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893A -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893A
KR20100073893A KR1020080132683A KR20080132683A KR20100073893A KR 20100073893 A KR20100073893 A KR 20100073893A KR 1020080132683 A KR1020080132683 A KR 1020080132683A KR 20080132683 A KR20080132683 A KR 20080132683A KR 20100073893 A KR20100073893 A KR 2010007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black box
information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호
백하선
Original Assignee
이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호 filed Critical 이현호
Priority to KR102008013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3893A/ko
Publication of KR2010007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발생시 사고 관련 데이터를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사고의 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각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GPS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현 위치 정보를 기록하여 보존해 두고, 사고 발생에 대비하여 차량의 주변을 영상 촬영하며, 차량의 주행 속도 및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사고의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사고 당시에 영상 촬영한 데이터 및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고처리 대행업체, 운전자의 보호자 및 관리 서버에 선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고 발생에 대한 신속한 처리 및 대처가 가능하다.
차량용 블랙박스, GPS, 사고 처리, 보험사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BLACK BOX FOR A CAR, METHOD AND SYSTEM FOR MANEGENET TRAFFIC ACCID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사고 발생시 사고 관련 데이터를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사고의 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랙박스(Black Box)는 비행기 운항 중에 발생하는 성능과 상태를 기록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사고 발생시 사고 원인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 블랙박스 개념의 장치를 차량에도 적용하여 차량 사고시 정확한 사고원인을 파악하도록 하는 기술들이 출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에 단독 장치로 설치되어 있어서, 사고 발생 후에야 차량용 블랙박스에 보존된 관련 데이터를 확인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평상시에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기록하여 보존하 였다가,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메모리를 탈취하여 보존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하고, 간혹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데이터가 손상되면 사고 발생 후에도 데이터 판독이 불가능하므로 사고의 시시비비를 판가름하는 것 조차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운전자가 사고 발생 후 의식불명 상태이거나 공황 상태가 발생하면, 응급처리 및 사후 관리가 불가하기 때문에 인명 및 사고의 연속 발생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아파트 단지내의 주차장이나 도로상 공용 주차장에서 감시카메라가 없는 경우, 차선이 없는 도로 및 교차로에서의 접촉 사고시, 추월이나 U턴 및 선회시 등의 상황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시시비비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당한 사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사고 발생 당시 사고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거나, 외부로 사고 발생 사실을 알려 사고 피해 정보를 즉시 확인하게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사고 발생시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기록된 사고 관련 데이터를 즉각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자동 전송함으로써 사고의 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 발생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바로 사고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사고에 대한 신속한 처리 및 대처가 가능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GPS; 상기 차량의 사고 처리를 담당하는 사고처리대행업체;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기지국; 및 상기 GPS를 통해 검출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감시하며,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및 외부 충격 등을 감지하여 사고의 여부를 판단한 후, 사고 발생시 상기 촬영한 사고 전후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사고처리대행업체로 전송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사고 관리 시스템은, 상기 무선기지국과 통신이 가능하며, 사고 발생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상기 사고 전후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운전자 보호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사고 관리 시스템은, 상기 무선기지국과 연결되어, 사고 발생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사고 전후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감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속도 감지 및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GPS로부터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GPS 수신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부;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 및 사고 발생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서 사고 당시 전후의 사고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는 동영상 캡쳐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상기 다수의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다수의 센서를 통해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시 상기 동영상 캡쳐부를 통해 캡쳐한 사고 영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상기 차량의 현 위치 정보를 각각 상기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차량의 위치 정보가 저 장되며,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 및 상기 운전자 보호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내외장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콘트롤러는, 사고 발생시, 상기 내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와 상기 운전자 보호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정보와 함께 상기 동영상 캡쳐부를 통해 캡쳐한 사고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상기 차량의 현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센서를 통한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방법과 함께, 상기 GPS 수신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방법도 추가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제1 방법 및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나머지 방법에 의해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장 메모리에는 각 지역 또는 도로별로 각종 교통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콘트롤러는 사고 발생시의 차량의 속도, 이동 방향, 차량 위치 등을 상기 내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교통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운전자의 과실 여부 또는 사고 원인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외장 메모리는, 상기 차량에 대한 차종, 차량번호, 운전자, 상기 운전자가 가입된 보험회사에 대한 정보들이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장 메모리는, 상기 사고 발생에 따른 사고 관련 데이터를 별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장 메모리에서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 및 상기 운전자 보호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각각 접속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 도록 하는 단말 정보로, URL 정보,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는, 보험회사, 경찰서, 119 구조대, 견인대행업체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상태 및 사고 상황 등에 정보를 기록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감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속도 감지 및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 GPS 위성을 통해 상기 차량의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서 사고 당시 전후의 사고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는 동영상 캡쳐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상기 다수의 센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다수의 센서를 통해 감지한 신호를 인가받아 사고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시 상기 동영상 캡쳐부에서 캡쳐한 사고 영상 데이터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상기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내외장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차량의 주행속도 및 외부 충격을 감지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사고 발생이 판단되면,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고 당시 전후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는 단계; 상기 GPS로부터 상기 차량의 현 사고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고 발생을 알리기 위한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상기 캡쳐한 사고 전후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차량의 현 사고 위치 정부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를 구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대한 차종, 차량번호, 운전자, 상기 운전자 보호자, 사기 운전자가 가입된 보험회사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대한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접촉, 충돌과 같은 교통 사고 발생시 사고 전, 후 상황에 대한 영상 및 사고 위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피해자 및 가해자뿐만 아니라 사고의 원인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사고 발생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바로 사고 처리를 수행함으 로써 사고에 대한 신속한 처리 및 대처가 가능하다. 이로써, 인명피해나 사고처리 대행업체의 보험사와 경찰서에서 부당한 처리를 해왔던 억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관리 시스템은 차량용 블랙박스(100)와 GPS(200), 무선기지국(300), 관리서버(400), 사고처리 대행업체(500), 운전자 보호자 단말기(600)간 상호 연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사고 상황 등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기록하여 보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차량에 설치되며, GPS(200)로부터 주행 중인 차량의 현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기록해 둔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감시하고, 차량의 주행 속도 및 외부 충격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차량 사고의 발생시 차량용 블랙박스(100)에 보존된 기록을 사고처리 대행업체(500)와 운전자 보호자 단말기(600) 및 관리 서버(40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고에 따른 객관적인 판 단을 하는 데 근거 자료를 제공한다.
무선기지국(300)은 차량용 블랙박스(100)와 사고처리 대행업체(500)간 무선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망으로, 와이브로(WIBRO) 방식이나 3G(generation)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사고처리 대행업체(500)는 차량의 사고 발생시 이를 처리하기 위한 기업의 주체로서, 보험 회사(510), 경찰서(520), 119 구조대(530), 견인 대행업체(5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고처리 대행업체(500)는 무선기지국(300)과 통신 가능한 단말기가 구비되어, 차량 사고의 발생시 차량용 블랙박스(100)로부터 사고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아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운전자 보호자 단말기(600)는 운전자의 보호자(610)가 소지한 단말기로 무선기지국(300)과 통신이 가능하며, 차량 사고의 발생시 차량용 블랙박스(100)로부터 사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보호자(610)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운전자 보호자 단말기(600)는 운전자와 가장 측근인 보호자에게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정확한 시시비비를 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의 기능은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관리 서버(400)는 무선기지국(300)을 통해 차량용 블랙박스(100)로부터 출력되는 사고 관련 데이터를 기록하여 관리한다. 관리 서버(400)에 기록된 데이터는 사고 상황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으므로 시일이 지난 이후에도 공정한 사고 원인을 추적하는 데 용이하며, 집계하여 통계 데이터를 구축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사고 관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와 연계된 차량용 블랙박스(100)를 이용하여 사고 처리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다.
즉, GPS(200)에서는 차량용 블랙박스(100)를 구비한 차량의 현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차량용 블랙박스(100)에 제공한다(①). 그러면, 각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GPS(200)로부터 차량의 현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해 두고, 사고 발생에 대비하여 차량의 주변을 영상 촬영하며(②), 차량의 주행 속도 및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③). 이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100)에서 사고의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사고 당시에 영상 촬영한 데이터 및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이하, 사고 발생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고처리 대행업체(500)와 운전자의 보호자(610) 및 관리 서버(400)에 각각 또는 선별적으로 제공한다(④, ⑤, ⑥).
이때, 사고처리 대행업체(500) 및 운전자의 보호자(610)는 무선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사고 발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고처리 대행업체(500)는 사고 상황에 따라 선별적으로 사고를 접수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일 예로, 긴급사태 발생시에는 사고처리 대행업체(500) 중 경찰서(도 1의 520), 119 구조대(도 1의 530) 및 견인 대행업체(도 1의 540)에 사고 발생 정보를 제공하여 이들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요청한다.
다른 예로, 차량 도난시에는 먼저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고처리 대행업 체(500) 중 경찰서(도 1의 520)에 도난 차량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주정차시 타 차량에 의한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운전자 또는 운전자의 보호자(610), 경찰서(도 1의 520)에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 정보를 알림으로써 뺑소니 및 범죄 행위를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용 블랙박스의 구성>
상기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가 차량에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C1 내지 Cn)와 다수의 센서(S1 내지 Sn), GPS 수신부(110),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120), 데이터 검출부(130), 콘트롤러(140), 동영상 캡쳐부(150), 내외장 메모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C1 내지 Cn)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변을 영상 촬영한다. 도 4에서는 차량의 일 방향만 도시하였으나, 반대쪽 방향에도 설치되어 차량의 사방을 영상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수의 센서(S1 내지 Sn)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속도 및 외부 충격 등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센서(S1 내지 Sn)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검출센서 및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GPS 수신부(110)는 GPS(도 1의 20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는 담당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GPS(도 1의 200)로부터 차량의 현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GPS 수신부(110)와 연결된 데이터 검출부(130)는 GPS 수신부(110)에 수신된 데이터에서 차량의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내외장 메모리(160)에 기록하도록 한다.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120)는 사고 관리 시스템의 무선기지국(도 1의 3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동영상 캡쳐부(150)는 사고 발생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C1 내지 Cn)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서 사고 당시 전후의 사고 영상 데이터를 캡쳐(capture)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 캡쳐는 타이밍에 근거하여 사고 전 15초에서부터 사고 후 10초로 한정하여 캡쳐할 수 있다. 이의 시간 한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동영상 캡쳐부(150)는 다수의 센서(S1 내지 Sn)를 통해 사고 발생 여부가 판단되면 콘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영상 캡쳐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C1 내지 Cn)로부터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직접 받아 캡쳐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내외장 메모리(16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가지고 원하는 부분만 캡쳐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콘트롤러(140)는 차량용 블랙박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C1 내지 Cn)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내외장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다수의 센서(S1 내지 Sn)를 통해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테면, 다수의 센서(S1 내지 Sn)를 통해 감지한 신호에서 차량의 주행 속도가 갑자기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하여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또는 외부의 충격이 있는 경우 차량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트롤러(140)에 의한 사고 발생 여부 판단을 2원화할 수 있다.
즉, 콘트롤러(140)는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S1 내지 Sn)에 의한 사고 발생 판단(제1 방법)과 더불어, GPS 위성(200) 및 GPS 수신부(110)를 이용한 사고 판단(제2 방법) 기능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방법에 따르면, GPS 위성(200)으로부터 차량의 속도 및 위치 정보를 GPS 수신부(140)가 받은 후, 이를 콘트롤러(140)에 전달하면 콘트롤러(140)는 차량의 속도 및 위치가 소정 수준 이상 급변하는 시점을 사고 발생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러(140)는 이상의 제1 방법과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나머지 방법에 의해 사고 여부 판단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센서(S1 내지 Sn)의 고장으로 제1 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2 방법(GPS 이용)에 의해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가 된다.
또한, 콘트롤러(140)는 제1 방법과 제2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양 방법 중 어느 한 쪽에 우선 순위를 두어 우선 순위가 높은 방법에 의해 사고 여부 판단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방법(GPS 이용) 보다 사고 여부를 보다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제1 방법(센서 이용)에 우선 순위를 두는 경우에는 제1 방법에 의한 사고 여부 판단 결과를 우선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트롤러(140)는 사고 원인 또는 운전자의 과실 여부 등도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의 과실 여부는 내외장 메모리(160)에 각 지역 또는 도로별로 각종 교통 정보(제한 속도, 일방통행 여부, 견인지역 여부) 등을 저장하였다가, 콘트롤러(140)는 사고 발생시의 차량의 속도, 이동 방향, 차량 위치(중앙선, 정지선 침범, 견인 지역에 있는지 여부 등) 등을 메모리(160)에 저장된 교통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운전자의 과실 여부 또는 사고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콘트롤러(140)에 의해 사고로 판단이 되면, 콘트롤러(140)는 동영상 캡쳐부(150)에 사고 당시 전후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도록 제어하고, 이로부터 캡쳐한 사고 영상 데이터와 데이터 검출부(130)를 통해 검출한 상기 차량의 현 위치 정보(즉,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임)를 추출하여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120)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데이터들 즉, 사고 영상 데이터와 차량의 사고 위치 정 보는 사고 관리 시스템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고처리 대행업체(도 1의 500)와 운전자 보호자 단말기(도 1의 600) 또는 관리 서버(도 1의 400)에 제공된다.
이때,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사고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사고처리 대행업체(도 1의 500), 운전자 보호자 단말기(도 1의 600), 관리 서버(도 1의 400) 등에 대한 정보가 내외장 메모리(160)에 미리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차량 사고의 발생시 콘트롤러(140)에서 내외장 메모리(160)에 저장된 사고처리 대행업체(도 1의 500)와 운전자 보호자 단말기(도 1의 600) 및 관리 서버(도 1의 400)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정보와 함께, 사고 영상 데이터 및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한 내외장 메모리(16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C1 내지 Cn)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검출부(130)를 통해 검출한 차량의 현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영상 및 차량 위치 정보 DB(162)와, 차량에 대한 차종, 차량번호, 운전자, 운전자가 가입한 보험회사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차량 정보 DB(164), 사고처리 대행업체 및 운전자의 보호자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사고처리 대행업체 정보 DB(166), 사고 발생에 따른 사고 관련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사고 발생 정보 DB(168)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사고처리 대행업체 및 운전자의 보호자 등에 대한 정보는 무선기지국을 통해 각각 접속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 정보로서, URL 정보,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 메모리(160)는 내장 메모리와 외장 메모리로 구비되어, 상기와 같이 저장할 데이터가 입력되면 내장 메모리에는 평상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고가 발생되면 외장 메모리에 사고 관련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C1 내지 Cn)에서 차량의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는 내장 메모리에 녹화하여 기록해 두고, 센서에서 감지 신호가 들어오게 되면 영상 녹화에 충격 또는 사고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고 전후의 영상을 외장 메모리에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 영상시간 사용 등으로 쉽게 발생되는 베드섹터(bad sector)에 의해 데이터가 손상되어 판독이 불가능한 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사고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관리 방법은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차량의 주행속도 및 외부충격 등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구비한다(S100).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대한 정보와,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대한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가 필요하다(S210, S220).
여기서, 차량에 대한 정보는 차량의 차종, 차량번호, 운전자, 운전자의 보호자, 운전자가 가입한 보험회사 등에 대한 정보이다.
그리고,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대한 정보는 견인대행업체, 119구조대, 경찰서 등에 대한 단말 정보로, URL 정보,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평상시 GPS위성으로부터 차량의 현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기록 및 보존하고(S230),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주변을 영상 촬영함으로써 사고 발생에 대비하여 사고 상황을 감시한다(S240).
아울러, 다수의 센서를 통해 차량의 주행속도 및 외부 충격 등을 감지함으로써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250).
이상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사고 발생 전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수행하는 일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시간적인 순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후,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충격 또는 차량의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블랙박스는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서 사고 당시 전후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고, 캡쳐한 사고 영상 데이터를 내외장 메모리에 별도로 저장한다(S110, S112).
이후, GPS위성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차량의 현 위치 정보를 검출하 여 사고 발생 정보로 내외장 메모리에 별도로 저장한다(S120, S122). 여기서, 검출된 차량의 현 위치 정보는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와 일맥 상통할 수 있다.
이후,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장된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대한 정보를 리드하여, 해당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상기 이전 단계에서 추출한 정보들 즉, 사고 당시 전후의 영상 데이터와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S130, S140).
이로써,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후속 처리를 요청한다(S150).
예컨대, 교통 사고가 발생되면, 차량용 블랙박스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사고 발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고를 접수하고, 사고처리 대행업체에서는 119 구조대 및 견인대행업체에서 현장 출동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가 차량에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사고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차량용 블랙박스 200: GPS
300: 무선기지국 400: 관리 서버
500: 사고처리 대행업체 510: 보험회사
520: 경찰서 530: 119 구조대
540: 견인 대행업체 600: 운전자 보호자 단말기
610: 운전자의 보호자 110: GPS 수신부
120: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 130: 데이터 검출부
140: 콘트롤러 150: 동영상 캡쳐부
160: 내외장 메모리 C1 내지 Cn: 카메라
S1 내지 Sn: 다수의 센서 10: 차량
162: 영상 및 차량위치 정보 DB
164: 차량 정보 DB
166: 사고처리 대행업체 정보 DB
168: 사고 발생 정보 DB

Claims (19)

  1. 차량의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GPS;
    상기 차량의 사고 처리를 담당하는 사고처리대행업체;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기지국; 및
    상기 GPS를 통해 검출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감시하며,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및 외부 충격 등을 감지하여 사고의 여부를 판단한 후, 사고 발생시 상기 촬영한 사고 전후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사고처리대행업체로 전송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과 통신이 가능하며, 사고 발생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상기 사고 전후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운전자 보호자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과 연결되어, 사고 발생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출력 되는 상기 사고 전후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하는 관리서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감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속도 감지 및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GPS로부터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GPS 수신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부;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 및
    사고 발생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서 사고 당시 전후의 사고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는 동영상 캡쳐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상기 다수의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다수의 센서를 통해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시 상기 동영상 캡쳐부를 통해 캡쳐한 사고 영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검출 부를 통해 검출한 상기 차량의 현 위치 정보를 각각 상기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차량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 및 상기 운전자 보호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내외장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사고 발생시, 상기 내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와 상기 운전자 보호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정보와 함께 상기 동영상 캡쳐부를 통해 캡쳐한 사고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상기 차량의 현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센서를 통한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방법과 함께, 상기 GPS 수신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방법도 추가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제1 방법 및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나머지 방법에 의해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장 메모리에는 각 지역 또는 도로별로 각종 교통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콘트롤러는 사고 발생시의 차량의 속도, 이동 방향, 차량 위치 등을 상기 내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교통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운전자의 과실 여부 또는 사고 원인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 및 상기 운전자 보호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각각 접속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URL 정보,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는,
    보험회사, 경찰서, 119 구조대, 견인대행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12. 차량의 주행상태 및 사고 상황 등에 정보를 기록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감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속도 감지 및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
    GPS 위성을 통해 상기 차량의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서 사고 당시 전후의 사고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는 동영상 캡쳐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상기 다수의 센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다수의 센서를 통해 감지한 신호를 인가받아 사고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시 상기 동영상 캡쳐부에서 캡쳐한 사고 영상 데이터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상기 무선네트워크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내외장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사고 발생시, 상기 내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정보와 함께, 상기 동영상 캡쳐부에서 캡쳐한 사고 영상 데이터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센서를 통한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방법과 함께, 상기 GPS 수신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방법도 추가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제1 방법 및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나머지 방법에 의해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장 메모리에는 각 지역 또는 도로별로 각종 교통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콘트롤러는 사고 발생시의 차량의 속도, 이동 방향, 차량 위치 등을 상기 내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교통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운전자의 과실 여부 또는 사고 원인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18.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차량의 주행속 도 및 외부 충격을 감지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사고 발생이 판단되면,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고 당시 전후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는 단계;
    상기 GPS로부터 상기 차량의 현 사고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고 발생을 알리기 위한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상기 캡쳐한 사고 전후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차량의 현 사고 위치 정부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를 구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대한 차종, 차량번호, 운전자, 상기 운전자 보호자, 사기 운전자가 가입된 보험회사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대한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KR1020080132683A 2008-12-23 2008-12-23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73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683A KR20100073893A (ko) 2008-12-23 2008-12-23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683A KR20100073893A (ko) 2008-12-23 2008-12-23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893A true KR20100073893A (ko) 2010-07-01

Family

ID=4263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683A KR20100073893A (ko) 2008-12-23 2008-12-23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3893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24B1 (ko) * 2010-07-13 2011-01-24 주식회사 하이홈티비 스마트 에코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한 차량운행 블랙박스 및 이를 통한 멀티모드 구동방법
KR101319939B1 (ko) * 2011-09-09 2013-10-29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블랙 박스와 감지 센서를 활용한 사고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329356B1 (ko) * 2011-07-27 2013-11-15 대한민국 기동장비 운용제원 자동수집장치
KR20140052426A (ko) * 2012-10-24 2014-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충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WO2014092380A1 (ko) * 2012-12-12 2014-06-1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430155B1 (ko) * 2012-09-03 2014-08-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량 사고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9508B1 (ko) * 2013-02-26 2015-03-06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520478B1 (ko) * 2013-07-16 2015-05-18 (주)위니테크놀러지 차량 영상 녹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KR20150090517A (ko) * 2014-01-29 2015-08-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블랙박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9111453B1 (en) 2013-08-01 2015-08-18 Mohammad A. Alselimi Traffic management server and a traffic recording apparatus
KR20150135028A (ko) 2014-05-20 2015-12-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케어 및 에코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551110A (zh) * 2016-02-05 2016-05-04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行车数据记录方法、装置和系统
KR101676278B1 (ko) * 2015-09-18 2016-11-16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블랙박스 이벤트 영상의 스마트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7690A (ko) * 2016-03-24 2018-05-30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구조 요청 방법, 시스템 및 장치와 컴퓨터 기억 매체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24B1 (ko) * 2010-07-13 2011-01-24 주식회사 하이홈티비 스마트 에코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한 차량운행 블랙박스 및 이를 통한 멀티모드 구동방법
KR101329356B1 (ko) * 2011-07-27 2013-11-15 대한민국 기동장비 운용제원 자동수집장치
KR101319939B1 (ko) * 2011-09-09 2013-10-29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블랙 박스와 감지 센서를 활용한 사고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430155B1 (ko) * 2012-09-03 2014-08-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량 사고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2426A (ko) * 2012-10-24 2014-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충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WO2014092380A1 (ko) * 2012-12-12 2014-06-1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499508B1 (ko) * 2013-02-26 2015-03-06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520478B1 (ko) * 2013-07-16 2015-05-18 (주)위니테크놀러지 차량 영상 녹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US9111453B1 (en) 2013-08-01 2015-08-18 Mohammad A. Alselimi Traffic management server and a traffic recording apparatus
KR20150090517A (ko) * 2014-01-29 2015-08-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블랙박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35028A (ko) 2014-05-20 2015-12-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케어 및 에코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6278B1 (ko) * 2015-09-18 2016-11-16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블랙박스 이벤트 영상의 스마트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05551110A (zh) * 2016-02-05 2016-05-04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行车数据记录方法、装置和系统
KR20180057690A (ko) * 2016-03-24 2018-05-30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구조 요청 방법, 시스템 및 장치와 컴퓨터 기억 매체
US10769922B2 (en) 2016-03-24 2020-09-08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Help seek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3893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04918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an accident
US8125530B2 (e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collecting program
US9792740B2 (en) Triggering a specialized data collection mode
EP2002369B1 (en) Vehicle event recorded systems and networks having parallel communication links
EP3965082A2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vehicle monitoring method
KR101267549B1 (ko) 전기자동차 운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359445A1 (en) Method for Record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Creating Vehicle Record by Utilizing Digital Video Shooting
CN108711202B (zh) 一种基于大数据的交通事故救援系统
MX2014015475A (es) Deteccion movil de disparos.
CN108320517A (zh) 车牌和车辆识别系统及监测服务器
KR101035488B1 (ko) 자동차 블랙박스 영상물 수집 방법
JP2006350520A (ja) 周辺情報収集システム
JP6838891B2 (ja) 車載器および運行管理システム
CN103177592B (zh) 车云智士系统及其实现方法
CN108922166B (zh) 一种基于大数据的交通事故救援方法
CN111369708A (zh) 车辆行驶的信息记录方法及装置
RU69661U1 (ru) Система удаленного доступа по принятию решений по анализу и оценке дорожно-транспортного происшествия
CN106998363A (zh) 交通突发情况远程监控响应系统及监控响应方法
WO2015050413A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와 gis 연동 서비스 방법
JP2019086895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車両、情報収集装置、ならびに方法
KR20130057265A (ko) 스마트폰용 블랙박스 영상 제보 시스템 및 방법
JPH106928A (ja) 事故データ記録システム
CN101470909A (zh) 路况记录方法及电子装置
RU170052U1 (ru) Специальный видеорегистратор дорожно-транспортных происшеств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