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473B1 -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473B1
KR101919473B1 KR1020180053026A KR20180053026A KR101919473B1 KR 101919473 B1 KR101919473 B1 KR 101919473B1 KR 1020180053026 A KR1020180053026 A KR 1020180053026A KR 20180053026 A KR20180053026 A KR 20180053026A KR 101919473 B1 KR101919473 B1 KR 10191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unit
seat concession
traffic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운
Original Assignee
이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운 filed Critical 이정운
Priority to KR102018005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통약자석에 착석한 일반인들에 대한 양보를 보다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요청하는데 있다.
일례로, 대중교통수단 입구 측에 설치되고, 탑승자로부터 좌석양보요청을 입력받아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좌석양보요청 입력부;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교통약자석 측으로 전송하되, 교통약자석의 이용상태에 따라 전송순서를 설정하고, 설정된 전송순서에 따라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 및 교통약자석 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탑승자로부터 상기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부로 전송하는 좌석양보승인 입력부를 포함하는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SYSTEM FOR GUIDING CONSIDERATION OF TRANSPORTATION VULNERABLE USERS}
본 발명은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교통(예컨대, 지하철 등)의 경우는 노약자나 유아 동반석 혹은, 임산부석을 따로 지정하여 교통 약자가 공공교통을 이용할 때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특히, 임산부를 위한 임산부석은 특별히 별도 지정하여 임산부를 배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임산부석이 따로 있는지 모르는 경우도 많고 일반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임산부석은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다.
최근, 임산부임을 알리는 도구로는 임산부 배지 및 악세서리를 이용하였으나 주변 사람들이 신경써서 확인하지 않으면 이를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임산부석에 비노약자가 착석해있을 경우 해당 좌석의 양보를 권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통약자석에 착석한 일반인들에 대한 양보를 보다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요청할 수 있는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은, 대중교통수단 입구 측에 설치되고, 탑승자로부터 좌석양보요청을 입력받아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좌석양보요청 입력부;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교통약자석 측으로 전송하되, 교통약자석의 이용상태에 따라 전송순서를 설정하고, 설정된 전송순서에 따라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 및 교통약자석 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탑승자로부터 상기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부로 전송하는 좌석양보승인 입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부는, 터치 및 푸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탑승자로부터 좌석양보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 좌석양보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 및 상기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석양보승인정보와 해당 교통약자석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양보승인정보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부는, 탑승자로부터 교통약자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를 통해 입력된 좌석양보요청에 따라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1 교통약자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교통약자 인증부는, 교통약자가 소지한 교통약자 인증수단의 태깅 시 교통약자 인증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제1 인증정보 리더부; 인증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인증정보 리더부를 통해 리딩된 교통약자 인증정보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인증정보 확인부; 및 상기 제1 인증정보 확인부를 통해 교통약자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를 통해 입력된 좌석양보요청에 따라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를 일정시간 활성화시키는 신호 활성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는, 상기 제1 인증정보 리더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교통약자 인증수단의 태깅 시 푸시되어 좌석양보요청 입력받되,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교통약자 인증부를 통한 인증 완료 시,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교통약자석에 각각 설치되고, 각 교통약자석에 대한 탑승자의 착석여부 및 착석시간을 감지하여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로 전송하는 착석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는, 상기 착석 감지부로부터 탑승자 착석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교통약자석 중 착석시간이 가장 오래된 교통약자석을 우선으로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교통약자석에 각각 설치된 제2 교통약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교통약자 인증부는, 교통약자가 소지한 교통약자 인증수단의 1차 태깅 시 교통약자 인증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제2 인증정보 리더부; 인증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인증정보 리더부를 통해 리딩된 교통약자 인증정보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인증정보 확인부; 및 상기 제2 인증정보 확인부를 통해 교통약자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2 인증정보 리더부를 통해 2차 태깅하기 이전 또는 상기 착석 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무게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무게 값 이하가 되기 이전까지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는 좌석양보요청신호 수신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약자석에 착석한 일반인들에 대한 양보를 보다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요청할 수 있는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의 구성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석양보요청 입력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교통약자 인증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깅 & 푸시 방식의 좌석양보요청을 입력하고 승인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석 배치순서에 따라 좌석양보요청신호의 전송순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석 착석순서에 따라 좌석양보요청신호의 전송순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석양보요청 처리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의 구성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석양보요청 입력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교통약자 인증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1000)은, 좌석양보요청 입력부(100),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200), 좌석양보승인 입력부(300), 착석 감지부(400) 및 제2 교통약자 인증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1000)은 교통약자 인증수단(600) 및 인증서버(1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부(100)는, 대중교통수단(버스, 지하철 등) 입구 측에 설치되고, 탑승자로부터 좌석양보요청을 입력받아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좌석양보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좌석양보승인 입력부(300)로부터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좌석양보요청 입력부(100)는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110),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120), 양보승인정보 알림부(130) 및 제1 교통약자 인증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110)는 탑승자로부터 좌석양보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110)는, 대중교통수단(버스, 지하철 등) 입구 측에 설치 수 있으며, 터치 및 푸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탑승자 중 인증된 교통약자로부터 좌석양보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120)는,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110)를 통해 좌석양보요청이 입력되면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양보승인정보 알림부(130)는, 좌석양보승인 입력부(300)로부터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석양보승인정보와 해당 교통약자석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약자석 A, B, C, D, E, F 중 교통약자석 'F'로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보낸 후 교통약자석 'F'로부터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버스 운전석 뒤 세 번째 좌석에서 양보 승인을 하셨습니다. 자리로 이동해 앉아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 멘트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교통약자 인증부(140)는, 탑승자로부터 교통약자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110)를 통해 입력된 좌석양보요청에 따라 좌석양보요청신호가 발생되도록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120)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교통약지 인증부(140)는 제1 인증정보 리더부(141), 제1 인증정보 확인부(142) 및 신호 활성화 제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증정보 리더부(141)는, 교통약자가 소지한 교통약자 인증수단(600)의 태깅 시 해당 교통약자 인증수단(600)으로부터 교통약자 인증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수단으로, RFID, NFC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증정보 확인부(142)는 인증서버(10)에 연결되어 제1 인증정보 리더부(141)를 통해 리딩된 교통약자 인증정보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호 활성화 제어부(143)는, 제1 인증정보 확인부(142)를 통해 교통약자로 확인되는 경우,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110)를 통해 입력된 좌석양보요청에 따라 좌석양보요청신호가 발생되도록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120)를 일정시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교통약자 인증부(140)는, 교통약자(임산부, 노약자, 장애인, 유아 동반자 등)로 인증된 사용자 이외에 일반 탑승자가 본 시스템을 남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교통약자 인증부(140)는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110)와 연동 구성으로 이루어져 태깅 & 푸시 방식의 좌석양보요청을 입력하고 승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깅 & 푸시 방식의 좌석양보요청을 입력하고 승인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110)는, 제1 인증정보 리더부(141)의 후방에 연결되어 교통약자 인증수단(600)의 태깅 시 푸시되어 제1 인증정보 리더부(141)를 통한 교통약자 인증정보 리딩과 동시에 좌석양보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120)는 좌석양보요청에 따른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즉시 발생시켜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200)로 보내지 않고, 대기 상태에 있다가 제1 교통약자 인증부(140)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발생시켜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200)로 출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태깅 & 푸시 방식을 설명하면, 우선 ① 제1 인증정보 리더부(141)를 통한 교통약자 인증정보의 리딩과 함께,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110)를 통한 좌석양보요청 입력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인증정보 리더부(141)의 외표면에는 '인증카드 또는 휴대폰으로 밀어주세요'라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② 다음, 제1 인증정보 확인부(142)는 교통약자 인증정보를 인증서버(10)로 전송하여 해당 인증정보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③ 다음, 제1 인증정보 확인부(142)를 통해 해당 인증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이를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120)로 알리어,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110)의 좌석양보요청 입력신호에 따른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발생시켜 ④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⑤ 이후,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200)는 설정된 전송순서에 따라 해당 교통약자석으로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200)는, 좌석양보요청신호를 교통약자석 측으로 전송하되, 교통약자석의 이용상태에 따라 전송순서를 설정하고, 설정된 전송순서에 따라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석 배치순서에 따라 좌석양보요청신호의 전송순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교통약자석 A, B, C, D, E, F가 있고, 이들의 좌석배치순서가 교통약자석 A가 ①번, B가 ②번, C가 ③번, D가 ④번, E가 ⑤번, F가 ⑥번이며, 모든 교통약자석에 탑승자가 착석한 상태라고 가정하면,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200)는 교통약좌석 A, B, C, D, E, F 순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보낸 후 일정시간 응답이 없을 경우 다음 순서의 교통약자석으로 보내고, 그 교통약자석 또한 응답이 없을 경우 그 다음 순서의 교통약자석으로 보내는 방식으로 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석 착석순서에 따라 좌석양보요청신호의 전송순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교통약자석 A, B, C, D, E, F가 있고, 해당 교통약자석들의 탑승자 착석순서가 D, B, C, A, F, E라고 가정하면,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200)는 가장 오래 착석 중인 교통약좌석 D로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보낸 후 일정시간 응답이 없을 경우 다음 순서의 교통약자석 B로 보내고, 또한 응답이 없을 경우 C로 보내는 방식으로 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좌석양보승인 입력부(300)는, 교통약자석 측에 각각 설치되고,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탑승자로부터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입력받아 좌석양보요청 입력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석양보승인 입력부(300)는 램프와 버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램프에 불이 들어오면 양보요청을 의미하는 것이며, 버튼을 누르는 경우 그에 대한 응답으로 양보승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착석 감지부(400)는, 교통약자석에 각각 설치되고, 각 교통약자석에 대한 탑승자의 착석여부 및 착석시간을 감지하여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200)는 교통약자석의 각각에 대한 착석여부 및 착석시간을 감안하여, 상술한 착석순서에 따른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교통약자 인증부(500)는, 교통약자석에 각각 설치되어 착석한 탑승자에 대한 교통약자에 대한 2차 인증을 수행하고, 다른 교통약자에 대한 양보 의무를 부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교통약자 인증부(500)는 제2 인증정보 리더부(510), 제2 인증정보 확인부(520) 및 좌석양보요청신호 수신 차단부(5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증정보 리더부(510)는, 좌석양보승인 이후, 해당 교통약자석에 착석할 경우 해당 교통약자석을 양보 받은 교통약자가 소지한 교통약자 인증수단(600)를 1차 태깅하면, 해당 교통약자 인증정보를 리딩할 수 있으며, RFID, NFC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증정보 확인부(520)는, 인증서버(10)에 연결되어 제2 인증정보 리더부(510)를 통해 리딩된 교통약자 인증정보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 수신 차단부(530)는, 제2 인증정보 확인부(520)를 통해 교통약자로 확인되는 경우, 제2 인증정보 리더부(520)를 통해 2차 태깅하기 이전 또는 착석 감지부(400)를 통해 측정된 무게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무게 값 이하가 되기 이전까지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200)로부터 좌석양보요청신호의 수신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교통약자 인증부(500)는, 현재 특정 교통약자석을 양보 받은 교통약자가 하차 전까지 해당 좌석에 대한 양보 권유를 받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좌석을 양보 받을 정당한 권리를 가진 교통약자가 다른 교통약자에게 해당 교통약자석을 양보할 의사가 없는 경우 선택적으로 2차 인증을 받아 하차 행위 전까지 양보권유신호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제2 교통약자 인증부(500)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해당 교통약자석에 착석한 교통약자는 다른 교통약자로부터 양보권유를 받을 수 있으며, 좌석양보승인신호를 보내어 자신의 자리를 다른 교통약자에게 양보할 수 있다.
상기 교통약자 인증수단(600)은, 교통약자 인증기관을 통해 교통약자로서 인증(또는 등록)된 통신카드(또는 교통결제카드 겸용) 또는 휴대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교통약자 인증정보가 저장되며, 제1 및 제2 인증정보 리더부(141, 51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석양보요청 처리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배려 시스템(1000)은 정류장 단말(10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류단 단말(100A)은 버스 정류장 또는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어 좌석양보요청 입력부(100)와 무선 통신하여 좌석양보요청신호를 탑승할 버스나 지하철로 미리 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신호 즉 양보승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류장 단말(100A)은 버스번호, 지하철 승강장번호 등을 검색 및 입력할 수 있는 검색 및 입력 수단, 교통약자 인증수단(600)의 정보를 입력, 스캔, 리딩할 수 있는 입력 수단과, 입력된 정보와 신호를 해당 대중교통수단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수단 등을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정류장 단말(100A)은 해당 대중교통수단으로부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한 상세 정보 즉, 양보 의사를 받은 대중교통수단의 도착시간, 현재위치, 해당 교통약자석의 위치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교통약자 인증수단(600)이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경우 해당 정보들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100: 좌석양보요청 입력부
110: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
120: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
130: 양보승인정보 알림부
140: 제1 교통약자 인증부
141: 제1 인증정보 리더부
142: 제1 인증정보 확인부
143: 신호 활성화 제어부
200: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
300: 좌석양보승인 입력부
400: 착석 감지부
500: 제2 교통약자 인증부
510: 제2 인증정보 리더부
520: 제2 인증정보 확인부
530: 좌석양보요청신호 수신 차단부
600: 교통약자 인증수단
10: 인증서버
100A: 정류장 단말

Claims (8)

  1. 대중교통수단 입구 측에 설치되고, 탑승자로부터 좌석양보요청을 입력받아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좌석양보요청 입력부;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교통약자석 측으로 전송하되, 교통약자석의 이용상태에 따라 전송순서를 설정하고, 설정된 전송순서에 따라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 및
    교통약자석 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탑승자로부터 상기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부로 전송하는 좌석양보승인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부는,
    터치 및 푸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탑승자로부터 좌석양보요청을 입력 받기 위한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
    좌석양보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
    상기 좌석양보승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석양보승인정보와 해당 교통약자석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양보승인정보 알림부; 및
    탑승자로부터 교통약자 인증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를 통해 입력된 좌석양보요청에 따라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1 교통약자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통약자 인증부는,
    교통약자가 소지한 교통약자 인증수단의 태깅 시 교통약자 인증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제1 인증정보 리더부;
    인증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인증정보 리더부를 통해 리딩된 교통약자 인증정보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인증정보 확인부; 및
    상기 제1 인증정보 확인부를 통해 교통약자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를 통해 입력된 좌석양보요청에 따라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를 일정시간 활성화시키는 신호 활성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양보요청 입력 버튼부는, 상기 제1 인증정보 리더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교통약자 인증수단의 태깅 시 푸시되어 좌석양보요청 입력 받되,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교통약자 인증부를 통한 인증 완료 시,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교통약자석에 각각 설치되고, 각 교통약자석에 대한 탑승자의 착석여부 및 착석시간을 감지하여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로 전송하는 착석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 전송부는,
    상기 착석 감지부로부터 탑승자 착석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교통약자석 중 착석시간이 가장 오래된 교통약자석을 우선으로 좌석양보요청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교통약자석에 각각 설치된 제2 교통약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교통약자 인증부는,
    교통약자가 소지한 교통약자 인증수단의 1차 태깅 시 교통약자 인증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제2 인증정보 리더부;
    인증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인증정보 리더부를 통해 리딩된 교통약자 인증정보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인증정보 확인부; 및
    상기 제2 인증정보 확인부를 통해 교통약자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2 인증정보 리더부를 통해 2차 태깅하기 이전 또는 상기 착석 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무게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무게 값 이하가 되기 이전까지 상기 좌석양보요청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는 좌석양보요청신호 수신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KR1020180053026A 2018-05-09 2018-05-09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KR101919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26A KR101919473B1 (ko) 2018-05-09 2018-05-09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26A KR101919473B1 (ko) 2018-05-09 2018-05-09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473B1 true KR101919473B1 (ko) 2018-11-16

Family

ID=6456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026A KR101919473B1 (ko) 2018-05-09 2018-05-09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062A (ko) * 2020-01-31 2021-08-10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대중교통의 배려석 이용 장치와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901B1 (ko) 2017-05-24 2017-08-23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IoT 기반의 교통약자 배려 유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901B1 (ko) 2017-05-24 2017-08-23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IoT 기반의 교통약자 배려 유도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062A (ko) * 2020-01-31 2021-08-10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대중교통의 배려석 이용 장치와 그 방법
KR102468415B1 (ko) 2020-01-31 2022-11-18 캐논코리아 주식회사 대중교통의 배려석 이용 장치와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7817B (zh) 用于使机动车在激活的至少半自动的行驶模式中运行的方法以及用于机动车的授权装置和机动车
US9858734B2 (en) Motor vehicle having a driver identification device and driver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r
EP2930681A1 (en) Transportation boarding system using geotagging and mobile devices
US20060041513A1 (en) Authentication apparatus, electronic driver's license, and authentication system
JP2007052513A (ja) 対象装置、認証デバイスおよび認証方法
KR20170021542A (ko)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KR101996980B1 (ko)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CN105989733A (zh) 公交实时信息同步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919473B1 (ko) 교통약자 배려 유도 시스템
CN111951444A (zh) 地铁出行疫情防控方法、系统及进站闸机、服务器
KR101713294B1 (ko)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1766206B1 (ko)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76535B1 (ko)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90518B1 (ko) 광역급행버스의 좌석예약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광역급행버스의 좌석예약장치
KR200467855Y1 (ko) 버스 탑승 인원 체크 시스템
KR20190143201A (ko) 대중교통 승하차 정보 시스템
KR20140061602A (ko)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92515A (ko) 안전 벨트 착용을 통한 와이파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60166A (ko)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US1104069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KR101554570B1 (ko) 좌석을 공평하게 할당하는 대중 교통 통신 시스템 및 대중 교통 통신 시스템에서의 좌석 할당 방법
KR20180029785A (ko) 교통 요금 결제 단말기
KR102322058B1 (ko) 대중 교통수단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914174B1 (ko) 임신부를 위한 지하철 좌석 시스템
KR102197583B1 (ko) 좌석안내 시스템 및 좌석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