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094B1 -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094B1
KR102395094B1 KR1020210176320A KR20210176320A KR102395094B1 KR 102395094 B1 KR102395094 B1 KR 102395094B1 KR 1020210176320 A KR1020210176320 A KR 1020210176320A KR 20210176320 A KR20210176320 A KR 20210176320A KR 102395094 B1 KR102395094 B1 KR 102395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ction
user
electric mobility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기
Original Assignee
(주) 경성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경성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 경성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10176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60Positioning; Nav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eth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휠체어를 포함한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 등에 의해 낙상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발생을 신속하게 외부에 알려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사고다발구간등록부를 구비함으로써, 서버의 전복낙상판단모듈로 판단된 전복사고 또는 낙상사고 지점을 축적하고, 동일한 위치에 일정 빈도수 이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으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우회구간 설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이용불편구간신고부로 등록된 구간, 사고다발구간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구간에 대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우회 경로로 길안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교통약자인 사용자에게 이동 편의를 위한 이동경로나 공간정보를 구축하여 교통약자의 유형별로 맞춤형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A system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service tailored to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that can detour dangerous sections}
본 발명은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휠체어를 포함한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 등에 의해 낙상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발생을 신속하게 외부에 알려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사고다발구간등록부를 구비함으로써, 서버의 전복낙상판단모듈로 판단된 전복사고 또는 낙상사고 지점을 축적하고, 동일한 위치에 일정 빈도수 이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으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우회구간 설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이용불편구간신고부로 등록된 구간, 사고다발구간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구간에 대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우회 경로로 길안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교통약자인 사용자에게 이동 편의를 위한 이동경로나 공간정보를 구축하여 교통약자의 유형별로 맞춤형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장애 범주의 확대와 후천적 원인에 의한 장애 발생률 증가,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인해 장애인구 및 고령자를 위한 복지 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보조기구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장애인 보조기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국가의 보조기구 공적급여 예산도 가파른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전동휠체어를 포함한 전동이동보조기기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 원인에 의해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장애인이 이동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인 동시에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도 이동의 편리성을 제공해 주는 대표적인 보행 보조수단이다.
현재 휠체어를 사용하는 교통약자들은 이동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며, 휠체어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휠체어의 전복 또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발생 시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전동이동보조기기 낙상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나 실제의 대처방안은 사고 당사자의 신고, 스스로 극복, 사고 목격자의 보조와 신고 등의 수동적인 상황에 그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사회적 현안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으로 구성된 통합 시스템이나 인프라는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낙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약자 전용 길안내, 경로 추천 시스템이 요구되며, 전동이동보조기기 이용자 안전사고 신속대응이 가능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 이용자의 생활환경과 편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축적된 노면 상태에 관한 데이트를 활용하여 도로환경개선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또는 교통약자들이 이용하는 길안내 서비스는 이동 지원시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관계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제한적인 지역에 한하여 서비스가 진행 중인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길안내 시스템에 대해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교통약자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장애인 또는 교통약자 이동 편의를 위한 이동경로나 공간정보를 구축하여 교통약자의 유형별로 적합한 길안내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 KR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7161호(2016.05.02.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동휠체어를 포함한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 등에 의해 낙상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발생을 신속하게 외부에 알려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교통약자의 유형별로 적합한 맞춤형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동적 자세 및 기울기자세를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부,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주행 거리 및 주행 경로를 측정하는 주행위치정보센서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착석상태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탑승여부 또는 낙상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좌석 또는 방석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압력측정센서부, 및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이동감지센서부, 주행위치정보센서부, 및 촬영부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연산을 수행하고, 무선통신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구비되는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에 포함된 이동감지센서부와 압력측정센서부에서 전송한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여부와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하는 전복낙상판단모듈, 및 사용자가 탑승된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주행을 통해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의 이동감지센서부, 주행위치정보센서부, 및 촬영부로 수집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전처리를 거쳐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최적 주행 노선을 제공할 수 있는 전용 지도생성을 위한 지도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며, 서버로 분석된 결과를 포함하여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고, 길안내를 제공할 수 있는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을 포함하고, 서버의 지도생성모듈은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의 이동감지센서부, 압력측정센서부, 주행위치정보센서부, 및 촬영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 중 식별하여 사용가능한 데이터를 선별하는 데이터필터링부, 데이터필터링부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노면의 평탄성, 보행로의 재질, 포장도로의 상태, 보도블럭 종류 및 상태, 연석 위치, 배수구 덮개 위치, 점자블록 위치, 경사도, 및 자전거 도로 위치를 포함하는 노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구획화하여 정보를 등록하는 노면정보등록부, 데이터필터링부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계단 상태 및 위치, 벽 위치, 창문 위치, 기둥 위치, 승강기 위치, 출입문 형태, 및 통행방향 표식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구획화하여 정보를 등록하는 공간정보등록부,데이터필터링부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바리게이트 위치, 벤치 위치, 볼라드 위치, 정류장 위치, 신호등 위치, 및 가로수 위치를 포함하는 고정된장애물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구획화하여 정보를 등록하는 고정체장애물등록부, 데이터필터링부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자전거 위치, 차량 위치, 타인 위치, 유모차 위치, 및 휠체어 위치를 포함하는 이동이 가능한 장애물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으로 주행 알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체장애물수집예측부, 및 지리공간정보맵핑기능이 포함되며, 지리공간정보를 길안내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전자지도 상에 맵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맵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의 지도생성모듈은 서버의 전복낙상판단모듈로 판단된 전복사고 또는 낙상사고 지점을 축적하고, 동일한 위치에 일정 빈도수 이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으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사고다발구간을 등록하는 사고다발구간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은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의 주행 노선 중 이용에 불편한 구간과 사유를 서버에 등록하여 구간 등록 사용자의 길 안내 시에 해당 구간이 포함되지 않도록 서버에 등록하는 이용불편구간신고부를 포함하고, 서버는 이용불편구간신고부로 등록된 구간, 사고다발구간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구간에 대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설정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을 통한 길 안내 시, 특정 조건에 따라 해당 구간이 포함되지 않고, 설정된 우회 경로로 길안내를 수행하도록 하는 우회구간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이동보조기기 낙상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여 2차 사고로 인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하여 주행하면서 노면정보, 공간정보 등을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행중 실시간으로 노면정보를 출력하며,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하는 교통약자 맞춤형 길안내가 가능한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고다발구간등록부를 구비함으로써, 서버의 전복낙상판단모듈로 판단된 전복사고 또는 낙상사고 지점을 축적하고, 동일한 위치에 일정 빈도수 이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으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우회구간 설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이용불편구간신고부로 등록된 구간, 사고다발구간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구간에 대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우회 경로로 길안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교통약자인 사용자에게 맞춤형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경로와 방문하는 지역에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건물의 현황,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충전장소를 포함한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의 지도생성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데이터 정제, 길 안내를 위한 정보 수집 및 등록, 전자지도 맵핑, 전자지도 업데이트, 데이터 학습 등 AI 알고리즘 기반으로 하여, 전자지도를 보다 명확하고, 빠르게 획득할 수 있고, 반복적인 데이터 학습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도생성모듈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도생성모듈(22)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1을 참조하면,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 서버(20),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 및 전동이동보조기기보호자앱(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타고 노면을 주행하는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 등에 의해 낙상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발생을 신속하게 외부에 알려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타고 주행하면서 노면정보, 공간정보 등을 획득하여 주행중 실시간으로 노면정보를 출력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하는 교통약자 맞춤형 길안내가 가능한 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로 축적하고, 모니터링되는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는 노면의 유지 및 보수를 포함한 도로환경개선을 위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교통약자를 위한 길안내 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제작하거나 제작된 전자지도에 대해 업데이트를 수행할 때 사용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약자의 유형별로 맞춤형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과 운행자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하고 있을 경우, 욕창 등의 질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경로와 방문하는 지역에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건물의 현황,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충전장소를 포함한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서버(20)의 전복낙상판단모듈(21)로 판단된 전복사고 또는 낙상사고 지점을 축적하고, 동일한 위치에 일정 빈도수 이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으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이용불편구간신고부(31)로 등록된 구간, 사고다발구간등록부(22i)를 통해 등록된 구간에 대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우회 경로로 길안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교통약자인 사용자에게 이동 편의를 위한 이동경로나 공간정보를 구축하여 교통약자의 유형별로 맞춤형 길안내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형태로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다양한 종류의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는 도 1을 참조하면, 아래에 서술된 이동감지센서부(11), 압력측정센서부(12), 주행위치정보센서부(13), 및 촬영부(14)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연산을 수행하고, 무선통신 통해 아래에 서술된 서버(20)를 포함한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는 도 1을 참조하면, 가속도센서(11a)와 자이로센서(11b)를 포함하는 이동감지센서부(11), 압력측정센서부(12), 주행위치정보센서부(13), 촬영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 이동감지센서부(11)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감지센서부(11)에 포함된 가속도센서(11a)는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움직임,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가해지는 흔들림이나 진동 및 충격을 포함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동적 자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자이로센서(11b)는 전동이동보조기기의 각속도,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기울기 상태를 포함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기울기 자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가속도센서(11a)와 자이로센서(11b)는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한 채 노면을 주행할 때 노면의 침하여부, 노면의 경사 정도를 포함하여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압력측정센서부(12)는 도 1을 참조하면,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착석상태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탑승여부 또는 낙상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좌석 또는 방석에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주행위치정보센서부(13)는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탑승하는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주행 거리 및 주행 경로를 측정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한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에 따른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 낙상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구비되는 서버(20)의 주행패턴자세판단모듈(24)에서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주행위치정보센서부(13)는 GPS를 포함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한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 전복에 따른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 낙상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게 된다.
촬영부(14)는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며, 촬영부(14)에서 획득한 영상은 아래에 서술된 서버(20)로 전송되어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상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촬영본으로부터 노면정보, 공간정보, 고정체 및 이동체 정보를 획득하기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된다.
서버(20)는 도 1을 참조하면,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구비된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가공처리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을 포함한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전복낙상판단모듈(21), 지도생성모듈(22), 노면상태판단모듈(23), 및 주행패턴자세판단모듈(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서버(20)의 전복낙상판단모듈(21)은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에 포함된 이동감지센서부(11)와 압력측정센서부(12)에서 전송한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여부와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도생성모듈(22)은 사용자가 탑승된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주행을 통해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의 이동감지센서부(11), 압력측정센서부(12), 주행위치정보센서부(13), 카메라부로 수집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전처리를 거쳐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최적 주행 노선을 제공할 수 있는 전용 지도생성을 위해 구성된다.
또한, 지도생성모듈(22)은 데이터필터링부(22a), 노면정보등록부(22b), 공간정보등록부(22c), 고정체장애물등록부(22d), 이동체장애물수집예측부(22e), 등록데이터검토부(22f), 데이터맵핑부(22g), 노면이상등록부(22h), 사고다발구간등록부(22i), 및 우회구간 설정부(22e)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하, 데이터필터링부(22a)부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필터링부(22a)는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의 이동감지센서부(11), 압력측정센서부(12), 주행위치정보센서부(13), 및 카메라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 중 식별하여 사용가능한 데이터를 선별한다.
또한, 데이터필터링부(22a)는 사용 불가능한 데이터를 선별하되, 흐릿하거나 왜곡이 포함된 촬영본, 지평선의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거나 노면만 포함되거나 노면이 없는 촬영본, 노면환경과 관계없는 객체가 포함된 촬영본,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하는 교통약자 전용 길안내를 위한 객체가 포함되지 않은 촬영본, 및 개인정보가 포함된 촬영본은 사용 불가능한 데이터로 판단한다.
노면정보등록부(22b)는 데이터필터링부(22a)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노면의 평탄성, 보행로(보도)의 재질, 포장도로의 상태, 보도블럭 종류 및 상태, 연석 위치, 배수구 덮개 위치, 점자블록 위치, 경사도, 및 자전거 도로 위치를 포함하는 노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구획화하여 정보를 등록한다.
공간정보등록부(22c)는 데이터필터링부(22a)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계단 상태 및 위치, 벽 위치, 창문 위치, 기둥 위치, 승강기 위치, 출입문 형태, 및 통행방향 표식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구획화하여 정보를 등록한다.
고정체장애물등록부(22d)는 데이터필터링부(22a)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바리게이트 위치, 벤치 위치, 볼라드 위치, 정류장 위치, 신호등 위치, 및 가로수 위치를 포함하는 고정된장애물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구획화하여 정보를 등록한다.
이동체장애물수집예측부(22e)는 데이터필터링부(22a)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자전거 위치, 차량 위치, 타인 위치, 유모차 위치, 및 휠체어 위치를 포함하는 이동이 가능한 장애물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으로 주행 알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등록데이터검토부(22f)는 노면정보등록부(22b), 공간정보등록부(22c), 및 고정체장애물등록부(22d)로 등록된 데이터들의 구획들과 특정되어 구획화된 객체에 등록된 정보간 매칭이 바른지 확인하고, 객체의 구획에 오차가 없는지를 확인하되, 이를 확인하는 기준은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가 설치된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이동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별 객체의 구획이 이동하는지 확인하고, 구획된 객체가 일정 프레임 이상 위치하는지를 확인하여 데이터 정확도를 높이도록 한다.
데이터맵핑부(22g)는 지리공간정보맵핑기능이 포함되며, 등록데이터검토부(22f)에서 검토된 지리공간정보를 길안내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전자지도 상에 맵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노면이상등록부(22h)는 지리공간정보맵핑기능에서 서버(20)의 노면상태판단모듈(23)을 통해 노면의 상태가 이상 노면상태로 판단될 경우, 이상노면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와 이상노면의 거리구간, 진동의 크기, 진동의 지속시간을 포함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길안내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데이터맵핑부(22g)에서 맵핑한 정보에 추가로 업데이트한다.
사고다발구간등록부(22i)는 서버의 전복낙상판단모듈(21)로 판단된 전복사고 또는 낙상사고 지점을 축적하고, 동일한 위치에 일정 빈도수 이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으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사고다발구간을 등록한다.
일례로, 사고다발구간등록부(22i)는 A 사용자의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으로 사고다발구간 위치를 등록하고, 사용자 B와 C도 사고다발구간등록부(22i)를 통해 A 사용자가 등록한 사고다발구간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사고다발구간을 추가 등록하여 설정된 빈도 수 이상 사고다발구간 등록이 된 경우, 해당 구간을 우회하는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당 구간을 서버(20)에 등록한다.
우회구간 설정부(22e)는 이용불편구간신고부(31)로 등록된 구간, 사고다발구간등록부(22i)를 통해 등록된 구간에 대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설정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을 통한 길 안내 시, 특정 조건에 따라 해당 구간이 포함되지 않고, 설정된 우회 경로로 길 안내를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특정 조건은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용불편구간신고부(31)로 일정 횟수 이상 등록된 구간을 우회하도록 한다든지, 사고다발구간등록부(22i)로 일정 횟수 이상 전복/낙상 사고가 발생했다든지, 사고 원인이 동일하다는지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우회하기 위한 조건 설정이 가능하고, 변경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20)의 노면상태판단모듈(23)은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노면을 주행할 때,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의 이동감지센서부(11)에서 측정한 진동의 크기, 진동의 지속시간, 진동패턴, 노면의 경사도와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노면의 영상신호를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분석하여 지도생성모듈(22)의 노면이상등록부(22h)를 통해 길안내 프로그램의 전자지도를 업데이트한다.
서버(20)의 노면상태판단모듈(23)을 통해 분석된 결과는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에서 전송받아 사용자가 주행 중인 노면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하반신 마비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하반신에 감각이 없어 욕창 등의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사용자의 욕창방지를 위해 전동이동보조기기 탑승시간 또는 사용자의 탑승자세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욕창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대한 기능을 아래에 서술된 서버(20)의 주행패턴자세판단모듈(24)에서 수행하게 된다.
서버(20)의 주행패턴자세판단모듈(24)은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의 압력측정센서부(12)와 주행위치정보센서부(13)로부터 사용자의 착석상태와 주행거리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행패턴과 운행자세를 분석하여 판단한다.
또한, 서버(20)의 주행패턴자세판단모듈(24)은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의 압력측정센서부(12)와 주행위치정보센서부(13)에서 전송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사용하고 있는 시간을 측정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에 착석하고 있는 자세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서버(20)에서는 미리 전동이동보조기기 연속탑승 시간을 설정하여 저장한다.
만약,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 또는 압력측정센서부(12)에서 전송된 신호 중 특정 부위에 압력이 지나치게 오래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서버(20)의 주행패턴자세판단모듈(24)에서 위험 운전자세로 판단하고, 욕창방지메시지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으로 전송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장시간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서버(20)의 편의제공모듈(25)은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의 주행위치정보센서부(13)로부터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탑승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받고, 지도생성모듈(22)로 생성된 전자지도로부터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경로와 방문하는 지역에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진입할 수 있는 건물의 현황,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충전장소를 포함한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서버(20)에는 전복낙상판단모듈(21)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탑승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전복되거나, 탑승한 사용자가 낙상하여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라고 판단하면, 전복 또는 낙상사고에 관한 정보를 전동이동보조기기보호자앱(40)을 포함하여 외부로 알림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또한, 서버(20)에는 노면상태판단모듈(23)에서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의 상태를 판단한 결과 이상 노면지역으로 판될 경우, 이상 노면지역임을 전동이동보보기기사용자앱을 포함한 외부로 알림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한편, 전동이동보조기기는 사용자의 체중을 직접 받으면서 노면이나 도로의 턱, 패인 곳, 경사로 등을 주행하기 때문에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잦은 고장이 발생한다.
만일,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주행할 때, 전동이동보조기기의 고장에 의해 전동이동보조기기가 구동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을 통해 전동이동보조기기의 고장상태를 서버(20)로 전송하면, 서버(20)는 외부로 알림전송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를 타고 주행하던 중 낙상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을 통해 서버(20)로 낙상사고를 발생사실을 전송한다. 이때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의 주행위치정보센서부(13)에서 획득한 사고발생 지점에 관한 위치정보도 함께 서버(20)로 전송된다.
사용자의 낙상사고 발생과 위치정보를 수신한 서버(20)에서는 외부에 위치한 구조기관으로 낙상사고를 전송하고, 구조기관에서는 구조자를 사고지역으로 파견하여 낙상사고를 당한 사용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조자가 낙상사고가 발생한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를 구조한 경우, 사용자는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을 통해 사고처리 완료상황을 서버(20)로 전송한다.
여기서, 구조기관은 119긴급구조센터, 구청, 경찰서를 포함한 지자체 관할 구조기관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서버(20)에서 전송된 낙상사고정보를 수신하여 낙상사고 위치로 구조자를 보내어 긴급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서버(20)에는 화강석블록, 시멘트블록, 아스팔트, 고무, 점토블록을 포함하여 노면의 마감재료에 따라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할 때 발생하는 노면의 정상상태 진동신호와 정상상태 노면의 기울기 신호에 대한 정보가 각각 미리 저장된다.
서버(20)에 저장되는 정상상태의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는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의 이동감지센서부(11)와 촬영부(14)를 통해 획득되거나 가속도센서(11a), 자이로센서(11b), 카메라가 포함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는 인공지능에 의한 학습을 진행한 후 이상노면 상태를 예측하게 된다.
즉, 서버(20)의 노면상태판단모듈(23)은 화강석블록, 시멘트블록, 아스팔트, 고무, 점토블록을 포함하여 노면의 마감재료에 따라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할 때 발생하는 노면의 정상상태 진동신호와 정상상태 노면의 기울기 신호를 학습자료로 하여 딥러닝 방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또는 머신러닝 방식으로 학습된 인공지능 API와 연동하여 이상노면 상태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여 마감재료를 달리하는 노면을 주행할 때,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의 이동감지센서부(11)와 촬영부(14)를 통해 획득한 노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한다.
서버(20)에서는 노면상태판단모듈(23)을 통해 전송된 노면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노면의 마감재료에 따라 미리 학습되어 저장된 정상상태 진동신호보다 크거나, 노면의 기울기 변화가 클 경우, 이상 노면상태로 판단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으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알림전송한다.
이후, 서버(20)에서는 해당 위치의 노면을 유지보수하기 위해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10)의 주행위치정보센서부(13)에서 해당 위치를 외부 기관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서버(20)에는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포함하여 교통약자가 이동할 때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전자지도가 구비된 길안내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서버(20)에 포함된 길안내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으로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된다.
서버(20)의 지리공간정보맵핑기능은 서버(20)의 노면상태판단모듈(23)을 통해 노면의 상태가 이상 노면상태로 판단될 경우, 이상노면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와 이상노면의 거리구간, 진동의 크기, 진동의 지속시간을 포함한 노면상태에 관한 정보를 노면이상등록부(22h)를 통해 길안내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전자지도 상에 맵핑되도록 한다.
한편,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에는 사용자수집정보제공기능이 포함되며, 사용자수집정보제공기능은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서버(20)에 구비된 길안내 프로그램을 최신 정보로 직접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은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의 주행 노선 중 이용에 불편한 구간과 사유를 서버(20)에 등록하여 구간 등록 사용자의 길 안내 시에 해당 구간이 포함되지 않도록 서버에 등록하는 이용불편구간신고부(31)를 포함한다.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의 사용자수집정보제공기능은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동 중의 지리정보 또는 공간정보를 포함한 업데이트 정보를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을 통해 직접 입력하여 서버(20)로 전송하면, 서버(20)에서는 지리공간정보맴핑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전송한 업데이트 정보를 지도생성모듈(22)을 통해 길안내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전자지도 상에 표시하기 위한 맵핑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길안내 프로그램의 전자지도 상에 표시된 특정 건물에 진입하고자 할 때, 해당 건물에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는 통로 또는 휠체어용 리프트가 없을 경우,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을 통해 서버(20)로 전송하면, 서버(20)에서는 전송받은 정보를 길안내 프로그램의 전자지도 상에 반영하여 길안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게 된다.
즉,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30)의 사용자수집정보제공기능은 사용자가 교통약자를 위한 길안내 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제작하거나 제작된 전자지도에 대한 업데이트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약자의 유형별로 맞춤형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 11 - 이동감지센서부
11a - 가속도센서 11b - 자이로센서
12 - 압력측정센서부 13 - 주행위치정보센서부
14 - 촬영부 20 - 서버
21 - 전복낙상판단모듈 22 - 지도생성모듈
22a - 데이터필터링부 22b - 노면정보등록부
22c - 공간정보등록부 22d - 고정체장애물등록부
22e - 이동체장애물수집예측부 22f - 등록데이터검토부
22g - 데이터맵핑부 22h - 노면이상등록부
22i - 사고다발구간등록부 22e - 우회구간설정부
23 - 노면상태판단모듈 24 - 주행패턴자세판단모듈
25 - 편의제공모듈 30 -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
31 - 이용불편구간신고부 40 - 전동이동보조기기보호자앱
100 -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laims (3)

  1. 전동이동보조기기의 동적 자세 및 기울기자세를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부,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주행 거리 및 주행 경로를 측정하는 주행위치정보센서부,
    전동이동보조기기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착석상태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탑승여부 또는 낙상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좌석 또는 방석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압력측정센서부, 및
    전동이동보조기기가 주행하는 노면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는 촬영부
    를 포함하고,
    이동감지센서부, 주행위치정보센서부, 및 촬영부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연산을 수행하고, 무선통신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전동이동보조기기에 구비되는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에 포함된 이동감지센서부와 압력측정센서부에서 전송한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전복여부와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하는 전복낙상판단모듈, 및
    사용자가 탑승된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주행을 통해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의 이동감지센서부, 주행위치정보센서부, 및 촬영부로 수집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전처리를 거쳐 전동이동보조기기의 최적 주행 노선을 제공할 수 있는 전용 지도생성을 위한 지도생성모듈
    을 포함하는 서버; 및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며, 서버로 분석된 결과를 포함하여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고, 길 안내를 제공할 수 있는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
    을 포함하고,
    서버의 지도생성모듈은
    사물인터넷기반디바이스의 이동감지센서부, 압력측정센서부, 주행위치정보센서부, 및 촬영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 중 식별하여 사용가능한 데이터를 선별하는 데이터필터링부,
    데이터필터링부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노면의 평탄성, 보행로의 재질, 포장도로의 상태, 보도블럭 종류 및 상태, 연석 위치, 배수구 덮개 위치, 점자블록 위치, 경사도, 및 자전거 도로 위치를 포함하는 노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구획화하여 정보를 등록하는 노면정보등록부,
    데이터필터링부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계단 상태 및 위치, 벽 위치, 창문 위치, 기둥 위치, 승강기 위치, 출입문 형태, 및 통행방향 표식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구획화하여 정보를 등록하는 공간정보등록부,
    데이터필터링부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바리게이트 위치, 벤치 위치, 볼라드 위치, 정류장 위치, 신호등 위치, 및 가로수 위치를 포함하는 고정된장애물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구획화하여 정보를 등록하는 고정체장애물등록부,
    데이터필터링부를 통해 필터링된 데이터로부터 자전거 위치, 차량 위치, 타인 위치, 유모차 위치, 및 휠체어 위치를 포함하는 이동이 가능한 장애물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으로 주행 알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체장애물수집예측부, 및
    지리공간정보맵핑기능이 포함되며, 지리공간정보를 길안내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전자지도 상에 맵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맵핑부
    를 포함하는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서버의 지도생성모듈은
    서버의 전복낙상판단모듈로 판단된 전복사고 또는 낙상사고 지점을 축적하고, 동일한 위치에 일정 빈도수 이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으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사고다발구간을 등록하는 사고다발구간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은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의 주행 노선 중 이용에 불편한 구간과 사유를 서버에 등록하여 구간 등록 사용자의 길 안내 시에 해당 구간이 포함되지 않도록 서버에 등록하는 이용불편구간신고부
    를 포함하고,
    서버는
    이용불편구간신고부로 등록된 구간, 사고다발구간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구간에 대한 길 안내 시, 우회하는 경로를 산출하여 설정하고, 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자앱을 통한 길 안내 시, 특정 조건에 따라 해당 구간이 포함되지 않고, 설정된 우회 경로로 길안내를 수행하도록 하는 우회구간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176320A 2021-12-10 2021-12-10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95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20A KR102395094B1 (ko) 2021-12-10 2021-12-10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20A KR102395094B1 (ko) 2021-12-10 2021-12-10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094B1 true KR102395094B1 (ko) 2022-05-09

Family

ID=8158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320A KR102395094B1 (ko) 2021-12-10 2021-12-10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0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235B1 (ko) * 2022-05-26 2022-07-15 (주)에스엔테크 터널 내 지능형 차량 정체 알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022B1 (ko) * 2019-01-24 2019-12-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낙상사고 대응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022B1 (ko) * 2019-01-24 2019-12-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낙상사고 대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235B1 (ko) * 2022-05-26 2022-07-15 (주)에스엔테크 터널 내 지능형 차량 정체 알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538B2 (ja) 装着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2056022B1 (ko) 휠체어 낙상사고 대응 시스템
KR102002303B1 (ko) 보행자-차량 간의 상충위험도 분석시스템
JP2020111223A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KR102395094B1 (ko) 위험 구간의 우회가 가능한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4037269A (ja) 自立移動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2030373B1 (ko) 실내 상시 공간 관리 기반 운영 시스템
KR20190070269A (ko)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3768A (ko) 장애인의 이동 경로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CN116390702A (zh) 行人装置、信息收集装置、基站装置、定位方法、使用者管理方法、信息收集方法以及设施监视方法
JP2004024853A (ja) 歩行支援装置
US1110730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mergency event management
KR20230101118A (ko) 노면 이상 구간 판단 및 교통약자 전용 지도 생성을 통한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2775B1 (ko) 교통약자전용 지도 생성 및 맞춤형 길안내 시스템
JP2005004542A (ja) 移動体通信装置及びサーバ装置及び歩行誘導装置及び移動体通信方法及び通信方法及び歩行誘導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9911734A (zh) 灾害信息支援系统以及灾害信息支援方法
KR102542337B1 (ko) 전동이동보조기기 운행 보조 시스템
JP3697632B2 (ja) 歩行支援システム
KR102579217B1 (ko)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지도생성시스템
KR102537450B1 (ko) 딥러닝 기반의 객체인식기술을 이용한 교통약자 전용 지도 자동생성 시스템
KR20200012225A (ko) 스마트 운용형 운반차 및 그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19833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전동보장구 운행보조 통합 시스템
JP6920072B2 (ja) 移動補助装置、管理装置、移動補助システム、及び移動補助装置の制御方法
KR102358440B1 (ko)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디바이스 운영시스템
KR20200124707A (ko)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