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309B1 -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 Google Patents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309B1
KR101887309B1 KR1020170084901A KR20170084901A KR101887309B1 KR 101887309 B1 KR101887309 B1 KR 101887309B1 KR 1020170084901 A KR1020170084901 A KR 1020170084901A KR 20170084901 A KR20170084901 A KR 20170084901A KR 101887309 B1 KR101887309 B1 KR 101887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upa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t
passenger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재
윤설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노인에게 제공하는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현재 탑승하는 탑승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가 노인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탑승자가 상기 노인인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우대석(priority seat)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METHOD OF SERVICING AUTOMATIC GUIDANCE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노인에게 제공하는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중교통 버스는 노인들을 위한 특별한 서비스가 없다.
수도권에 비해 지방에는 지하철이 없다. 이에, 지방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대중교통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노인이 아닌 경우에도 노약자석에 착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노약자석에 착석한 사람들 중에서 노인이 아닌 사람들은 노인이 대중교통 버스에 승차한 경우에도 노약자석을 노인에게 양보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출원번호: 10-2009-0084739)
실시예들은 탑승자의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에게 우대석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여 우대석을 편리하게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탑승자의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에게 하차 유도 안내를 제공하여 목적지 정류장에서 편리하게 하차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현재 탑승하는 탑승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가 노인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탑승자가 상기 노인인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우대석(priority seat)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만 65세 이상의 노인에게만 발급되는 ID(identification)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상기 노인으로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노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상기 노인으로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일반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일반인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노인인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노인이 있는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불가능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노인이 없는 경우, 상기 우대석에 대한 무게 감지를 통해 상기 우대석에 대한 착석 유무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무게 감지 결과가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가 있는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을 양보하도록 상기 착석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안내는 상기 착석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를 유도하기 위한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알림 및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탑승자의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우대석에 착석한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차 유도 안내는 상기 탑승자의 하차를 유도하기 위한 정류장 안내 정보 및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 및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기타 편의 서비스는 상기 탑승자의 소지품을 보관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상기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 및 진동은 상기 목적지 정류장을 입력한 상기 탑승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정류장에 도착하기 전에 제공되는 도착 알림 및 진동일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탑승자의 동일한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동일한 식별 정보이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우대석에 착석한 이후에 상기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받기 위해 재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는 상기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현재 탑승하는 탑승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가 노인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노인인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우대석(priority seat)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만 65세 이상의 노인에게만 발급되는 ID(identification)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상기 노인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노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상기 노인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일반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일반인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노인인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노인이 있는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불가능 안내를 제공하고,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노인이 없는 경우, 상기 우대석에 대한 무게 감지를 통해 상기 우대석에 대한 착석 유무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무게 감지 결과가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가 있는 경우, 리마인더 장치를 통해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을 양보하도록 상기 착석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안내는 상기 착석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를 유도하기 위한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알림 및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탑승자의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우대석에 착석한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차 유도 안내는 상기 탑승자의 하차를 유도하기 위한 정류장 안내 정보,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 및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기타 편의 서비스는 상기 탑승자의 소지품을 보관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상기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 및 진동은 상기 목적지 정류장을 입력한 상기 탑승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정류장에 도착하기 전에 제공되는 도착 알림 및 진동일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탑승자의 동일한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동일한 식별 정보이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우대석에 착석한 이후에 상기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받기 위해 재수신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우대석 자동 안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며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 안내 서비스 시스템(automatic guidance service system; 10)은 리더기(reader; 100),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automatic guidance service apparatus; 200), 우대석(priority seat; 300) 및 디스플레이(display; 400)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 안내 서비스 시스템(automatic guidance service system; 10)은 무게 센서(pressure sensor; 310), 리마인더 장치(remind device; 330) 및 카드 슬롯(card slot; 350)을 더 포함한다.
무게 센서(310), 리마인더 장치(330) 및 카드 슬롯(350)은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무게 센서(310), 리마인더 장치(330) 및 카드 슬롯(350)이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의 외부인 우대석(300)에 구현 및/또는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무게 센서(310), 리마인더 장치(330) 및 카드 슬롯(350)은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에 구현 및/또는 부착될 수 있다.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에게 우대석(300)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안내 서비스는 우대석에 대한 자리 안내(또는 사용 가능 여부 안내) 서비스, 자리 양보 안내 서비스, 하차 유도 안내 서비스 및/또는 기타 편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탑승자는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현재 탑승하는 탑승자라고 가정하고, 탑승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자동 안내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탑승자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리더기(100)에 제1 카드를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리더기(100)는 탑승자에 대한 요금 결제 및/또는 식별 정보 인식을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드는 ID 카드 및/또는 교통 카드(또는 결제 카드)일 수 있다.
리더기(100)는 탑승자의 제1 카드로부터 제1 식별 정보를 인식(또는 추출)하고, 제1 식별 정보를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기(100)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리더기(100)는 제1 카드를 인식하여 제1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리더기(100)를 통해 탑승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우대석(300)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에 대한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우선,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탑승자가 노인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에,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가 노인일 경우 우대석(300)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무게 센서(310)를 이용한 무게 감지 결과 및 우대석(300)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의 제3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에게 우대석(300)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가 우대석(300)에 착석한 경우 탑승자의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가 우대석(300)에 착석한 경우 하차 유도 안내 서비스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우선, 탑승자는 우대석(300)에 착석한 경우, 카드 슬롯(350)에 제2 카드를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카드는 ID 카드 및/또는 교통 카드(또는 결제 카드)일 수 있다. 제2 카드는 제1 카드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카드일 수 있다.
카드 슬롯(350)은 탑승자의 제2 카드로부터 제2 식별 정보를 인식(또는 추출)하고, 제2 식별 정보를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슬롯(350)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카드 슬롯(350)은 제2 카드를 인식하여 제2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카드 슬롯(350)을 통해 탑승자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탑승자의 우대석(300)에 대한 착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의 우대석(300)에 대한 착석 유무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탑승자에게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하차 유도 안내는 정류장 안내 정보 및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 및 진동일 수 있다. 또한, 기타 편의 서비스는 탑승자의 소지품을 보관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우대석(300)에 착석한 경우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에게 하차 유도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탑승자는 정류장 안내 정보에 대한 안내판 및 정류장 안내 정보에 대한 안내 음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인지하지 못한 탑승자일 수 있다.
이에,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에게 하차 유도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의 목적지 정류장에 대한 미하차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에게 하차 유도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의 빠른 하차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의 우대석(300)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는 리마인더 장치(330) 및/또는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우대석(300)의 앞 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안내 서비스 시스템(10)은 탑승자가 노인일 경우에, 탑승자에게 우대석(300)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및 하차 유도 안내를 제공하여 우대석(300)을 편리하게 사용하게 하고, 목적지 정류장에서 편리하게 하차하게 하는 노인 맞춤형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자동 안내 서비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고하면,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송수신기(transceiver; 210) 및 컨트롤러(controller; 230)을 포함한다.
송수신기(210)는 리더기(100)를 통해 탑승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카드 슬롯(350)을 통해 탑승자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10)는 카드 슬롯(350)을 통해 우대석(300)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의 ID(identification)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의 제3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210)는 무게 센서(310)를 통해 우대석(300)에 대한 무게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10)는 제1 식별 정보, 제2 식별 정보, 제3 식별 정보 및 무게 감지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컨트롤러(230)에 송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30)는 각 구성(210, 310, 330, 350 및 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제1 식별 정보, 무게 감지 정보 및 제3 식별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탑승자에게 우대석(300)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가 노인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별 정보가 만 65세 이상의 노인에게만 발급되는 ID(identification)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탑승자를 노인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1 식별 정보가 만 65세 이상의 노인에게만 발급되는 노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탑승자를 노인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식별 정보가 만 65세 미만의 사람에게만 발급되는 일반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탑승자를 일반인으로 식별할 수 있다.
탑승자가 노인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우대석(300)에 대한 무게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우대석(300)에 대한 착석 유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우대석(300)이 미착석 상태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우대석(300)에 대해 사용 가능 하여 탑승자에게 우대석(300)에 대해 자리를 안내할 수 있다.
우대석(300)이 착석 상태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제3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우대석(300)에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가 일반인인지 또는 노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식별 정보가 만 65세 이상의 노인에게만 발급되는 ID(identification)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착석자를 노인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3 식별 정보가 만 65세 이상의 노인에게만 발급되는 노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착석자를 노인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3 식별 정보가 만 65세 미만의 사람에게만 발급되는 일반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착석자를 일반인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3 식별 정보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230)는 착석자를 일반인으로 식별할 수 있다.
우대석(300)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가 노인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탑승자에게 우대석(300)에 대한 사용 불가능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우대석(300)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가 일반인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탑승자에게 우대석(300)을 양보하도록 착석자에게 우대석(300)에 대한 양보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230)는 리마인더 장치(330) 및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탑승자에게 우대석(300)을 양보하도록 착석자에게 우대석(300)에 대한 양보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대석(300)에 대한 양보 안내는 착석자에게 리마인더 장치(330) 및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제공되는 우대석(300)에 대한 양보를 유도하기 위한 우대석(300)에 대한 양보 알림 및 리마인더 장치(330)를 통해 제공되는 우대석(300)에 대한 양보를 유도하기 위한 우대석(300)에 대한 양보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우대석(300)에 대한 착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30)는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탑승자의 동일한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동일한 식별 정보인 경우 탑승자가 우대석(300)에 착석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동일한 식별 정보가 아닌 경우 탑승자가 우대석(300)에 미착석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제2 식별 정보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 탑승자가 우대석(300)에 미착석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탑승자의 우대석(300)에 대한 착석 유무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하차를 유도하기 위한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230)는 탑승자가 우대석에 착석한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탑승자에게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차 유도 안내는 우대석(300)의 앞 좌석에 설치된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제공되는 탑승자의 하차를 유도하기 위한 정류장 안내 정보,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 및 리마인더 장치(330)를 통해 제공되는 목적지 정류장 도착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 및 진동은 목적지 정류장을 입력한 탑승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목적지 정류장에 도착하기 전에 제공되는 도착 알림 및 진동일 수 있다.
또한, 기타 편의 서비스는 탑승자의 소지품을 보관하는 서비스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기타 편의 서비스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일 수 있다.
이에, 제2 식별 정보는 탑승자가 우대석(300)에 착석한 이후에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받기 위해 재수신되는 식별 정보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우대석 자동 안내 서비스 및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우대석 자동 안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리더기(100)를 통해 탑승자의 카드를 식별할 수 있다(S510).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의 카드가 일반인용 교통 카드인인 경우, 탑승자를 일반인으로 식별하고, 우대석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S511).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의 카드가 노인용 교통 카드인 경우, 탑승자를 노인으로 식별하고, 우대석(300)에 대한 무게 감지를 통해 우대석(300)에 대한 착석 유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530).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무게 감지 결과 우대석(300)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가 없는 경우, 우대석(300)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S531).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무게 감지 결과 우대석(300)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가 있는 경우, 우대석(300)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의 카드를 식별할 수 있다(S550).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착석자의 카드가 노인용 교통 카드인 경우, 착석자를 노인으로 식별하고, 탑승자에게 우대석(300)에 대한 사용 불가능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S551). 예를 들어, 우대석(300)에 대한 사용 불가능 안내는 탑승자에게 “이미 노인이 우대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라는 알림일 수 있다.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착석자의 카드가 일반인용 교통 카드 및 카드 미식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경우, 착석자를 일반인으로 식별하고, 탑승자에게 우대석(300)을 양보하도록 착석자에게 우대석(300)에 대한 양보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S553). 예를 들어, 우대석(300)에 대한 양보 안내는 리마인더 장치(330) 및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착석자에게 “다른 자리로 이동하세요” 또는 “노인에게 우대석을 양보하세요”라는 알림 및 진동일 수 있다. 카드 미식별은 카드를 식별하지 못한 경우 및 노인(또는 어르신)이 현재 탑승하고 있지만 우대석(300)에 착석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목적지 정류장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610).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에게 목적지 정류장을 재선택할 수 있는 목적지 정류장 취소 버튼을 제공할 수 있고(S630), 탑승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목적지 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다(S650).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목적지 정류장에 도착하기 전에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670). 예를 들어,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목적지 정류장에 도착하기 15초 전, 10초 전 및 5초 전 등 다양하게 설정된 시간에 따라 우대석(300)의 앞 좌석에 설치된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리더기(100)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현재 탑승하는 탑승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10).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가 노인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730).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탑승자가 노인인 경우, 탑승자에게 우대석(300)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750). 예를 들어, 자동 안내 서비스는 우대석(300)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 우대석(300)에 대한 사용 불가능 안내 및 우대석(300)에 대한 양보 안내일 수 있다.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카드 슬롯(350)을 통해 탑승자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70).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200)는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에게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S790). 예를 들어, 하차 유도 안내는 정류장 안내 정보 및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일 수 있다. 또한, 기타 편의 서비스는 탑승자의 소지품을 보관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현재 탑승하는 탑승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가 노인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가 상기 노인인 경우, 우대석(priority seat)에 대한 착석 유무 상태 및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한 착석자가 노인인지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우대석에 대한 무게 감지를 통해 상기 우대석에 대한 착석 유무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 및 사용 불가능 안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가 없는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가 있는 경우, 상기 착석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석자가 노인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착석자가 일반인인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착석자가 노인인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불가능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만 65세 이상의 노인에게만 발급되는 ID(identification)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상기 노인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노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상기 노인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일반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일반인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자가 일반인인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을 양보하도록 상기 착석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안내는,
    상기 착석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를 유도하기 위한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알림 및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의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우대석에 착석한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유도 안내는,
    상기 탑승자의 하차를 유도하기 위한 정류장 안내 정보,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 및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기타 편의 서비스는,
    상기 탑승자의 소지품을 보관하는 서비스인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 및 진동은,
    상기 목적지 정류장을 입력한 상기 탑승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정류장에 도착하기 전에 제공되는 도착 알림 및 진동인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탑승자의 동일한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동일한 식별 정보이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우대석에 착석한 이후에 상기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받기 위해 재수신되는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11.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현재 탑승하는 탑승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가 노인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노인인 경우, 우대석(priority seat)에 대한 착석 유무 상태 및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한 착석자가 노인인지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자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우대석에 대한 무게 감지를 통해 상기 우대석에 대한 착석 유무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 및 사용 불가능 안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공하고,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가 없는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를 제공하고,
    상기 우대석에 현재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가 있는 경우, 상기 착석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석자가 노인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착석자가 일반인인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가능 안내를 제공하고,
    상기 착석자가 노인인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사용 불가능 안내를 제공하는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만 65세 이상의 노인에게만 발급되는 ID(identification)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상기 노인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노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상기 노인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일반인용의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탑승자를 일반인으로 식별하는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리마인더 장치를 통해 상기 탑승자에게 상기 우대석을 양보하도록 상기 착석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안내를 제공하는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안내는,
    상기 착석자에게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를 유도하기 위한 상기 우대석에 대한 양보 알림 및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탑승자의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우대석에 착석한 경우, 상기 탑승자에게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유도 안내는,
    상기 탑승자의 하차를 유도하기 위한 정류장 안내 정보,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 및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기타 편의 서비스는,
    상기 탑승자의 소지품을 보관하는 서비스인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류장 도착 알림 및 진동은,
    상기 목적지 정류장을 입력한 상기 탑승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정류장에 도착하기 전에 제공되는 도착 알림 및 진동인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탑승자의 동일한 ID 카드 및 교통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동일한 식별 정보이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우대석에 착석한 이후에 상기 하차 유도 안내 및 기타 편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탑승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받기 위해 재수신되는 자동 안내 서비스 장치.
KR1020170084901A 2017-07-04 2017-07-04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887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01A KR101887309B1 (ko) 2017-07-04 2017-07-04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01A KR101887309B1 (ko) 2017-07-04 2017-07-04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309B1 true KR101887309B1 (ko) 2018-08-09

Family

ID=6325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901A KR101887309B1 (ko) 2017-07-04 2017-07-04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3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763A (ko) * 2019-01-23 2020-07-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석안내 시스템 및 좌석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KR20200100969A (ko) * 2019-02-19 2020-08-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0166A (ko) * 2019-11-18 2021-05-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KR102263208B1 (ko) * 2019-12-20 2021-06-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산부 좌석 배려 시스템
KR20210073946A (ko) * 2019-12-11 2021-06-21 박완규 차량운행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10098062A (ko) * 2020-01-31 2021-08-10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대중교통의 배려석 이용 장치와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611A (ko) * 2004-03-23 2006-05-16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승객 검지 시스템
KR20130019554A (ko) * 2011-08-17 2013-02-27 유비벨록스(주) 좌석 배치 시스템, 버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좌석 배치 방법
KR20150113325A (ko) * 2014-03-27 2015-10-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611A (ko) * 2004-03-23 2006-05-16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승객 검지 시스템
KR20130019554A (ko) * 2011-08-17 2013-02-27 유비벨록스(주) 좌석 배치 시스템, 버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좌석 배치 방법
KR20150113325A (ko) * 2014-03-27 2015-10-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763A (ko) * 2019-01-23 2020-07-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석안내 시스템 및 좌석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KR102197583B1 (ko) * 2019-01-23 2020-12-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석안내 시스템 및 좌석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KR20200100969A (ko) * 2019-02-19 2020-08-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76535B1 (ko) * 2019-02-19 2020-11-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0166A (ko) * 2019-11-18 2021-05-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KR102274878B1 (ko) * 2019-11-18 2021-07-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KR20210073946A (ko) * 2019-12-11 2021-06-21 박완규 차량운행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69620B1 (ko) * 2019-12-11 2021-06-28 박완규 차량운행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63208B1 (ko) * 2019-12-20 2021-06-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산부 좌석 배려 시스템
KR20210098062A (ko) * 2020-01-31 2021-08-10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대중교통의 배려석 이용 장치와 그 방법
KR102468415B1 (ko) * 2020-01-31 2022-11-18 캐논코리아 주식회사 대중교통의 배려석 이용 장치와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309B1 (ko)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US10515417B2 (en) Device based incident detection and notification
US7925435B2 (en) Navigation system for determining a route to a destination
US2017025588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digital signage for directing parking traffic
KR20120061957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20057195A (ko) 버스 승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92949B1 (ko) 차량 탑승자 보호 장치 및 방법
WO20161813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bjects have been left in unattended vehicles
KR20170021542A (ko)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JP2008130021A (ja) 優先席管理システム、優先席管理方法、および優先席管理プログラム
KR20160000276A (ko)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긴급 구난 장치 및 방법
JP5581732B2 (ja) エレベーターの避難支援システム
TW201812514A (zh) 行動終端、消耗電力控制程式產品及消耗電力控制方法
JP201615999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2298288A (ja) 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JP6705254B2 (ja) 通知サーバ装置、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8417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1128749A (ja) 列車混雑状況配信システム
JP2020116998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4151974A (ja) 座席管理シート、座席管理サーバ及び座席管理方法並びに座席管理プログラム
JP2010140394A (ja) バスロケーションシステム、表示装置
JP2004347863A (ja) タクシー待ち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5190160A (ja) 車両内個人認証システム
KR101681548B1 (ko)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2239049A1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