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440B1 -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440B1
KR102358440B1 KR1020200187535A KR20200187535A KR102358440B1 KR 102358440 B1 KR102358440 B1 KR 102358440B1 KR 1020200187535 A KR1020200187535 A KR 1020200187535A KR 20200187535 A KR20200187535 A KR 20200187535A KR 102358440 B1 KR102358440 B1 KR 102358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bility
user
sensor unit
road surface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440B9 (ko
Inventor
홍순기
Original Assignee
(주) 경성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경성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 경성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0018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440B1/ko
Publication of KR10235844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44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1Motor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sychiatry (AREA)
  • Multimedia (AREA)
  • Psyc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타고 노면을 주행하는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 등에 의해 낙상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발생을 신속하게 외부에 알려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로 축적하고, 모니터링되는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는 노면의 유지 및 보수를 포함한 도로환경개선을 위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과 운행자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하고 있을 경우, 욕창 등의 질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경로와 방문하는 지역에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건물의 현황,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충전장소를 포함한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움직임,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포함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동적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센서(12), 전동이동보조기기의 기울기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14)를 포함하는 관성측정센서부(10),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착석상태의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탑승여부 또는 낙상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좌석 또는 방석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부(20),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주행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한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에 따른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 낙상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구비되는 위치정보센서부(40), 및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는 카메라부(50)를 포함하고, 관성측정센서부(10), 압력센서부(20),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 위치정보센서부(40), 카메라부(50)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연산을 수행하고, 무선통신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구비되는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 및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관성측정센서부(10)와 압력센서부(20)에서 전송한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여부와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하는 전복낙상판단기능,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노면을 주행할 때,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관성측정센서부(10)에서 측정한 진동의 크기, 진동의 지속시간, 진동패턴, 노면의 경사도와 카메라부(50)에서 촬영한 노면의 영상신호를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분석하여 노면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노면상태판단기능을 포함하는 클라우드서버(200)를 포함하는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IoT-based device operation system for the traffic-poor using electric mobility aids}
본 발명은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타고 노면을 주행하는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 등에 의해 낙상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발생을 신속하게 외부에 알려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로 축적하고, 모니터링되는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는 노면의 유지 및 보수를 포함한 도로환경개선을 위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과 운행자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하고 있을 경우, 욕창 등의 질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경로와 방문하는 지역에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건물의 현황,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충전장소를 포함한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동이동보조기기는 질병이나 사고로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장애인을 이송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인 동시에 최근에는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도 이동의 편리성을 제공해 주는 대표적인 보행 보조수단이다.
또한, 향후에도 계속 늘어나는 장애인구,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 OECD 국가 가운데 상대적으로 높은 교통사고율을 보이고 있는 우리사회의 특성상 전동이동보조기기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소비자 위해감시시스템(CISS)에 나타난 전동이동보조기기 관련 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소비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중 넘어지거나,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전복되어 뇌진탕을 입는 등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타고 외출할 때 가장 불편한 점은 도로와 노면의 상태가 고르지 못하여 주행에 불편을 겪는 경우가 가장 많고, 전동이동보조기기 고장시 신속한 도움을 받지 못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전동이동보조기기 낙상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나 실제의 대처방안은 사고 당사자의 신고, 스스로 극복, 사고 목격자의 보조와 신고 등의 수동적인 상황에 그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사회적 현안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으로 구성된 통합 시스템이나 인프라는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전동이동보조기기 이용자 안전사고 신속대응이 가능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 이용자의 생활환경과 편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축적된 노면 상태에 관한 데이트를 활용하여 도로환경개선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 KR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7161호(2016.05.0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타고 노면을 주행하는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 등에 의해 낙상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발생을 신속하게 외부에 알려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로 축적하고, 모니터링되는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는 노면의 유지 및 보수를 포함한 도로환경개선을 위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과 운행자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하고 있을 경우, 욕창 등의 질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경로와 방문하는 지역에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건물의 현황,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충전장소를 포함한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움직임,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포함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동적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센서(12), 전동이동보조기기의 기울기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14)를 포함하는 관성측정센서부(10),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착석상태의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탑승여부 또는 낙상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좌석 또는 방석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부(20),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주행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한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에 따른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 낙상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구비되는 위치정보센서부(40), 및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는 카메라부(50)를 포함하고, 관성측정센서부(10), 압력센서부(20),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 위치정보센서부(40), 카메라부(50)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연산을 수행하고, 무선통신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구비되는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 및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관성측정센서부(10)와 압력센서부(20)에서 전송한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여부와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하는 전복낙상판단기능,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노면을 주행할 때,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관성측정센서부(10)에서 측정한 진동의 크기, 진동의 지속시간, 진동패턴, 노면의 경사도와 카메라부(50)에서 촬영한 노면의 영상신호를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분석하여 노면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노면상태판단기능을 포함하는 클라우드서버(200)를 포함한다.
또한, 클라우드서버(200)는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압력센서부(20)와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로부터 사용자의 착석상태와 주행거리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과 운행자세를 분석하여 판단하는 주행패턴자세판단기능, 및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위치정보센서부(40)로부터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받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경로와 방문하는 지역에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건물의 현황,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충전장소를 포함한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편의제공기능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서버(200)는 낙상전복판단기능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탑승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전복되거나, 탑승한 사용자가 낙상하여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라고 판단하면, 전복 또는 낙상사고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 알림전송하는 기능, 및 노면상태판단기능에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판단한 결과 이상 노면지역으로 판단될 경우, 이상 노면지역임을 외부로 알림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이동보조기기 낙상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여 2차 사고로 인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노면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과 운행자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하고 있을 경우, 욕창 등의 질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경로와 방문하는 지역에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건물의 현황,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충전장소를 포함한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의 계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의 계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가속도센서(12), 자이로센서(14)를 포함하는 관성측정센서부(10), 압력센서부(20),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 위치정보센서부(40), 카메라부(50)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 클라우드서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은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타고 노면을 주행하는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 등에 의해 낙상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발생을 신속하게 외부에 알려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로 축적하고, 모니터링되는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는 노면의 유지 및 보수를 포함한 도로환경개선을 위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과 운행자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하고 있을 경우, 욕창 등의 질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경로와 방문하는 지역에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건물의 현황,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충전장소를 포함한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형태로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다양한 종류의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아래에 서술된 관성측정센서부(10), 압력센서부(20),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 위치정보센서부(40), 카메라부(50)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연산을 수행하고, 무선통신 통해 아래에 서술된 클라우드서버(200)를 포함한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속도센서(12)와 자이로센서(14)를 포함하는 관성측정센서부(10), 압력센서부(20), 위치정보센서부(40), 카메라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성측정센서부(10)에 포함된 가속도센서(12)는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움직임,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가해지는 흔들림이나 진동 및 충격을 포함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동적 자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자이로센서(14)는 전동이동보조기기의 각속도,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기울기 상태를 포함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기울기 자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가속도센서(12)와 자이로센서(14)는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한 채 노면을 주행할 때 노면의 침하여부, 노면의 경사 정도를 포함하여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압력센서부(2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착석상태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탑승여부 또는 낙상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좌석 또는 방석에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탑승하는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주행거리를 측정하기 하기 위해 구비되며, 클라우드서버(200)의 주행패턴자세판단기능에서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위치정보센서부(4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GPS를 포함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한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 전복에 따른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 낙상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게 된다.
카메라부(5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며, 카메라부(50)에서 획득한 영상은 아래에 서술된 클라우드서버(200)로 전송되어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상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된다.
클라우드서버(2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구비된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가공처리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앱을 포함한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클라우드서버(200)의 전복낙상판단기능은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관성측정센서부(10)와 압력센서부(20)에서 전송한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여부와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한다.
클라우드서버(200)의 노면상태판단기능은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노면을 주행할 때,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관성측정센서부(10)에서 측정한 진동의 크기, 진동의 지속시간, 진동패턴, 노면의 경사도와 카메라부(50)에서 촬영한 노면의 영상신호를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분석하여 노면의 이상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하반신 마비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하반신에 감각이 없어 욕창 등의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사용자의 욕창방지를 위해 전동이동보조기기 탑승시간 또는 사용자의 탑승자세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욕창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대한 기능을 아래에 서술된 클라우드서버(200)의 주행패턴자세판단기능에서 수행하게 된다.
클라우드서버(200)의 주행패턴자세판단기능은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압력센서부(20)와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로부터 사용자의 착석상태와 주행거리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과 운행자세를 분석하여 판단한다.
클라우드서버(200)의 주행패턴자세판단기능은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압력센서부(20)와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에서 전송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사용하고 있는 시간을 측정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에 착석하고 있는 자세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서버(200)에서는 미리 전동이동보조기기 연속탑승 시간을 설정하여 저장한다.
만약,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 또는 압력센서부(20)에서 전송된 신호 중 특정 부위에 압력이 지나치게 오래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클라우드서버(200)의 주행패턴자세판단기능에서 위험 운전자세로 판단하고, 욕창방지메시지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0)으로 전송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장시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클라우드서버(200)의 편의제공기능은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위치정보센서부(40)로부터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받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경로와 방문하는 지역에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건물의 현황,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충전장소를 포함한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클라우드서버(200)에는 낙상전복판단기능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탑승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전복되거나, 탑승한 사용자가 낙상하여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라고 판단하면, 전복 또는 낙상사고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 알림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또한, 클라우드서버(200)에는 노면상태판단기능에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판단한 결과 이상 노면지역으로 판될 경우, 이상 노면지역임을 외부로 알림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한편, 전동이동보조기기는 사용자의 체중을 직접 받으면서 노면이나 도로의 턱, 패인 곳, 경사로 등을 주행하기 때문에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잦은 고장이 발생한다.
만일,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주행할 때, 전동이동보조기기의 고장에 의해 전동이동보조기기가 구동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0)을 통해 전동이동보조기기의 고장상태를 클라우드서버(200)로 전송하면, 클라우드서버(200)는 외부로 알림 전송하여 도움을 요청하게 된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타고 주행하던 중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0)을 통해 클라우드서버(200)로 낙상사고를 발생사실을 전송한다. 이때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위치정보센서부(40)에서 획득한 사고발생 지점에 관한 위치정보도 함께 클라우드서버(200)로 전송된다.
사용자의 낙상사고 발생과 위치정보를 수신한 클라우드서버(200)에서는 외부에 위치한 구조기관단말기(900)로 낙상사고를 전송하고, 구조기관단말기(900)에서는 구조자를 사고지역으로 파견하여 낙상사고를 당한 사용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조자가 낙상사고가 발생한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를 구조한 경우, 사용자는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0)을 통해 사고처리 완료상황을 클라우드서버(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구조기관단말기(900)는 119긴급구조센터, 구청, 경찰서를 포함한 지자체 관할 구조기관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클라우드서버(200)에서 전송된 낙상사고정보를 수신하여 낙상사고 위치로 구조자를 보내어 긴급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클라우드서버(200)에는 화강석블록, 시멘트블록, 아스팔트, 고무, 점토블록을 포함하여 노면의 마감재료에 따라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할 때 발생하는 노면의 정상상태 진동신호와 정상상태 노면의 기울기 신호에 대한 정보가 각각 미리 저장된다.
클라우드서버(200)에 저장되는 정상상태의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는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관성측정센서부(10)와 카메라부(50)를 통해 획득되거나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카메라가 포한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는 인공지능에 의한 머신러닝을 진행한 후 이상노면 상태를 예측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마감재료를 달리하는 노면을 주행할 때,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관성측정센서부(10)와 카메라부(50)를 통해 획득한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클라우드서버(20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서버(200)에서는 노면상태판단기능을 통해 전송된 노면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노면의 마감재료에 따라 미리 저장된 정상상태 진동신호보다 크거나, 노면의 기울기 변화가 클 경우, 이상 노면상태로 판단한다.
이후, 해당 위치의 노면을 유지보수하기 위해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위치정보센서부(40)에서 해당 위치를 지자체관리자웹(6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관성측정센서부 12 - 가속도센서
14 - 자이로센서 20 - 압력센서부
30 - 주행거리측정센서부 40 - 위치정보센서부
50 - 카메라부 100 -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
200 - 클라우드서버

Claims (3)

  1.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움직임,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포함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동적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센서(12), 전동이동보조기기의 기울기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14)를 포함하는 관성측정센서부(10),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착석상태의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탑승여부 또는 낙상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좌석 또는 방석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부(20),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주행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한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에 따른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 낙상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구비되는 위치정보센서부(40), 및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는 카메라부(50)
    를 포함하고,
    관성측정센서부(10), 압력센서부(20),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 위치정보센서부(40), 카메라부(50)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연산을 수행하고, 무선통신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구비되는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 및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관성측정센서부(10)와 압력센서부(20)에서 전송한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여부와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하는 전복낙상판단기능,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노면을 주행할 때,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관성측정센서부(10)에서 측정한 진동의 크기, 진동의 지속시간, 진동패턴, 노면의 경사도와 카메라부(50)에서 촬영한 노면의 영상신호를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분석하여 노면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노면상태판단기능,
    을 포함하는 클라우드서버(200)
    를 포함하고,
    클라우드서버(200)는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압력센서부(20)와 주행거리측정센서부(30)로부터 사용자의 착석상태와 주행거리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과 운행자세를 분석하여 판단하는 주행패턴자세판단기능, 및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0)의 위치정보센서부(40)로부터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받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경로와 방문하는 지역에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건물의 현황,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충전장소를 포함한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편의제공기능
    을 포함하는,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클라우드서버(200)는 낙상전복판단기능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탑승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전복되거나, 탑승한 사용자가 낙상하여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라고 판단하면, 전복 또는 낙상사고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 알림전송하는 기능, 및
    노면상태판단기능에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판단한 결과 이상 노면지역으로 판단될 경우, 이상 노면지역임을 외부로 알림전송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KR1020200187535A 2020-12-30 2020-12-30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KR102358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535A KR102358440B1 (ko) 2020-12-30 2020-12-30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535A KR102358440B1 (ko) 2020-12-30 2020-12-30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440B1 true KR102358440B1 (ko) 2022-02-09
KR102358440B9 KR102358440B9 (ko) 2022-09-30

Family

ID=8026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535A KR102358440B1 (ko) 2020-12-30 2020-12-30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4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981A (ko) *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트리즈엔지니어링 자전거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56022B1 (ko) * 2019-01-24 2019-12-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낙상사고 대응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981A (ko) *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트리즈엔지니어링 자전거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56022B1 (ko) * 2019-01-24 2019-12-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낙상사고 대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440B9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022B1 (ko) 휠체어 낙상사고 대응 시스템
JP4313808B2 (ja) 車両用監視システム、データ記録装置及び車両用監視装置
KR101499508B1 (ko)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461306B1 (ko) 신체에 걸리는 방식으로 착용되는 낙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낙상 사고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낙상 사고 관리 방법
KR20100000317A (ko)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1001529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assenger and vehicle safety
US10803721B2 (en) Method for supporting a user and user device
JP2008181498A (ja) 監視装置、監視プログラム及び監視方法
GB2544297A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ehicle crash data
EP2273469A1 (en) Method for assessment, transfer and presentation human injury data after a vehicle accident
JP3868694B2 (ja) 車両用監視システム、データ記録装置及び車両用監視装置
JP2004078393A (ja) 交通事故緊急対応システムおよび交通事故緊急対応プログラム
JP6621201B2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JP4436814B2 (ja) 通信装置およびサーバ
KR102358440B1 (ko)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KR101569068B1 (ko) 단체버스의 안전운행 원격모니터링 관리방법 및 장치
KR102395094B1 (ko)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67940B1 (ko)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회안전망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006095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542337B1 (ko) 전동이동보조기기 운행 보조 시스템
JP6876907B2 (ja) 特定行動検出装置、特定行動検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69423A (ko)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KR102442775B1 (ko) 교통약자전용 지도 생성 및 맞춤형 길안내 시스템
KR20230101118A (ko) 노면 이상 구간 판단 및 교통약자 전용 지도 생성을 통한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102117A (ko) 증강현실 테마길 추천기능이 포함된 전동이동보조기기 이용자 중심의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