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798B1 -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798B1
KR102569798B1 KR1020220104639A KR20220104639A KR102569798B1 KR 102569798 B1 KR102569798 B1 KR 102569798B1 KR 1020220104639 A KR1020220104639 A KR 1020220104639A KR 20220104639 A KR20220104639 A KR 20220104639A KR 102569798 B1 KR102569798 B1 KR 10256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gnant woman
information
pregnant
terminal
centr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24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24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24
Priority to KR102022010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2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mass transport vehicles, e.g. buses, trains or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 내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철 역사의 플랫폼에서 탑승할 전동차량의 위치정보를 미리 알려주는 위치 알리미 앱이 설치된 임산부 스마트폰(200); 전동차량 내부의 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되어 임산부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알리미 단말기(300); 및, 전동차량의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리하며, 임산부 스마트폰(200) 및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중앙관제서버(100);를 포함하고, 알리미 단말기(300)는 임산부 배려석에 임산부가 착석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임산부 착석 정보를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관제서버(100)로 실시간 전송하고, 중앙관제서버(100)는 알리미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임산부 착석 정보 및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저장하며, 임산부가 착석하지 않은 임산부 배려석의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라 임산부가 이용 가능한 임산부 배려석이 남아 있는 전동차량이 정차할 플랫폼 출입문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임산부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고, 임산부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해당 플랫폼 출입문 위치에 도착하였다는 플랫폼 도착 정보가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되면, 중앙관제서버(100)는 플랫폼 도착 정보에 따라 임산부가 탑승할 전동차량 내부의 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된 알리미 단말기(300)로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알리는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전동차량이 해당 플랫폼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전송하고, 중앙관제서버(100)로부터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수신한 알리미 단말기(300)는 시각 신호, 청각 신호 또는 안내방송을 통하여 임산부가 탑승하기 전에 미리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Pre-Notification System for Pregnant Women based on IoT}
본 발명은 전동차량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임산부 배려석을 평상시에는 일반인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고, 임산부의 탑승이 예정된 경우 해당 전동차량이 플랫폼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양보를 권유하는 신호나 방송을 송출함으로써, 임산부 배려석의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임산부의 편의를 도모하고, 임산부 배려석 이용과 관련된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행 중인 전동차량 내부에는 교통 약자를 위한 좌석과는 별도로 임산부 배려석이 마련되기도 하는데, 2019년 기준 서울시 자료에 의하면 2013년부터 전동차량 내부에 임산부 배려석을 지정하여 의무가 아닌 배려에 의해 운용 중인데, 1 내지 8호선 전동차량 3천 5백 여대의 18만 여개의 죄석 가운데 7천 여석이 배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산부 배려석의 경우 아직까지 홍보나 사회적 인식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외형상 구분이 어려운 초기 임산부의 경우에는 임산부 뱃지를 별도로 착용하여 임산부임을 외부로 표시할 수도 있으나, 혼잡한 차량 내부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이미 좌석을 점유하고 있는 일반인에게 접근하여 좌석 양보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일반인은 물론 임산부에게도 상당한 부담과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임산부 배려석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다수의 기술이 이미 개발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인 등록특허 제10-2194489호(IoT 기반 전동차내 임산부 배려석 관리 시스템)을 보면, 배려석 관리서버(100), 임산부의 스마트폰(C)에 설치된 임산부 클라이언트부(200), 임산부 배려석(A)에 근접 설치된 배려석 안내단말(300)을 무선통신으로 연결하여 연동시킴으로써 전동차에 설치된 임산부 배려석의 이용을 관리하는 IoT 기반 전동차내 임산부 배려석 관리 시스템으로서, 전동차의 차량 편성별 호차별 임산부 배려석(A)의 설치 정보를 배려석 데이터베이스(120)로 관리하고, 상기 배려석 안내단말(300)로부터 해당 임산부 배려석(A)에 대한 임산부 또는 비임산부의 좌석점유 정보를 제공받고, 차량 편성별 호차별로 임산부 배려석(A)에 대한 좌석 점유 현황을 관리하고, 상기 임산부 클라이언트부(200)로부터 지하철역 특정 정보를 제공받으면 그에 대응하여 해당 지하철역으로 진입 예정인 지하철 차량에 대한 사용 가능 임산부 배려석 현황정보를 임산부 클라이언트부(200)로 제공하는 배려석 관리서버(100); 임산부의 스마트폰(C)에 설치되고, 외부 서버와 협조 동작하여 임산부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배려석 안내단말(300)과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링크를 제공하고, 상기 배려석 관리서버(100)와 협조 동작하여 편성별 호차별로 임산부 배려석(A)에 대한 좌석 점유 현황 조회를 제공하고, 상기 배려석 관리서버(100)와 협조 동작하여 특정 지하철역에 진입 예정인 지하철 차량에 대한 사용가능 임산부 배려석 현황정보의 조회를 제공하는 임산부 클라이언트부(200); 지하철 차량 내의 임산부 배려석(A)마다 배치되어 자신이 담당하는 임산부 배려석(A)에 근접 설치되고, 자신이 설치된 차량내 위치에 대한 편성번호 및 호차번호를 저장하고, 자신이 담당하는 임산부 배려석(A) 주변의 미리 설정된 착석 유효반경에 대응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임산부 클라이언트부(200)와 무선링크를 수행하고, 단말 하단의 초음파 감지센서에 의해 해당 임산부 배려석(A)에 대한 착석 여부를 식별하고, 해당 임산부 배려석(A)에 대한 착석 이벤트 및 상기 임산부 클라이언트부(200)와의 무선링크 설정 여부의 조합에 기초하여 자신이 담당하는 임산부 배려석(A)에 대한 임산부 좌석점유 또는 비임산부 좌석점유를 구분 식별하고, 임산부 좌석점유 이벤트에 대응하여 임산부 좌석점유 사실, 편성번호, 호차번호를 상기 무선링크를 경유하여 상기 배려석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 비임산부 좌석점유 이벤트에 대응하여 비임산부의 좌석점유 시간을 임시 저장하고, 상기 임산부 클라이언트부(200)와의 무선링크가 설정되면 이 무선링크를 경유하여 상기 배려석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 비임산부 좌석점유 상태에서 상기 임산부 클라이언트부(200)와 무선링크가 이루어지면 자체 스피커를 이용하여 양보요청 안내방송을 출력하여 임산부 배려석(A)에 앉아있는 비임산부에게 자리 양보를 유도하는 배려석 안내단말(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려석 안내단말(300)은, 자신이 담당하는 임산부 배려석(A)의 위쪽으로 근접 이격된 차량 벽면에 설치되고 단말 하단의 초음파 감지센서의 특정 방향에서의 사물 이격거리 측정 능력을 이용하여 단말 하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근접 거리 이내에 좌석 점유자를 인식함으로써 자신이 담당하는 해당 임산부 배려석(A)에 사람의 착석 여부를 식별하는 착석감지센서(310); 상기 배려석 안내단말(300)과 해당 임산부 배려석(A) 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자신이 담당하는 상기 임산부 배려석(A)을 커버하는 미리 설정된 착석 유효반경 이내의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임산부 클라이언트부(2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무선링크를 수행하는 어플연결모듈(320); 자신이 담당하는 상기 임산부 배려석(A)으로부터 상기 착석 유효반경 이내의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임산부 클라이언트부(200)와의 상기 무선링크를 경유하여 상기 배려석 관리서버(100)와의 무선 데이터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서버연결모듈(330); 자신이 담당하는 상기 임산부 배려석(A)에 대한 비임산부 좌석점유 이벤트에 대응하여 해당 임산부 배려석(A)을 점유한 비임산부에게 미리 저장한 양보요청 안내방송을 스피커 출력하기 위한 안내방송모듈(350); 상기 양보요청 안내방송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저장모듈(370); 상기 배려석 안내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안내제어모듈(3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임산부가 차량에 탑승하여 임산부 배려석에 근접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안내 멘트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양보를 권유하게 되어 임산부 배려석을 점유하고 있던 일반인은 물론 임산부 입장에서도 심리적 부담과 불편을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임산부와 일반인 사이에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언제 임산부가 탑승하여 임산부 배려석으로 접근할 지 모르는 상황이라 이러한 심리적 부담과 갈등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평상시에도 임산부 자리를 항상 비워두어야 하는 바, 빈 좌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적시에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임산부 배려석 이용과 관련된 사회적 갈등이나 심리적 부담감을 해소함과 동시에 임산부 배려석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안내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제10-2194489호
등록특허 제10-2255517호
등록특허 제10-1612172호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동차량에 마련되는 임산부 배려석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임산부 배려석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임산부 배려석을 양보하는 일반인과 이를 사용하는 임산부 사이에 직접적인 대면 기회를 차단하여 양측 모두에게 심리적 부담이나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임산부 배려석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알리미 단말기(300)가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하는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해당 전동차량의 편성번호 정보 및 칸번호 정보, 배터리 잔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임산부 배려석의 관리 및 이용 실태 파악,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임산부 배려석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동차 내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철 역사의 플랫폼에서 탑승할 전동차량의 위치정보를 미리 알려주는 위치 알리미 앱이 설치된 임산부 스마트폰(200); 전동차량 내부의 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되어 임산부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알리미 단말기(300); 및, 전동차량의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리하며, 상기 임산부 스마트폰(200) 및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중앙관제서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는 임산부 배려석에 임산부가 착석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임산부 착석 정보를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임산부 착석 정보 및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저장하며, 임산부가 착석하지 않은 임산부 배려석이 남아 있는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라 임산부가 이용 가능한 임산부 배려석이 남아 있는 전동차량의 플랫폼 출입문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임산부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임산부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해당 플랫폼 출입문 위치에 도착하였다는 플랫폼 도착 정보가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되면,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플랫폼 도착 정보에 따라 임산부가 탑승할 전동차량 내부의 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된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로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알리는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전동차량이 해당 플랫폼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부터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수신한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는 시각 신호, 청각 신호 또는 안내방송을 통하여 임산부가 탑승하기 전에 미리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동차량에 마련되는 임산부 배려석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중앙관제서버(100)는 임산부가 이용 가능한 임산부 배려석이 남아 있는 전동차량의 해당 칸이 정차할 플랫폼 출입문 위치 정보를 역사 별로 생성하여 임산부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고, 임산부는 이런 정보를 이용하여 각 역사에서 해당 출입문 위치로 미리 이동하여 탑승을 대기하다가 전동차량이 플랫폼에 정차하면 탑승하자마자 바로 임산부 배려석을 이용할 수 있고, 중앙관제서버(100)로부터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수신한 알리미 단말기(300)가 시각 신호, 청각 신호 또는 안내방송을 통하여 임산부가 탑승하기 전에 미리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알림으로써 임산부가 탑승하기 전에 미리 자리를 비워둘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임산부가 탑승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일반인도 부담 없이 임산부 배려석을 이용할 수 있고, 임산부가 탑승하기 전에 미리 자리를 비워둠으로써 임산부도 아무런 부담 없이 편리하게 임산부 배려석을 이용할 수 있어 임산부 배려석의 활용도(점유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임산부 배려석을 양보하는 일반인과 이를 사용하는 임산부 사이에 직접적인 대면 기회를 차단하여 양측 모두에게 심리적 부담이나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알리미 단말기(300)가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하는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해당 전동차량의 편성번호 정보 및 칸번호 정보, 배터리 잔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임산부 배려석의 관리 및 이용 실태 파악,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어신호 및 서비스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4는 알리미 단말기(300)의 기능을 모듈 중심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동차 내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관제서버(100), 임산부 스마트폰(200), 알리미 단말기(300) 및 임산부 비콘발신기(400)를 포함하고,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어 신호 및 서비스 흐름(service flow)이 이루어진다.
중앙관제서버(100)는 전동차량의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리하는 종래의 전동차량 관제서버에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기능이 부가된 것으로서, 임산부 스마트폰(200) 및 알리미 단말기(3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임산부 스마트폰(200)은 지하철 역사의 플랫폼에서 탑승할 전동차량의 위치정보를 미리 알려주는 위치 알리미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일종으로 위치 알리미 앱을 통하여 중앙관제서버(100)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알리미 단말기(3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위치 알리미 앱을 설치하는 과정은 통상적인 웹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과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임산부라는 사실을 확인받기 위한 별도의 인증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알리미 단말기(300)는 전동차량 내부의 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되어 임산부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과 함께, 임산부가 탑승하기 전에 미리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알리미 단말기(300)는 임산부 배려석이 마련된 근처의 손잡이봉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알리미 단말기(300)는 임산부 배려석에 임산부가 착석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임산부 착석 정보를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관제서버(100)로 실시간 전송한다.
임산부가 아닌 일반인이 임산부 배려석에 착석한 경우에는 임산부 배려석에 임산부가 착석한 것이 아니므로 임산부가 착석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고, 임산부가 이용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게 된다.
즉, 알리미 단말기(300)는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임산부 스마트폰(200)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임산부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WiFi통신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통신)을 통하여 무선링크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하여 임산부가 착석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알리미 단말기(300)가 임산부가 착석한 것으로 인식할 경우 임산부가 착석하였다는 임산부 착석 정보와 함께 이를 인식한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를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하는데,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에는 알리미 단말기(300) 각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 해당 전동차량의 편성번호 정보 및 칸번호 정보가 포함되고, 중앙관제서버(100)는 알리미 단말기(300)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운행되고 있는 전체 전동차량에 마련된 임산부 배려석 이용 현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중앙관제서버(100)에는 알리미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는 임산부 착석 정보,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해당 전동차량의 편성번호 정보 및 칸번호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가 구비되어 임산부 배려석의 이용 현황을 관리하고, 필요한 제어신호나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알리미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관제서버(100)에서 통합관리되는 임산부 배려석의 점유 현황(이용 현황)은 실시간으로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임산부 스마트폰(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임산부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각 역사 별로 접근하고 있는 전동차량의 편성번호 별로 임산부 배려석의 점유 현황을 그 위치와 함께 확인(칸번호 및 칸번호 별 임산부 배려석 각각의 점유 현황 확인)할 수 있는데, 위치 알리미 앱이 임산부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제시하는 화면에 따라 각 노선 별 역사를 직접 선택하여 해당 역사로 접근하고 있는 전동차량의 임산부 배려석 점유 현황(이용 현황)을 확인할 수도 있고, 역사와 일정 거리 이내에 근접할 경우에는 역사를 별도로 선택하지 않더라도 해당 역사로 접근하는 전동차량의 임산부 배려석의 점유 현황을 바로 확인하는 방식이 선택될 수도 있다.
중앙관제서버(100)는 임산부 배려석의 점유 현황에 관한 정보와는 별도로 임산부가 착석하지 않은 임산부 배려석의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라 임산부가 이용 가능한 임산부 배려석이 남아 있는 전동차량의 해당 칸이 정차할 플랫폼 출입문 위치 정보를 역사 별로 생성하여 임산부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임산부는 이런 정보를 이용하여 각 역사에서 해당 출입문 위치로 미리 이동하여 탑승을 대기하다가 전동차량이 플랫폼에 정차하면 탑승하자마자 바로 임산부 배려석을 이용할 수 있다.
임산부 스마트폰(200)은 임산부가 플랫폼의 해당 출입문 위치에 도착하면 임산부가 도착하였다는 플랫폼 도착 정보를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임산부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되는 플랫폼 도착 정보는 지하철 역사 내에 설치된 WiFi AP(G)와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임산부 스마트폰(200) 사이의 무선통신을 통한 실내 위치 인식 방식으로 해당 역사번호 및 탑승위치번호가 자동 인식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플랫폼 도착 정보는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임산부 스마트폰(200)의 카메라로 촬영된 플랫폼의 해당 출입문 위치의 이미지로부터 역사번호 및 탑승위치번호가 자동 인식될 수도 있는데, 역사의 플랫폼에는 출입문 위치마다 역사번호 및 탑승위치번호가 표시되어 있어 이를 카메라로 촬영하면 촬영된 이미지에서 역사번호와 탑승위치번호가 자동 인식되어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임산부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직접 역사번호 및 탑승위치번호가 수동으로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가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되는 방식이 선택될 수도 있다.
임산부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해당 플랫폼 출입문 위치에 임산부가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플랫폼 도착 정보가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되면, 중앙관제서버(100)는 플랫폼 도착 정보에 따라 임산부가 탑승할 전동차량 내부의 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된 알리미 단말기(300)로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알리는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전동차량이 해당 플랫폼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전송한다.
중앙관제서버(100)로부터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수신한 알리미 단말기(300)는 시각 신호, 청각 신호 또는 안내방송을 통하여 임산부가 탑승하기 전에 미리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알리게 되고, 임산부가 탑승하기 전에 미리 자리를 비워둘 수 있다.
즉, 임산부가 탑승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일반인도 부담 없이 임산부 배려석을 이용할 수 있고, 임산부가 탑승하기 전에 미리 자리를 비워둠으로써 임산부도 아무런 부담 없이 편리하게 임산부 배려석을 이용할 수 있다.
임산부 비콘발신기(400)는 비콘신호를 발신하게 되고, 알리미 단말기(300)는 임산부 비콘발신기(40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임산부 비콘발신기(400)의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임산부가 착석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알리미 단말기(300)는 임산부가 착석하였다는 임산부 착석 정보와 함께 이를 인식한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를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즉, 임산부 스마트폰(200)이 없더라도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임산부의 이용현황(점유현황)이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다.
아울러, 알리미 단말기(300)가 임산부 비콘발신기(4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시각 신호, 청각 신호 또는 안내방송을 통하여 임산부 배려석의 자리 양보를 유도하게 된다.
즉,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임산부 스마트폰(200)을 미처 준비하지 못한 임산부라도 임산부 비콘발신기(400)를 휴대하고 있으면 현장에서 자리 양보를 받을 기회를 가지게 된다.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임산부 스마트폰(200)도 비콘 신호를 발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임산부 비콘발신기(400)와 동일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무선 통신 장애 등의 이유로 중앙관제서버(100)가 알리미 단말기(300)로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송신하지 못한 경우에도 전동차량에 탑승 후 임산부 배려석의 자리 양보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알리미 단말기(300)의 구체적 실시예의 기능을 모듈 중심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안내방송모듈(310),LED라이트모듈(320), 배터리전원관리모듈(330), 위치알리미앱연결모듈(340), 비콘수신모듈(350), 게이트웨이연결모듈(360), 음원저장모듈(370) 등이 포함된다.
안내방송모듈(310)은 스피커(311)를 통하여 음원저장모듈(370)에 저장되어 있던 소정의 안내멘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중앙관제서버(100)로부터 게이트웨이연결모듈(360)을 통하여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가 수신되면 안내제어모듈(3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내방송모듈(310)은 미리 셋팅된 안내멘트(예를 들어, "다음 역에서 임산부가 탑승할 예정이니 자리를 양보해 주시며 감사하겠습니다")를 스피커(311)를 통하여 출력한다.
LED라이트모듈(320)은 LED(321)를 점등하거나 점멸을 반복하여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중앙관제서버(100)로부터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안내제어모듈(380)의 제어신호에 따라 LED라이트모듈(320)은 LED(321)를 점등하거나 점멸을 반복하는데, 스피커(311)를 통한 안내멘트 출력과 함께 미리 설정된 주기로 LED(321)를 점멸하여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전원관리모듈(330)은 알리미 단말기(300) 내부에 장착되는 내장 배터리(331)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방전될 경우 솔라셀(332)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내장 배터리(331)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내장 배터리(331)는 알리미 단말기(3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솔라셀(332)은 전동차량의 내부 실내등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여 방전된 내장 배터리(331)를 충전한다.
배터리전원관리모듈(330)은 솔라셀(332)을 이용하여 내장 배터리(331)를 충전하는 기능과 함께 안내제어모듈(380)과 게이트웨이연결모듈(360)을 경유하여 내장 배터리(331)의 배터리 잔류 상태 정보를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한다.
외부충전회로(333)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내장 배터리(331)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알리미앱연결모듈(340)은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임산부 스마트폰(200)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임산부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WiFi통신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통신)을 통하여 무선링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안내제어모듈(380)은 임산부 스마트폰(200)과 무선링크가 이루어지면 이를 통하여 임산부가 착석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고, 임산부 착석 정보를 게이트웨이연결모듈(360)을 통하여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한다.
비콘수신모듈(350)은 임산부 비콘발신기(400)의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비콘수신모듈(350)은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는 임산부 스마트폰(200)이 발신하는 비콘신호도 수신할 수 있다.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안내제어모듈(380)은 임산부가 착석한 것으로 인식하고 게이트웨이연결모듈을 통하여 중앙관제서버(100)로 임삭부 착석 정보를 전송한다.
게이트웨이연결모듈(360)은 전동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WiFi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 게이트웨이(D)와 연결되며, 이들과의 연결을 통하여 알리미 단말기(300)와 중앙관제서버(100) 사이에 유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음원저장모듈(370)에는 스피커(311)로 출력되는 소정의 안내멘트의 음원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중앙관제서버
200:임산부 스마트폰
300:알리미 단말기
310:안내방송모듈
320:LED라이트모듈
321:LED
330:배터리전원관리모듈
331:내장 배터리
332:솔라셀
333:외부충전회로
340:위치알리미앱연결모듈
350:비콘수신모듈
360:게이트웨이연결모듈
370:음원저장모듈
380:안내제어모듈
400:임산부 비콘발신기

Claims (8)

  1. 전동차 내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철 역사의 플랫폼에서 탑승할 전동차량의 위치정보를 미리 알려주는 위치 알리미 앱이 설치된 임산부 스마트폰(200);
    전동차량 내부의 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되어 임산부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알리미 단말기(300); 및,
    전동차량의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리하며, 상기 임산부 스마트폰(200) 및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중앙관제서버(100);
    를 포함하고,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는 임산부 배려석에 임산부가 착석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임산부 착석 정보를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임산부 착석 정보 및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저장하며, 임산부가 착석하지 않은 임산부 배려석의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에 따라 임산부가 이용 가능한 임산부 배려석이 남아 있는 전동차량이 정차할 플랫폼 출입문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임산부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임산부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해당 플랫폼 출입문 위치에 도착하였다는 플랫폼 도착 정보가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되면,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플랫폼 도착 정보에 따라 임산부가 탑승할 전동차량 내부의 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된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로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알리는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전동차량이 해당 플랫폼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부터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수신한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는 시각 신호, 청각 신호 또는 안내방송을 통하여 임산부가 탑승하기 전에 미리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알리고,
    상기 임산부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되는 플랫폼 도착 정보는,
    지하철 역사 내에 설치된 WiFi AP와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상기 임산부 스마트폰(200) 사이의 무선통신을 통한 실내 위치 인식 방식으로 해당 역사번호 및 탑승위치번호가 자동 인식되거나,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임산부 스마트폰(200)의 카메라로 촬영된 해당 플랫폼의 출입문 위치의 이미지로부터 역사번호 및 탑승위치번호가 자동 인식되거나,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임산부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직접 역사번호 및 탑승위치번호가 수동으로 입력되는 것 가운데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는,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상기 임산부 스마트폰(200)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임산부가 착석한 것으로 인식하고,
    임산부가 착석한 것으로 인식한 임산부 착석 정보와 함께 이를 인식한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에는,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 각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 해당 전동차량의 편성번호 정보 및 칸번호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4. 제1항에서,
    비콘신호를 발신하는 임산부 비콘발신기(400);
    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는 상기 임산부 비콘발신기(40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임산부가 착석한 것으로 인식하고,
    임산부가 착석하였다는 임산부 착석 정보와 함께 이를 인식한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부터 임산부가 탑승 예정임을 알리는 임산부 탑승 예정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가 상기 임산부 비콘발신기(400) 또는 위치 알리미 앱이 실행되고 있는 상기 임산부 스마트폰(200)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시각 신호, 청각 신호 또는 안내방송을 통하여 임산부 배려석의 자리 양보를 유도하는 기능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6. 제3항에서,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에는,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는 임산부 착석 정보,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해당 전동차량의 편성번호 정보 및 칸번호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가 구비되어 임산부 배려석의 이용 현황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에는,
    작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한 내장 배터리(331);
    전동차량의 실내등을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한 솔라셀(332); 및,
    상기 내장 배터리(331)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방전될 경우 상기 솔라셀(332)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내장 배터리(331)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터리전원관리모듈(330);
    이 포함되고,
    상기 알리미 단말기(300)는 배터리 잔류 상태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8. 삭제
KR1020220104639A 2022-08-22 2022-08-22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KR10256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39A KR102569798B1 (ko) 2022-08-22 2022-08-22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39A KR102569798B1 (ko) 2022-08-22 2022-08-22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798B1 true KR102569798B1 (ko) 2023-08-25

Family

ID=87846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639A KR102569798B1 (ko) 2022-08-22 2022-08-22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7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21B1 (ko) * 2009-12-23 2015-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상태 알림 방법
KR101827556B1 (ko) * 2016-10-04 2018-02-09 더다프트랩(주) IoT 기반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4768A (ko) * 2017-12-01 2019-06-11 윤영섭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KR20200100969A (ko) * 2019-02-19 2020-08-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94489B1 (ko) * 2020-04-09 2020-12-23 (주)바이컴 IoT 기반 전동차내 임산부 배려석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21B1 (ko) * 2009-12-23 2015-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상태 알림 방법
KR101827556B1 (ko) * 2016-10-04 2018-02-09 더다프트랩(주) IoT 기반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4768A (ko) * 2017-12-01 2019-06-11 윤영섭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KR20200100969A (ko) * 2019-02-19 2020-08-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94489B1 (ko) * 2020-04-09 2020-12-23 (주)바이컴 IoT 기반 전동차내 임산부 배려석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41226B (zh) 自动驾驶车辆增强系统的行动装置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KR20140096705A (ko) 버스 승하차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707525B1 (ko) 버스 정류장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7095527A (zh) 智慧巴士车站
KR101996980B1 (ko)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US20180072172A1 (en) Electric bus and charging system
KR101713294B1 (ko)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1592861B1 (ko) 교통적 약자를 위한 버스 승하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68761B2 (ja) 身障者支援システム
KR102569798B1 (ko)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102176535B1 (ko)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00554B1 (ko) 통학 차량의 원생 관리 시스템
KR102194489B1 (ko) IoT 기반 전동차내 임산부 배려석 관리 시스템
KR20170075302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버스 정차버튼 제어 시스템
CN216310865U (zh) 车载系统及具有其的车辆
CN110902512A (zh) 用于电梯的通知系统和通知方法以及电梯系统
KR102285501B1 (ko)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KR20220116712A (ko)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KR20220041592A (ko)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2024480B1 (ko) 차량용 하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30251824A1 (en) Voice guidance method
KR101155529B1 (ko) Usn 기반 시각 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WO2023053475A1 (ja) 移動経路情報提供システム、介助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移動経路情報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