터링 장치의 구동 원리를 모식화한 그림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단말기의 표시부에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차량의 승차하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이하, 편의상 '모니터링 장치'라 한다)는 차량 내부의 각 좌석마다 설치되는 센서부(100)와, 센서부(100)의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200)와, 전송부(200)의 신호를 감지하여 승하차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하는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센서부(100)는 각 좌석마다 설치되는 압력 센서(101)와 온도 센서(102)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101)는 좌석 위에 부가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한다. 다만, 좌석 위에 물건이 놓이는 경우에도 압력 센서(101)가 작동을 하므로, 온도 센서(102)는 압력 센서(101) 작동 이후 일정 시간 좌석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사람과 물건을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101) 작동 이후 온도 센서(102)가 작동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5초 내지 10초 동안 좌석의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단말기(300)의 제어부(302)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온도 센서(102)로부터 온도 상승이 감지되면 탑승자가 착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온도 상승이 감지되지 않으면 물건이 놓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각 좌석의 안전 벨트에 설치된 접촉 센서(103)를 더 포함한다. 안전 벨트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벨트에 결합된 클립(11)과, 클립(11)이 끼워지는 버클(12)을 포함한다. 접촉 센서(103)는 버클(12)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클립(11)과 버클(12) 결합 시 접촉 신호를 출력한다.
전송부(200)는 각 좌석마다 설치된 압력 센서(101)와 온도 센서(102) 및 접촉 센서(1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센서들(101, 102, 103)의 신호를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한다. 전송부(200)는 좌석별 압력 센서(101)와 온도 센서(102) 및 접촉 센서(103)의 데이터를 수합하여 일괄처리(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하기 표에 그 예시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122301774-pat00001
단말기(300)는 전송부(200)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01)와, 수신부(301)의 신호로부터 안전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302)와, 제어부(302)의 출력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01)는 전송부(200)와 더불어 무선통신 모듈을 구성하며, 전송부(2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302)는 수신부(301)의 신호로부터 각 좌석의 탑승자 착석 여부와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정보를 표시부(303)로 출력한다.
표시부(303)에는 차량의 모든 좌석이 표시되며, 탑승자가 착석한 좌석과 그렇지 않은 좌석이 색상 등을 달리하며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착석한 좌석에 대하여 안전 벨트 착용이 확인된 좌석과 그렇지 않은 좌석이 색상 등을 달리하며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스피커와 진동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2)는 위험과 관련된 특정 조건, 예를 들어 탑승자의 안전 벨트 미착용 또는 하차 시 남은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피커와 진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에 신호를 전송하여 소리 알람과 진동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석 근처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와 인솔 교사의 모바일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단말기(300)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린이집 또는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의 모바일 기기 또는 학부모의 모바일 기기도 단말기(300)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모니터링 장치 전용의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와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는 기본적으로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어부(302)는 이들 장치에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또는 앱)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니터링 장치의 구동 원리를 모식화한 그림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차량의 탑승이 시작되면 압력 센서와 온도 센서 및 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의 데이터 확인이 이루어지고, 전송부가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수합하여 단말기의 수신부로 전송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좌석별 센서부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데이터가 바르게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의 경우 종료하고, '아니오'의 경우 센서부의 데이터 확인 과정을 다시 시작한다.
수신부와 발신부가 모두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수신부와 발신부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다. 반면 수신부가 차량에 위치하고, 단말기가 어린이집, 학교, 또는 가정 등에 위치하는 경우, 수신부와 발신부는 국내 통신사의 전파를 이용하여 장거리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응용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제1 단계(S10)에서 사용자에 의해 승차 모드와 하차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다. 제1 단계(S10)에서 승차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2 단계(S20)에서 제어부는 압력 센서 및 온도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차량의 좌석에 대해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한다.
압력 센서는 좌석 위에 부가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좌석 위에 물건이 놓이는 경우에도 압력 센서가 작동할 수 있으므로, 압력 센서의 감지 이후 온도 센서가 일정 시간 좌석의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온도 상승이 있는 경우에만 좌석에 사람이 착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3 단계(S30)에서 제어부는 착석이 확정된 좌석들에 대하여 접촉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착석이 확정된 좌석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안전 벨트 착용이 확정되지 않으면, 표시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안전 벨트 착용이 확정되지 않은 좌석에 알림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는 스피커와 진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로 신호를 출력하여 소리 알람과 진동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단계(S30)에서 착석이 확정된 좌석들에 대해 안전 벨트 착용이 모두 확정되면, 제4 단계(S40)에서 제어부는 승차 완료 확인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승차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승차 모드의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전술한 모니터링 방법에서는 착석이 확인된 좌석의 개수로부터 탑승 인원과, 탑승자들의 안전 벨트 착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 화면에 승차 완료 버튼이 표시되면, 차량의 내부 상태와 외부 상태를 다시 한번 확인 후 승차 완료 버튼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차량을 출발시킬 수 있다.
제1 단계(S10)에서 하차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5 단계(S50)에서 제어부는 접촉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안전 벨트의 해제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승차 모드의 프로그램이 종료되기 전, 탑승자의 착석이 확정된 좌석들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고, 하차 모드 실행 시 메모리에 저장된 좌석들의 위치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제5 단계(S50)에서 제어부는 착석이 확정된 좌석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안전 벨트 해제가 확정되지 않으면 표시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안전 벨트 해제가 확정되지 않은 좌석에 알림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는 스피커와 진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로 신호를 출력하여 소리 알람과 진동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제5 단계(S50)에서 탑승자들의 안전 벨트가 모두 해제된 것으로 확정되면, 제6 단계(S60)에서 제어부는 압력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탑승자들의 탈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탈석이 확정되지 않을 때 표시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탈석이 확정되지 않은 좌석에 알림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는 스피커와 진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로 신호를 출력하여 소리 알람과 진동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제5 단계(S50)에서 탑승자들이 모두 탈석한 것으로 확정되면, 제7 단계(S70)에서 제어부는 하차 완료 확인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하차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하차 모드의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승차 모드에서 단말기의 메모리에 예를 들어 7명의 탑승자 정보가 저장된 경우를 가정하면, 하차 모드에서 제어부는 7명의 탑승자 전원에 대한 안전 벨트 해제 여부와 탈석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다.
즉 제6 단계(S60)에서 제어부는 7명의 탑승자 전원이 안전 벨트를 해제할 때까지 접촉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안전 벨트의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탑승자 전원의 안전 벨트 해제가 확인된 이후 제7 단계(S7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7 단계(S70)에서 제어부는 7명의 탑승자 전원이 탈석할 때까지 압력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탈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해제하지 않거나, 안전 벨트 해제 후 자리에 남아 있는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는 제6 단계(S60)와 제7 단계(S70)의 알고리즘에 의해 잔류 인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정보를 단말기의 표시부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잔류 인원이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모니터링 방법에서는 승차 모드에서 확인된 탑승자 전원에 대해 안전 벨트의 해제 여부와 탈석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 화면에 하차 완료 버튼이 표시되면, 차량의 내부 상태와 외부 상태를 다시 한번 확인 후 하차 완료 버튼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고, 차량을 출발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단말기의 표시부에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응용 프로그램의 첫 화면에는 승차 버튼과 하차 버튼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승차 버튼과 하차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승차 모드와 하차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좌석마다 표시 방식이 다른 세 개의 아이콘이 부여될 수 있다. 탑승자의 착석이 확인된 승차 완료 좌석은 노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미승차 좌석은 회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승차 완료 좌석에 대하여 안전 벨트 착용이 확인된 좌석에는 초록색 동그라미가 표시될 수 있고, 안전 벨트 미착용 좌석에는 적색 동그라미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세 개의 아이콘은 착석과 안전 벨트 착용이 확정된 제1 아이콘(상측에 위치하는 아이콘)과, 착석이 확정되고 안전 벨트 착용이 미확정인 제2 아이콘(중간에 위치하는 아이콘)과, 착석과 안전 벨트 착용이 모두 미확정인 제3 아이콘(하측에 위치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승차 모드에서 표시부의 화면에 차량의 좌석 배치도가 표시되고, 전술한 제2 단계와 제3 단계의 제어부 판단에 따라 각 좌석마다 전술한 세가지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총 좌석수, 탑승객 수, 및 안전 벨트 착용 개수가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의 화면을 보고 안전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의 수와 좌석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하차 모드에서 표시부의 화면에는 차량에 남은 탑승객의 수와 좌석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7의 화면을 보고 차량에 남은 탑승객을 확인할 수 있으며, 탑승객의 하차를 도울 수 있다. 도 7에서 차량에 남은 탑승객의 좌석에는 적색의 이중 점선 원으로 이루어진 알림 표시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와 인솔 교사는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승차 시 탑승자의 수와 좌석 위치 및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하차 시 차량에 남은 인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니터링 장치는 운전자와 인솔 교사의 실수 또는 부주의를 줄여 인명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센서부 101: 압력 센서
102: 온도 센서 103: 접촉 센서
200: 전송부 300: 단말기
301: 수신부 302: 제어부
303: 표시부

Claims (14)

  1. 차량 내부의 각 좌석마다 설치된 압력 센서와 온도 센서 및 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와 표시부를 구비한 단말기를 이용하는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승차 모드와 하차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승차 모드 선택 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압력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차량의 좌석들에 대해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접촉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착석이 확정된 좌석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안전 벨트 착용이 확정되지 않을 때 상기 표시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안전 벨트 미착용 좌석에 알림 표시를 행하고, 착석이 확정된 좌석 모두에 대해 안전 벨트 착용이 확정될 때 상기 표시부로 승차 완료 확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로 승차 완료 확인 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제어부의 메모리에 착석과 안전 벨트 착용이 모두 확정된 좌석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하차 모드 선택 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좌석의 위치 정보가 로딩되는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안전 벨트 미착용 좌석에 알림 표시를 행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와 진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로 신호를 출력하여 소리 알람과 진동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모드 선택 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접촉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탑승자의 안전 벨트 해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압력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탑승자의 탈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위치 정보가 로딩된 좌석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안전 벨트 해제가 확정되지 않을 때와, 상기 안전 벨트 해제 확정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탈석이 확정되지 않을 때, 상기 표시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미확정 좌석에 알림 표시를 행하는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안전 벨트 해제가 확정된 좌석 모두에 대해 탈석을 확정할 때, 상기 표시부로 하차 완료 확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안전 벨트 해제 미확정 좌석과 탈석 미확정 좌석에 알림 표시를 행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와 진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로 신호를 출력하여 소리 알람과 진동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모드와 상기 하차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는 차량 내부의 좌석 배치도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 좌석을 탑승자의 착석 여부와 안전 벨트 착용 여부에 따라 표시 방식이 상이한 세가지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표시하는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169797A 2016-12-13 2016-12-13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88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797A KR101889963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797A KR101889963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146A KR20180068146A (ko) 2018-06-21
KR101889963B1 true KR101889963B1 (ko) 2018-08-20

Family

ID=6280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797A KR101889963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480B1 (ko) 2018-12-14 2019-09-23 민주호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20637A (ko) 2019-08-16 2021-02-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공 시설의 좌석 점유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263B1 (ko) * 2018-10-19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실내 인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WO2020111615A1 (ko) * 2018-11-26 2020-06-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차량 하차 확인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하차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8090A (ko) 2018-11-28 2020-06-15 강창수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KR102202883B1 (ko) * 2019-03-26 2021-01-18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좌석별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를 이용한 차량 후석 물체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445709B1 (ko) * 2020-03-31 2022-09-26 (주)모어씽즈 카시트 내 탑승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탑승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7775B1 (ko) * 2020-07-09 2022-06-13 박정만 아동용 통학차량 내 아동의 탑승 유무 확인시스템
KR102505113B1 (ko) * 2021-08-13 2023-03-03 한국도로공사 주행 중 안전운전을 위한 휴대전화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480B1 (ko) 2018-12-14 2019-09-23 민주호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20637A (ko) 2019-08-16 2021-02-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공 시설의 좌석 점유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146A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963B1 (ko)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10407021B2 (en) Child safety in a vehicle alert system and method
US9691250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lert for an infant in a car seat
US10917771B2 (en) System for smart child seat vehicle integration
US10434965B2 (en) Vehicular safety seat, controller coupled with vehicular safety seat, and vehicular safety seat system
US20210309180A1 (en) Seatbelt usage detection
KR20170057361A (ko) 카시트 탑승자 검출 및 경고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25604A1 (en) Vehicle occupant detection and alert system
US10870373B2 (en) Accident monitoring in a child safety seat
KR101877673B1 (ko) 어린이 탑승 차량용 안전 관리 시스템
US20190299925A1 (en) Child Transportation System
KR20160067677A (ko)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US11562636B2 (en) Child safety seat checking system, and child safety seat checking method
US11700522B2 (en) Vehicle that has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WO2015118569A1 (en) Child car seat with forgotten-child alarm system
KR20200077135A (ko) 자동 잠든 아이 확인 장치
KR102317494B1 (ko) 차량 하차 확인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하차 확인 시스템 및 방법
JP5666066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00036451A (ko) 차량용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US20110282543A1 (en) Seat bel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2407775B1 (ko) 아동용 통학차량 내 아동의 탑승 유무 확인시스템
KR20190035111A (ko) 차량용 안전 벨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11926B1 (ko) 차량 탑승객 안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차량 탑승객 안전 관리 방법
JP2021146743A (ja) 車両運転支援装置、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
CN212125060U (zh) 一种安全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