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269A -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269A
KR20190070269A KR1020180147019A KR20180147019A KR20190070269A KR 20190070269 A KR20190070269 A KR 20190070269A KR 1020180147019 A KR1020180147019 A KR 1020180147019A KR 20180147019 A KR20180147019 A KR 20180147019A KR 20190070269 A KR20190070269 A KR 20190070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i
navigation
disabled pers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2916B1 (ko
Inventor
오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뮤즈트래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뮤즈트래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뮤즈트래블
Priority to US16/202,32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76854B2/en
Priority to JP2018223912A priority patent/JP6838597B2/ja
Publication of KR2019007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2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output of POI informati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79Updates performed during online database operations; commit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for automatically guiding movable devices, e.g. stretchers or wheelchairs in a hospi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avig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휠체어가 도로 및 인도에서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크롤링하여 해당 도로 정보가 반영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이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OF DISABLED PERSON BASED ON IMAGE ANALYSIS}
본 발명은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가 도로에서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크롤링하여 해당 도로 정보가 반영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내비게이션 시스템, 위성항법장치(GPS) 등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또는 시설 검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해당 기술의 세분화와 보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조하는 다양한 기술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비해 일반 사용자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장애를 가진 사용자에 특정된 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또한 그 필요성이 늘어가고 있지만, 일반 사용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분한 기술 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애인 등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위치 기반의 지리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일본특허공개 2007-13948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휠체어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제공되기도 한다.
그러나 장애인이 휠체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일은 경계석의 턱이나 계단, 급격한 경사 길을 피해서 안전한 길을 찾는 것이다.
이 경우 휠체어가 통과하기가 어려운 도로의 보도턱과 과도한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지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휠체어리프트나 휠체어용 경사로는 없고 일반인을 위한 계단만 설치된 지역이나 건물은 피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체어가 도로에서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크롤링하여 해당 도로 정보가 반영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임의의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길안내 정보와 장애인 편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가 포함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GPS 신호에 기초한 이동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는 내비게이션(100),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길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길안내 정보와, POI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장애인 편의 POI 정보가 포함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상기 내비게이션(100)으로 전송하고, 상기 내비게이션(100)에서 전송되는 이동정보를 POI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200), 크롤링부(400)에서 수집된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분석하여 도로 정보와 매칭한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제공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전송되는 내비게이션(100)의 이동정보를 분석하여 검색되는 오류 정보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반영되도록 관리하는 POI 관리 서버(300), 및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수집되는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상기 POI 관리 서버(300)로 입력하는 크롤링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인 편의 POI 정보는 도로상의 점자블록, 경계석의 높이, 건물의 경사로 입구, 화장실, 엘리베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크롤링부(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로드뷰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도로의 점자블록 위치 정보와, 경계석의 높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POI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는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 및 임의의 POI에서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건물의 경사로 입구, 화장실, 엘리베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POI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는 오프라인 정보 수집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로드뷰 이미지들로부터 점자블록이 포함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로드뷰 이미지들은 기준 거리 당 기준 개수의 이미지들로 구성되고, 상기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기준 개수의 이미지들 중 현재 이미지의 순번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이미지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장애인 편의 POI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길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POI 관리 서버(300)가 크롤링부(400)를 통해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도로 정보를 반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b) 임의의 내비게이션(100)이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길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길안내 정보와, POI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가 포함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0)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비스 서버(200)가 내비게이션(100)의 이동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내비게이션(100)의 이동정보를 상기 POI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POI 관리 서버(300)는 상기 내비게이션(100)의 이동 정보를 분석하여 오류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오류 정보를 장애인 POI 지도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크롤링부(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임의의 포털 서버와 접속하고, 상기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로드뷰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도로의 점자블록 위치 정보와, 경계석의 높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임의의 POI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건물의 경사로 입구, 화장실, 엘리베이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크롤링부(400)는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로드뷰 이미지들로부터 점자블록이 포함된 이미지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로드뷰 이미지들은 기준 거리 당 기준 개수의 이미지들로 구성되고, 상기 a) 단계의 크롤링부(400)는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기준 개수의 이미지들 중 현재 이미지의 순번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이미지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의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장애인 편의 POI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휠체어가 도로 또는 인도에서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크롤링하여 해당 도로 정보가 반영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의 POI 데이터 수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 결과.
도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편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가 표시된 내비게이션 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의 POI 데이터 수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내비게이션(100)과, 서비스 서버(200)와, POI 관리 서버(300)와, 크롤링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비게이션(10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200)와 접속하고, GPS 신호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위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의의 목적지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길안내 정보와 장애인 편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가 포함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내비게이션 1(110), 내비게이션 2(120) ‥ 내비게이션 n(130) 등의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100)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동안 GPS 신호에 기초한 내비게이션(100)의 이동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즉 상기 내비게이션(100)에 의한 이동 정보와 서비스 서버(200)에서 전송된 길안내 정보 사이의 안내 오류, 경로 이탈, 장애물 편의 POI의 위치 불일치 정보 등을 검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내비게이션(100)에서 요청되는 목적지로의 길안내 정보 수신하면,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길안내 정보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서 검색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POI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검색된 길안내 정보와 함께 병합하여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내비게이션(100)으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는 POI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장애인 편의 POI 정보에 기반하여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200)는 계단이나 높은 턱이 있는 길은 우회할 수 있도록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200)는 장애인 화장실, 장애인 엘레베이터가 있는 시설 중심으로 최적화된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200)는 점자블록을 중심으로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는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보도, 횡단보도 정보와 함께, 육교 및 지하도를 건너가기 위한 엘리베이터 위치 정보, 휠체어 승/하강 리프트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여 임의의 포맷으로 제공되는 지도 정보 상에 이동 경로와 함께 표시된다. 도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나타낸다. 도5를 참조하면, 장애인이 이동할 수 있는 길(예를 들어,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는 보도)이 핀(Pin)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는 경계석의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휠체어의 이동이 가능한 경계석의 단차가 낮은 곳을 포함하여 이동 경로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는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의 지도 정보로 전송될 수 있으며,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내비게이션(100)에서 전송되는 이동 정보를 수신하여 POI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POI 관리 서버(300)는 크롤링부(400)에서 수집된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저장된 도로 정보와 매칭한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POI 관리 서버(300)는 상기 생성된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서비스 서버(200)로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전송되는 내비게이션(100)의 이동 정보를 분석하여 오류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오류 정보를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시켜 관리한다.
즉 상기 POI 관리 서버(300)는 내비게이션(100)에 의한 이동 정보와 서비스 서버(200)에서 전송된 길안내 정보 사이의 안내 오류, 경로 이탈, 장애물 편의 POI의 위치 오류 정보 등을 검출하여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에 설정된 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장애인 편의 POI 정보의 수정 등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한다.
상기 크롤링부(400)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수집되는 로드뷰(또는, 스트리트뷰) 이미지 정보와 임의의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POI 관리 서버(300)로 입력하는 구성으로서,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와, 오프라인 정보 수집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로드뷰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로의 점자블록, 경계석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점자블록 및 경계석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점자블록의 위치 정보와, 경계석의 높이 정보를 추출하여 POI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OPEN API, WEB CRAW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점자블록은 표준화된 모양과 고유의 색상(노랑색)을 구분하여 추출하고, 경계석은 도로의 색상, 차선, 경계석의 형상 및 도로와의 단차 등을 구분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원본 로드뷰 이미지들은 기준 거리 당 소정 개수의 이미지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원본 로드뷰 이미지들 중 일부만을 크롤링하여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로드뷰 이미지들은 10미터 당 60개의 이미지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원본 이미지들 60개 중 20개만 샘플링하여 크롤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분류 모델을 사용하여, 크롤링된 이미지들로부터 점자블록이 포함된 이미지들을 분류할 수 있다. 분류 모델에 대한 학습은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류 모델에 대한 학습은 점자블록이 포함된 수많은 이미지들을 입력으로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 모델로서, 텐서플로(Tensor Flow)와 같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이미지들을 블록(block), 차도(road), 및 인도(sidewalk)로 분류한 결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크롤링된 로드뷰 이미지를 점자 블록, 차도, 및 인도 중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를 라벨링할 수 있다.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분류 모델에 기반하여, 현재 로드뷰 이미지가 점자 블록 이미지일 확률, 차도 이미지일 확률, 및 인도 이미지일 확률을 결정하고 점자 블록 이미지일 확률이 임계 값 이상인 로드뷰 이미지를 점자 블록 이미지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1 내지 3을 참조하면,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분류 모델을 사용하여, 크롤링된 이미지들에 대해 턱의 높이 차이, 경사로에 대한 구분, 계단에 대한 구분 등과 같은 이미지 분류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이미지 분류 작업은, 점자블록이 포함된 이미지들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한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크롤링된 이미지들 각각에 대한 위도 및 경도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원본 로드뷰 이미지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기준 개수의 이미지들 중 현재 이미지의 순번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이미지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로드뷰 이미지들이 기준 거리 당 소정 개수의 이미지들로 구성되어 있고, 기준 거리 별로 할당된 이미지들을 하나의 프레임이라고 할 경우, 하나의 프레임 별로 제공되는 위도 및 경도 정보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여 프레임 내의 임의의 이미지에 대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각 프레임 별로 크롤링된 이미지가 20개인 경우, n번째 프레임의 제1위도 및 경도 정보와 n+1번째 프레임에 대한 제2위도 및 경도 정보에 기반하여, n번째 프레임에 포함된 첫 번째 이미지(즉, 20개의 이미지들 중에 첫 번째 이미지)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제2위도 및 경도 정보와 제1위도 및 경도 정보의 차이의 1/20에 기반하여 보정할 수 있다.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추출된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주변 건물의 POI 정보와 함께 POI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오프라인 정보 수집부(420)는 카메라(예를 들어, 360도 액션캠) 등의 촬영수단과, GPS 신호를 이용한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촬영수단으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POI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임의의 POI, 즉 특정 건물, 육교, 지하도, 공중 화장실, 지하철역 등에서 촬영한 건물의 경사로 입구, 화장실 입구, 엘리베이터 등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장애인 편의 POI 정보의 위치 정보와 함께 POI 관리 서버(300)로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오프라인 정보 수집부(420)는 포털 서버에서 로드뷰를 제공하지 않는 장소에 대한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가 다니지 못하고 사람만 다닐 수 있는 좁은 길의 경우 로드뷰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 정보 수집부(420)는 카메라로 획득한 이미지 및/또는 사람이 직접 획득한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또는, POI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오프라인 정보 수집부(42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된 장애인 편의 POI 는, 포털 서버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포털 서버는 이에 기반하여 더욱 광범위하고 정확한 POI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애인 편의 POI 정보는 도로상의 점자블록, 경계석의 높이, 건물의 경사로 입구, 화장실, 엘리베이터 정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장애인 편의시설이 POI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오프라인 정보 수집부(420)에서 수집되는 이미지 정보 또는 장애인 편의 POI 정보는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에서 크롤링된 이미지와 연동되어 POI 관리 서버(30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로드뷰 이미지에 오프라인 정보 수집부(420)에서 수집되는 이미지가 병합되어 POI 관리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POI 관리 서버(300)가 상기 크롤링부(400)를 통해 수집된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100)한다.
상기 S100 단계는 크롤링부(400)가 OPEN API, WEB CRAWLER 등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로드뷰 이미지를 수집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로의 점자블록, 경계석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점자블록 및 경계석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점자블록의 위치 정보와, 경계석의 높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장애인 편의 POI 정보와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110)한다.
또한, 상기 S100 단계에서, 상기 크롤링부(400)는 오프라인 정보 수집부(420)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상에서 특정 건물, 육교, 지하도, 공중 화장실, 지하철역 등에서 촬영한 건물의 경사로 입구, 화장실 입구, 엘리베이터 입구 등을 촬영한 이미지를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장애인 편의 POI 정보의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120)한다.
또한, 상기 S100 단계에서, 상기 크롤링부(400)는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로드뷰 이미지들로부터 점자블록이 포함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다. 분류 모델에 대한 학습은 머신 러닝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류 모델에 대한 학습은 점자블록이 포함된 수많은 이미지들을 입력으로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류 모델로서, 텐서플로(Tensor Flow)와 같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S100 단계에서, 상기 크롤링부(400)는 크롤링된 이미지들 각각에 대한 위도 및 경도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원본 로드뷰 이미지들에 대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크롤링부(400)는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기준 개수의 이미지들 중 현재 이미지의 순번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이미지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로드뷰 이미지들이 기준 거리 당 소정 개수의 이미지들로 구성되어 있고, 기준 거리 별로 할당된 이미지들을 하나의 프레임이라고 할 경우, 하나의 프레임 별로 제공되는 위도 및 경도 정보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여 프레임 내의 임의의 이미지에 대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롤링부(400)는, 각 프레임 별로 크롤링된 이미지가 20개인 경우, n번째 프레임의 제1위도 및 경도 정보와 n+1번째 프레임에 대한 제2위도 및 경도 정보에 기반하여, n번째 프레임에 포함된 첫 번째 이미지(즉, 20개의 이미지들 중에 첫 번째 이미지)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제2위도 및 경도 정보와 제1위도 및 경도 정보의 차이의 1/20에 기반하여 보정할 수 있다.
상기 S100 단계를 수행한 다음, POI 관리 서버(300)는 상기 S100 단계에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장애인 편의 POI 정보와 도로 정보를 반영하여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를 생성(S200)한다.
상기 S200 단계에서 생성된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는 서비스 서버(200)에 제공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요청을 검출(S300)한다.
상기 S300 단계에서 임의의 내비게이션(100)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내비게이션(100)에서 입력되는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길안내 정보를 미리 저장된 지도 정보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길안내 정보와, POI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가 포함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0)으로 전송(S400)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는 POI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장애인 편의 POI 정보에 기반하여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200)는 계단이나 높은 턱이 있는 길은 우회할 수 있도록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200)는 장애인 화장실, 장애인 엘레베이터가 있는 시설 중심으로 최적화된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200)는 점자블록을 중심으로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S400 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내비게이션(100)에 전송되는 이동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내비게이션(100)의 이동정보를 POI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POI 관리 서버(300)는 상기 내비게이션(100)의 이동 정보를 분석(S500)한다.
상기 S500 단계에서, 상기 내비게이션(100)의 이동 정보로부터 안내 오류, 경로 이탈, 장애물 편의 POI의 위치 불일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오류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POI 관리 서버(300)는 상기 검색된 오류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에 반영(S600)한다.
따라서, 휠체어가 도로 또는 인도에서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크롤링하여 해당 도로 정보가 반영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동하거나 특정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임의의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길안내 정보와 장애인 편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가 포함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GPS 신호에 기초한 이동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는 내비게이션(100);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길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길안내 정보와, POI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장애인 편의 POI 정보가 포함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상기 내비게이션(100)으로 전송하고, 상기 내비게이션(100)에서 전송되는 이동정보를 POI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200);
    크롤링부(400)에서 수집된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분석하여 도로 정보와 매칭한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제공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전송되는 내비게이션(100)의 이동정보를 분석하여 검색되는 오류 정보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반영되도록 관리하는 POI 관리 서버(300); 및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수집되는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상기 POI 관리 서버(300)로 입력하는 크롤링부(400)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편의 POI 정보는 도로상의 점자블록, 경계석의 높이, 건물의 경사로 입구, 화장실, 엘리베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롤링부(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로드뷰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도로의 점자블록 위치 정보와, 경계석의 높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POI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는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 및
    임의의 POI에서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건물의 경사로 입구, 화장실, 엘리베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POI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는 오프라인 정보 수집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로드뷰 이미지들로부터 점자블록이 포함된 이미지를 분류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로드뷰 이미지들은 기준 거리 당 기준 개수의 이미지들로 구성되고,
    상기 온라인 정보 수집부(410)는,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기준 개수의 이미지들 중 현재 이미지의 순번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이미지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결정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장애인 편의 POI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a) POI 관리 서버(300)가 크롤링부(400)를 통해 장애인 편의 POI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도로 정보를 반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b) 임의의 내비게이션(100)이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길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길안내 정보와, POI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장애인 편의 POI 지도 정보가 포함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0)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비스 서버(200)가 내비게이션(100)의 이동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내비게이션(100)의 이동정보를 상기 POI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POI 관리 서버(300)는 상기 내비게이션(100)의 이동 정보를 분석하여 오류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오류 정보를 장애인 POI 지도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크롤링부(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임의의 포털 서버와 접속하고, 상기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로드뷰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도로의 점자블록 위치 정보와, 경계석의 높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임의의 POI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건물의 경사로 입구, 화장실, 엘리베이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크롤링부(400)는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로드뷰 이미지들로부터 점자블록이 포함된 이미지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로드뷰 이미지들은 기준 거리 당 기준 개수의 이미지들로 구성되고,
    상기 a) 단계의 크롤링부(400)는 상기 임의의 포털 서버에서 제공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기준 개수의 이미지들 중 현재 이미지의 순번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이미지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장애인 편의 POI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47019A 2017-12-12 2018-11-26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92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02,328 US10876854B2 (en) 2017-12-12 2018-11-28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of disabled person based on image analysis
JP2018223912A JP6838597B2 (ja) 2017-12-12 2018-11-29 イメージ分析に基づく障害者用ナビゲーショ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679 2017-12-12
KR20170170679 2017-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269A true KR20190070269A (ko) 2019-06-20
KR102192916B1 KR102192916B1 (ko) 2020-12-18

Family

ID=6673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019A KR102192916B1 (ko) 2017-12-12 2018-11-26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178676A1 (ko)
KR (1) KR1021929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899A (ko) * 2020-01-17 2021-07-27 네이버 주식회사 건물에 대해 매핑된 입구점을 사용하여 poi의 입구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4803A (ko) * 2020-04-07 2021-10-15 주식회사 어뮤즈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US11509742B2 (en) 2019-10-10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computing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5244B (zh) * 2021-02-03 2022-10-14 上海博汽智能科技有限公司 适用于复杂立交桥的快速导航系统及导航方法
KR102452843B1 (ko) * 2021-12-10 2022-10-11 (주) 경성테크놀러지 장애인 전용 지도 생성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2570A (ja) * 2010-08-16 2012-03-01 Mic Ware:Kk ストリートビュー自動出力装置、ストリートビュー自動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13768A (ko) * 2013-03-13 2014-09-25 주식회사 아이티굿 장애인의 이동 경로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JP2015076714A (ja) * 2013-10-08 2015-04-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報知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70764A (ko) * 2013-12-17 2015-06-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2570A (ja) * 2010-08-16 2012-03-01 Mic Ware:Kk ストリートビュー自動出力装置、ストリートビュー自動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13768A (ko) * 2013-03-13 2014-09-25 주식회사 아이티굿 장애인의 이동 경로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JP2015076714A (ja) * 2013-10-08 2015-04-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報知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70764A (ko) * 2013-12-17 2015-06-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지혜. 로드뷰 영상에서의 다 차선 및 노면 표시 검출 방법. 발행장소:연세대학교. 2016.12.19.*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9742B2 (en) 2019-10-10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computing service
KR20210092899A (ko) * 2020-01-17 2021-07-27 네이버 주식회사 건물에 대해 매핑된 입구점을 사용하여 poi의 입구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4803A (ko) * 2020-04-07 2021-10-15 주식회사 어뮤즈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916B1 (ko) 2020-12-18
US20190178676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916B1 (ko)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3697454B1 (ja) 個人の身体特性に応じた経路案内システム
Ahmetovic et al. Mind your crossings: Mining GIS imagery for crosswalk localization
KR101955568B1 (ko) 모바일 센서 데이터 기반 교통 약자 맞춤형 이동 경험조사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53193A1 (en) Navig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lassifications
JP6838597B2 (ja) イメージ分析に基づく障害者用ナビゲーショ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04252A (ko) 보행자 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20050256885A1 (en) Self-sustained moving support system, method of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Weyrer et al. Intermodal door-to-door routing for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in a web-based, open-source platform
KR20140113768A (ko) 장애인의 이동 경로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210058659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Gani et al. Smart surface classification for accessible routing through built environment: A crowd-sourced approach
KR20150070764A (ko)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Mancini et al. Point to point navigation for people with mobility impairments
Zeng et al. A pilot study of collaborative accessibility: How blind people find an entrance
Kozievitch et al. An alternative and smarter route planner for wheelchair users: Exploring open data
KR102504941B1 (ko)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한 사물주소 기반의 배달 방법 및 장치
US108768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of disabled person based on image analysis
Kulakov et al. Navigation infrastructu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ohen Building a weighted graph based on OpenStreetMap data for routing algorithms for blind pedestrians
KR20230101118A (ko) 노면 이상 구간 판단 및 교통약자 전용 지도 생성을 통한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Laakso Improving accessibility for pedestrians with geographic information
JP2003021535A (ja) 通行者用ナビゲーションの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st et al. Mapping for Access: A Methodology for Improving Inclusion on University Campuses
KR102559789B1 (ko) 실시간 스트리밍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