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909B1 - 교통수단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수단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909B1
KR101592909B1 KR1020140142030A KR20140142030A KR101592909B1 KR 101592909 B1 KR101592909 B1 KR 101592909B1 KR 1020140142030 A KR1020140142030 A KR 1020140142030A KR 20140142030 A KR20140142030 A KR 20140142030A KR 101592909 B1 KR101592909 B1 KR 101592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stination
armrest
subwa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연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교통수단 알림장치는 제 1 팔걸이편, 제 1 팔걸이편과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 2 팔걸이편, 제 2 팔걸이편을 지하철 좌석의 하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 2 팔걸이편이 지하철 바닥면을 기준으로 0 내지 90도 회전운동하도록 하는 회전부 및 제 1 팔걸이편의 내부에 수납되어있으며, 제 1 팔걸이편이 외부로 연장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통수단 알림장치{A transportation alarm device.}
본 발명은 교통수단 시설에 설치되는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절첩구조로 되어있어 용이성을 증대시키고, 표시부에 현재 정차 역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리에 앉은 채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스피커 및 진동부를 통해 알람 기능을 갖는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하철과 같은 교통수단은 서로 다른 좌석 배열구조를 가진 의자가 다수개 설치된 객실 차량을 여러 개 연결하여 운행하는 것으로, 이는 승객들이 입석 상태에서 탑승이 가능한 교통수단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의 좌석의 경우 개개인의 의자의 경계가 구분이 되어 있지 않아서 종종 불필요한 언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하철의 경우, 자동문 상부에 지하철의 노선도가 표시되고, 현재 정차역 및 지하철의 진행방향 등을 LED등을 이용하여 표시하지만, 지하철 내부가 승객으로 가득 차는 경우에는 승객이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이를 확인 할 수 없어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출퇴근 및 과도한 업무 등으로 피로감이 쌓여 있는 현대인은 지하철 좌석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눈을 붙이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안내 멘트를 놓쳐서 내려야 할 정차역에서 내리지 못하고 그냥 지나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알림장치는 개개인의 의자의 경계가 구분하여 불필요한 언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다중 절첩 구조로 되어있어 사용자 용이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또한, 알림장치의 표시부에 현재 정차 역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리에 앉은 채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그리고, 승객이 좌석에 앉은 채 잠시 졸더라도, 스피커 및 진동부를 이용한 알람 기능을 통해 승객이 미리 설정된 하차역에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교통수단 알림장치는 제 1 팔걸이편, 제 1 팔걸이편과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 2 팔걸이편, 제 2 팔걸이편을 지하철 좌석의 하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 2 팔걸이편이 지하철 바닥면을 기준으로 0 내지 90도 회전운동하도록 하는 회전부 및 제 1 팔걸이편의 내부에 수납되어있으며, 제 1 팔걸이편이 외부로 연장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팔걸이편은 스피커, 목적지 역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에 도착하거나, 목적지 전 역에서 목적지를 향해 출발한 후, 스피커에서 알림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팔걸이편은, 지하철 위치 관리 서버 및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현재 정차 역 또는 정차 예정인 역 이름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하철 좌석의 내부에 진동부가 포함되어있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에 도착하거나, 목적지 전 역에서 목적지를 향해 출발한 후에 제어부가 진동부에서 진동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알림장치를 이용한 알람 방법은 팔걸이의 입력부나 단말기를 통해 목적지가 입력되는 목적지입력단계; 지하철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팔걸이의 통신부에서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현재위치파악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전 역에서 목적지를 향해 출발하는 것을 인식하는 인식단계; 지하철이 상기 목적지를 향해 출발하는 것이 인식되면, 제어부가 진동부나 스키커를 통해 진동 또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알림장치는 개개인의 의자의 경계가 구분하여 불필요한 언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다중 절첩 구조로 되어있어 사용자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알림장치의 표시부에 현재 정차 역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리에 앉은 채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다.
그리고, 승객이 좌석에 앉은 채 잠시 졸더라도, 스피커 및 진동부를 이용한 알람 기능을 통해 승객이 미리 설정된 하차역에 내릴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알림장치가 장착된 지하철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알림장치가 접힌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알림장치의 미사용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알림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알림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하게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통수단 알림장치(100)가 장착된 지하철 의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교통수단 알림장치(100)는 제 1 팔걸이편(110); 제 1 팔걸이편(110)과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 2 팔걸이편(120); 제 2 팔걸이편(120)을 지하철 좌석의 하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 2 팔걸이편(120)이 지하철 바닥면을 기준으로 0 내지 90도 회전운동하도록 하는 회전부(150); 제 1 팔걸이편(110)의 내부에 수납되어있으며, 제 1 팔걸이편(110)이 외부로 연장가능한 연장부(130);를 포함한다.
제 1 팔걸이편(110) 및 제 2 팔걸이편(120)은 내부에 관통홀(117,121)이 존재하여, 회전축(140)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제 1, 2 팔걸이편이 서로 이루는 각이 0 내지 90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 2 팔걸이편(120) 역시 지하철 바닥면을 기준으로 0 내지 90도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알림장치(100)를 사용할 때 제 2 팔걸이편(120)이 지하철 바닥면과 90도를 형성하고 있고 제 1, 2 팔걸이편이 서로 이루는 각이 90도가 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팔길이에 따라 연장부(130)를 제 1 팔걸이편(110) 외부로 꺼내어서, 연장부(130) 상부에 팔을 얹어둘 수 있다.
사용자가 알림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 1, 2 팔걸이편이 서로 이루는 각이 0도가 되도록 하여 제 1, 2 팔걸이편을 서로 포갤 수 있다. 또한, 회전부(150)를 축으로 제 2 팔걸이편(120)이 지하철 바닥면과 이루는 각이 0도가 되도록 수평하게 위치시킴으로써, 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제 1, 2 팔걸이편(110, 120)은 형상에 제한을 받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부면이 평평한 직육면체 형태이다. 제 1, 2 팔걸이편 내부에는 지하철 위치 관리 서버 및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116)가 포함된다. 통신부(116)는 수시로 지하철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받아서, 표시부(111)에 현재 정차 역 또는 정차 예정인 역 이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111)는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팔걸이편(110)은 스피커(113), 입력부(112), 및 제어부(11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입력부(112)를 통해 목적지 지하철 역 이름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12)는 터치패드 형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기 입력된 목적지 전 역에서 목적지를 향해 출발한 후, 제어부(115)는 스피커(113)에서 알람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이 좌석에 앉은 채 잠시 졸더라도, 스피커(113)를 이용한 알람 기능을 통해 승객이 미리 설정된 하차역에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지하철 좌석의 내부에 진동부(160)가 포함되어있어,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에 도착하거나, 목적지 전 역에서 목적지를 향해 출발한 후, 제어부(115)는 진동부(160)에서 진동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진동부(160)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사람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진동부(160)는 의자의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사용자는 제 1 팔걸이편(110)의 입력부(112)를 통해 가고자 하는 지하철 역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것 외에도,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하철 역 이름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하철 역 이름을 선택하거나 입력하면, 단말기 내부의 무선통신부와 지하철 팔걸이 내부의 통신부(116)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 전 역에서 목적지 역을 향해 출발한 후, 제어부(115)는 스피커(113)에서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진동부(160)에서 진동을 발생시킨다.
제 1 팔걸이편(110)의 측면에는 USB 단자 입력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USB 단자 입력부(114)와 단말기를 USB선 등을 통해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림장치(100)는 개개인의 의자의 경계가 구분하여 불필요한 언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다중 절첩 구조로 되어있어 사용자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알림장치(100)의 표시부(111)에 현재 정차 역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리에 앉은 채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다. 또한, 승객이 좌석에 앉은 채 잠시 졸더라도, 스피커(113) 및 진동부(160)를 이용한 알람 및 진동 기능을 통해 승객이 미리 설정된 하차역에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교통수단 알림장치(100)를 이용한 알람 방법은 팔걸이의 입력부(112)나 단말기를 통해 목적지가 입력되는 목적지입력단계, 지하철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팔걸이의 통신부(116)에서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현재위치파악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전 역에서 목적지를 향해 출발하는 것을 인식하는 인식단계; 지하철이 상기 목적지를 향해 출발하는 것이 인식되면, 제어부가 진동부나 스피커를 통해 진동 또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단계;를 포함한다.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알림장치 110 : 제 1 팔걸이편
120 : 제 2 팔걸이편 130 : 연장부
140 : 회전축 150 : 회전부
160 : 진동부 111 : 표시부
112 : 입력부 113 : 스피커
114 : USB 단자 115 : 제어부
116 : 통신부 117 : 제 1 관통홀
121 : 제 2 관통홀

Claims (5)

  1. 스피커, 목적지 역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에 도착하거나, 목적지 전 역에서 목적지를 향해 출발한 후, 스피커에서 알림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팔걸이편;
    상기 제 1 팔걸이편과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 2 팔걸이편;
    상기 제 2 팔걸이편을 지하철 좌석의 하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 2 팔걸이편이 지하철 바닥면을 기준으로 0 내지 90도 회전운동하도록 하는 회전부;및
    상기 제 1 팔걸이편의 내부에 수납되어있으며, 제 1 팔걸이편이 외부로 연장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교통수단 알림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팔걸이편은,
    지하철 위치 관리 서버 및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현재 정차 역 또는 정차 예정인 역 이름이 표시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알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지하철 좌석의 내부에 진동부가 포함되어있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에 도착하거나, 목적지 전 역에서 목적지를 향해 출발한 후에 제어부가 진동부에서 진동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알림장치.
  5. 팔걸이의 입력부나 단말기를 통해 목적지가 입력되는 목적지입력단계;
    지하철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팔걸이의 통신부에서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현재위치파악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전 역에서 목적지를 향해 출발하는 것을 인식하는 인식단계;
    지하철이 상기 목적지를 향해 출발하는 것이 인식되면, 제어부가 진동부나 스피커를 통해 진동 또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수단 알림장치를 이용한 알람 방법.
KR1020140142030A 2014-10-20 2014-10-20 교통수단 알림장치 KR101592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030A KR101592909B1 (ko) 2014-10-20 2014-10-20 교통수단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030A KR101592909B1 (ko) 2014-10-20 2014-10-20 교통수단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909B1 true KR101592909B1 (ko) 2016-02-11

Family

ID=5535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030A KR101592909B1 (ko) 2014-10-20 2014-10-20 교통수단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166A (ko) * 2019-11-18 2021-05-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0414A1 (en) * 2006-02-27 2007-08-30 Pozzi Alexander N Vehicle seats and component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0414A1 (en) * 2006-02-27 2007-08-30 Pozzi Alexander N Vehicle seats and components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166A (ko) * 2019-11-18 2021-05-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KR102274878B1 (ko) 2019-11-18 2021-07-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2853B2 (ja) 車両座席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及び車両座席を調節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7599971B (zh) 针对性下车提醒方法及装置
CN105658519B (zh) 用于将载运物从无人飞行器下降至地面的机构
US20180048178A1 (en) System and methods of using electromagnetic waves to wirelessly deliver power to electronic devices
US7477153B2 (en) System for wireless mobile seating platform
KR101787029B1 (ko) 전동책상 제어 시스템
EP3124702B1 (en) Stanchion capable of providing prompted information
US10717378B2 (en) Headrest for a vehicle seat
US11689886B2 (en) Passenger location platform
EP2879271A1 (en) In-vehicle charging device, automobile and charging system
US20190307633A1 (en) Motion-liberating smart walking stick
KR101592909B1 (ko) 교통수단 알림장치
JP3194304U (ja) リマインダー機能を有する椅子
JP2017144082A (ja) 電動ベッド制御システム
US2018031539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KR101442641B1 (ko) 차량용 좌석 및 미러 조정 장치 및 방법
CN113272199B (zh) 乘客友好型高架休息舱构造
US20180111533A1 (en) Food Tray System
US20200113776A1 (en) Security system and massage machine including security system
US20220408937A1 (en) Powered chairs for public venues, assemblies for use in powered chairs, and components for use in assemblies for use in powered chairs
USD872491S1 (en) Seating
KR20170069423A (ko)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JP2013149205A (ja) 電子機器
KR102026432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
CN106347673A (zh) 前扣式电话绳线漏斗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