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166A -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166A
KR20210060166A KR1020190147866A KR20190147866A KR20210060166A KR 20210060166 A KR20210060166 A KR 20210060166A KR 1020190147866 A KR1020190147866 A KR 1020190147866A KR 20190147866 A KR20190147866 A KR 20190147866A KR 20210060166 A KR20210060166 A KR 20210060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raffic
traffic weak
information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878B1 (ko
Inventor
강태규
기영은
송선규
이하규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8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33Seats; Arm rests; Head r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은 (A) 대중교통수단의 제어부가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교통약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통약자정보에 따라 교통약자를 교통약자좌석으로 안내하여 착석하게 하는 교통약자좌석 유도모드를 시동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통약자좌석의 착석자가 일반승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통약자좌석에 착석한 일반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해 줄것을 알리는 교통약자 알림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교통약자석 센서부와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교통약자가 교통약자좌석에 착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는 교통약자 이용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여 교통약자 이용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Method of using seat for traffic weaker}
본 발명은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산부,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의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수단에 승차시 소지한 스마트폰을 통해 교통약자석에 유도되어 착석하고 대중교통수단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또는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에는 노약자석, 유아 동반석 또는 임산부석을 따로 지정하여 교통약자가 공공교통을 이용할 때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특히, 임산부를 위한 임산부석은 특별히 별도 지정하여 임산부를 배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임산부석이 따로 있는지 모르는 경우도 많고 일반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임산부석은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다.
특히, 임산부임을 알리는 도구로 임산부 배지 및 악세서리를 이용하였으나 주변 사람들이 신경써서 확인하지 않으면 이를 인지하기가 쉽지 않고, 임산부석과 같은 교통약자석에 비노약자가 착석해있을 경우 해당 좌석의 양보를 권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쉽지 않다.
또한, 임산부 또는 장애인 등과 같은 교통약자가 소음으로인해 대중교통수단의 정거장 알림방송을 제대로 전달받지 못해 하차할 정거장을 놓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공보 제10-1970105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소지한 스마트폰을 통해 교통약자석에 유도되어 착석되고 대중교통수단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은 (A) 대중교통수단의 제어부가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교통약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통약자정보에 따라 교통약자를 교통약자좌석으로 안내하여 착석하게 하는 교통약자좌석 유도모드를 시동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통약자좌석의 착석자가 일반승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통약자좌석에 착석한 일반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해 줄것을 알리는 교통약자 알림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교통약자석 센서부와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교통약자가 교통약자좌석에 착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는 교통약자 이용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여 교통약자 이용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에서 상기 (A)단계의 교통약자정보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기설정된 임산부, 청각장애인, 시각장애인 및 노약자 중 어느 교통약자 유형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교통약자정보를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상기 무선송수신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에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제어부가 교통약자석 센서부의 압력센서를 통해 수신한 압력정보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착석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교통약자인지를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2)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정보 및 상기 확인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교통약자좌석에 일반승객이 착석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은 상기 (F)단계에서 상기 교통약자 이용정보로서 실시간으로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 설정된 상기 교통약자좌석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은 상기 (F)단계에서 상기 교통약자 이용정보가 하차 정거장 알림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하차 정거장 알림기능에 관한 정보에 따라 교통약자석 진동부의 진동자를 진동시키고, 교통약자석 조명부의 LED 조명장치를 점멸하며, 교통약자석 스피커부의 스피커를 통해 하차 정거장임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은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소지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교통약자좌석에 유도되어 용이하게 착석하고 교통약자좌석의 다양한 기능들을 쉽게 이용하면서 하차 정거장에 정확히 하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에 따른 스마트폰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에 따른 스마트폰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약자 앱(Application)이 깔려있는 스마트폰(100) 및 버스, 택시,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수단(200)을 포함한 시스템으로, 임산부, 장애인, 노약자 등과 같은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수단(200)의 교통약자석에 착석하도록 유도하고 대중교통수단(200)을 편하게 이용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폰(100)은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수단(200)의 교통약자석에 착석하도록 유도하고 대중교통을 편하게 이용하게 하는 교통약자 앱이 깔려있는 스마트폰으로서, 교통약자가 스마트폰(100)의 교통약자 앱을 통해 예컨대 임산부, 청각장애인, 시각장애인 및 노약자 중 어느 교통약자 유형인지를 등록 설정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100)은 앱을 통해 등록 설정받은 교통약자 유형에 따라 버스, 택시,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수단(200)에 교통약자 유형정보를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전송하고, 교통약자가 스마트폰(100)의 교통약자 앱을 통해 입력받은 이용모드 입력정보에 따라 예컨대 교통약자석의 히터동작, 마사지 기능, 하차 정거장 알림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대중교통수단(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100)은 근거리무선통신, 즉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대중교통수단(200)의 무선송수신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대중교통수단(200)은 버스, 택시, 지하철 등의 교통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은 버스에 한정되지 않고, 승객을 실어 나르는 택시, 기차, 지하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대중교통수단(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에 따른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10), 제어부(210)에 연결되고 스마트폰(100)으로부터 교통약자정보와 교통약자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220), 제어부(210)에 연결되고 교통약자석에 구비된 다수의 진동자를 포함한 교통약자석 진동부(230), 제어부(210)에 연결되고 교통약자석에 구비된 다수의 히터를 포함한 교통약자석 히터부(240), 제어부(210)에 연결되고 내벽의 일측에 교통약자석과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 LED 조명장치(251)를 포함한 교통약자석 조명부(250), 제어부(210)에 연결되고 내벽의 일측에 LED 조명장치와 인접하여 구비된 스피커(261)를 포함한 교통약자석 스피커부(260) 및 제어부(210)에 연결되고 교통약자석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다수의 압력센서와 거리센서를 포함한 교통약자석 센서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10)는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에 따른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무선송수신부(22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부터 교통약자정보와 교통약자 이용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교통약자정보에 따라 교통약자 유형을 인식하며, 교통약자석 센서부(270)의 압력센서를 통해 수신한 압력정보에 따라 교통약자석에 착석여부정보 및 무선송수신부(220)를 통해 착석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교통약자인지를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수신하며, 착석여부정보 및 확인정보에 따라 일반승객이 착석한 상태임을 판단함에 따라 교통약자석 조명부(250)와 교통약자석 스피커부(260)를 통해 자리를 양보해줄 것을 음성과 점멸로 표시하며, 교통약자 이용정보에 따라 교통약자석 진동부(230)를 제어하여 다수의 진동자를 동작시켜 마사지 기능 또는 진동알림 기능을 수행하며, 교통약자석 히터부(240)를 제어하여 다수의 히터를 동작시켜 교통약자석의 히터 기능을 수행하며, 교통약자 이용정보에 따라 교통약자석 조명부(250)와 교통약자석 스피커부(260)를 제어하여 하차 정거장 알림을 위해 LED 조명장치(251)를 통해 점멸하거나 스피커(261)를 통해 하차 정거장임을 음성으로 출력하며, 이와 별도로 하차 정거장 알림정보를 무선송수신부(22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미리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소지한 스마트폰을 통해 교통약자석에 유도되어 착석되고 대중교통수단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수단(200)에 승차하거나 또는 스마트폰(100)으로 교통요금결제가 이루어지면, 제어부(210)는 무선송수신부(22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부터 교통약자정보를 수신한다(S310).
즉, 교통약자가 교통약자 앱이 깔려있는 스마트폰(100)을 통해 미리 예컨대 임산부, 청각장애인, 시각장애인 및 노약자 중 어느 교통약자 유형인지를 등록 설정한 후,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수단(200)의 교통요금 결제단말기에 스마트폰(100)으로 태그하여 결제하거나 또는 대중교통수단(200)에 승차하여 대중교통수단(200) 내부에 스마트폰(100)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마트폰(100)은 교통약자정보를 근거리무선통신으로 무선송수신부(220)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어부(210)는 무선송수신부(22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부터 교통약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교통약자정보에 따라 교통약자를 교통약자석으로 안내하여 착석하게 하는 교통약자좌석 유도모드를 시동한다(S320).
교통약자좌석 유도모드를 시동함에 따라, 제어부(210)는 교통약자석에 착석자가 있는지 여부와 착석자가 일반승객인지를 판단한다(S330).
즉, 제어부(210)는 교통약자석 센서부(270)의 압력센서를 통해 수신한 압력정보에 따라 교통약자석의 착석여부정보 및 무선송수신부(220)를 통해 착석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교통약자인지를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착석여부정보 및 확인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약자좌석에 일반승객이 착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교통약자좌석에 일반승객이 착석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10)는 교통약자좌석에 착석한 일반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해 줄것을 알리는 교통약자 알림모드를 수행한다(S340).
구체적으로, 교통약자 알림모드는 제어부(210)가 교통약자석 조명부(250)를 제어하여 LED 조명장치(251)를 점멸하고, 동시에 교통약자석 스피커부(260)를 제어하여 스피커(261)를 통해 교통약자에게 교통약자좌석을 양보해줄 것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교통약자 알림모드는 일반승객이 교통약자좌석에서 벗어나 교통약자좌석이 비어질 때까지 계속 수행된다.
이후, 제어부(210)는 교통약자석 센서부(270)와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교통약자가 교통약자좌석에 착석했는지를 판단한다(S350).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교통약자석 센서부(270)의 압력센서로부터 검출된 압력정보 및 거리센서로부터 검출된 스마트폰(100)과의 거리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약자가 교통약자좌석에 착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단계의 판단결과, 교통약자가 교통약자좌석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10)는 교통약자가 편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교통약자 이용정보를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수신하여 교통약자 이용모드를 수행한다(S360).
여기서, 교통약자 이용정보는 실시간으로 교통약자가 스마트폰(100)의 교통약자 앱을 통해 입력 설정한 교통약자좌석의 다양한 기능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마사지 기능, 히터 기능, 하차 정거장 알림기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교통약자 이용정보가 스마트폰(100)의 교통약자 앱을 통해 입력되면, 스마트폰(100)은 무선송수신부(220)로 전송하고, 제어부(210)는 무선송수신부(220)를 거쳐 전달된 교통약자 이용정보에 따라 교통약자 이용모드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교통약자 이용정보에 따라 교통약자석 진동부(230)를 제어하여 다수의 진동자를 동작시켜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고, 교통약자석 히터부(240)를 제어하여 다수의 히터를 동작시켜 교통약자석의 히터 기능을 수행하며, 교통약자 이용정보에 따라 교통약자석 진동부(230), 교통약자석 조명부(250)와 교통약자석 스피커부(260)를 제어하여 하차 정거장 알림을 위해 다수의 진동자를 진동시키고 LED 조명장치(251)를 점멸하면서 스피커(261)를 통해 하차 정거장임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별도로 제어부(210)는 하차 정거장 알림정보를 무선송수신부(22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미리 전송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을 통해 하차 정거장 알림에 관한 디스플레이를 실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은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소지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교통약자좌석에 유도되어 용이하게 착석하고 교통약자좌석의 다양한 기능들을 쉽게 이용하면서 하차 정거장에 정확히 하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마트폰 200: 대중교통수단
210: 제어부 220: 무선 송수신부
230: 교통약자석 진동부 240: 교통약자석 히터부
250: 교통약자석 조명부 260: 교통약자석 스피커부
270: 교통약자석 센서부

Claims (5)

  1. (A) 대중교통수단의 제어부가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교통약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통약자정보에 따라 교통약자를 교통약자좌석으로 안내하여 착석하게 하는 교통약자좌석 유도모드를 시동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통약자좌석의 착석자가 일반승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통약자좌석에 착석한 일반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해 줄것을 알리는 교통약자 알림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교통약자석 센서부와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교통약자가 교통약자좌석에 착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는 교통약자 이용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여 교통약자 이용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교통약자정보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기설정된 임산부, 청각장애인, 시각장애인 및 노약자 중 어느 교통약자 유형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교통약자정보를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상기 무선송수신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제어부가 교통약자석 센서부의 압력센서를 통해 수신한 압력정보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착석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교통약자인지를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2)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정보 및 상기 확인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교통약자좌석에 일반승객이 착석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교통약자 이용정보는 실시간으로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 설정된 상기 교통약자좌석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교통약자 이용정보는 하차 정거장 알림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하차 정거장 알림기능에 관한 정보에 따라 교통약자석 진동부의 진동자를 진동시키고, 교통약자석 조명부의 LED 조명장치를 점멸하며, 교통약자석 스피커부의 스피커를 통해 하차 정거장임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KR1020190147866A 2019-11-18 2019-11-18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KR102274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866A KR102274878B1 (ko) 2019-11-18 2019-11-18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866A KR102274878B1 (ko) 2019-11-18 2019-11-18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166A true KR20210060166A (ko) 2021-05-26
KR102274878B1 KR102274878B1 (ko) 2021-07-08

Family

ID=7613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866A KR102274878B1 (ko) 2019-11-18 2019-11-18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668A1 (ko) * 2021-10-19 2023-04-27 (주)케이시크 좌석 개인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014U (ko) * 1998-10-14 1999-01-25 김중신 버스에 설치되는 하차 지점 알림장치
KR20150083279A (ko) * 2014-01-09 2015-07-17 송재만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한 지하철 임산부 자리 양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92909B1 (ko) * 2014-10-20 2016-02-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교통수단 알림장치
KR20160142619A (ko) * 2015-06-03 2016-12-13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70021542A (ko) * 2015-08-18 2017-02-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KR101887309B1 (ko) * 2017-07-04 2018-08-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970105B1 (ko) 2018-08-24 2019-04-17 이창훈 교통약자 좌석 인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014U (ko) * 1998-10-14 1999-01-25 김중신 버스에 설치되는 하차 지점 알림장치
KR20150083279A (ko) * 2014-01-09 2015-07-17 송재만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한 지하철 임산부 자리 양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92909B1 (ko) * 2014-10-20 2016-02-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교통수단 알림장치
KR20160142619A (ko) * 2015-06-03 2016-12-13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70021542A (ko) * 2015-08-18 2017-02-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KR101887309B1 (ko) * 2017-07-04 2018-08-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대중 교통을 위한 자동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970105B1 (ko) 2018-08-24 2019-04-17 이창훈 교통약자 좌석 인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668A1 (ko) * 2021-10-19 2023-04-27 (주)케이시크 좌석 개인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878B1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6556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ассажир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и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KR20170075353A (ko)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승하차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3279A (ko)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한 지하철 임산부 자리 양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66942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170021542A (ko)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KR101996980B1 (ko)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KR101713294B1 (ko)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274878B1 (ko)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JP6398874B2 (ja) 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乗降案内システム
KR102176535B1 (ko)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43596B1 (ko)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JP2017134687A (ja) 移動体乗降支援システム及び移動体乗降支援用プログラム
KR102057005B1 (ko) 원격제어리모컨을 이용한 교통약자를 위한 버스안내시스템
KR20210076789A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20140085617A (ko) 통학버스를 이용한 원생 승차 및 하차 관리장치
KR20170075302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버스 정차버튼 제어 시스템
KR101919473B1 (ko)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KR20190143201A (ko) 대중교통 승하차 정보 시스템
KR101718064B1 (ko) 대중교통 수단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4125A (ko)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KR100820108B1 (ko) 버스차량의 탑승인원 점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4570B1 (ko) 좌석을 공평하게 할당하는 대중 교통 통신 시스템 및 대중 교통 통신 시스템에서의 좌석 할당 방법
KR102133000B1 (ko) 임산부 배려를 위한 지하철 임산부 좌석 예약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예약 좌석 운용 방법
JP2010262564A (ja) 決済確認応答システムおよび決済確認応答方法
JP2021157276A (ja) 乗車支援制御装置、乗車支援システム、乗車支援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