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508B1 -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508B1
KR101499508B1 KR1020130020687A KR20130020687A KR101499508B1 KR 101499508 B1 KR101499508 B1 KR 101499508B1 KR 1020130020687 A KR1020130020687 A KR 1020130020687A KR 20130020687 A KR20130020687 A KR 20130020687A KR 101499508 B1 KR101499508 B1 KR 10149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information
driv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303A (ko
Inventor
상 운 이
Original Assignee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50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사고의 유형을 감지하고 그 사고 유형에 따라 가능한 사고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촬영 영상뿐만 아니라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 노면 상태를 알 수 있는 정보, 또는 운전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저장하여 사고 원인을 좀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고 유형에 따라 그 사고를 가장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에게 사고 유형을 통보하여 긴급한 사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고 유형에 따라 제어 가능한 차량 기능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사고 발생 상황을 주변에 공지함으로써 2차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영상기록 장치에 저장된 정보들을 자동으로 백업하여 차량의 화재나 파손 또는 도난에 의해 소실되거나 분실되는 것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AN IMAGE RECORDING SYSTEM FOR A VEHICLE FOR PERFORMING ACCIDENT STYLE DETECTION AND SETTLEMEN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사고의 유형을 감지하고 그 사고 유형에 따라 가능한 사고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블랙박스(Black Box)는 항공기의 상태(고도, 항로, 속도, 엔진 상황 등) 및 교신 내용을 기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차량용 블랙박스가 개발되어 차량의 전방이나 측방 또는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함으로써, 교통사고 발생 시 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을 분석하여 사고의 원인과 책임 소재를 가리는 증거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또는 영상기록 장치)는 사고가 발생하는 순간의 차량 주변 영상(특히 전방 영상)만 촬영하기 때문에 충돌 사고에 대해서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분이 용이하지만, 그 밖의 다른 사고(예 : 급발진과 같은 차량 고장에 의한 사고, 웅덩이나 미끄러짐과 같은 노면 상태 불량에 의한 사고, 운전자의 건강 이상에 의한 사고 등)에 대한 원인 분석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고 발생 시 운전자의 정신적인 충격이나 신체적인 상해로 사고 처리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경우 긴급한 사고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 사고 유형에 따라 보호자, 인접차량, 경찰서, 보험사, 소방서, 차량 제조사에서 운영하는 AS 업체 또는 견인업체에 자동으로 상황을 통보하고 적절한 사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사고 발생 시 차량의 기계적인 결함에 의해 주행이 불가능한 상황이 되었을 경우에 2차적인 사고가 발생하지 않기 위한 신속한 사고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영상기록 장치에 저장된 사고에 관련된 정보(예 : 촬영 영상, 차량의 동작 정보, 운전자의 상태 정보 등)가 차량 화재에 의해 소실되거나 파손되거나 또는 도난에 의한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의 백업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사고의 유형을 감지하고 그 사고 유형에 따라 가능한 사고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영상뿐만 아니라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 노면 상태를 알 수 있는 정보, 또는 운전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저장하여 사고 원인을 좀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 유형에 따라 그 사고를 가장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에게 사고 유형을 통보하여 긴급한 사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 유형에 따라 제어 가능한 차량 기능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사고 발생 상황을 주변에 공지함으로써 2차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영상기록 장치에 저장된 정보들이 차량의 화재나 파손 또는 도난에 의해 소실되거나 분실되는 것에 대비할 수 있도록 상기 정보들을 자동으로 백업할 수 있는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는 차량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운전자 상태 검출부;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차량의 사고 발생 시,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차량 상태 정보들을 이용하여 그 사고의 유형과 사고의 경중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고 처리를 위한 조치 및 상기 차량과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를 자가적으로 수행하는 안전 조치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조치 처리부는, 미리 설정된 대상에게 사고 발생을 통보하거나, 차량 주변에 비상 상황임을 알리고 또한 차량과 운전자의 안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차량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차량 기능은 차량의 비상등 점멸, 헤드라이트를 온/오프, 특정 사운드와 패턴을 갖는 경적 출력, 특정 주파수를 이용한 재난/사고상황 통보, 히터나 쿨러의 작동, 윈도우 작동, 와이퍼 작동, 소화기 작동, 또는 그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정 대상들에게 상기 사고의 유형이나 사고의 경중 및 운전자나 차량의 상태를 통보하는 사고 유형 통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고 유형 통보부는, 사고의 유형에 따라 그 사고를 가장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에게 사고 유형을 통보하며, 그 통보 대상에 따라 통보되는 내용에 포함되는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며, 또한 상기 통보 내용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음성이나 메시지 형태 또는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메신저를 이용하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며, 이동 통신망이나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전화번호를 부여받아 직접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거나 혹은 기 등록된 운전자의 전화번호에 연동되는 데이터 셰어링 서비스를 통해서 직접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거나, 또는 미리 등록된 운전자의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이나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여 미리 지정된 특정 대상에게 사고 발생 및 사고 유형 정보를 통보하며, 상기 운전자 상태 검출부는, 운전자의 맥박, 체온, 표정, 자세, 또는 음성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센서는 그 모양이나 용도에 따라 운전자의 소지품에 부착하거나, 차량의 핸들, 안전벨트, 룸미러, 또는 유리창을 포함하는 차량 내 임의의 장치에 부착하고,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는, 화재 감지 센서, 충격 감지 센서, 자이로 센서, 스피드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를 통해 전송되는 센싱 정보들을 검출하며, 상기 센싱 정보들은 자세, 기울기, 엔진 회전수, 엔진 온도, 브레이크 입력, 가속 입력, 핸들 조작 각도, 또는 그들의 조합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검출하며, 차량 충돌 사고 발생 시 차량의 최종 속도나 가속도 및 충돌이 발생하기 전까지 차량이 이동한 거리와 시간을 이용하여 충돌 시의 충격량을 검출하여 차량의 손상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충격량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영상기록 장치에 인터페이스 된 카메라, 차량에 장착된 내비게이션에 부착된 카메라,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각종 센서와 차량 제어부에서 전송받은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일부 또는 전체 정보를 네트워크의 서버나 클라우드 저장부, 이동 통신망의 모바일 폰,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또는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주기적으로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고 유형이나 사고의 경중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대상들에게 해당하는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1차 전송을 수행하고, 배터리 잔량을 고려하여 그 다음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들에게 해당하는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2차 전송 및 3차 전송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제1 단계;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차량의 사고 발생 시,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차량 상태 정보들을 이용하여 그 사고의 유형과 사고의 경중을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고의 유형과 경중에 따라 사고 처리를 위한 조치 및 상기 차량과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를 자가적으로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미리 설정된 대상에게 사고 발생과 사고 유형을 통보하거나, 혹은 차량 주변에 비상 상황임을 알리고 또한 차량과 운전자의 안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차량 기능을 제어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사고 유형이나 사고의 경중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대상들에게 해당하는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1차 전송을 수행하고, 배터리 잔량을 고려하여 그 다음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들에게 해당하는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2차 전송 및 3차 전송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사고의 유형에 따라 그 사고를 가장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에게 사고 유형을 통보하며, 그 통보 대상에 따라 통보할 내용에 포함되는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며, 또한 상기 통보 내용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음성이나 메시지 형태 또는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메신저를 이용하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사고의 유형을 감지하고 사고 유형에 따라 가능한 사고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촬영 영상뿐만 아니라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 노면 상태를 알 수 있는 정보, 또는 운전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저장하여 사고 원인을 좀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고 유형에 따라 그 사고를 가장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에게 사고 유형을 통보하여 긴급한 사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고 유형에 따라 제어 가능한 차량 기능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사고 발생 상황을 주변에 공지함으로써 2차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영상기록 장치에 저장된 정보들을 자동으로 백업하여 차량의 화재나 파손 또는 도난에 의해 소실되거나 분실되는 것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의 사고 조치 및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사고 처리 과정 중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정보의 종류와 그 정보들의 전송 순서를 예시적으로 구분하여 보인 테이블.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 사고 발생 시 그 조치와 처리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에서 사고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들을 예시적으로 정리하여 보인 테이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기록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10), 안전조치 처리부(220), 사고 유형 통보부(230), 운전자 상태 검출부(240), 차량 상태 검출부(250), 충격량 검출부(260), 영상 및 정보 저장부(270), 제어부(280), 또는 그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에 인터페이스된 구성수단(110 ~ 140)이나 차량 제어부(150)와 통신하여 영상 및 그 영상의 저장에 관련된 정보들(예 : 위치, 속도, 전원, 충격, 원격 제어신호 등)을 선택적으로 송수신한다. 아울러 상기 정보에는 차량 탑승자의 혈액형이나 개인 의료 기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희귀 혈액형 보유자나 희귀질환을 앓고 있는 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를 위급한 정보로 인식하고 우선순위가 높게 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구성수단(110 ~ 140)이나 차량 제어부(150)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인터페이스 된다. 상기 무선 방식은 근거리 무선 방식이나 원거리 무선 방식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근거리 무선 방식은 적어도 블루투스, NFC, 또는 적외선 통신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원거리 무선 방식은 3G, 4G(LTE), 와이파이(WiFi), 또는 와이브로(Wibro)와 같은 이동 통신 방식이나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달 거리와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통신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카메라(110)는 디지털 카메라의 하나로서, 예컨대 임의의 전하 결합 소자(CCD 또는 CMOS)를 사용하여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데이터 형식으로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로 구성된 영상 및 정보 저장부(270)에 저장한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가 다채널 방식인 경우, 상기 카메라(110)는 전방, 후방 및 측방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10)는 줌(예 : 광학줌)이 가능하며, 조양 수단을 구비하여 소정 각도 이내에서 주시방향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자기 차량의 일 측 방향에서 다른 차량이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경우, 소정 각도 이내에서 카메라(110)의 주시방향을 조정하여, 상기 차량이나 물체를 추적함으로써 사각지역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줌 조정이나 주시방향 조정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280)에서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영상기록 장치에 구비된 조정 버튼이나 메뉴(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매뉴얼 방식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또는 영상기록 장치와 내비게이션(140)을 인터페이스하여 그 내비게이션(14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서 상기 영상기록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상기 영상기록 장치의 제어를 위한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10)는 영상기록 장치(200) 전용이거나, 내비게이션(140)에 부착된 카메라(미도시), 또는 차량에 부착되어 주차나 후진 시 후방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후방 카메라(미도시)를 인터페이스 하여 그 카메라들(예 : 내비게이션 카메라, 후방 카메라 등)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영상기록 장치(200)는 차량의 전후방이나 측방 등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 대한 검출 상태(예를 들어, 전방에 어떤 물체가 감지될 경우 그 근접 정도에 따라 운전자 등 사용자에게 이를 직관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한 것)를 그래픽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GPS 수신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에 일체형으로 부착되거나, 차량, 또는 그 차량의 내비게이션(140)에 부착된 GPS 수신부 일 수 있다. 상기 GPS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즉, 영상기록 장치가 부착된 차량)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의 이동 속도나 주행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이동 통신망(예 : 3G, 4G 등)이나 데이터 통신망(예 : WiFi, Wibro, NFC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영상기록 장치에 일체형으로 부착되거나 분리형으로 인터페이스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130)는 이동 통신망의 접속을 위하여 전화번호를 부여받거나, 기 등록된 운전자의 전화번호에 연동하여 데이터 셰어링 서비스에 가입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위급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긴급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경찰서, 소방서(예: 119) 등에 긴급통화를 연결할 수도 있으며, 그 통화 내용은 영상기록 장치에 자동으로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80)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통신부(130)를 이용해 접속한 이동 통신망이나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서 네트워크의 저장부(예 : 특정 네트워크 서버의 저장부, 또는 클라우드 저장부 등)나 이동통신 장치(예 : 모바일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등)의 저장부에 전송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비게이션(140)은 차량의 목적지를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거나, 이동 통신 기지국을 연동하여 수신되는 신호들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거나, DMB 방송을 통해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들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그 검출된 차량의 현재 위치나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내비게이션의 지도상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차량 제어부(150)는 차량 내에 부착되어 그 차량의 전체적인 기능(예 : 전자장치의 기능)을 컨트롤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스피드 센서를 통해서 검출된 차량의 속도를 계기판에 표시하거나, 엔진이나 와이퍼 또는 헤드라이트 등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거나, 그 이외에도 전기로 동작하는 차량 내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나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하거나, 특정 동작의 제어(예 : 엔진 시동 신호, 또는 헤드라이트 제어신호 등)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량 제어부(150)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동작은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안전 조치 처리부(220)는 사고 발생 시 상기 구성수단(110 ~ 140)이나 차량 제어부(150)에 미리 설정된 차량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차량 내 특정 기능을 제어한다. 예컨대 차량의 비상등을 점멸시키거나, 헤드라이트를 온/오프 시키거나, 특정 사운드(예 : 싸이렌, 음성)와 패턴으로 경적을 울려 주변에 비상 상황을 알리거나, 특정 주파수(예 : 교통방송, 음악방송 등)의 라디오를 턴온시켜 운전자의 의식회복을 위한 자극을 제공하거나, 운전자에게 안정감을 주거나 정보를 제공하고, 히터나 쿨러를 작동시켜 운전자의 체온을 유지시키거나, 윈도우를 올리거나 내려 차량의 실내를 환기시키거나, 와이퍼를 작동시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거나, 또는 화재 발생 시 소화기(자동 소화기 장착 차량에 해당)를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전 조치 처리부(220)는 미리 설정된 대상에게 사고 발생을 통보하거나, 차량 주변에 비상 상황임을 알리고, 또한 차량과 운전자의 안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차량 기능을 제어하여 사고 발생 상황을 주변에 공지함으로써 2차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안전 조치 처리부(220)는 사고의 발생을 미리 설정된 대상이나 인접차량에게 통신으로 통보할 수 있다.
또는 사고 유형 통보부(230)를 통해 사고의 발생 통보와 사고 유형 통보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고 유형 통보부(230)는 상기 제어부(280)에서 판단된 사고 유형에 따라, 그 사고를 가장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예 : 보호자, 차량 제조사, 병원, 주유소, 경찰서, 보험사, 소방서, 인접 차량, 또는 견인업체 등)에게 사고 유형을 통보하여 사고 처리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고 유형 통보는 그 대상에 따라 통보되는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며, 현재 차량의 위치나 상태, 또는 운전자의 상태에 대한 부가 정보가 그 내용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병원이나 소방서로는 탑승자의 의료정보인 혈액형이나 지병이 있는 경우 그 상세 내용이 포함된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예컨대 '강남 사거리(보다 상세한 GPS 혹은 DGPS 좌표정보 포함)에서 충돌사고로 차량 주행이 불가능한 상태이며, 운전자는 의식은 있으나 운전과 거동이 어려운 상태로 앰블런스와 견인차의 출동이 요망됨'이라는 통보 내용을 메시지나 음성으로 경찰서, 보험사, 병원, 및 견인업체에 동시(또는 미리 설정된 비상통화나 긴급통화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로)에 통보할 수 있다. 만약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소방서에도 사고 유형에 대한 정보와 출동을 요청하는 내용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고 유형 통보(및 출동 요청)는 영상기록 장치(200)에 자체적으로(또는 일체형으로)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통신부(130)를 이용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링크된 통신 장치(예 : 운전자의 모바일 폰이나 스마트 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사고 유형 통보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음성이나 메시지(예 : MMS, SMS 등) 형태로 전송하거나,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신저를 이용하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상태 검출부(240)는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맥박, 체온, 표정, 자세, 또는 음성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제어부(280)에서 운전자의 상태(예 : 경상, 기절, 중상, 사망)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이오센서는 그 모양이나 용도에 따라 운전자의 소지품(예 : 시계, 장갑, 벨트 등)에 부착되거나, 차량의 핸들, 안전벨트, 룸미러와 같은 차량 내 임의의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250)는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감지 센서(예 : 화재 감지 센서, 충격 감지 센서, 자이로 센서, 스피드 센서, 온도 센서 등) 또는 차량 제어부(150)를 통해 전송되는 센싱 정보들(예 : 자세, 기울기, 엔진 회전수, 엔진 온도, 브레이크 입력, 가속 입력, 또는 핸들 조작 각도 등)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제어부(280)는 차량의 전복, 미끄러짐, 차선 이탈, 추락, 차량 급발진, 또는 엔진 과열 상태 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격량 검출부(260)는 차량 충돌 시 최종 속도(또는 가속도)와 충격(또는 충돌)이 발생하기 전까지 차량이 이동한 거리를 이용하여 충돌 시의 충격량을 검출하여 차량의 손상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브레이크 패달을 밟았다고 하더라도 미끄러짐에 의해 일정거리를 더 이동할 수 있으므로, 스피드 센서나 GPS 수신부(120)를 통해 검출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충격량을 검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실제적인 도로 교통사고에서는 스키드마크를 이용해 최종 속도를 예측하지만 본 발명에서 영상기록 장치에 브레이크가 밟힌 시간 및 충돌까지의 이동 거리와 시간이 기록되므로 더 정확한 사고 분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영상 및 정보 저장부(270)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200)에서 자체 저장된 영상, 내비게이션(140)이나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예 : 후방 카메라 등)에서 촬영된 영상 및 각종 센서와 차량 제어부(150)에서 전송받은 정보들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용량이 부족할 경우, 또는 영상의 백업을 위해서 일부 영상(또는 모든 영상)을 미리 등록된 장치(예 : 네트워크의 서버나 클라우드 저장부, 이동 통신망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또는 노트북 등)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등록된 장치로 전송된 일부 영상(또는 모든 영상)은 필요 시(예 : 저장용량 부족이나 사용자의 삭제지시에 의해) 상기 영상 및 정보 저장부(26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영상과 정보들은 그 파일 이름이 다르게 저장되어 쉽게 구별할 수 있고, 별도의 소프트웨어 영역으로 나누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200)의 각 구성 수단들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상태 정보, 차량 상태 정보, 충격량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의 상태와 차량 상태 및 사고 당시의 충격량들을 고려하여 사고의 유형과 사고의 경중을 판단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에 따른 차량과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자가 조치(즉, 영상기록 장치에서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가 조치)로써, 차량의 특정 기능(예 :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차량 기능)을 제어하거나, 미리 설정된 특정 대상들에게 사고의 유형을 통보하거나, 외부의 저장수단(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저장수단)에 사고 당시의 촬영 영상이나 정보들을 전송하여 백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자가 조치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 또는 예방하는 효과 및 사고를 긴급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생명을 구하거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의 사고 조치 및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80)는 배터리의 잔량을 고려하여 중요한 정보들(예 : 사고 처리에 우선 필요한 필수 정보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먼저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전송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정보들(예 : 사고의 분석에 필요한 부가 정보들)을 나중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들 중 사고 유형이나 사고의 경중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예 : 보호자, 차량 제조사, 경찰서 등)에게 '사고 발생 사실, 운전자 전화번호,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1차 전송을 수행하고, 배터리 잔량에 아직 여유가 있을 경우, 좀 더 구체적인 정보인 '사고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동일한 대상 또는 사고 유형에 따라 다음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에게 2차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에 아직 여유가 있을 경우, '촬영 영상과 정보들(또는 그 정보들이 백업된 클라우드 저장부의 주소)'을 포함하여, 상기 동일한 대상 또는 사고 유형에 따라 다음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에게 3차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 용량이 한정된 상태에서 가장 우선하여 사고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정보들을 먼저 전송하고, 그 배터리 용량에 여유가 있을 경우에는 백업 정보의 전송을 통해 촬영 영상과 정보들을 보존하여 사고분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사고 처리 과정 중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정보의 종류와 그 정보들의 전송 순서를 예시적으로 구분하여 보인 테이블이다.
이때 상기 사고 유형이나 사고의 경중에 따라 사고를 통보할 대상의 우선순위는 테이블 형태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사고 유형에 따라 전송할 정보들의 종류도 테이블 형태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형태로 미리 설정되는 정보들은 영상기록 장치의 제조사에서 디폴트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추후 그 제조사나 사용자에 의해 추가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영상기록 장치의 차량 사고 발생 시 그 사고의 유형에 따라 사고 조치 및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서 사고 발생 시 그 조치와 처리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는 그와 인터페이스 된 구성 수단들로부터 해당하는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있다고 가정한다(S101).
그리고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차량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사고의 유형을 판단한다(S102).
예컨대 상기 사고는 차량 간의 가벼운 접촉 사고부터 심각한 충돌 사고, 또는 차량 자체의 기계 장치나 전기 장치의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 또는 운전자(사용자)의 부주의나 신체적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 또는 차량의 주행 방향이나 차량을 향하여 갑자기 돌진하는 동물이나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그 사고의 경중(즉, 가볍거나 심각함)이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상 상기 사고의 종류와 그 사고의 경중에 대한 정보들이 테이블 형태로 미리 프로그램 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록 장치에서 사고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들을 예시적으로 정리하여 보인 테이블이다.
상기와 같이 사고 유형이 판단되면 사용자를 대신하여 영상기록 장치에서 자동으로 그 사고의 종류와 경중에 따라 차량에 대한 자가 조치를 수행한다(S103). 예컨대 경적을 일정 패턴으로 출력하거나 비상등이나 헤드라이트를 깜박이거나 화재 발생의 방지나 배터리의 사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전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사고 유형에 따라 사고 발생을 통보할 대상을 선택하고, 또한 그 통보할 내용에 포함될 정보들을 선택한다(S104).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보 대상들 중 사고 유형에 따라 가장 적합한(즉,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들을 선택하고, 각 대상별로 사고처리에 필요한 정보들(예 : 소방서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정보, 주유소에 오일을 요청하는 정보 등)을 선택하여 통보한다.
상기와 같이 사고 발생을 통보할 대상 및 그 통보할 내용에 포함될 정보가 선택되면 배터리의 잔량을 고려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에게 우선순위가 높은 정보들을 순차로 전송한다(S105).
예컨대 상기 동일한 대상에게 우선순위가 높은 정보를 1차로 전송하고 배터리 잔량에 여유가 있을 경우 우선순위가 낮은 정보를 2차 또는 3차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고 유형에 따라 다음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예 : 보호자, 보험사 등)에게 필요한 정보(예 : 사고 유형, 사고 위치, 차량 번호, 운전자 연락처 등)를 1차 전송하고 그 다음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예 : 서비스 센터, 견인 업체, 주유소)에게 필요한 정보(예 : 사고 위치, 운전자 연락처, 사고 유형, 요구 사항)를 2차 전송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카메라 120 : GPS 수신부
130 : 통신부 140 : 내비게이션
150 : 차량 제어부 200 : 영상기록 장치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안전 조치 처리부
230 : 사고 유형 통보부 240 : 운전자 상태 검출부
250 : 차량 상태 검출부 260 : 충격량 검출부
270 : 영상 및 정보 저장부

Claims (14)

  1. 차량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운전자 상태 검출부;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차량의 사고 발생 시,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차량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그 사고의 유형과 사고의 경중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고 처리를 위한 조치, 상기 차량과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 및 미리 설정된 대상과 인접차량에게 사고 통보를 자가적으로 수행하는 안전 조치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상기 사고의 유형이나 사고의 경중에 따라 상기 안전 조치 처리부에서는 사고 처리에 필요한 필수 정보, 사고 분석에 필요한 부가 정보 및 전송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영상 정보에 대해서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자들에게 사고 발생 사실, 운전자 전화번호, 위치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사고처리에 필요한 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1차적으로 전송하고, 그 다음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자들에게 차량충돌, 접촉사고, 타이어 펑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사고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사고 분석에 필요한 부가 정보나 사고 영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2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전송을 2차 이상으로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 조치 처리부는,
    차량 주변에 비상 상황임을 알리고 또한 차량과 운전자의 의식회복 혹은 안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차량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 기능은 차량의 비상등 점멸, 헤드라이트를 온/오프, 특정 사운드와 패턴을 갖는 경적 출력, 특정 주파수의 재난경보 송출, 히터나 쿨러의 작동, 윈도우 작동, 와이퍼 작동, 소화기 작동, 또는 그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정 대상들에게 상기 사고의 유형이나 사고의 경중 및 운전자나 차량의 상태를 통보하는 사고 유형 통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고 유형 통보부는,
    사고의 유형에 따라 그 사고를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에게 사고의 유형을 통보하며,
    그 통보 대상에 따라 통보할 내용에 포함되는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며,
    또한 상기 통보할 내용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음성이나 메시지 형태 또는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메신저를 이용하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이나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전화번호를 부여받아 직접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거나 혹은 기 등록된 운전자의 전화번호에 연동되는 데이터 셰어링 서비스를 통해서 직접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거나,
    또는 미리 등록된 운전자의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이나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여 미리 지정된 특정 대상에게 사고 발생 및 사고 유형 정보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상태 검출부는,
    운전자의 맥박, 체온, 표정, 자세, 또는 음성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센서는 그 모양이나 용도에 따라 운전자의 소지품에 부착하거나, 차량의 핸들, 안전벨트, 룸미러, 또는 유리창을 포함하는 차량 내 임의의 장치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는,
    화재 감지 센서, 충격 감지 센서, 자이로 센서, 스피드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를 통해 전송되는 센싱 정보들을 검출하며,
    상기 센싱 정보들은 자세, 기울기, 엔진 회전수, 엔진 온도, 브레이크 입력, 가속 입력, 핸들 조작 각도, 또는 그들의 조합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 충돌 사고 발생 시 차량의 최종 속도나 가속도 및 충돌이 발생하기 전까지 차량이 이동한 거리와 시간을 이용하여 충돌 시의 충격량을 검출하여 차량의 손상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충격량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기록 장치에 인터페이스 된 카메라, 차량에 장착된 내비게이션에 부착된 카메라,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각종 센서와 차량 제어부에서 전송받은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일부 또는 전체 정보를 네트워크의 서버나 클라우드 저장부, 이동 통신망의 모바일 폰,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또는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주기적으로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10. 삭제
  11. 차량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제1 단계;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차량의 사고 발생 시,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차량 상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어부에서 사고의 유형과 사고의 경중을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고 처리를 위한 조치, 상기 차량과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 및 미리 설정된 대상과 인접차량에게 사고 통보를 자가적으로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제3 단계에서 판단한 상기 사고의 유형이나 사고의 경중에 따라 사고 처리에 필요한 필수 정보, 사고 분석에 필요한 부가 정보 및 전송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영상 정보에 대해서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자들에게 사고 발생 사실, 운전자 전화번호, 위치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사고처리에 필요한 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1차적으로 전송하고, 그 다음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대상자들에게 차량충돌, 접촉사고, 타이어 펑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사고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사고 분석에 필요한 부가 정보나 사고 영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2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전송을 2차 이상으로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차량 주변에 비상 상황임을 알리고 또한 차량과 운전자의 안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차량 기능을 제어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제어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사고의 유형에 따라 그 사고를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에게 사고의 유형을 통보하며,
    그 통보 대상에 따라 통보할 내용에 포함되는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며,
    또한 상기 통보할 내용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음성이나 메시지 형태 또는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메신저를 이용하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20687A 2013-02-26 2013-02-26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499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687A KR101499508B1 (ko) 2013-02-26 2013-02-26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687A KR101499508B1 (ko) 2013-02-26 2013-02-26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303A KR20140106303A (ko) 2014-09-03
KR101499508B1 true KR101499508B1 (ko) 2015-03-06

Family

ID=5175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687A KR101499508B1 (ko) 2013-02-26 2013-02-26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5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876A1 (en) * 2017-01-10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hic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94686B1 (ko) 2018-07-27 2019-07-01 (주)로프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림 방법
KR20200027750A (ko)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세웅 사고 유형과 그에 대한 조치 기능 및 전력 소모 방지 기능을 갖춘 고소작업차와 그 방법
KR20200049243A (ko) 2018-10-31 2020-05-08 보맵 주식회사 차량 충돌 사고 처리 장치, 차량 충돌 사고 처리 시스템, 차량 충돌 사고 처리 방법,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200049242A (ko) 2018-10-31 2020-05-08 보맵 주식회사 차량 충돌 사고 처리 장치, 차량 충돌 사고 처리 시스템, 차량 충돌 사고 처리 방법,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200050564A (ko) 2018-11-02 2020-05-12 보맵 주식회사 차량 사고 처리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9157B1 (fr) * 2014-12-02 2018-03-02 Renault S.A.S. Procede d'assistance a au moins un occupant d'un vehicule accidente et systeme d'assistance dedie
KR101714456B1 (ko) * 2015-03-19 2017-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627741B1 (ko) * 2015-06-11 2016-06-07 양선종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자동차의 원격제어 및 응급상황 보조장치
KR102013635B1 (ko) * 2015-06-26 2019-08-23 주식회사 오션아이 차량용 블랙박스
KR101643875B1 (ko) * 2015-12-17 2016-08-01 김동철 경보발생장치가 구비된 블랙박스
KR101865178B1 (ko) * 2016-07-27 2018-06-07 주식회사 지노테크 안전 운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0414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샤크핀 안테나를 통해 수집되는 주변 차량 사고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장치
KR102110191B1 (ko) * 2018-08-22 2020-05-13 주식회사텔러스 확장 사고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긴급 구난 장치 및 그 방법
KR102124210B1 (ko) * 2018-09-12 2020-06-18 주식회사 이노카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복합 단말기.
KR20210068571A (ko) * 2018-10-17 202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제어 장치 및 통신 장치
KR102177770B1 (ko) * 2019-05-15 2020-11-11 네이버시스템(주) 차량 긴급 구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4914B1 (ko) * 2019-06-14 2019-11-04 주식회사 사브오토모티브 위기상황 관리 기능을 구비한 블랙박스 시스템
KR20210026248A (ko) * 2019-08-29 2021-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사고 통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2136B1 (ko) * 2019-12-30 2022-06-22 (주) 한호기술 전동차의 후면에서 탈부착되는 보조 탑승 수단
CN111814625B (zh) * 2020-06-29 2024-04-19 广东荣文科技集团有限公司 智能交通事故处理方法及相关装置
KR102458809B1 (ko) * 2022-02-08 2022-10-25 장경희 차량 비정상 작동시 유형별 알람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177A (ja) * 2001-11-30 2003-06-1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交通事故通報方法
KR20090004195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스페이스센싱 차량의 사고감지 및 응급성 판단 방법 및 장치
JP2009258878A (ja) * 2008-04-15 2009-11-05 Denso Corp 路上通信機および事故監視システム
KR20100073893A (ko) * 2008-12-23 2010-07-01 이현호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177A (ja) * 2001-11-30 2003-06-1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交通事故通報方法
KR20090004195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스페이스센싱 차량의 사고감지 및 응급성 판단 방법 및 장치
JP2009258878A (ja) * 2008-04-15 2009-11-05 Denso Corp 路上通信機および事故監視システム
KR20100073893A (ko) * 2008-12-23 2010-07-01 이현호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876A1 (en) * 2017-01-10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hic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762775B2 (en) 2017-01-10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hic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94686B1 (ko) 2018-07-27 2019-07-01 (주)로프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림 방법
KR20200027750A (ko)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세웅 사고 유형과 그에 대한 조치 기능 및 전력 소모 방지 기능을 갖춘 고소작업차와 그 방법
KR20200049243A (ko) 2018-10-31 2020-05-08 보맵 주식회사 차량 충돌 사고 처리 장치, 차량 충돌 사고 처리 시스템, 차량 충돌 사고 처리 방법,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200049242A (ko) 2018-10-31 2020-05-08 보맵 주식회사 차량 충돌 사고 처리 장치, 차량 충돌 사고 처리 시스템, 차량 충돌 사고 처리 방법,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200050564A (ko) 2018-11-02 2020-05-12 보맵 주식회사 차량 사고 처리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303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508B1 (ko)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2552285B1 (ko) 휴대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852555B2 (en) Vehicle impact sensor and notification system
US9852636B2 (en) Traffic event data source identification, data collection and data storage
KR101882478B1 (ko)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CN109962970B (zh) 信息收集系统以及服务器装置
WO2020031924A1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080252444A1 (en) Portable impact detection, wireless tracking and dispatch
KR101748273B1 (ko) 차량 헤드 유닛, 사용자 단말, 및 차량의 비상상황 알림 방법
JP6838891B2 (ja) 車載器および運行管理システム
JP2016509763A (ja) 車両内移動デバイス管理
US11778445B2 (en) Vehicle with automatic reporting function
JP2008225777A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カメラ装置
JP2019128744A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CN104318641A (zh) 行车记录仪和车辆报警方法
KR100910313B1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어린이 운송차량용 어린이 보호 시스템
TWI668678B (zh) 安全警示裝置及方法
CN112583885A (zh) 用于车辆的紧急系统以及为车辆用户提供救援构件的方法
KR20210012104A (ko) 차량 사고 알림 장치
JP2009181322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KR20200062025A (ko) 다중 로그 분석을 기반으로 차량 위험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2057088A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KR101904049B1 (ko) 전후방 추돌방지장치
JP6653852B2 (ja) 事故等判断システム、検知装置、携帯型通信端末
CN111002989A (zh) 驾驶安全监测方法、车载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