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619A -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619A
KR20160142619A KR1020150078583A KR20150078583A KR20160142619A KR 20160142619 A KR20160142619 A KR 20160142619A KR 1020150078583 A KR1020150078583 A KR 1020150078583A KR 20150078583 A KR20150078583 A KR 20150078583A KR 20160142619 A KR20160142619 A KR 20160142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pregnant woman
pregnant
signal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294B1 (ko
Inventor
조웅
최현경
Original Assignee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29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임산부석 인근에 설치된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를 통해 임산부가 소지하고 있는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인지 신호 및 착석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 송수신단계; 상기 신호 송수신단계를 통한 인지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질 경우 알림 소리의 송출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의 표시를 통해 해당 임산부석에 착석한 착석자에게 임산부의 접근을 인지시키는 접근 알림단계; 상기 제2단계의 수행 도중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착석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2단계의 알림 소리의 송출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의 표시를 중단하는 착석여부 확인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며, 이로써 임산부석에 임산부가 근접하면 이를 착석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발적인 양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the pregnant woman's approaching alarm service system in public transportation and service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공공교통 내에서 임산부석에 임산부가 근접하면 이를 착석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교통(예컨대, 지하철 등)의 경우는 노약자나 유아동반석 혹은, 임산부석을 따로 지정하여 교통약자가 공공교통을 이용할 때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특히, 임산부를 위한 임산부석은 특별히 별도 지정하여 임산부를 배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임산부석이 따로 있는지 모르는 경우도 많고 일반 사람들의 무관심속에 임산부석은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다.
즉, 현재의 임산부임을 알리는 도구로는 임산부 배지 및 악세서리가 있으나 주변 사람들이 신경 써서 확인하지 않으면 이를 인지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며, 또한 임산부석에 비노약자가 착석해있을 경우 해당 좌석의 양보를 권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노약자에게 발신기를 제공하여 이 발신기를 소지한 노약자가 버스 내에 탑승했는지의 유무를 확인하여 각 노약자석에 착석한 착석자에게 노약자의 탑승을 안내하는 서비스 방법에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885288호, 공개특허 제10-2011-00226893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좌석 안내를 위한 서비스 방법은 한정된 공간 및 소수의 노약자석을 갖는 버스 내에서만 제공될 수 있는 방법일 뿐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즉, 지하철과 같이 출입구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의 교통수단에 전술된 종래 기술을 적용할 경우에는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축이 매우 복잡해 질 수밖에 없고, 또한 탑승한 노약자가 옮겨 가지도 않는 위치의 노약자석의 착석자에게도 노약자의 탑승이 안내됨에 따른 착석자의 불편함이 야기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더욱이, 전술된 종래의 기술은 운전자가 알람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시될 수밖에 없고, 이로써 운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없는 지하철의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산부석에 임산부가 근접하면 이를 착석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임산부가 소지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인지 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함과 더불어 수동 조작에 의한 착석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임산부용 통신단말기; 교통수단 내의 각 임산부석 인근에 설치되면서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임산부용 통신장치로부터 송출된 인지 신호 혹은, 착석 신호를 수신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 그리고,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와 연동되면서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인지 신호 혹은, 착석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임산부가 근접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소리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교통수단 내의 각 임산부석 인근에는 해당 임산부석에 승객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승객의 착석이 확인될 경우에만 알림 소리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ON) 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통수단의 각 출입구에는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면서 해당 임산부용 통신단말기의 통과 여부를 확인하는 탑승확인용 통신단말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확인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의 통과 여부가 확인될 경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를 활성화시켜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와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각 임산부석 인근에 설치된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를 통해 임산부가 소지하고 있는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인지 신호 및 착석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 송수신단계; 상기 신호 송수신단계를 통한 인지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질 경우 알림 소리의 송출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의 표시를 통해 해당 임산부석에 착석한 착석자에게 임산부의 접근을 인지시키는 접근 알림단계; 상기 제2단계의 수행 도중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착석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2단계의 알림 소리의 송출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의 표시를 중단하는 착석여부 확인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착석여부 확인단계에 의한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의 착석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해당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단계와, 상기 신호 송수신단계를 통해 또 다른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의 인지 신호 수신 시 상기 정보 기억단계에서 기억된 정보를 토대로 착석자가 임산부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착석자 확인단계와, 상기 착석자 확인단계를 통해 확인된 착석자가 임산부일 경우 상기 또 다른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 임산부의 착석 여부를 알리는 착석 알림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임산부석에의 착석자에 대한 착석 여부를 센싱하는 착석 센싱단계와, 상기 착석 센싱단계를 통해 임산부석에 착석자가 없을 경우 상기 접근 알림단계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임산부에 대한 근접 알림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임산부에 대한 자발적인 배려를 유도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각 임산부석에 각각 별도의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를 구비하여 어느 한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로의 인지 신호 수신시 해당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가 위치된 곳의 임산부석에 대한 양보를 요구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산부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해오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괄적인 모든 임산부석에 그 좌석을 양보하도록 요구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임산부가 특정 임산부석에의 착석 여부를 제어부가 알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임산부의 착석 여부에 따라 또 다른 임산부에 대하여는 달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산부석에 착석한 임산부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 상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 상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와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 그리고, 제어부(310,320,330,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와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는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가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인지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어부(310,320,330,340)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와 연동되면서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가 제공받은 인지 신호를 토대로 착석자에게 임산부의 근접을 알릴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는 임산부가 소지하면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0)이 내장된 단말기이다.
이와 같은 임산부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는 통상적으로 임산부에게 발급되면서 임산부임을 주위 사람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임산부용 배지 등의 액세서리 혹은, 교통카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인지 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함과 더불어 수동 조작에 의한 착석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0)은 지그비, 블루투스, 무선랜을 이용한 방식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 등이 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NFC(Near Field Comunication)나 RFID 혹은, 자기장 방식을 통한 특정 정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는 해당 임산부의 휴대전화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인지 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함과 더불어 수동 조작에 의한 착석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애플리케이션을 해당 휴대전화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에 인지 수단(120)이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인지 수단(120)은 임산부석에 여타의 임산부가 착석하여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써 통상의 램프로 구성할 수도 있음과 더불어 디스플레이창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1,221,231,241)이 내장되면서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단말기이다.
이와 같은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1,221,231,241) 역시 지그비, 블루투스, 무선랜을 이용한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로 구성됨과 더불어 부가적으로 NFC(Near Field Comunication)나 RFID 혹은, 자기장 방식을 통한 특정 정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는 교통수단 내의 각 임산부석(11,12,13,14) 인근에 각각 설치된다. 만일 상기 교통수단이 지하철일 경우 상기 임산부석(11,12,13,14)은 해당 지하철의 한 칸 내의 4개소에 위치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 역시 4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각 임산부석(11,12,13,14) 인근(예컨대, 후방 벽면이나 바닥 혹은, 천정 등)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는 각 임산부석에 직접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범위의 조절이 가능하거나 혹은, 국한된 범위(예컨대, 해당 임산부석을 중심으로 반경 2~3m 정도의 범위) 내에서만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인지 신호 혹은, 착석 신호를 수신받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가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가 허용하는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될 경우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인지 신호 혹은, 착석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로써 지하철과 같이 다수 개소에 위치된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 모두가 동시에 동작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10,320,330,340)는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제어부(310,320,330,340)는 상기 각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와 연동되면서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송출된 인지 신호 혹은, 착석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임산부가 근접함을 알리기 위해 스피커(411,412,413,414) 또는, 디스플레이창(421,422,423,424)을 통해 알림 소리나 디스플레이화면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310,320,330,340)는 상기 각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동되도록 구축됨을 그 예로 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310,320,330,340)는 단 하나로 제공되어 복수의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를 일괄적으로 통제하면서 제어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교통수단 내의 각 임산부석(11,12,13,14) 인근에 해당 임산부석(11,12,13,14)의 승객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431,432,433,43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10,320,330,340)는 상기 근접센서(431,432,433,434)에 의해 승객의 착석이 확인될 경우에만 알림 소리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ON) 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임산부석(11,12,13,14)에 승객의 착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임산부의 접근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해당 임산부의 접근을 인지시키기 위한 알림 소리나 디스플레이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이로써 임산부가 근접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가 동작하거나 혹은, 제어부(310,320,330,340)에 의한 불필요한 제어가 이루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교통수단의 각 출입구에는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면서 해당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의 통과 여부를 확인하는 탑승확인용 통신단말기(도시는 생략됨)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210,220,230,240)는 상기 탑승확인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의 통과 여부가 확인될 경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를 활성화시켜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와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즉, 지하철 내에 구비되는 각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는 임산부가 출입문을 통과하여 객실 내로 진입하였을 때에만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동작 및 전원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출입구를 통해 하차하는 임산부에 대한 판단은 해당 임산부가 하차하고자 하는 의도의 신호를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로 송출하도록 하는 수동적인 방법을 이용하거나 혹은, 근접센서(431,432,433,434)의 센싱 여부 및 제어부(310,320,330,340)에 기록된 임산부의 착석 여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임산부가 임산부석(11,12,13,14)으로부터 벗어날 경우 이를 하차하는 의도로 판단하는 능동적인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첨부된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310,320,330,340)는 각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를 제어하여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인지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S100)한다.
이때, 상기 각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는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가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게 될 경우 상기 인지 신호를 수신 받는다. 만일,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가 상기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더라도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거리를 벗어나게 될 경우 제어부(310,320,330,340)는 더 이상의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 중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를 통해 특정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의 인지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와 연동되도록 이루어진 제어부(310)는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 인근의 임산부석(11)에 착석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S200)한다.
이때, 상기 착석자의 착석 여부에 대한 판단은 해당 임산부석(11)의 인근에 구비된 근접센서(431)의 센싱 신호를 통해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착석 여부의 확인 결과 승객의 착석이 확인될 경우 해당 임산부석(11) 주변에 구비된 스피커(411) 혹은, 디스플레이창(421)을 통해 알림 소리를 송출하거나 혹은, 임산부의 인접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S300)한다.
이로써, 상기 임산부석(11)에 착석하고 있거나 상기 임산부석(11)에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는 상기 임산부의 인접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자발적인 좌석의 양보를 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 착석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 해당 임산부석(10)에 착석자가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310)는 알림 소리의 송출 혹은, 임산부의 인접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310)는 해당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의 신호 수신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S400)한다. 즉,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착석 신호에 대한 수신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착석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알림 소리의 송출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의 표시를 중단(S500)함으로써 주변 승객들의 불편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착석 신호는 임산부가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를 조작함으로써 송출한다. 물론,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와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가 NFC 혹은, 자기장 방식을 통해 상기 착석 신호가 자동으로 송수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의 착석 신호가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로 수신될 경우 이에 연동하는 제어부(310)는 상기 착석 신호에 대한 수신 여부의 정보를 기억한다.
상기 기억된 정보는 차후 또 다른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의 해당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로의 인지 신호 수신시 착석자가 임산부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즉, 어느 한 임산부석(11)에 임산부가 착석한 상태에서 또 다른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를 소유한 임산부의 인접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해당 임산부석(11)의 양보를 위한 제어부(310)의 동작 제어(알림 소리 송출 혹은, 화면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당 임산부석(11)에 착석하고 있는 임산부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의 경우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또 다른 임산부의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로 해당 임산부석(11)에 임산부가 착석하고 있음을 알려줌으로써 좌석 양보가 어려움을 양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제어부(310)에 의한 알림 방식은 예컨대, 문자 정보를 상기 또 다른 임산부의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거나 혹은, 해당 임산부석(10)의 인근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창(421)을 통해 임산부가 착석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임산부석(11)에 착석하고 있던 임산부가 해당 교통수단으로부터 하차하고자 임산부석(11)을 벗어날 경우 제어부(310)는 근접센서(431)의 센싱 정보를 토대로 이를 인지하며, 이러한 인지가 이루어질 때에는 해당 임산부의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와의 근거리 통신 이력과 기억된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다른 임산부용 통신단말기(100)와의 근거리 통신 발생시 서비스 제공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임산부에 대한 근접 알림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임산부에 대한 자발적인 배려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각 임산부석(11,12,13,14)에 각각 별도의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220,230,240)를 구비하여 어느 한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로의 인지 신호 수신시 해당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210)가 위치된 곳의 임산부석(11)에 대한 양보를 요구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산부가 근접해오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괄적인 모든 임산부석(11,12,13,14)에 그 좌석을 양보하도록 요구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임산부가 특정 임산부석(11,12,13,14)에의 착석 여부를 제어부(310,320,330,340)가 알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임산부의 착석 여부에 따라 또 다른 임산부에 대하여는 달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산부석(11,12,13,14)에 착석한 임산부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11,12,13,14. 임산부석 100. 임산부용 통신단말기
110.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120. 인지 수단
210,220,230,240.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
211,221,231,241.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310,320,330,340. 제어부 411,412,413,414. 스피커
421,422,423,424. 디스플레이창 431,432,433,434. 근접센서

Claims (6)

  1. 임산부가 소지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인지 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함과 더불어 수동 조작에 의한 착석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임산부용 통신단말기;
    교통수단 내의 각 임산부석 인근에 설치되면서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임산부용 통신장치로부터 송출된 인지 신호 혹은, 착석 신호를 수신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 그리고,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와 연동되면서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인지 신호 혹은, 착석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임산부가 근접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소리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교통수단 내의 각 임산부석 인근에는 해당 임산부석에 승객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승객의 착석이 확인될 경우에만 알림 소리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ON) 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교통수단의 각 출입구에는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면서 해당 임산부용 통신단말기의 통과 여부를 확인하는 탑승확인용 통신단말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확인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의 통과 여부가 확인될 경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를 활성화시켜 상기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와 상기 임산부용 통신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4. 각 임산부석 인근에 설치된 교통수단용 통신단말기를 통해 임산부가 소지하고 있는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인지 신호 및 착석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 송수신단계;
    상기 신호 송수신단계를 통한 인지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질 경우 알림 소리의 송출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의 표시를 통해 해당 임산부석에 착석한 착석자에게 임산부의 접근을 인지시키는 접근 알림단계;
    상기 제2단계의 수행 도중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착석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2단계의 알림 소리의 송출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의 표시를 중단하는 착석여부 확인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여부 확인단계에 의한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의 착석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해당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단계와,
    상기 신호 송수신단계를 통해 또 다른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부터의 인지 신호 수신 시 상기 정보 기억단계에서 기억된 정보를 토대로 착석자가 임산부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착석자 확인단계와,
    상기 착석자 확인단계를 통해 확인된 착석자가 임산부일 경우 상기 또 다른 임산부용 통신단말기로 임산부의 착석 여부를 알리는 착석 알림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임산부석에의 착석자에 대한 착석 여부를 센싱하는 착석 센싱단계와,
    상기 착석 센싱단계를 통해 임산부석에 착석자가 없을 경우 상기 접근 알림단계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0150078583A 2015-06-03 2015-06-03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1713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583A KR101713294B1 (ko) 2015-06-03 2015-06-03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583A KR101713294B1 (ko) 2015-06-03 2015-06-03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19A true KR20160142619A (ko) 2016-12-13
KR101713294B1 KR101713294B1 (ko) 2017-03-22

Family

ID=5757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583A KR101713294B1 (ko) 2015-06-03 2015-06-03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2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768A (ko) * 2017-12-01 2019-06-11 윤영섭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KR20210060166A (ko) * 2019-11-18 2021-05-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KR102255517B1 (ko) * 2020-06-02 2021-06-17 이에스앤텍 주식회사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 지킴이 시스템
KR20210098062A (ko) * 2020-01-31 2021-08-10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대중교통의 배려석 이용 장치와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146B1 (ko) * 2019-11-08 2021-09-06 윤태원 임산부 알림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05A (ko) * 2004-03-25 2005-09-29 전자부품연구원 차량내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광고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20100073292A (ko) * 2008-12-23 2010-07-01 전자부품연구원 Wpan 통신 기술을 이용한 잔여좌석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30019554A (ko) * 2011-08-17 2013-02-27 유비벨록스(주) 좌석 배치 시스템, 버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좌석 배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05A (ko) * 2004-03-25 2005-09-29 전자부품연구원 차량내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광고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20100073292A (ko) * 2008-12-23 2010-07-01 전자부품연구원 Wpan 통신 기술을 이용한 잔여좌석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30019554A (ko) * 2011-08-17 2013-02-27 유비벨록스(주) 좌석 배치 시스템, 버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좌석 배치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768A (ko) * 2017-12-01 2019-06-11 윤영섭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KR20210060166A (ko) * 2019-11-18 2021-05-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KR20210098062A (ko) * 2020-01-31 2021-08-10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대중교통의 배려석 이용 장치와 그 방법
KR102255517B1 (ko) * 2020-06-02 2021-06-17 이에스앤텍 주식회사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 지킴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294B1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294B1 (ko)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RU2527883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подъём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JP5894345B2 (ja) スマート端末を利用してアパートで統合的な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
US11110020B2 (en) Smart hospital headwall system
KR101935001B1 (ko) 버스정류소 교통약자 승차 예약 시스템
CN108861912B (zh) 一种电梯
CN109052084B (zh) 一种电梯
JP2017119580A (ja) エレベーター自動ガイド補助システム及びその誘導方法
JP2009110294A (ja) 病室訪問者管理システム
KR20170021542A (ko)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KR101606340B1 (ko) 비콘과 장애인용 도구를 활용한 주변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0910313B1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어린이 운송차량용 어린이 보호 시스템
JP2003048671A (ja) エレベ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呼出タグ
JP6306110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20190030271A (ko)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JP2012046144A (ja) 駅ホーム表示器および駅相互連絡システム
KR20210076789A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20160015436A (ko) 장애인의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이동편의 지원시스템
JP6815973B2 (ja) 移動装置システム
KR20200100969A (ko)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74878B1 (ko)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JP2013101652A (ja) 駅相互連絡システム
KR102001112B1 (ko)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130814A (ko) 어린이 등/하원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2011054119A (ja) 交通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