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058B1 -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058B1
KR102322058B1 KR1020190162681A KR20190162681A KR102322058B1 KR 102322058 B1 KR102322058 B1 KR 102322058B1 KR 1020190162681 A KR1020190162681 A KR 1020190162681A KR 20190162681 A KR20190162681 A KR 20190162681A KR 102322058 B1 KR102322058 B1 KR 10232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user terminal
transportation
yiel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398A (ko
Inventor
백종호
조희진
정다운
이유현
김주은
이현지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0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확인 요청신호, 양보요청신호 및 노약자석 착석신고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공석확인 요청신호에 따라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양보요청신호에 따라 교통수단 내부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하도록 하기 위한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하고, 착석신고신호에 따라 착석신고신호와 관련된 노약자석에서의 이석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전송하는 전자장치 및 이석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교통단말을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Seats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 정체로 인한 시간 및 자원의 손실을 방지하고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가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켜 대중교통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 시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의 일환으로 지하철 역사에는 현재 지하철의 위치와 도착시간 등의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버스 정류장에도 각 노선 버스의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전광판이 설치되어 노선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에 이와 같은 대중교통의 이용정보는 버스나 지하철의 운행정보를 제공할 뿐 이용객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사용자가 혼잡한 차량에 무리하게 탑승을 시도하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버스 또는 지하철 내부 이용객을 기반으로 하는 혼잡도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단순히 내부 혼잡도를 산출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정확한 탑승 인원을 확인하기 어렵고, 빈 좌석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버스 또는 지하철 같은 대중 교통수단에는 대중교통 이용약자를 배려하기 위한 배려석이 설치되어 있고, 배려석의 경우 사용자들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반석과 상이한 색깔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배려석을 대중교통 이용약자에게 배려하는 것은 법적으로 강제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이용객들에게 배려를 원하는 정도의 의미를 가지므로 대중교통 이용약자가 배려석을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대중교통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대중교통 차량 내의 공석정보를 제공하는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교통약자에게 좌석양보를 유도할 수 있는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교통약자에게 좌석양보 시 좌석을 양보한 사용자에게 베네핏을 제공하여 좌석양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확인 요청신호, 양보요청신호 및 노약자석 착석신고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공석확인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양보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교통수단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하도록 하기 위한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석신고신호에 따라 상기 착석신고신호와 관련된 노약자석에서의 이석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전송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이석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교통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교통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교통수단에 포함된 복수의 좌석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양보유도 메시지에 따라 상기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베네핏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착석신고신호를 제공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 베네핏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통단말은, 상기 교통수단으로의 승하차가 확인되면 상기 교통약자와 관련된 태그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약자가 상기 교통수단에 승차하였음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통단말은,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된 복수의 노약자석에 착석이 감지되고 상기 태그정보가 미확인되면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통단말은, 상기 노약자석에서 이석이 확인되면 상기 알람의 출력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교통수단에 설치된 교통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확인 요청신호, 양보요청신호 및 노약자석 착석신고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공석확인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양보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교통수단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하도록 하기 위한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석신고신호에 따라 상기 착석신고신호와 관련된 노약자석에서의 이석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상기 교통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공석확인 요청신호에 따라 복수의 좌석에 구비된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양보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교통수단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하도록 하기 위한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노약자석 착석신고신호에 따라 상기 착석신고신호와 관련된 노약자석에서의 이석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된 교통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는, 대중교통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대중교통 차량 내의 공석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무리한 승차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교통약자에게 좌석양보를 유도할 수 있고 좌석을 양보한 사용자에게 베네핏을 제공하여 교통약자에게 좌석양보를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석정보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석정보 제공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석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회원가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석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단말에서 교통약자의 약자석 착석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좌석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석정보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좌석정보 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교통단말(150) 및 전자장치(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전자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수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승차하고자 하는 대중 교통수단의 공석 확인, 좌석양보를 유도하기 위한 양보요청신호 및 교통약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약자석에 착석한 승객에 대한 착석신고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대중 교통수단은 버스나 지하철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지하철을 구성하는 복수의 객차 중 한 량을 차량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100)은 양보요청신호에 따라 양보한 경우에 제공되는 베네핏과 착석신고신호를 전송한 이후에 제공되는 베네핏을 누적하여 현금으로 교환하거나 교통카드 충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교통단말(150)은 대중 교통수단 예컨대,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의 차량에 구비된 단말로,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교통단말(150)은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교통단말(150)은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좌석 각각에 설치된 압력센서(미도시), 차량의 출입문 등에 구비된 태그리더기(미도시) 및 약자석의 인접거리에 설치된 태그리더기(미도시)를 포함한다.
교통단말(150)은 압력센서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하여, 전자장치(200)에서 차량 내의 공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교통단말(150)은 차량으로의 승객 승하차의 시작이 확인되면 차량의 출입문 등에 구비된 태그리더기에서 태그정보가 확인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태그정보는 교통약자가 소지하는 태그로, RFID태그, NFC태그 등의 태그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태그리더기는 해당 태그를 확인할 수 있는 리더기일 수 있다. 또한, 태그는 교통약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될 수 있다. 교통단말(150)은 확인된 태그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약자의 승차가 확인되면 차량 내에 구비된 스피커, LED 등으로 교통약자의 승차알람을 출력한다.
또한, 교통단말(150)은 압력센서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약자석에 승객이 착석하였는지를 확인한다. 교통단말(150)은 약자석에 승객이 착석한 것으로 확인되면, 약자석의 인접거리에 설치된 태그리더기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한다. 교통단말(150)은 태그리더기에서 태그정보가 수신되면 교통약자가 약자석에 착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교통단말(150)은 태그리더기에서 태그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교통약자가 아닌 승객이 약자석에 착석한 것으로 확인하여 이석이 발생될 때까지 차량 내에 구비된 스피커, LED 등으로 교통약자가 아닌 승객이 약자석에 착석하였음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교통단말(150)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 컴퓨터, 태블릿 PC, 서버 등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교통단말(15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차량의 좌석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양보요청신호 및 착석신고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전자장치(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의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석정보 제공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좌석정보 제공장치(200, 이하, 전자장치(200)라 함)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 및 교통단말(15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2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및 버튼(button)을 포함한다.
표시부(23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입력부(2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24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가입을 한 사용자의 개인정보, 교통약자 정보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사용자별로 제공한 베네핏을 개인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한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양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양보요청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기반으로 임계거리 내에 위치한 주변 승객의 사용자 단말을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주변 승객들의 사용자 단말로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한 양보자로부터 양보완료신호가 수신되면 양보자의 사용자 단말로 베네핏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노약자석 착석신고신호가 수신되면 착석신고신호에 대응되는 약자석의 위치를 신고대상위치로 확인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착석신고신호 수신 시에 신고대상위치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교통단말(150)로 알람출력신호를 전송하고, 착석신고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베네핏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공석확인요청, 양보요청 및 착석신고에 대한 신호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이 차량에 승차한 후 교통단말(150)과의 통신을 통해서 차량에 승차함을 알리면,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통단말(150)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통단말(150)은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공석정보를 전송하고, 양보요청에 대응되는 동작, 착석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과 교통단말(150)은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과 하나의 교통단말(150)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대중 교통수단이 지하철인 경우, 교통단말(150)은 지하철의 차량마다 설치된 복수의 교통단말일 수도 있고, 지하철의 기관실에 설치된 하나의 교통단말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석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회원가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전자장치(200)로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303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요청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설치파일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305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설치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전자장치(200)가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서버(미도시) 등에서 제공할 수 있다.
307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 가입정보를 입력하고 309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가입정보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가입정보는 사용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아이디, 패스워드 등일 수 있다. 311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교통약자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교통약자는 임산부 또는 노약자를 의미하며 교통약자 정보는 교통약자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교통약자에게 할당된 관리번호 등일 수 있다.
313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입력된 교통약자 정보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하고 315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교통약자의 인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교통약자에게 할당된 관리번호를 기저장할 수 있고, 서류 등에 대한 사본을 기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200)에 기저장된 관리번호 및 서류 등은 해당 교통약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과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309단계에서 수신된 가입정보와 313단계에서 수신된 교통약자 정보를 기저장된 교통약자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교통약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317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회원가입을 완료할 수 있다. 아울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임산부 또는 노약자인 교통약자가 아닐 경우 311단계 내지 315단계는 생략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석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센싱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센싱데이터는 대중 교통수단 예컨대,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의 차량에 구비된 좌석에 설치된 압력센서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일 수 있다. 교통단말(150)은 실시간으로 센싱데이터를 획득하여 403단계를 수행한다. 403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자장치(200)에 전송한다. 405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교통단말(150)에서 수신된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 내의 공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200)는 공석의 개수 및 공석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407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공석확인 요청신호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대중 교통수단, 차량 번호, 승차 위치 등의 정보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409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공석확인 요청신호 수신 이전에 실시간으로 확인된 공석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411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공석정보를 표시한다.
413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차량으로의 승객 승하차의 시작이 확인되면 415단계를 수행한다. 415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차량의 출입문 등에 구비된 태그리더기에서 태그정보가 확인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태그정보는 교통약자가 소지하는 태그로, 카드형태에 삽입된 RFID태그, NFC태그 등의 태그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태그리더기는 해당 태그를 확인할 수 있는 리더기일 수 있다. 또한, 태그는 교통약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될 수 있다.
417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확인된 태그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약자의 승차여부를 확인하고 419단계를 수행한다. 419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교통약자의 승차가 확인되면 차량 내에 구비된 스피커, LED 등으로 교통약자의 승차알람을 출력한다. 이어서 421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좌석에 설치된 압력센서에서 감지되는 센싱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획득하고 423단계를 수행한다. 423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하고, 425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 내의 공석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단말에서 교통약자의 약자석 착석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좌석에 설치된 압력센서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확인하고 503단계를 수행한다. 503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약자석에 승객이 착석했는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교통단말(150)은 센싱데이터가 획득된 압력센서가 설치된 좌석을 확인하고, 확인된 좌석이 약자석인지 확인한다. 교통단말(150)은 약자석에 승객이 착석한 것으로 확인되면 505단계를 수행한다. 505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태그정보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태그정보는 교통약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되는 태그로 RFID태그, NFC태그 등의 태그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태그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약자석의 인접거리에는 해당 태그를 확인할 수 있는 태그리더기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505단계에서 태그정보가 수신되면 교통단말(150)은 507단계를 수행한다. 507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전자장치(200)에서 차량 내의 공석정보 생성 시에 약자석에 대한 공석정보를 반영할 수 있도록 공석정보 반영요청신호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한다.
반대로, 505단계에서 태그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교통단말(150)은 509단계를 수행한다. 509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차량 내에 구비된 스피커, LED 등으로 교통약자가 아닌 승객이 약자석에 착석하였음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한다. 511단계에서 교통단말(150)은 약자석에 착석한 승객의 이석이 감지되면 513단계를 수행하여 알람을 중지한다. 반대로, 약자석에 착석한 승객의 이석이 감지되지 않으면 교통단말(150)은 509단계로 회귀한다. 이때, 교통단말(150)은 압력센서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양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603단계를 수행한다. 603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양보요청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양보요청신호 수신 시에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대중 교통수단이 지하철일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교통약자가 서있는 객차번호를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로 입력할 수 있다.
605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확인된 위치를 기반으로 임계거리 내에 위치한 주변 승객의 사용자 단말을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 중에서 양보요청신호 수신 시에 사용자 단말(100)과 동일 및 유사한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 단말을 주변 승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개략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607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확인된 주변 승객들의 사용자 단말로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609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한 양보자를 확인하여 611단계를 수행한다. 611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양보자에게 베네핏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양보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양보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양보자의 사용자 단말에 베네핏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601단계에서 양보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전자장치(200)는 613단계를 수행한다. 613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노약자석 착석신고신호가 수신되면 615단계를 수행하고, 착석신고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양보요청신호 또는 착석신고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615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신고대상위치로써 착석신고신호에 대응되는 약자석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착석신고신호 수신 시에 신고대상위치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617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교통단말(150)로 알람출력신호를 전송하고 611단계를 수행한다. 611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착석신고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베네핏을 제공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교통단말(150)은 알람출력신호에 따라 차량 내에 구비된 스피커, LED 전구를 통해 알람을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좌석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7(a)와 같은 메인화면(710)이 표시된다. 메인화면(710)은 회원가입버튼(711), 로그인버튼(712), 좌석확인하기버튼(713) 및 광고배너(714)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회원가입버튼(711)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회원가입을 위해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아이디,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고, 자신이 교통약자인 경우 교통약자 정보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회원가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로그인버튼(712)을 선택하면,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을 통해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좌석확인하기버튼(713)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도 7(b)와 같이 공석을 확인하고자 하는 차량 칸의 번호가 표시된 차량선택화면(720)이 표시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광고배너(714)를 선택하면, 광고배너(714)와 관련된 홈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도 7(b)와 같이 공석을 확인하고자 하는 차량 칸의 번호가 표시된 차량선택화면(720)에서 4번째 칸(#4)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도 7(c)와 같이 좌석정보표시화면(730)이 표시된다. 좌석정보표시화면(730)은 4번째 칸에서 확인된 공석수(731), 공석과 관련된 좌석번호(732) 및 차량 칸의 좌석이미지(733)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승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공석 수, 공석의 좌석번호 및 공석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도 7(a)의 로그인버튼(712)을 선택하면 도 7(d)와 같이 공석확인을 제외한 별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기능화면(740)이 표시된다. 별도기능화면(740)은 베네핏을 현금으로 교환하거나, 교통카드 충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환하기버튼(741), 미착석 약자 주변 승객들에게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미착석 약자버튼(742), 교통약자가 아닌 승객이 약자석에 앉은 경우에 이를 신고하기 위한 약자석 착석버튼(743) 및 교통약자 등록버튼(7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교통약자 등록버튼(744)은 회원가입 시에 교통약자로 등록을 실패하였거나, 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한 버튼이다. 아울러, 미착석 약자버튼(742), 약자석 착석버튼(743) 및 교통약자 등록버튼(744)은 각각 임산부와 노약자로 분류되어 생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확인 요청신호, 양보요청신호, 양보완료신호 및 노약자석 착석신고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공석확인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양보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교통수단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하도록 하기 위한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석신고신호에 따라 상기 착석신고신호와 관련된 노약자석에서의 이석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전송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이석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교통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양보유도 메시지에 따라 상기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한 사람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양보완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양보완료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베네핏을 제공하고, 상기 착석신고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베네핏을 제공하고, 상기 베네핏을 현금 교환 및 교통카드 충전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정보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교통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교통수단에 포함된 복수의 좌석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정보 제공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단말은,
    상기 교통수단으로의 승하차가 확인되면 상기 교통약자와 관련된 태그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약자가 상기 교통수단에 승차하였음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정보 제공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단말은,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된 복수의 노약자석에 착석이 감지되고 상기 태그정보가 미확인되면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정보 제공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단말은,
    상기 노약자석에서 이석이 확인되면 상기 알람의 출력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정보 제공시스템.
  8.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교통수단에 설치된 교통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확인 요청신호, 양보요청신호, 양보완료신호 및 노약자석 착석신고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공석확인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양보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교통수단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하도록 하기 위한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양보유도 메시지에 따라 상기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한 사람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양보완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양보완료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베네핏을 제공하고,
    상기 착석신고신호에 따라 상기 착석신고신호와 관련된 노약자석에서의 이석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상기 교통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착석신고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베네핏을 제공하고,
    상기 베네핏을 현금 교환 및 교통카드 충전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좌석정보 제공장치.
  9.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공석확인 요청신호에 따라 복수의 좌석에 구비된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수단 내부의 공석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양보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교통수단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하도록 하기 위한 양보유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양보유도 메시지에 따라 상기 교통약자에게 좌석을 양보한 사람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양보완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양보완료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베네핏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노약자석 착석신고신호에 따라 상기 착석신고신호와 관련된 노약자석에서의 이석을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된 교통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석신고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베네핏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베네핏을 현금 교환 및 교통카드 충전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정보 제공방법.
KR1020190162681A 2019-12-09 2019-12-09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32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81A KR102322058B1 (ko) 2019-12-09 2019-12-09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81A KR102322058B1 (ko) 2019-12-09 2019-12-09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398A KR20210072398A (ko) 2021-06-17
KR102322058B1 true KR102322058B1 (ko) 2021-11-03

Family

ID=7660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681A KR102322058B1 (ko) 2019-12-09 2019-12-09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0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554A (ko) * 2011-08-17 2013-02-27 유비벨록스(주) 좌석 배치 시스템, 버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좌석 배치 방법
KR101612172B1 (ko) * 2014-01-09 2016-04-12 송재만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한 지하철 임산부 자리 양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21542A (ko) * 2015-08-18 2017-02-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398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322B1 (ko) 운전자 식별 장치 및 운전자 식별 신호 송신기를 포함하는 차량
KR102207975B1 (ko) 노선 버스 예약 시스템 및 예약 좌석변경 알림서비스 제공방법
WO2021044398A1 (en) Rideshare verification
EP2930681A1 (en) Transportation boarding system using geotagging and mobile devices
JP5151931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対象端末,認証方法,認証装置用プログラムおよび認証対象端末用プログラム
US10325480B2 (en) Proximity assisted seamless service (PASS)
KR20170021542A (ko)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KR20180053797A (ko) 장애인 탑승 사전 알림 기능을 갖춘 버스 안내 시스템
KR101996980B1 (ko)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KR20180076485A (ko) 버스 하차 지원 방법
JP2010231549A (ja) 乗客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携帯情報端末
KR20130082793A (ko)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22058B1 (ko)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50007268A (ko) 통학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방법
KR101187316B1 (ko) 위치 안내 방법
KR102176535B1 (ko)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5617A (ko) 통학버스를 이용한 원생 승차 및 하차 관리장치
KR10194629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어린이 통학차량의 하차 관리시스템
KR101834826B1 (ko) 비콘 신호 기반의 승하차 알림
KR101554570B1 (ko) 좌석을 공평하게 할당하는 대중 교통 통신 시스템 및 대중 교통 통신 시스템에서의 좌석 할당 방법
KR20180092515A (ko) 안전 벨트 착용을 통한 와이파이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750604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2019184336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目的地設定システム
JP2007323123A (ja) 誤乗車防止システム及び誤乗車防止方法
KR101718064B1 (ko) 대중교통 수단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