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535B1 -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535B1
KR102176535B1 KR1020190019001A KR20190019001A KR102176535B1 KR 102176535 B1 KR102176535 B1 KR 102176535B1 KR 1020190019001 A KR1020190019001 A KR 1020190019001A KR 20190019001 A KR20190019001 A KR 20190019001A KR 102176535 B1 KR102176535 B1 KR 102176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app
controller
information
pregnant wo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969A (ko
Inventor
김미혜
유명성
최시영
김창성
윤교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9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5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04L67/2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된 임산부 배려석을 임산부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임산부 배려석에 컨트롤러를 설치하여, 임산부가 지하철 탑승 후 스마트 폰 앱을 사용해 LED, 음성, 진동 등으로 양보를 권유할 수 있고, 임산부가 착석 시 LED를 점등하여 임산부임을 나타내, 눈치 보지 않고 앉아서 갈 수 있도록 하며, 탑승 기간 중 임신/육아에 유용한 정책, 정보, 광고를 제공하며, 목적지 근접 시 알람을 출력해 알려주는 임산부석 양보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건소, 병원, 지하철 역사 등 기존 임산부 배지 발급처에서 임신 확인 후 서버에 전화번호, 앱을 설치할 스마트폰 MAC 주소를 입력한 뒤 ID를 발급받고, 전용 QR 코드를 통해 앱을 설치한 뒤 최초 실행 시 ID를 입력하고, 서버에 저장된 MAC 주소, 전화번호와 현재 스마트 폰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앱이 동작하여 인증이 완료된다. 인증 완료 후 임산부석에 설치된 컨트롤러와 스마트 폰 앱이 무선 통신하여 LED부, 진동부, 스피커부를 통해 양보를 요청하고, 착석 시 자동으로 LED부를 점등해 임산부임을 알리고, 하차 시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LED부를 소등하며, 탑승 기간 동안 컨트롤러에 의해 스마트 폰으로 임신/육아 관련 정보, 정책, 광고 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and advertisement service for subway pregnant women using smartphone app and beacon}
본 발명은 지하철 내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임산부 좌석을 임신 여부를 인증받은 임산부의 스마트폰 앱과 열차 안의 임산부 좌석에 설치된 컨트롤러 사이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임산부가 간단하게 좌석 양보 요청 임산부임을 나타낼 수 있게 하여 눈치 보지 않고 당당히 착석할 수 있도록 해 일반 시민들도 자연스럽게 임산부에게 자리를 양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임산부에 대한 시민들의 배려 의식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종래에 존재하던 임산부 가방 고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산부의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임산부 좌석에 설치된 컨트롤러의 LED부, 스피커부, 진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임산부 좌석에 앉아 있는 일반인에게 자리 양보를 권유하도록 하며, LED부를 통해서는 추가로 착석자가 임산부임을 나타내고,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좌석을 점유한 임산부에게 임산부를 위한 맞춤 정보 서비스와 하차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여 임산부가 지하철을 이용하면서 눈치 보지 않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지하철을 넘어 버스, 항공기 등 모든 대중교통에 설치된 임산부석에 적용하여 임산부 배려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공사에서는 각 자치시와 협력하여 '노약자 지정석'에 이어 '임산부 지정석'을 마련하여 운영 중이다. 임산부를 배려하기 위해 임산부가 앉을 수 있도록 열차 각 량에 한 개에서 두 개 정도가 갖춰지어 있지만, 일반 시민들에게는 그저 일반 좌석과 다르지 않은 좌석처럼 이용되고 있어 배려를 받아야 할 임산부가 앉기 힘들고 눈치 보이는 좌석으로 인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에서는 임산부가 임산부 등록을 하면 '임산부 가방 고리'를 지급하여 임산부임을 알릴 수 있도록 하였고, 일반 시민들이 이 고리를 발견하면 자발적으로 임산부에게 자리를 배려하도록 권유하는 제도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것 만으로는 일반 시민들이 임산부에 대한 배려 의식을 향상할 수 없었고, 또한 초기 임산부들은 아직 배가 많이 나오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오히려 일반 시민들이 오해할 수 있는 상황을 일으킬 수 있는 등 임산부들에게 '임산부석은 눈 치석'이라는 의식의 개선이 힘든 실정이었다. '임산부 가방 고리' 제도는 임산부들이 임신 기간이 끝나 출산을 하게 되면 다시 반납하면 다른 임산부들에게 지급되도록 하는 순환적인 시스템을 갖춘 제도인데, 현실은 임산부들의 가방 고리 반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새로운 임산부들에게 지급할 가방 고리가 부족하게 되어 매년 엄청난 양의 가방 고리가 제작되고 있다. 또한 이 가방 고리는 임산부가 아닌 여성이 악용할 여지가 있는 제도이기도 하다. 실제 임산부가 잃어버린 가방 고리를 습득한 비임산부 여성이 가방 고리를 가짐으로써 임산부인 척 임산부석을 이용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 여성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이런 악용으로 글을 올린 사례가 있었다. 이처럼 '임산부 가방 고리' 제도는 개선해야 할 단점이 많이 존재한다.
상기 취약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특허문헌 1은 임산부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임산부들이 임산부 좌석을 제대로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상기 임산부 가방 고리의 단점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누구든지 설치된 앱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임산부가 아닌 일반인들도 앱 사용이 가능하여 임산부 좌석을 사용하는 것에 악용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산부가 지하철에 탑승하여 임산부 좌석을 사용하려고 할 때와 임산부 좌석에 앉아 있다가 하차를 할 때마다 앱에 있는 ON/OFF 버튼을 통하여 좌석 점유 여부를 설정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QR코드로 임산부 인증 절차를 완료한 임산부만이 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임산부가 앱을 통하여 고유의 비밀번호를 설정한 후 앱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임산부만 임산부 좌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임산부가 아닌 타인이 앱을 설치하더라도 타인이 입력한 ID와 서버에 저장된 MAC 주소와 핸드폰 번호를 비교하여 서버에 등록한 기기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임산부가 아닌 일반인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며 임산부 좌석을 사용할 때마다 앱을 통하여 점유/미점유 상태를 설정해야 하는 것에서 벗어나 승/하차 시마다 임산부 스마트폰 블루투스와 컨트롤러의 BLE 송/수신기 간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자동으로 점유/미점유 상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임산부가 더 편하고 눈치 없이 임산부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KR 10-1612172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건소, 병·의원, 지하철 역사 등 기존 임산부 배지 발급처에서 임신 인증을 받은 임산부만 앱을 설치하고, 설치된 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종래 기술에는 하차 시에도 임산부가 스마트폰 앱의 좌석 점유/비 점유 버튼을 눌러 좌석 컨트롤러의 기능을 통제하였지만, 무선 신호 세기 및 빈도수 측정을 통해 상기 스마트 폰 앱과 상기 컨트롤러가 무선 통신하여 자동으로 스피커부, LED부, 진동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임산부가 편리하게 임산부석의 양보 요청을 할 수 있게 되며, 진동부를 통해서 좌석 착석자에게만 양보 요청을 전달할 수 있게 하여, 양보하는 사람까지 고려하였으며, 임산부석에 착석한 임산부에게 탑승시간동안 임신/육아 관련 정책, 정보, 광고를 제공하여 지하철에서 자리 양보 문제로 가끔 발생하고 있는 불미스러운 일을 예방하고, 접하기 힘든 임신/육아 관련 정보를 제공해 사회적 교통 약자인 임산부의 교통 복지를 이룰 수 있는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산부석 안내를 위한 앱; 상기 앱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QR코드; 상기 앱과 통신하기 위한 컨트롤러 및 임산부가 앉을 수 있는 의자부를 포함하는 임산부석; 사용자의 ID정보를 저장하고 대조하며,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하여 상기 임산부석의 점유상태를 주고받고, 상기 앱에 상기 임산부석 점유상태와 광고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앱은 현재 지하철의 임산부석 점유상태를 알려주는 임산부석 점유알림모듈; 임산부석에서의 양보 요청 모듈; 목적지 설정 모듈; 목적지 도착 알림 모듈;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앱과 통신하기 위한 컨트롤러는, 상기 앱과 블루투스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블루투스 송/수신부;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맞게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앱과 상기 서버와 상기 임산부석의 점유상태를 주고받고, 상기 앱에 상기 정보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LED를 점등하는 LED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의자부는, 굴곡이 있어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등받이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의자부에 진동을 주는 진동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에서 QR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 임산부석 안내를 위한 앱을 설치하는 단계; ID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ID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스마트폰의 기기 전화번호와 MAC주소를 대조하여 일치 할 때만 동작하도록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앱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임산부석 안내를 위한 앱에서 사용자의 비밀번호 혹은 지문 등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앱에서 상기 비밀번호 혹은 지문이 상기 사용자의 것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일치시 스마트폰이 수신상태로 진입하고 반납상태인 컨트롤러의 신호를 기다리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에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를 기다리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다수의 양보요청 UI를 제공하고 상기 UI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 양보 안내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광고 신호 수신을 기다리고 이후 식별 신호를 지속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양보 안내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양보 안내 요청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양보 안내 요청을 실행하여, 음성, LED, 진동중 하나 이상의 신호로 양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식별 신호 수신대기를 위해 수신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수신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식별 신호의 세기 및 빈도수가 임계치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식별 신호가 임계치 이상일 경우 실행했던 상기 스마트폰의 양보 안내 요청을 중지하고 LED부의 LED만 점등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점유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광고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컨트롤러의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광고 및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통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 한편,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이 광고 및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설정된 목적지에 근접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 설정된 목적지의 재설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 컨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를 수신하고 광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 수신한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의 세기와 빈도수가 임계치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에서 수신한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의 세기와 빈도수가 임계치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수신한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 LED부의 LED를 소등하고 반납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한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 광고 및 안내를 종료하고 수신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 번째, 보건소 및 산부인과에서 임신이 확인된 임산부들이 QR코드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지하철 내부의 임산부 좌석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임신 여부의 확인을 할 수 있으므로, 임신 여부가 크게 드러나지 않는 초기 임산부들도 착석 시 LED를 통하여 눈치 보지 않고 임산부 좌석을 이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사용자의 추가 조작 없이 신호 세기 기반 필터링을 통하여 착석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착석 중에는 임신과 육아에 관한 정보와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여 임산부가 임신/육아 관련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받을 수 있다.
세 번째, 임산부 좌석을 일반인이 점유하고 있으면 임산부는 소리, LED, 진동 중 원하는 알림을 선택하여 양보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들어오는 열차를 기준으로 빈 좌석 안내를 할 수 있어, 탑승 전 빈 좌석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양보를 원하지 않을 경우 주변의 빈자리를 이용할 수 있다.
네 번째, 임신 여부 확인을 통한 인증의 유효기간을 11개월로 하여 출산 후, 몸이 불편한 산모 또한 임산부 좌석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상기한 모든 서비스를 QR코드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설치와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임산부 배지를 발급받아 항상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를 악용하는 사례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컨트롤러가 부착된 임산부 좌석과, 스마트폰 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컨트롤러가 부착된 임산부 좌석의 의자부, 등받이부, 진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블루투스 송/수신부, 스피커부, LED부, 제어부, 진동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QR코드와 어플리케이션,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블루투스 송/수신부와 제어부, 제어부와 서버간의 무선 통신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잔여 임산부석 정보를 제공하고 임산부석 점유를 위해 블루투스를 활성화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임산부가 좌석을 점유 했을 시에 제공되는 임산부 맞춤 서비스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의자부, 등받이부, 진동부로 구성되는 임산부석 좌석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에서 QR코드를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초기 인증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에서 임산부가 지하철 탑승 후 임산부석에 착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에서 임산부가 착석 후 하차 할 때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루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지하철 임산부석의 기둥에 부착된 컨트롤러(110)와 진동부(130)이 포함된 등받이부(121)를 포함하는 의자부(120)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임산부의 스마트폰에 임산부석 안내를 위한 앱(140)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후 임산부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상기 앱(140)과 상기 컨트롤러(110)의 무선 통신을 이용해 임산부석에 앉아 있는 비 임산부에게 임산부가 탑승했음을 알려주어 임산부석을 양보받을 수 있게 하고, 임산부석에 앉아 있는 임산부에게 임신/육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시스템이다.
도8과 도9의 서비스 흐름도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서비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임산부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상기 앱(140)을 도 5와 같이 설치해야 한다.
상기 앱(140) 설치과정은 임산부 이외의 사용자가 설치할 수 없도록 하는 인증절차가 포함되어 있다. 임산부가 보건소, 병/의원, 지하철 역사 등 기존 임산부 배지 발급처에 가서 임신 사실을 확인받은 뒤 상기 앱(140)을 설치하여 사용할 스마트폰의 전화번호와 MAC 주소를 서버(150)에 입력하여 개인 ID를 발급받는다. 이후 배지 발급처에 배부된 상기 앱(140) 설치 URL이 담긴 QR 코드를 통해 상기 앱(140)을 설치한 뒤(S101) ID를 입력한다. 설치 URL을 앱스토어 등 외부에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QR Code의 URL을 통해서만 설치가 가능하다.
최초 실행 시 상기 앱(140)은 사용자의 ID를 요구한다.(S103) 이후 ID를 통해 서버에 저장된 핸드폰 번호, MAC 주소와 현재 스마트폰의 정보를 대조(S104)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인증이 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S105) 이를 통해 등록된 기기에서만 동작함을 보장한다. 인증 후 사용자의 비밀번호 혹은 지문 등 인증수단을 등록한다.(S106) 등록된 비밀번호는 앱 실행 시 마다 입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본인만 앱을 실행할 수 있다. 비밀번호 등록이 끝나면, 앱 설치와 초기 설정이 마무리된다.(S107) 이후부터는 앱 실행 시 ID 입력 없이 등록한 비밀번호 혹은 지문을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앱(140)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뒤 임산부가 지하철역에 도착하여 상기 앱(140)을 실행시킨 후 비밀번호를 입력하면(S201), GPS 및 Wi-Fi 신호를 기반으로 현재 역에서 진입 중인 열차에 대해 열차의 칸 별로 반납상태의 임산부석의 현황(도4)을 제공한다.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앱(140)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다. 이때 잔여 임산부석과 함께 출입구 번호를 제공하기 때문에 임산부는 비어 있는 임산부석이 있으면 해당 출입구에서 대기 후 열차가 도착하면 바로 착석할 수 있다.
임산부석에 일반인이 착석해 있는 경우 스마트폰 앱(140)과 상기 컨트롤러(110)가 무선통신을 하여 임산부가 착석자에게 양보를 권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10)은 반납 상태로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의 신호를 기다리는 상태(S210)로 시작한다. 상기 스마트폰 앱(140)은 수신상태로 진입하고(S203), 반납상태인 컨트롤러(110)의 신호를 기다리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컨트롤러(110)의 신호를 수신하여(S204) 상기 앱(140)에 LED점등, 안내 음성, 진동 등의 양보 요청 UI를 출력하면(S205), 사용자는 3가지 중 1개 혹은 다수를 선택하여 양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206) 상기 컨트롤러(110)는 상기 스마트폰의 요청을 수신 대기하며(S211) 상기 스마트폰의 양보 신호를 식별할 경우 요청에 맞게 상기 LED부(113)의 LED를 점등하거나, 상기 스피커부(112)에서 안내 음성이 나오게 하거나, 상기 진동부(130)에서 상기 의자부(120)에 진동신호를 보내는 단계로 진입한다.(S212) 사용자 입력을 통해서만 양보 요청을 전송함으로 무분별하게 요청이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LED, 안내음성, 진동 중 진동만 사용할 경우 상기 진동부(130)를 통해 착석자에게만 약한 진동을 통해 양보 요청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보를 해주는 사람까지 배려하여 양보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은 안내 상태(S207)로 진입하여 식별 신호를 지속해서 전송하며 컨트롤러의 광고 신호를 기다린다. 상기 컨트롤러(110)는 안내 상태의 상기 스마트폰 신호를 수신하며(S213) 신호의 세기 및 빈도수가 임계치 이상으로 커질 경우(S214) 자동으로 진동부(130)과 상기 스피커부(112)를 조작해 양보 요청을 종료한 뒤(S215) 상기 스마트폰의 식별 신호를 계속 수신하는 점유상태(S216)로 진입한다. 이때 상기 LED부(113)의 LED는 신호가 존재하는 동안 계속 점등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버튼을 한 번 누르는 것으로 양보를 요청할 수 있고, 이후 추가조작 없이 자연스럽게 임산부석에 착석하는 것만으로 양보 요청을 종료하고 임산부임을 알리는 상기LED부(113)의 LED만 지속 점등하여 타 지하철 이용객에게 자신이 임산부석에 앉은 임산부임을 알릴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앱(140) 사용자가 같은 상기 컨트롤러(110)과 통신하는 경우 컨트롤러는 최초로 먼저 수신된 상기 앱(140) 사용자와 페어링되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페어링되지 않은 상기 앱(140)에는 사용자가 다른 임산부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점유상태의 상기 컨트롤러(110)는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가 식별되는 동안 지속해서 사용자의 임신상태에 알맞은 광고와 정보를 담은 신호를 전송한다.(S217) 이때 임산부가 착석 후 상기 컨트롤러(110)의 광고 신호를 수신하면(S208) 상기 스마트폰 앱(140)은 정보제공상태(S209)에 진입하여 사용자에게 임신/육아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도5)와 같이 제공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임신주차 및 지역을 고려하여 지자체 임신/육아 관련 정책 및 주차 별 태아 보험 추천 상품 등 사용자 맞춤형 정보이다.
이후 정보제공상태의 상기 스마트폰 앱(140)은 GPS/Wi-Fi 및 상기 컨트롤러(110)가 제공하는 역 위치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에 근접했는지 판단한다.(S301) 목적지 전 역에 도착한 경우 목적지 근접 알림을 출력한다.(S302) 이때 목적지는 사용자가 탑승 전, 사전에 입력해야 한다. 목적지 알림을 받은 사용자가 목적지 재설정 버튼을 누를 경우 목적지를 재설정할 수 있다.(S303) 이를 통해 사용자가 목적지에서 하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후 상기 스마트폰 앱(140)은 컨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자신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전송한다.(S304) 점유상태의 상기 컨트롤러(110) 역시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를 수신하며, 자신의 신호를 지속 전송한다.(S217) 이때 각각 신호의 세기 및 빈도수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S305, S307) 스마트폰 앱(140)은 광고 표출을 종료하고(S306), 상기 컨트롤러(110)는 상기 LED부(113)을 조작하여 LED를 소등한 뒤 반납상태(S308)로 돌입하여 서비스를 종료한다. 때문에 하차 시에도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 LED를 소등한 뒤 하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 번째, 보건소 및 산부인과에서 임신이 확인된 임산부들이 QR코드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지하철 내부의 임산부 좌석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임신 여부의 확인을 할 수 있으므로, 임신 여부가 크게 드러나지 않는 초기 임산부들도 착석 시 LED를 통하여 눈치 보지 않고 임산부 좌석을 이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사용자의 추가 조작 없이 신호 세기 기반 필터링을 통하여 착석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착석 중에는 임신과 육아에 관한 정보와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여 임산부가 임신/육아 관련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받을 수 있다.
세 번째, 임산부 좌석을 일반인이 점유하고 있으면 임산부는 소리, LED, 진동 중 원하는 알림을 선택하여 양보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들어오는 열차를 기준으로 빈 좌석 안내를 할 수 있어, 탑승 전 빈 좌석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양보를 원하지 않을 경우 주변의 빈자리를 이용할 수 있다.
네 번째, 임신 여부 확인을 통한 인증의 유효기간을 11개월로 하여 출산 후, 몸이 불편한 산모 또한 임산부 좌석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상기한 모든 서비스를 QR코드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설치와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임산부 배지를 발급받아 항상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를 악용하는 사례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컨트롤러
111 : 블루투스 송/수신부
112 : 스피커부
113 : LED부
114 : 제어부
120 : 의자부
121 : 등받이부
130 : 진동부
140 : 어플리케이션
150 : 서버
S101 : 앱 다운로드 단계
S102 : 앱 설치 단계
S103 : ID 입력 단계
S104 : 기기정보 대조 단계
S105 : 인증정보 저장 단계
S106 : 비밀번호 등록 단계
S107 : 앱 설치 완료 단계
S201 : 비밀번호 입력 단계
S202 : 비밀번호 대조 단계
S203 : 컨트롤러 신호 수신 대기 단계
S204 : 컨트롤러 신호 식별 단계
S205 : 양보 요청 UI 출력 단계
S206 : 양보 요청 신호 송신 단계
S207 : 광고 신호 수신 대기 단계
S208 : 컨트롤러 광고 신호 식별 단계
S209 : 광고 표출 단계
S210 : 스마트폰 신호 수신 단계
S211 : 스마트폰 신호 식별 단계
S212 : 양보 신호 출력 단계
S213 : 스마트폰 착석 신호 수신 단계
S214 : 스마트폰 착석 신호 세기 판단 단계
S215 : 양보 신호 해제 단계
S216 : 좌석 점유 단계
S217 : 광고 정보 송신 및 스마트폰 신호 수신 단계
S301 : 목적지 근접 판단 단계
S302 : 목적지 근접 알람 출력 단계
S303 : 목적지 재설정 UI 출력 및 판단 단계
S304 : 하차 신호 전송 단계
S305 : 컨트롤러 광고 신호 세기 판단 단계
S306 : 광고 출력 종료 단계
S307 : 스마트폰 하차 신호 세기 판단 단계
S308 : LED 소등 및 좌석 반납 단계

Claims (7)

  1. 임산부석 안내를 위한 앱(140);
    상기 앱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QR코드;
    상기 앱과 통신하기 위한 컨트롤러(110)및 임산부가 앉을 수 있는 의자부(120)를 포함하는 임산부석;
    사용자의 ID정보를 저장하고 대조하며, 상기 컨트롤러(110)와 통신하여 상기 임산부석의 점유상태를 주고받고, 상기 앱(140)에 상기 임산부석 점유상태와 광고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버(150);를 포함하며,
    상기 앱(140)은,
    현재 지하철의 임산부석 점유상태를 알려주는 임산부석 점유알림모듈;
    임산부석에서의 양보 요청 모듈;
    목적지 설정 모듈;
    목적지 도착 알림 모듈;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앱과 통신하기 위한 컨트롤러(110)는,
    상기 앱과 블루투스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블루투스 송/수신부(111);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맞게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앱(140)과 상기 서버(150)와 상기 임산부석의 점유상태를 주고받고, 상기 앱(140)에 상기 정보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제어부(114);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112);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LED를 점등하는 LED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동일한 앱(14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하나의 임산부석 컨트롤러(110)에 통신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110)는 최초로 연결된 사용자의 앱(140)에 페어링되고, 페어링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의 앱(140)에는 다른 임산부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120)는,
    굴곡이 있어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등받이부(121);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의자부(120)에 진동을 주는 진동부(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된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에서 QR코드를 인식하는 단계(S101);
    상기 스마트폰에서 임산부석 안내를 위한 앱을 설치하는 단계(S102);
    ID를 입력받는 단계(S103);
    상기 서버에서 상기 ID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스마트폰의 기기 전화번호와 MAC주소를 대조하여 일치할 때만 동작하도록 인증하는 단계(S104);
    상기 인증하는 단계(S104)를 통해 얻은 인증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단계(S105);
    상기 서버에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단계(S106); 및
    상기 앱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S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앱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S107)후에 임산부석 안내를 위한 앱(140)에서 사용자의 비밀번호 혹은 지문 등을 입력받는 단계(S201);
    상기 앱(140)에서 상기 비밀번호 혹은 지문이 상기 사용자의 것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202);
    상기 S202단계에서 일치시 스마트폰이 수신상태로 진입하고 반납상태인 컨트롤러(110)의 신호를 기다리는 단계(S203);
    상기 컨트롤러(110)에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를 기다리는 단계(S210);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컨트롤러(110)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4);
    상기 스마트폰이 다수의 양보요청 UI를 제공하고 상기 UI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S205);
    상기 스마트폰에서 양보 안내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206);
    상기 스마트폰이 광고 신호 수신을 기다리고 이후 식별 신호를 지속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양보 안내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S207);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양보 안내 요청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110)에서 수신하는 단계(S211);
    상기 컨트롤러(110)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양보 안내 요청을 실행하여 음성, LED, 진동중 하나 이상의 신호로 양보를 요청하는 단계(S212);
    상기 컨트롤러(110)가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식별 신호 수신대기를 위해 수신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S213);
    상기 컨트롤러(110)가 수신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식별 신호의 세기 및 빈도수가 임계치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S214);
    상기 컨트롤러(110)가 S214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식별 신호가 임계치 이상일 경우 실행했던 상기 스마트폰의 양보 안내 요청을 중지하고 LED부(113)의 LED만 점등하는 단계(S215);
    상기 컨트롤러(110)가 점유상태로 진입하는 단계(S216);
    상기 컨트롤러(110)가 광고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단계(S217);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컨트롤러(110)의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8);
    상기 스마트폰이 광고 및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광고 및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09)후에 상기 스마트폰이 설정된 목적지에 근접했는지 확인하는 단계(S301);
    상기 스마트폰이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S302);
    상기 스마트폰에서 설정된 목적지의 재설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03);
    상기 스마트폰에서 컨트롤러(110)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4);
    상기 컨트롤러(110)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를 수신하고 광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217);
    상기 스마트폰에서 수신한 상기 컨트롤러(110)의 신호의 세기와 빈도수가 임계치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S305);
    상기 컨트롤러(110)에서 수신한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의 세기와 빈도수가 임계치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S307);
    상기 컨트롤러(110)가 수신한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 LED부(113)의 LED를 소등하고 반납상태로 진입하는 단계(S308);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한 상기 컨트롤러(110)의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 광고 및 안내를 종료하고 수신상태로 진입하는 단계(S3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KR1020190019001A 2019-02-19 2019-02-19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76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001A KR102176535B1 (ko) 2019-02-19 2019-02-19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001A KR102176535B1 (ko) 2019-02-19 2019-02-19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969A KR20200100969A (ko) 2020-08-27
KR102176535B1 true KR102176535B1 (ko) 2020-11-09

Family

ID=7223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001A KR102176535B1 (ko) 2019-02-19 2019-02-19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2861B2 (en) 2020-08-12 202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2569798B1 (ko) * 2022-08-22 2023-08-25 주식회사 아이센스24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845B1 (ko) * 2016-11-28 2017-11-06 장성우 대중교통 수단의 좌석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좌석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87309B1 (ko) * 2017-07-04 2018-08-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948A (ko) * 2012-04-19 2013-10-29 (주)메트로이플로직스 큐알코드를 활용한 교통서비스 시스템
KR101612172B1 (ko) * 2014-01-09 2016-04-12 송재만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한 지하철 임산부 자리 양보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845B1 (ko) * 2016-11-28 2017-11-06 장성우 대중교통 수단의 좌석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좌석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87309B1 (ko) * 2017-07-04 2018-08-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969A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001B1 (ko) 버스정류소 교통약자 승차 예약 시스템
KR102176535B1 (ko)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12172B1 (ko)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한 지하철 임산부 자리 양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68321B1 (ko) 대중교통 스마트 승하차 관리시스템
KR101996980B1 (ko)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JP2009002088A (ja) トイレ設備利用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トイレ設備利用情報管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70021542A (ko)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CA3071125A1 (en) Proximity assisted seamless service (pass)
KR20160142619A (ko)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JP4468761B2 (ja) 身障者支援システム
JP2004295686A (ja) 座席管理装置および座席管理方法
KR102194489B1 (ko) IoT 기반 전동차내 임산부 배려석 관리 시스템
KR20130019554A (ko) 좌석 배치 시스템, 버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좌석 배치 방법
KR102274878B1 (ko)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KR102263208B1 (ko) 임산부 좌석 배려 시스템
KR20110029270A (ko) 대중교통의 좌석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919473B1 (ko)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KR102133000B1 (ko) 임산부 배려를 위한 지하철 임산부 좌석 예약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예약 좌석 운용 방법
KR101660238B1 (ko) 지하철 좌석 예약 시스템
JP2013101652A (ja) 駅相互連絡システム
JP6807765B2 (ja) 通信システム
JP7196888B2 (ja) 座席運用システム、座席運用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22058B1 (ko)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468415B1 (ko) 대중교통의 배려석 이용 장치와 그 방법
KR102569798B1 (ko)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