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423A -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 Google Patents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423A
KR20170069423A KR1020150176589A KR20150176589A KR20170069423A KR 20170069423 A KR20170069423 A KR 20170069423A KR 1020150176589 A KR1020150176589 A KR 1020150176589A KR 20150176589 A KR20150176589 A KR 20150176589A KR 20170069423 A KR20170069423 A KR 20170069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at
backrest
wheelchair
acceler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근
문은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5017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9423A/ko
Publication of KR2017006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낙상경보기능 휠체어가 제공된다. 상기 낙상경보기능 휠체어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상기 시트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탱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을 지탱하는 머리받이, 상기 등받이의 양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탱하는 팔걸이, 상기 머리받이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시트에 내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 및 상기 팔걸이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WHEEL CHAIR HAVING FALL ALARMING FUNCTION}
본 발명은 낙상경보기능을 갖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질병이나 사고로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장애인을 이송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인 동시에 최근에는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보행보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휠체어 사용중 넘어지거나, 휠체어가 전복되는 등과 같은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대처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특히 야간이나 인적이 드문 곳에서는 휠체어 운행 중에 낙상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체어 사용자의 낙상사고를 감지할 수 있고, 낙상사고 발생 시에 경보를 전송할 수 있는 낙상경보기능 휠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상경보기능 휠체어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상기 시트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탱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을 지탱하는 머리받이, 상기 등받이의 양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탱하는 팔걸이, 상기 머리받이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시트에 내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 및 상기 팔걸이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 및 상기 하중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낙상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전송하는 경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가속도센서 및 상기 하중센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경보부는 상기 경보를 관리기관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낙상경보기능 휠체어는 사용자의 낙상사고를 감지할 수 있다. 낙상사고가 발생하면 관리기관에 경보를 알림으로써 낙상사고가 언제, 어디에서 발생하였는지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낙상사고에 의한 추가 피해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경보기능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경보기능 휠체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경보기능 휠체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경보기능 휠체어의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인 '사용자'는 낙상경보기능 휠체어를 탑승하는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시각장애인이나 거동이 불편하여 자신의 신체를 스스로 제어하지 못하여, 낙상사고가 발생했을 때 주변인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경보기능 휠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경보기능 휠체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낙상경보기능 휠체어(100)는 머리받이(130), 등받이(120), 시트(110), 팔걸이(140), 가속도센서(160), 하중센서(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시트(11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 등 하체를 지지할 수 있다.
등받이(120)는 시트(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등받이(120)는 시트(110)에 임의의 각도를 갖는 기울기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등받이(120)와 시트(1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120)는 사용자의 등이 닿는 부분으로서 시트(11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탱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머리받이(130)는 등받이(12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머리받이(130)와 등받이(120)는 프레임(1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150)은 머리받이(130)의 하단부와 등받이(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머리받이(130)와 등받이(1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는 머리받이(130)와 등받이(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받이(13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 뒷부분이 닿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을 지탱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시트(110), 등받이(120) 및 머리받이(130)는 사용자의 착석감을 위하여 내부에 스폰지와 같은 쿠션재가 내장될 수 있다.
팔걸이(140)는 사용자의 팔을 얹을 수 있다. 팔걸이(140)는 등받이(12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팔걸이(140)는 등받이(120)에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어두거나 펼칠 수 있다.
가속도센서(160)는 머리받이(130)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160)는 머리받이(130)의 외부에 부착되거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가속도센서(160)는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센서로,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측정결과의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속도센서(160)를 상기 휠체어의 최상단부인 머리받이(130)에 설치함으로써 가속도센서(160)가 측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가속도센서(160)는 관성식 가속도센서, 자이로식 가속도센서 및 실리콘반도체식 가속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가속도센서(160)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16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가속도센서(160)의 동작을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중센서(170)는 힘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로 사용자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하중센서는 시트(110)에 내장될 수 있다. 그러나, 하중센서(170)가 내장되는 위치는 시트(110)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거나,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하중센서(170)를 시트(110)의 상부면에 내장함으로써 하중센서(170)가 측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시트(110)의 상부면은 사용자가 시트(110)에 착석하였을 때 가장 가까운 위치로써 사용자의 하중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하중센서(170)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센서(170)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하중센서(170)의 동작을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팔걸이(14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팔걸이(140)의 외부에 부착되거나 내부에 내장될 수 있고, 이때 제어부(180)는 팔걸이(140)의 좌우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신부(181), 판단부(182) 및 경보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1), 판단부(182) 및 경보부(183)에 관해서는 도 4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경보기능 휠체어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경보기능 휠체어는 가속도센서(160), 하중센서(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통신부(181), 판단부(182) 및 경보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160)는 휠체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낙상하는 경우 그 낙상 속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휠체어의 동작에 대한 가속도도 매우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가속도센서(160)에서 측정된 값은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가속도센서(160)는 통신부와 연결될 수 있다. 가속도센서(160)에서 측정된 값은 통신부(181)를 통하여 판단부(182)로 전송될 수 있다.
하중센서(170)는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하중센서(170)를 시트(110)에 내장한 경우,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무게가 하중센서(170)로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낙상하는 경우 하중센서(170)에는 사용자의 무게가 감지되지 않거나, 측정된 값의 변화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하중센서(170)에서 측정된 값은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하중센서(170)는 통신부와 연결될 수 있다. 하중센서(170)에서 측정된 값은 통신부(181)를 통하여 판단부(182)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신부(181), 판단부(182) 및 경보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1)는 가속도센서(160) 및 하중센서(170)로부터 측정된 값을 수신하고, 가속도센서(160) 및 하중센서(170)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중 하나일 수 있다.
판단부(182)는 가속도센서(160) 및 하중센서(170)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82)는 가속도센서(160)에서 측정된 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휠체어가 쓰러지는 임계점에서 가속도센서(160)로 측정한 값으로 지정될 수 있다.
판단부(182)는 하중센서(170)에서 측정된 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한 값으로 지정될 수 있다.
경보부(183)는 판단부(182)와 연결될 수 있다. 경보부(183)는 판단부(182)로부터 판단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다. 판단부(182)에서 사용자가 낙상한 것으로 판단하면, 경보부(183)는 경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경보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등의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보부(183)는 GPS 등을 이용하여 낙상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경보는 낙상사고가 발생한 위치와 시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부(183)는 상기 경보를 관리기관(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기관(200)은 사전에 지정될 수 있으며 보호자, 119구조대, 담당병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보부(183)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경보를 관리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110 : 시트
120 : 등받이 120 : 머리받이
140 : 팔걸이 150 : 프레임
160 : 가속도센서 170 : 하중센서
180 : 제어부 181 : 통신부
182 : 판단부 183 : 경보부
200 : 관리기관

Claims (4)

  1.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상기 시트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탱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을 지탱하는 머리받이; 및
    상기 등받이의 양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탱하는 팔걸이;
    상기 머리받이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시트에 내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 및
    상기 팔걸이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 및 상기 하중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낙상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전송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가속도센서 및 상기 하중센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상기 경보를 관리기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KR1020150176589A 2015-12-11 2015-12-11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KR20170069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589A KR20170069423A (ko) 2015-12-11 2015-12-11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589A KR20170069423A (ko) 2015-12-11 2015-12-11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423A true KR20170069423A (ko) 2017-06-21

Family

ID=5928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589A KR20170069423A (ko) 2015-12-11 2015-12-11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942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022B1 (ko) * 2019-01-24 2019-12-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낙상사고 대응 시스템
KR102308336B1 (ko) * 2021-02-15 2021-10-01 신성일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이동식 좌식 샤워 시스템
KR20230039327A (ko) * 2021-09-14 2023-03-21 (주) 경성테크놀러지 전동이동보조기기 운행 보조 시스템
KR20240044836A (ko) * 2022-09-29 2024-04-05 이재완 거동 불편자를 위한 목욕용 휠체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022B1 (ko) * 2019-01-24 2019-12-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낙상사고 대응 시스템
KR102308336B1 (ko) * 2021-02-15 2021-10-01 신성일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이동식 좌식 샤워 시스템
KR20230039327A (ko) * 2021-09-14 2023-03-21 (주) 경성테크놀러지 전동이동보조기기 운행 보조 시스템
KR20240044836A (ko) * 2022-09-29 2024-04-05 이재완 거동 불편자를 위한 목욕용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9423A (ko)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US9468399B2 (en) Detection of changes from a seated or lying body position by sensing body angle
US8773256B2 (en) Fall prevention system having a sensor for determining an indication of the risk of a fall
US20140123374A1 (en) Fall-protection system and method
EP1318043A3 (en) Occupant detecting device
KR20180051280A (ko)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
US20170215769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posture of the anatomy of a person
KR20150085726A (ko) 전동 보행 보조 장치
WO2019035337A1 (ja) 生体センサーの配置構造
JP2002328134A (ja) 姿勢状態及び方位の検出装置
JP4565234B2 (ja) 人の動作および姿勢の監視方法
TW202008975A (zh) 具有提示功能的壓力感測墊及壓力感測墊的提示方法
KR102246649B1 (ko)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KR20190080657A (ko) 휠체어 활동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4096B1 (ko) 의료용 스마트 휠체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62393B1 (ko) 욕창방지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US20200349822A1 (en) Fall detection using the triboelectric effect
KR101694900B1 (ko) 보행 재활운동을 보조하는 스마트 전동 휠체어
KR101729391B1 (ko) 힙 보정용 방석
KR101595705B1 (ko) 운전자용 자세교정 회전 쿠션
JP2000313271A (ja) 乗員検出装置
KR102358440B1 (ko)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JP5525648B1 (ja) 認知症専用じりつ歩行補助具
KR20200017894A (ko) 척추 맞춤형 의자
JP2002126007A (ja) 車椅子からの転落・離席を感知し介護者に知らせる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