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436A - 장애인의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이동편의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인의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이동편의 지원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436A
KR20160015436A KR1020140097111A KR20140097111A KR20160015436A KR 20160015436 A KR20160015436 A KR 20160015436A KR 1020140097111 A KR1020140097111 A KR 1020140097111A KR 20140097111 A KR20140097111 A KR 20140097111A KR 20160015436 A KR20160015436 A KR 20160015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disabled person
information
support device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굿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굿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굿
Priority to KR102014009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436A/ko
Publication of KR20160015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G06Q50/4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정류장에 장애인이 도착하여 대기중임을 입력하면, 장애인이 대기장소에서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을 버스정보시스템을 통해 버스에 전송하여 버스기사가 지정된 위치에 정차하도록 하고, 버스가 지정된 위치에 정지하면 휠체어 등을 이동하는 리프트가 동작하여 장애인을 버스에 안전하게 승차시킬 수 있는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교통약자들이 인파가 붐비는 정류장에서도 좀 더 편안하게 버스에 타고 내릴 수 있으며, 버스기사들이 대기 승객의 존재와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A SUPPORT DEVICE IN GETTING ON OR OFF FOR THE DISABLED IN USING A BUS CONVENIENTLY}
본 발명은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정류장에 장애인이 도착하여 대기중임을 입력하면, 장애인이 대기장소에서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을 버스정보시스템을 통해 버스에 전송하여 버스기사가 지정된 위치에 정차하도록 하고, 버스가 지정된 위치에 정지하면 휠체어 등을 이동하는 리프트가 동작하여 장애인을 버스에 안전하게 승차시킬 수 있는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건물의 시설을 보완하거나, 대중교통수단에 승하차 시설을 설치하여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대중교통수단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버스나 지하철의 현재 위치와 예상 도착시각 등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알려주는 기술은 스마트폰의 발달과 더불어 비장애인들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시내버스나 광역버스, 마을버스 등 시내외의 도로 위를 주행하는 버스의 경우에는 각종 장소에 설치된 정류장에 정차하여 승객을 승하차시키는데, 버스의 수나 승객이 서있는 상태 등에 따라서 불규칙한 장소에 정차할 수밖에 없다.
정류장에 따라서는 개별 노선별로 정차하는 위치가 구분되어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정류장에서는 한정된 길이의 도로변에 여러 대의 버스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정차하여 승객을 태운다.
그러나 지체장애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환자 등은 버스의 정차 위치가 멀어지면 빨리 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버스를 타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정류장에 대기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민첩하지 못한 교통약자(거동장애인, 노약자, 환자, 임산부 등)는 정상적으로 버스를 타고 내리는데 많은 제약을 받는다.
기존에 정류장에 내리거나 타는 손님을 버스기사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교통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불편함을 겪는 사람이 생길 수밖에 없다.
또한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가 대기하고 있는 곳에 버스가 정차하도록 안내하는 시스템은 가능하지만, 실제로 휠체어 등을 타고 있는 장애인이 쉽게 버스에 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가 구비된 통합시스템은 없어서 실질적인 장애인 접근성 보장이 되지 않는 문제점 있었다.
KR 10-1246370 B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통약자가 정류장에 진입하여 표시시스템에 자신의 카드 등을 접촉시키고 행선지를 입력하면, 이에 해당하는 버스에 교통약자의 대기 사실을 전송하고, 정류장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상에 교통약자가 대기하고 있다는 사실이 영상과 음성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약자가 소지하는 RFID카드나 NFC태그를 표시시스템에 접촉하면 어떤 종류의 교통약자가 어느 방향으로 가는 버스를 대기하고 있다는 사실을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가 지정된 위치에 정차했는지를 확인하고, 지정된 위치에 정차한 경우에만 리프트를 동작시켜 장애인이 버스에 승차하도록 하는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를 운전하는 기사나 원격지의 버스정보시스템이 정차할 버스와 탑승할 버스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정확한 승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장애인이 입력한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버스정보시스템(400)에 전송하고, 상기 장애인이 버스(300)에 탑승하는 것을 보조하는 지원장치(200)로서, 상기 지원장치(200)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장애인이 투입하거나 접촉시킨 카드에서 상기 장애인의 신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버스정보시스템(400)에 전송하는 카드단말기(202)와; 상기 지원장치(200)의 지붕이나 외측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원장치(200)에서 대기하고 있는 장애인이 탑승할 버스(300)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8)와; 상기 버스(300) 또는 상기 버스정보시스템(400)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부(210)와; 상기 장애인을 태운채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애인을 상기 버스(300)의 탑승구로 들어가게 하는 리프트(212)와; 상기 버스(300)가 상기 지원장치(200)의 정해진 위치에 정차했는지를 확인하는 위치확인장치(214);를 포함한다.
상기 지원장치(200)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장애인이 키패드를 눌러서 입력하는 상기 장애인의 신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버스정보시스템(400)에 전송하는 입력버튼(204);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위치확인장치(214)는 무선신호(RF)나 레이저, 적외선 중의 어느 하나의 위치확인신호를 발산하고, 입사 또는 반사되는 상기 위치확인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버스(300)가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스(300)가 지나가는 도로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버스(300)의 차체 또는 바퀴가 들어오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버스(300)의 존재 또는 속도 등을 감지하는 루프검지기(218);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교통약자들이 인파가 붐비는 정류장에서도 좀 더 편안하게 버스에 타고 내릴 수 있으며, 버스기사들이 대기 승객의 존재와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원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지원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버스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지원장치의 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지원장치의 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경사로를 따라 지원장치 내부로 장애인이 들어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지원장치의 전면에 버스가 정차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위치확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9는 버스의 정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버스에 장애인이 탑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리프트와 버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12는 버스의 표시부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13은 버스 내부의 카메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이하, '지원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원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이며, 도 2는 지원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버스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지원장치(200)는 일반적인 도로변의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다.
정류장은 버스가 사용자의 승하차를 위해 사용하는 시설물로서, 대기장소 내부에는 의자나 벤치 등이 설치되어 승객들이 기다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지원장치(200)는 정류장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교통약자 대기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통약자 대기장소는 거동이 불편한 교통약자가 쉽고 편하게 버스(300)에 타고 내릴 수 있는 위치에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원장치(200)는 시각장애인이나 지체부자유자처럼 타인의 도움없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가 힘든 사람(이하에서는 '장애인'이라고 호칭함)을 위해 사용된다.
지원장치(200)에는 장애인들이 버스(300)에 타고내릴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외에도 장애인이 정류장에 대기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장치들이 구비된다. 장애인이 정류장에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은 지원장치(200)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입력하게 되는데, 입력된 대기정보는 버스정보시스템(400)을 통해서 도로에서 운행중인 버스(300)에 전달된다. 버스(300)를 운행하는 기사는 자신이 운전하는 버스(300)에 탑승하기를 원하는 장애인이 대기하고 있는 장소에 정차하여 해당 장애인을 탑승시키게 된다.
지원장치(200)는 주로 영상으로 대기자의 내용과 버스(300)의 위치 등을 표시하는데, 시각장애인 등을 위해 음성으로 안내를 할 수 있는 기능도 함께 구비할 필요가 있다.
지원장치(200)는 일반적인 출입구 또는 전화부스와 비슷한 구조로 만들어지는데, 상부에는 디스플레이(208)가 설치되고, 중간에는 교통약자들이 자신의 카드를 접촉할 수 있는 카드단말기(202)가 설치된다. 지원장치(200)의 하단부는 도로나 인도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로 구성되며, 구조물 내부에는 통신선이나 전력선이 포설된다.
지원장치(200)는 전후방이 개방되어 있어서 휠체어 등의 보조장치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쉽게 드나들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지원장치(200)의 입구에는 카드단말기(202)와 입력버튼(204)이 설치된다. 카드단말기(202)는 장애인이 투입하거나 접촉시킨 카드에서 RFID카드나 NFC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서 장애인의 신상정보를 확인하는 장치로서, 장애인의 종류나 등급, 행선지 정보 등을 읽어서 버스정보시스템(400)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지원장치(2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애인이 별도의 기관을 통해서 장애인임을 입증하는 정보가 담긴 카드를 발급받아야 한다. 발급된 카드에는 장애인의 신상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카드단말기(202)는 접촉된 카드에서 신상정보를 추출하여 본 발명의 지원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는 종류의 장애인인지를 판단한다. 조건에 부합하지 않을 때에는 장애인에게 사용이 불가함을 알려줄 수도 있다.
장애인은 별도의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자신의 카드를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지원장치(200)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키패드가 구비된 입력버튼(204)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버튼(204)은 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장애인이 자신의 정보나 행선지를 직접 타이핑하여 지원장치(200)에서 버스(300)를 탑승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입력수단이다.
지원장치(200)에 설치되는 스피커(206)는 시각장애인 등에게 버스(300)의 위치, 탑승순서나 대기시간, 접근하고 있는 버스(300)의 번호 등 장애인에게 필요한 탑승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한다. 또한 디스플레이(208)는 지원장치(200)의 지붕이나 외측 벽면에 설치되어 버스기사나 다른 사람들에게 장애인의 대기 상황을 시각적으로 알려준다. 디스플레이(208)를 통해서는 장애인이 탑승할 버스(300)의 번호나 행선지 등이 표시되도록 한다.
통신부(210)는 버스(300) 또는 버스정보시스템(400)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210)가 장애인이 입력한 정보를 버스정보시스템(400)으로 전달하고, 버스정보시스템(400)이 버스(300)의 접근이나 탑승 순서를 정하여 버스기사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유무선 통신망은 3G나 4G와 같은 이동통신망, 무선랜망(WIFI), 일반 유선전화망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버스정보시스템(400)은 일반적인 의미의 BIS(Bus Information System)를 운영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리프트(212)는 휠체어 등의 보조수단에 장애인이 탄 채로 버스(300)에 올라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운반수단이다. 본 발명에서는 장애인이 서있는 지원장치(200)의 바닥부가 전면으로 돌출되면서 버스(300)의 출입문에 접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휠체어를 들어올려서 버스(300) 내부로 들어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치확인장치(214)는 리프트(212)가 구동되기 전에 버스(300)가 정해진 위치에 정차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위치확인장치(214)는 무선신호(RF)나 레이저, 적외선 등의 위치확인신호를 발산하고, 버스(300)의 발판에 구비된 입력수단 또는 상기 위치확인장치(214)에 구비되어 버스(300)의 반사수단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감지하는 입력수단의 감지에 따라 버스(300)가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버스(300)와 지원장치(200)의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는 리프트(212)가 정확하게 출입문으로 들어갈 수가 없어서 장애인이 탑승을 못하거나 떨어져서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위치확인장치(214)가 버스(300)의 위치와 거리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리프트(212)의 정면에 위치확인장치(214)를 설치하여 정류장에 들어온 버스(300)와 마주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위치확인장치(214)와 마주보는 버스(300)의 표면에 입력수단이나 반사수단을 설치하여 위치확인장치(214)에서 보내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레이저나 적외선의 경우에는 직진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위치확인장치(214)에서 조사한 레이저나 적외선이 버스(300)의 발판에서 반사되어 들어오는 정도를 감지하여 버스(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RF 무선신호의 경우에도 방향이나 거리 등에 따라서 반사되거나 감지되는 신호의 세기가 달라지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버스(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손잡이(216)는 리프트(212)에 설치되어 리프트(212)의 이동 중에 장애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216)를 난간 형식으로 만들고, 표면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안내문을 작성한다.
루프검지기(218)는 버스(300)가 지나가는 도로 표면에 설치하는 감지수단으로서, 버스(300)의 차체 또는 바퀴가 들어오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버스(300)의 존재 또는 속도 등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루프검지기(218)를 보조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버스(300)가 정해진 위치에 있는지를 더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도로의 표면에 설치되어 자기장의 변화량에 따라 차량의 위치 또는 속도를 감지하는 루프검지기(218)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구조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지는 않는다.
한편, 버스(300)에는 장애인의 대기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지원장치(200)에 설치된 리프트(212)를 움직여서 장애인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이 설치된다.
통신부(302)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로서, 버스정보시스템(400)과 연결되어 장애인의 탑승 대기정보를 전송받는다.
표시장치(304)는 운전석 주변에 설치되는데, 장애인이 대기하고 있는 정류장의 정보와 대기중인 장애인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동작버튼(306)은 버스기사가 지원장치(200)에 설치된 리프트(2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장애인이 대기하고 있는 지원장치(200)에 버스(300)가 정차하면, 버스정보와 정차 위치를 확인하여 장애인이 탑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버스(300)가 정확한 위치에 정차해있고, 장애인이 지원장치(200)에 대기하고 있음을 확인한 후, 버스기사가 동작버튼(306)을 누르면 제어신호가 지원장치(20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리프트(212)가 동작하면서 장애인이 버스(30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장애인의 탑승이 마무리되면 다시 동작버튼(306)을 눌러서 리프트(212)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한다.
리프트(212)의 동작을 장애인이 직접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지원장치(200)의 내부 또는 손잡이(216)에 설치된 버튼을 눌러서 리프트(212)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리프트(212)의 제어를 버스기사가 하도록 하면, 탑승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프트(212)가 동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버스기사가 제어하는 경우에도 해당 장애인이 타야할 버스인지를 정확하게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서 버스정보시스템(400)이 개입할 수 있다. 즉, 특정 버스(300)를 타기 위해서 장애인이 대기하고 있을 때, 노선이 다른 버스(300)가 들어와서 정해진 위치에 정차하고, 버스기사가 리프트(212)를 동작시켜 장애인을 태우면 장애인은 자신의 의도와는 다른 버스(300)에 탑승하는 사고가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대기하고 있는 장애인이 탑승해야 할 버스(300)에 대해서만 리프트(212) 제어권한을 부여한다. 제어권한은 버스정보시스템(400)이 통신망을 통해 버스(300)에 전송하며, 제어권한을 가진 버스(300)의 버스기사만이 리프트(212)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버스(300)의 내외부에는 카메라(308)가 설치되며, 카메라(308)에서 촬영된 영상은 운전석의 모니터(310)에 표시된다. 카메라(308)는 탑승구 내부와 외부에 각각 설치하여 장애인의 탑승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308)가 촬영한 영상은 별도의 저장장치(도면 미도시)에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지원장치(200)와 버스(300)의 구조 및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지원장치의 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지원장치의 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경사로를 따라 지원장치 내부로 장애인이 들어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지원장치의 전면에 버스가 정차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위치확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9는 버스의 정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원장치(200)는 전화부스와 비슷하게 한두 명의 사람이 동시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며, 높이는 사람의 키보다 약간 더 크게 제작한다. 지원장치(200)의 전면과 후면은 개방된 상태로 만들어지며, 후면 바닥에는 경사로가 형성되어 휠체어가 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208)는 지원장치(200)의 지붕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버스기사가 쉽게 볼 수 있도록 해준다.
장애인이 지원장치(200)에 들어와서 카드를 접촉하거나 신상정보를 입력하면서 타고자 하는 버스(300)의 번호(또는 행선지)를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신상정보와 탑승버스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버스정보시스템(400)에 전달된다. 버스정보시스템(400)은 장애인이 타야할 버스(300)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버스(300)에 탑승 대기사실을 통지한다. 해당 버스(300)의 기사는 자신의 버스(300)에 탑승할 장애인의 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장애인이 원하는 행선지로 가는 차량이 여러 대일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버스(300)를 타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버스정보시스템(400)에는 현재 운행되고 있는 버스(300)의 정보가 저장되며, 가장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만약 하나의 지원장치(200)를 이용하기를 원하는 장애인이 여러 명인 경우에는 순서대로 버스(300)가 정차하고 장애인이 탑승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버스(300)가 정류장에 접근하면 디스플레이(208)에는 장애인의 대기사실과 탑승할 버스(300)의 번호가 표시된다. 기사는 정해진 위치에 버스(300)를 정차시켜 장애인이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버스(300)가 지원장치(200) 앞에 정차하면,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확인장치(214)가 RF무선신호나 레이저,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버스(300)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루프검지기(218)도 버스(300)의 바퀴의 위치를 확인하여 정확한 위치에 정차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버스(300)가 정확한 탑승위치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버스기사는 동작버튼(306)을 눌러서 리프트(212)를 동작시킨다. 이때 버스(300)에는 버스정보시스템(400)으로부터 리프트(212)의 제어권한이 접수된 상태이다. 리프트(212)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버스(300)의 탑승구로 장애인을 이동시킨다.
도 10은 버스에 장애인이 탑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리프트와 버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212)의 끝부분이 버스(300)의 탑승구 내부로 약간 들어오도록 함으로써 리프트(212)에 가해지는 하중의 일부를 버스(300)가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버스기사는 카메라(308)에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장애인이 안전하게 버스(300) 내부로 들어왔는지를 확인한다.
도 12는 버스의 표시부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며, 도 13은 버스 내부의 카메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장애인의 탑승이 완료되면 리프트(212)를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동작버튼(306)을 제어한다. 리프트(212)가 원위치로 돌아가면 버스(300)는 문을 닫고 출발한다. 그리고 버스기사는 장애인의 탑승 완료사실을 버스정보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 지원장치 202 : 카드단말기
204 : 입력버튼 206 : 스피커
208 : 디스플레이 210 : 통신부
212 : 리프트 214 : 위치확인장치
216 : 손잡이 218 : 루프검지기
300 : 버스 302 : 통신부
304 : 표시장치 306 : 동작버튼
308 : 카메라 310 : 모니터
400 : 버스정보시스템

Claims (4)

  1.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장애인이 입력한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버스정보시스템(400)에 전송하고, 상기 장애인이 버스(300)에 탑승하는 것을 보조하는 지원장치(200)로서,
    상기 지원장치(200)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장애인이 투입하거나 접촉시킨 카드에서 상기 장애인의 신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버스정보시스템(400)에 전송하는 카드단말기(202)와;
    상기 지원장치(200)의 지붕이나 외측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원장치(200)에서 대기하고 있는 장애인이 탑승할 버스(300)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8)와;
    상기 버스(300) 또는 상기 버스정보시스템(400)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부(210)와;
    상기 장애인을 태운채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애인을 상기 버스(300)의 탑승구로 들어가게 하는 리프트(212)와;
    상기 버스(300)가 상기 지원장치(200)의 정해진 위치에 정차했는지를 확인하는 위치확인장치(214);를 포함하는,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장치(200)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장애인이 키패드를 눌러서 입력하는 상기 장애인의 신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버스정보시스템(400)에 전송하는 입력버튼(204);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장치(214)는
    무선신호(RF)나 레이저, 적외선 중의 어느 하나의 위치확인신호를 발산하고, 입사 또는 반사되는 상기 위치확인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버스(300)가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300)가 지나가는 도로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버스(300)의 차체 또는 바퀴가 들어오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버스(300)의 존재 또는 속도 등을 감지하는 루프검지기(218);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애인의 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승하차 지원장치.
KR1020140097111A 2014-07-30 2014-07-30 장애인의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이동편의 지원시스템 KR20160015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111A KR20160015436A (ko) 2014-07-30 2014-07-30 장애인의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이동편의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111A KR20160015436A (ko) 2014-07-30 2014-07-30 장애인의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이동편의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36A true KR20160015436A (ko) 2016-02-15

Family

ID=5535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111A KR20160015436A (ko) 2014-07-30 2014-07-30 장애인의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이동편의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4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797A (ko) * 2016-11-14 2018-05-24 삼원에프에이 (주) 장애인 탑승 사전 알림 기능을 갖춘 버스 안내 시스템
KR20220123825A (ko) * 2021-03-02 2022-09-1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 편의를 위한 버스 알림 시스템
KR102507001B1 (ko) * 2022-07-08 2023-03-07 씨앤디비 주식회사 교통 약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버스 정보 교환 시스템 및 교통 약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797A (ko) * 2016-11-14 2018-05-24 삼원에프에이 (주) 장애인 탑승 사전 알림 기능을 갖춘 버스 안내 시스템
KR20220123825A (ko) * 2021-03-02 2022-09-1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 편의를 위한 버스 알림 시스템
KR102507001B1 (ko) * 2022-07-08 2023-03-07 씨앤디비 주식회사 교통 약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버스 정보 교환 시스템 및 교통 약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1834B1 (ja) エレベータ
JP6029617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JP4279405B2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KR101935001B1 (ko) 버스정류소 교통약자 승차 예약 시스템
KR101172000B1 (ko)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BRPI0917419B1 (pt) processo para controle de um sistema de elevador com várias cabines de elevador por poço de elevador
JP2012017184A (ja) 自律移動装置同乗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9502691A (ja) ユーザをエレベータシステムへと割り当てるための方法
KR101952265B1 (ko) 장애인을 위한 대중교통 탑승 예약 방법 및 시스템
JP661092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10579A (ja) 誘導型歩行補助システム
JP2015032292A (ja) 移動支援システム
KR20180053797A (ko) 장애인 탑승 사전 알림 기능을 갖춘 버스 안내 시스템
KR20160015436A (ko) 장애인의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이동편의 지원시스템
WO2012073301A1 (ja) ロボットを利用した案内システム
KR20170066942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1713294B1 (ko)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057005B1 (ko) 원격제어리모컨을 이용한 교통약자를 위한 버스안내시스템
JP201522953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7117743B2 (ja) 自動運転車両による利用者搬送システム
JP2002128406A (ja)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ビル内案内システム
JP2014136624A (ja) エレベーター運転制御システム
JPH11231935A (ja) 自動ビークル、自動ビークルの運行システム及び自動ビークルの利用方法
JP2020095460A (ja) 交通管理装置、交通管理システム、交通管理方法、及び交通管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495074A (zh) 一种交通工具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