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480B1 -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480B1
KR102024480B1 KR1020180162264A KR20180162264A KR102024480B1 KR 102024480 B1 KR102024480 B1 KR 102024480B1 KR 1020180162264 A KR1020180162264 A KR 1020180162264A KR 20180162264 A KR20180162264 A KR 20180162264A KR 102024480 B1 KR102024480 B1 KR 102024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connection interface
door
switch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주호
Original Assignee
민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주호 filed Critical 민주호
Priority to KR102018016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port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하차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이를 위하여 차량의 도어 및 시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이 시동 온됨에 따라 시동 온/오프 신호를 인가받는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와,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인원 확인용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제 1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는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와,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시동 온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장치를 동작 온시키고, 상기 시동 오프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인원 확인용 메시지를 송출하며, 기 설정된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원 확인용 스위치로부터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비상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의 제어를 통해 상기 차량 내 미하자 인원이 있음을 외부로 알리며, 상기 외부에 알린 후 기 설정된 도어 오픈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 오픈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의 도어에 인가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A MANAGEMENT FOR GETTING OF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국적으로 운행되는 어린이 통학 및 통원용 버스의 사고 발생 건수가 연간 일천 여건에 달하고 있다. 이렇게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어린이 통학 및 통원 사고의 빈발은 상당 수의 통학(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특수학교), 통원(학원, 체육시설)용 차량들이 안전에 무방비 상태로 운행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이러한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발생을 줄이기 위해 어린이 통학, 통원에 이용되는 차량에서 어린이가 안전한 승/하차 확인하는 것을 의무화 하도록 한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2011년에 발의되었고, 2015년 초부터는 어린이 통학 차량에 대한 신고의무화가 시행된다. 이는 승차 시 승차한 어린이 확인 및 승차 시간 기록, 하차 시 하차한 어린이 확인 및 하차 시간 기록을 의무로 부과하여서 실질적인 어린이 교통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현재 승/하차 어린이 확인 및 승/하차 시간은 통학이나 통원을 위해 차량에 탑승한 보조원(선생님)이 사무실에 도착하여서 일괄적으로 문서 작성에 그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9963호(2018.08.13. 등록)
본 발명은 차량의 미하차 인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하차 인원이 존재할 경우 이를 외부에 알려줄 수 있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하차 인원이 차량 내 존재할 경우 차량의 도어와 연동하여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오픈시킬 수 있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하차를 관리하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차량의 도어 및 시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이 시동 온됨에 따라 시동 온/오프 신호를 인가받는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와,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인원 확인용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제 1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는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와,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시동 온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장치를 동작 온시키고, 상기 시동 오프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인원 확인용 메시지를 송출하며, 기 설정된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원 확인용 스위치로부터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비상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의 제어를 통해 상기 차량 내 미하자 인원이 있음을 외부로 알리며, 상기 외부에 알린 후 기 설정된 도어 오픈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 오픈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의 도어에 인가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는 외부의 비상용 스위치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비상용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제 2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내에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비상 모드 대기 시간 내에 상기 비상용 스위치로부터 제 2 스위칭 신호가 상기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가되면, 상기 비상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 내 미하차 인원이 존재하는 것을 외부에 알림과 더불어 상기 도어 오든 대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량의 경광등 또는 경보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알림 제어 신호를 따라 상기 경광등 또는 경보기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원 확인용 스위치로부터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제 2 스위칭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알림 제어 신호를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의 경광등 또는 경보기에 인가하여 상기 차량용 경광등 또는 경보기를 동작시켜 상기 미하차 인원이 있음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인원 확인용 스위치 또는 비상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하차를 관리하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량 내 설치된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시동 온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장치를 동작 온시키는 단계와, 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인원 확인용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인원 확인용 메시지를 송출한 후 기 설정된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내 설치된 인원 확인용 스위치로부터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비상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의 제어를 통해 상기 차량 내 미하자 인원이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단계와, 상기 외부에 알린 후 기 설정된 도어 오픈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 오픈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의 도어에 인가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내에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비상 모드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차량 내 설치된 비상용 스위치로부터 제 2 스위칭 신호가 상기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스위칭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차량 내 미하차 인원이 존재하는 것을 외부에 알림과 더불어 상기 도어 오든 대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인가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에 알리는 것은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차량의 경광등 또는 경보기를 동작시켜 상기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호를 인가하는 외부기기와 연동되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와 인솔자가 차량 내부를 확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내 미하차 인원의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미하차 인원이 존재할 경우 이를 외부에 알려주고, 기 설정된 시간 후에 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오픈시킬 수 있는 줄 수 있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와 인솔자의 실수 또는 부주의를 줄여 인명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가 하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가 하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 예컨대 차량의 뒤 자석 상측부에 매립형 또는 부착형으로 설치되고, 차량의 시동부, 도어, 경광등, 경보기, 클락션 등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외부기기, 예컨대 인원 확인용 스위치(10) 및 비상 스위치(20)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외부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Le(Low energy)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인원 확인용 스위치(10) 및 비상 스위치(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켜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소정의 스위칭 신호를 인가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인원 확인용 스위치(10)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스위칭 신호를 제 1 스위칭 신호라고 하고, 비상 스위치(20)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스위칭 신호를 제 2 스위칭 신호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 및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 전원 단자(130), 전원 공급부(140) 및 제어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서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 및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단자를 의미할 수 있다.
먼저,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는 차량의 시동부, 도어, 경광등, 경보기 등과 연결되는 단자로서, 시동 온/오프 신호를 인가받거나 도어의 오픈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거나 경광등 및 경보기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신호는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가 또는 전송받은 신호는 제어부(150)에 입력될 수 있다.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한 후 이를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는 인원 확인용 스위치(10) 및 비상 스위치(20)와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아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단자(130)는 차량의 전원 공급 장치, 예컨대 차량용 배터리와 연결되어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단자(13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전원 공급부(140), 예컨대 전원 공급 회로를 통해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 부품에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시동 온 시 동작하여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차량의 경광등, 경보기 등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의 상세한 동작 방법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하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이 온됨에 따라, 즉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시동 온 신호가 인가(S200)됨에 따라 제어부(150)는 전원 단자(130)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 공급부(140)를 통해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시켜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시킨다(S202).
이후, 시동 오프 신호가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입력되면(S204),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스피커(미도시됨)를 통해 음성 안내 메시지, 즉 인원 확인용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여 인원 확인을 위한 음성 안내를 실시한다(S206).
그런 다음,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동안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된 인원 확인용 스위치(10)로부터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08). 여기에서,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은 2-3분 정도일 수 있다.
S208의 판단 결과,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동안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음성 안내를 종료(S210)한 후 기 설정된 비상 모드 대기 시간 동안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비상 스위치(20)로부터 제 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12).
S212의 판단 결과, 비상 모드 대기 시간 동안 제 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차량의 경광등 점멸, 경보기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차량의 경광등 및/또는 경보기를 동작시킨다(S214). 여기에서, 비상 모드 대기 시간은 1-3시간 정도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50)는 도어 오픈 대기 시간이 셋팅된 타이머(155), 즉, 도어 오픈 대기 시간 동안 동작한 후 종료되는 타이머(155)를 동작(S216)시킨 후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시동 온 신호가 입력되는지 또는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18). 여기에서, 도어 오픈 대기 시간은 2-3분 정도일 수 있다.
S218의 판단 결과, 시동 온 신호 또는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타이머(155)로부터 타이머 종료 신호가 발생되는지를 판단한다(S220).
S220의 판단 결과, 타이머 종료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150)는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차량의 도어에 인가하여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킨다(S222).
한편, S220의 판단 결과, 타이머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S214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S208의 판단 결과,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동안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50)는 S214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S212의 판단 결과, 비상 모드 대기 시간 동안 제 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가 유선으로 인원 확인용 스위치(10)와 비상 스위치(20)가 연결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가 유선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외부기기, 예컨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센서 장치(30)와 연동하여 차량 내 탑승 인원의 하차를 유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에 센서 장치(3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장치(30)는 차량의 도어 상측 부분에 설치되어 차량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즉 하차하는 인원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카운트한 후 이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무선으로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장치(30)는 차량의 도어가 오픈될 때 동작하여 차량의 도어를 통해 이동하는 물체의 감지, 예컨대 이동하는 물체의 높낮이를 판단하여 하차하는 인원을 카운트한 후 이를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30)는 차량 내부를 감지하여 차량 내부에 사람의 존재하는지를 센싱한 후 이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장치(3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내부의 열 감지를 통해 차량 내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한 후 이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 장치(30)는 전원 공급 회로, 센싱부, 무선 통신 회로 및 제어회로 등을 구비하는 IoT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센서 장치(30)와 무선 통신을 위해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도 무선 통신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블루투스 LE,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 장치(30)와 동작하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부(150)는 시동 오프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센서 장치(30)의 구동을 위한 무선 신호를 센서 장치(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오프될 때 센서 장치(30)는 동작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상기의 S206 내지 S210의 동작을 수행하며, 이후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비상 스위치(20)가 아닌 센서 장치(30)와의 연동을 통해 비상 모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비상 모드로 진입하여 비상 모드 대기 시간 내에 센서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 예컨대 하차 인원수와 관련된 센싱 정보 또는 차량 내부 감지를 통해 센싱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내 미하차 인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00).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인원수 정보,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에 설정된 정보와 센싱 정보 내 하차 인원수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미하차 인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거나 차량 내부 감지를 통해 센싱한 정보를 분석하여 미하차 인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400의 판단 결과, 미하차 인원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차량의 경광등 점멸, 경보기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차량의 경광등 및/또는 경보기를 동작시킨다(S402). 여기에서, 비상 모드 대기 시간은 20분-30분 정도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50)는 도어 오픈 대기 시간이 셋팅된 타이머(155), 즉, 도어 오픈 대기 시간 동안 동작한 후 종료되는 타이머(155)를 동작(S404)시킨 후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시동 온 신호가 입력되는지 또는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406). 여기에서, 도어 오픈 대기 시간은 2-3분 정도일 수 있다.
S406의 판단 결과, 시동 온 신호 또는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타이머(155)로부터 타이머 종료 신호가 발생되는지를 판단한다(S408).
S408의 판단 결과, 타이머 종료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150)는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차량의 도어에 인가하여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킨다(S410).
한편, S410의 판단 결과, 타이머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S404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인원 확인용 스위치
20 : 비상 스위치
30 : 센서 장치
100 :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110 :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
120 :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
130 : 전원 단자
140 : 전원 공급부
150 : 제어부
155 : 타이머

Claims (7)

  1.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하차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도어 및 시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이 시동 온됨에 따라 시동 온/오프 신호를 인가받는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량 내 설치된 인원 확인용 스위치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 1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고, 유선으로 연결된 비상용 스위치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 2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는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와,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시동 온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장치를 동작 온시키고, 상기 시동 오프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인원 확인용 메시지를 송출하며, 기 설정된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내에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비상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의 제어를 통해 상기 차량 내 미하자 인원이 있음을 외부로 알리며, 상기 외부에 알린 후 기 설정된 도어 오픈 대기 시간이 셋팅된 타이머를 동작시킨 후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동 온 신호가 입력되는지 또는 상기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시동 온 신호 또는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의 도어 오픈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의 도어에 인가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며, 상기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내에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비상 모드 대기 시간 내에 상기 비상용 스위치로부터 제 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 내 미하차 인원이 존재하는 것을 외부에 알린 후 상기 도어 오픈 대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인가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차량의 경광등 또는 경보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알림 제어 신호를 따라 상기 경광등 또는 경보기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원 확인용 스위치로부터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제 2 스위칭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알림 제어 신호를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의 경광등 또는 경보기에 인가하여 상기 차량용 경광등 또는 경보기를 동작시켜 상기 미하차 인원이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4. 삭제
  5.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하차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 내 설치된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로부터 시동 온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장치를 동작 온시키는 단계와,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인원 확인용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인원 확인용 메시지를 송출한 후 기 설정된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량 내 설치된 인원 확인용 스위치로부터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비상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의 제어를 통해 상기 차량 내 미하자 인원이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단계와,
    상기 외부에 알린 후 기 설정된 도어 오픈 대기 시간이 셋팅된 타이머를 동작시킨 후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동 온 신호가 입력되는지 또는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시동 온 신호 또는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의 도어 오픈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의 도어에 인가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는 단계와,
    상기 인원 확인용 대기 시간 내에 제 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비상 모드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외부기기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비상용 스위치로부터 제 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 내 미하차 인원이 존재하는 것을 외부에 알림과 더불어 상기 도어 오픈 대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인가하여 상기 도어를 오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 알리는 것은,
    상기 차량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차량의 경광등 또는 경보기를 동작시켜 상기 외부에 알리는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62264A 2018-12-14 2018-12-14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2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264A KR102024480B1 (ko) 2018-12-14 2018-12-14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264A KR102024480B1 (ko) 2018-12-14 2018-12-14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480B1 true KR102024480B1 (ko) 2019-09-23

Family

ID=6806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264A KR102024480B1 (ko) 2018-12-14 2018-12-14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4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150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자동차의 어린이 보호장치
KR101826639B1 (ko) * 2016-11-24 2018-02-08 (주)에이텍티앤 차량 운행 종료 후 미하차 인원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889963B1 (ko) 2016-12-13 2018-08-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150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자동차의 어린이 보호장치
KR101826639B1 (ko) * 2016-11-24 2018-02-08 (주)에이텍티앤 차량 운행 종료 후 미하차 인원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889963B1 (ko) 2016-12-13 2018-08-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41226B (zh) 自动驾驶车辆增强系统的行动装置
CN107542358A (zh) 一种无人驾驶公交车门的控制方法及系统
WO2018127186A1 (zh) 充换电设施识别电动车辆的方法
CN108119003A (zh) 用于增强车库门开启器远程控制的系统和方法
JP6398874B2 (ja) 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乗降案内システム
KR20200068090A (ko)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KR102024480B1 (ko)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3832332A (zh) 开启汽车门的警示装置
CN109643493A (zh) 用于向机动车的周围环境中的交通参与者发出机动车的一个或多个机动车乘员即将下车的警告的设计
WO2020022221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両制御装置
KR102017570B1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20170075302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버스 정차버튼 제어 시스템
KR101826639B1 (ko) 차량 운행 종료 후 미하차 인원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US11458990B2 (en) Automatic driving vehicle
KR102569798B1 (ko)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US20200409356A1 (en) Automatic driving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center and vehicle operation system
KR102627162B1 (ko)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5897096B1 (ja) 車両の走行支援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200019320A (ko) 어린이 통학 및 통원용 차량의 탑승자 하차 확인 시스템
KR101653640B1 (ko) 블루투스를 활용한 안심택시 서비스
KR20190051423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1428295B1 (ko) 차량의 닐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2810561B (zh) 一种车辆及其乘客防遗留的控制系统和方法
KR101780295B1 (ko) 안심귀가를 위한 위치추적정보 제공 시스템
JP2022185508A (ja) 通知判断装置、通知判断方法および通知判断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