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803A -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803A
KR20210124803A KR1020200042320A KR20200042320A KR20210124803A KR 20210124803 A KR20210124803 A KR 20210124803A KR 1020200042320 A KR1020200042320 A KR 1020200042320A KR 20200042320 A KR20200042320 A KR 20200042320A KR 20210124803 A KR20210124803 A KR 20210124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eived
disabled
uni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995B1 (ko
Inventor
오서연
김찬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뮤즈
Priority to KR1020200042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995B1/ko
Priority to US16/897,247 priority patent/US20210310813A1/en
Publication of KR20210124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01C21/32Structuring or formatting of map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41Data obtained from two or more sources, e.g. probe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영상정보, 현재위치정보, 기울기 정보로 각각 분류하는 정보분류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와 현재위치를 동일 시간을 기준으로 매칭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위치정보를 시간을 기준으로 추적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지정하는 경로지정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거리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 단위거리별 경사도를 산출하는 경사도 파악부, 상기 경사도 파악부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단위거리의 경사도를 이용하여 보행 레벨을 결정하는 보행편의 분석부, 그리고 수신되는 현재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지도정보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현재위치한 장소의 POI를 파악하고, 상기 경로지정부로부터 수신된 제1 경로와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 및 상기 경사도 파악부로부터 수신된 보행레벨을 이용하여 장애인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지도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MAP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DEVICE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제공자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장애인이나 고령자, 임산부 등의 교통약자를 위한 보행정보를 수집하고 장애인용 지도 제작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로 분석 및 가공하여 제공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선진화되면서, 도로, 항만, 수도, 전기, 학교 등 도시의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공 데이터를 수집·활용하여 교통, 에너지 등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스마스시티 구축을 위한 일환으로 장애인이나 고령자, 임산부 등의 교통약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은 정부의 정책이나 기업에서의 지원 등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의 하나로, 현재 교통약자를 위한 지도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이 있으며, 또한 교통약자에게 목적지까지 최적 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지도상에 교통약자(장애인 포함)를 위한 시설을 안내하거나 보행장애요소를 표시하는 정도만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교통약자에게 목적지까지 최적 경로를 제공하거나 교통약자를 위한 지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건물이나 공공시설 등에 대하여 교통약자편에서의 실질적인 보행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시시각각 변화하는 교통약자용 시설이나 불편 시설들을 즉시 반영해야 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809596호(등록일자: 2017.12.11.자) 2. 일본등록특허 제3056754호(등록일자: 1998.12.9.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빙랩의 개념을 적용하여, 건물이나 공공시설 등에 대하여 교통약자편에서의 실질적인 보행 정보 및 시시각각 변화하는 교통약자용 시설이나 불편 시설들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교통약자용 지도(이하 "장애인용 지도"라 함)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영상정보, 현재위치정보, 기울기 정보로 각각 분류하는 정보분류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와 현재위치를 동일 시간을 기준으로 매칭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위치정보를 시간을 기준으로 추적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지정하는 경로지정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거리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 단위거리별 경사도를 산출하는 경사도 파악부, 상기 경사도 파악부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단위거리의 경사도를 이용하여 보행 레벨을 결정하는 보행편의 분석부, 그리고 수신되는 현재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지도정보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현재위치한 장소의 POI를 파악하고, 상기 경로지정부로부터 수신된 제1 경로와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 및 상기 경사도 파악부로부터 수신된 보행레벨을 이용하여 장애인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지도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인용 지도정보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기의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 정보,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GPS 장치에서 측정된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행편의 분석부는 설정 단위거리의 경사도가 제1 각도 미만이면 휠체어 이동가능 레벨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1 각도 이상이면 휠체어 이동에 신경을 써야 하는 주의레벨이라고 판단하며,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 이상이면 휠체어 이동불가능 레벨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지도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경로 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설정 단위거리의 경사도가 모두 상기 제1 각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1 경로를 유효 보행경로로 판단한다.
상기 정보수집부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위치정보가 최초 수신되는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수집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수집동작을 중지한다.
또는, 상기 정보수집부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보전송시작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수집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보전송종료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수집동작을 중지한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물이나 공공시설 등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건물이나 시설로 진입하기 위한 보행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수집한 보행 정보를 교통약자 입장에서 분석하여 지도상에 반영될 수 있게 하여, 전국 각지에 위치한 다수의 일반 사용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장애인용 지도를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건물이나 공공시설물 등의 외부에서 내부로의 진입 경로에 대하여 장애인 등의 교통약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유효 보행경로를 쉽게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고, 유효하지 않은 보행 경로에 대한 이유를 파악할 수 있게 하여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의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 및 분석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 및 분석 장치의 정보수집 동작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 및 분석 장치의 정보수집 동작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 및 분석 장치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하,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 예가 명확하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이라는 용어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회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 및 분석 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는 장애인이나 고령자, 임산부 등의 교통약자를 위해 지도상에 표시되는 제1 정보를 위한 기초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장애인용 지도정보는 현재위치정보(GPS 좌표), 현재위치에서의 기울기 정보, 현재위치에서의 영상정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정보는 예컨대, 경로정보, 해당 경로상에서 현재위치에서의 영상정보, 기울기 정보, 보행레벨 등이며, 보행레벨은 휠체어 이동가능 레벨, 휠체어 이동불가능 레벨, 주의레벨 등이 있다.
이러한 보행 레벨의 결정은 경로의 기울기를 기준으로 하며, 레일이나 손잡이 등의 이동보조수단이 구비되어 있는지 또는 도로가 손상이 되어 있는지, 휠체어의 회전반경 확보가 가능한지, 주변에 위험 요소가 있는지 등도 반영될 수 있다. 경로의 기울기는 설정 단위거리당 기울기이며, 단위거리는 1m, 5m, 10m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의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100)의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단말(10),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100)(이하 "수집/분석장치"라 함) 및 장애인지도 생성장치(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현재위치 측정, 현재위치에서의 기울기 측정 및 촬영이 가능하며, 휴대성을 가진 단말이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은 모바일, 노트북, 테블릿 PC 등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은 수집/분석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수집앱(수집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으며, 수집앱을 통해 수집/분석장치(100)에 접속하고 획득한 정보를 수집/분석장치(100)에 전달한다.
수집/분석장치(1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즉, 제1 정보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분석 및 가공하여 장애인용 지도정보인 제1 정보를 생성하며, 제1 정보를 장애인지도 생성장치(200)에 제공하는 장치이거나 인터넷 서버이다.
장애인지도 생성장치(200)는 일반적인 지도(MAP)를 기반으로 수집/분석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인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1 정보를 기존의 지도 상에 표시하여 장애인지도를 생성하는 장치 또는 인터넷 서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집/분석장치(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수집/분석장치(100)에 접속하고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집/분석장치(100)로 전달하는 모바일앱인 수집앱(11)이 설치된다. 이때 수집앱(11)은 사용자 단말(10)에 탑재된 카메라(12), GPS 장치(13)및 기울기 측정장치(14)와 연동하여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수집앱(11)은 카메라(12)로부터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GPS 장치(13)로부터 현재위치정보(GPS 좌표)를 획득하며, 기울기 측정장치(14)를 통해 기울기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기울기 측정장치(14)는 자이로센서이거나 기울기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집/분석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1), 정보수집부(102), 정보분류부(103), 영상처리부(104), 경로지정부(105), 경사도 파악부(106), 보행편의 분석부(107), 지도정보 생성부(108) 및 데이터베이스(109)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집/분석장치(100)와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1)는 사용자 단말(10)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정보수집부(1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집한다. 정보분류부(103)는 수집한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영상정보, 현재위치정보, 기울기 정보로 각각 분류하고, 영상정보는 영상처리부(104)에 제공하고, 현재위치정보는 영상처리부(104)와 경로지정부(105)에 제공하며, 기울기 정보는 경사도 파악부(106)에 제공한다. 여기서, 현재위치정보, 기울기 정보 및 영상정보에는 해당 정보를 획득한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영상처리부(104)는 정보분류부(103)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와 현재위치를 동일 시간을 기준으로 매칭한다. 경로지정부(105)는 수신되는 현재위치정보 즉 GPS 좌표를 시간을 기준으로 추적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지정한다. 경로지정부(105)는 지정한 경로를 지도정보 생성부(108)에 제공한다.
경사도 파악부(106)는 기울기 정보와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현재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거리와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이동거리 즉, 설정 단위거리별 기울기 즉 경사도를 산출한다.
보행편의 분석부(107)는 경사도 파악부(106)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단위거리의 경사도를 이용하여 보행 레벨을 결정한다. 예컨대, 보행편의 분석부(107)는 설정 단위거리의 경사도가 제1 각도 미만이면 휠체어 이동가능 레벨이라고 판단하고, 제1 각도 이상이면 휠체어 이동에 신경을 써야 하는 주의레벨이라고 판단하며, 제2 각도 이상이면 휠체어 이동불가능 레벨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보행편의 분석부(107)는 일정구간에서의 설정 단위거리의 경사도가 계단 이동시에서 나타내는 경사도 패턴 즉, 일정 경사가 나타나는 구간과 경사가 없는 구간이 반복하여 나타나는 패턴이 발견되면 장애물 또는 계단 등으로 판단하고, 이를 휠체어 이동불가능 레벨로 판단함과 더불어 "장애물"임을 지도정보 생성부(108)에 알린다.
지도정보 생성부(108)는 수신되는 현재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9)의 지도정보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현재위치한 장소의 POI(Point Of Interest)를 파악한다. 그리고 지도정보 생성부(108)는 경로지정부(105)로부터 제1 경로를 수신하고, 영상처리부(104)를 통해 현재위치정보와 매칭된 영상을 수신하며, 경사도 파악부(106)로부터 현재위치정보와 매칭된 보행레벨을 수신한다. 그런 다음 지도정보 생성부(108)는 제1 경로의 각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여 동일 현재위치정보와 영상과 보행레벨을 매칭한 장애인 경로정보를 생성한다.
물론 장애인 경로정보에는 현재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장애물"표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장애인 경로정보가 생성되면, 지도정보 생성부(108)는 파악한 POI와 장애인 경로정보를 매칭한 지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지도정보를 장애인지도 생성장치(200)에 제공한다.
한편, POI와의 매칭은 경로지정부(105)에서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POI에 매칭되는 정보는 제1 경로이다,
또 한편, 지도정보 생성부(108)는 장애인 경로정보에 포함된 보행레벨 중 장애인 이동불가능 레벨과 주의레벨이 하나라도 포함되지 않으면 유효 보행경로로 판단하고, 이동불가능 레벨과 주의레벨이 하나라도 포함되면 위험 보행경로로 판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 및 분석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특정 건물이나 공공시설의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는 해당 건물이나 공공시설로 진입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집/분석장치(100)에 제공하기 위하여, 자신의 사용자 단말(10)에 탑재된 수집앱을 실행시킨다(S301).
이에 사용자 단말(10)은 수집/분석장치(100)에 접속하고 정보제공의 시작을 알린다(S302). 정보제공의 시작은 수집앱(11)을 통해 수집/분석장치(100)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가 수집앱(11)을 통해 별도로 정보제공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정보제공 시작이 되면, 수집앱(11)은 GPS 장치(12)를 동작시켜 GPS 정보를 획득하고(S303), 카메라(12)를 구동시켜 진행경로 전면 또는 주변을 촬영하게 하여 해당 영상을 획득하며(S304), 기울기 측정장치(14)를 구동시켜 현재위치에서의 기울기를 측정하게 하여 측정된 기울기를 획득한다(S305).
그리고 수집앱(11)은 획득한 영상정보, 현재위치정보 및 기울기 정보 등의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설정시간마다 수집/분석장치(100)에 제공한다(S306). 여기서, 영상정보, 현재위치정보 및 기울기 정보에는 해당 정보를 획득한 시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수집/분석장치(100)는 설정시간마다 수신되는 장애인용 수집정보를 수집하고(S307), 수집정보의 GPS 좌표를 이용하여 수집정보와 관련되는 POI를 파악한다(S308). 여기서, POI 파악은 영상처리부(104), 경로지정부(105), 경사도 파악부(106) 중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집/분석장치(100)는 수신되는 수집정보를 종류별로 분류하고(S309), 수신한 촬영정보를 GPS 좌표 즉, 현재위치정보와 매칭시키고(S310), 기울기 정보를 GPS 좌표와 매칭시킨다(S311). 그리고 수집/분석장치(100)는 S310 및 S311 과정을 처리한 정보를 계속해서 누적한다(S312). 이러한 정보의 누적은 정보수집이 종료될때까지 수행된다.
수집/분석장치(100)는 정보수집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313), 정보수집이 종료되면 수집시작부터 수집종료때까지 누적된 현재위치정보(GPS 좌표)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를 생성한다(S314). 그리고 수집/분석장치(100)는 정보수집이 종료되면 수집시작부터 수집종료때까지 누적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 단위거리별 경사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설정 단위거리별 경사도에 대한 보행 레벨을 결정한다(S315). 이렇게 결정된 보행 레벨이나 경사도는 현재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를 기준으로 보행 경로에 반영되고, 이때에 촬영정보 또한 현재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를 기준으로 보행 경로에 반영된다.
이렇게 보행 레벨과 촬영정보가 포함된 보행 경로가 생성되면, 수집/분석장치(100)는 생성한 보행 경로가 유효한 보행경로인지 또는 위험한 보행경로인지를 파악한다(S316).
수집/분석장치(1000는 유효 보행경로라고 판단하면(S317), 유효 보행경로를 POI와 매칭시켜 장애인 지도용 정보로 장애인지도 생성장치(200)에 제공한다(S318). 반면에, 수집/분석장치(1000는 유효 보행경가 아니라고 판단하면(S317), 알람정보를 생성하고(S319), 생성한 알람정보와 함게 유효 보행경로를 POI와 매칭시키고 장애인 지도용 정보로 장애인지도 생성장치(200)에 제공한다(S320).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S314 과정과 S315 과정을 정보수집이 종료된 이후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정보수집이 종료되기 전에 수행하도록 할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집/분석장치(100)는 특정 건물이나 공공시설물 등의 외부에서 내부로의 진입 경로에 대하여 장애인 등의 교통약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유효 보행경로를 쉽게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효하지 않은 보행 경로에 대하여 위험 레벨 또는 주의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어떤 위치에서 위험 또는 주의가 필요한지를 알 수 있게 하고, 영상 정보를 통해 위험 또는 주의가 필요한 위치에서의 위험 또는 주의 요소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 및 분석 장치의 정보수집 동작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정보수집을 시작하고 정보수집을 마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의 수집앱(11)을 실행시키고(S401), 수집/분석장치(100)에 접속한다(S402).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집앱(11)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정보전송시작을 명령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정보전송시작을 수신하고(S403), 수집/분석장치(100)로 정보전송시작을 알린다(S404).
이에 수집/분석장치(100)는 정보수집을 위한 수집모드를 설정한다(S405). 여기서, 수집모드의 설정은 정보 수집부(102)에서 수행하거나, 수집/분석장치(100)의 제어장치(미도시)에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GPS 장치(13)를 통해 GPS 정보(현재위치저보)를 수신하고(S406), 수신한 GPS 정보를 수집/분석장치(100)에 제공하며(S407), 수집/분석장치(100)는 수신되는 GPS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S408)
사용자 단말(10)는 사용자가 실외에 있는지 또는 내부로 진입하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GPS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파악하며(S409), 사용자가 실외에 존재하여 GPS 정보가 수신되면 계속해서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실내에 존재하여 GPS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정보전송종료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알게 한다(S410).
그리고 사용자가 정보전송종료에 대한 명령을 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정보전송종료 명령을 수신하고(S410), 수집/분석장치(100)로 정보전송죵료를 알리며(S411), 이에 수집/분석장치(100)는 수집모드를 해제한다(S412). 여기서, 수집모드의 해제는 정보 수집부(102)에서 수행하거나, 수집/분석장치(100)의 제어장치(미도시)에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 및 분석 장치의 정보수집 동작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도 5를 참고하면,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의 수집앱(11)을 실행시키고(S501), 수집/분석장치(100)에 접속한다(S502).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은 GPS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획득하면(S503), 획득한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집/분석장치(100)에 제공한다(S504).
수집/분석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처음 수신하면 정보수집을 위한 수집모드를 설정한다(S505). 여기서, 수집모드의 설정은 정보 수집부(102)에서 수행하거나, 수집/분석장치(100)의 제어장치(미도시)에서 수행할 수 있다.
수집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은 GPS 장치(13)를 통해 GPS 정보(현재위치저보)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신하면(S506), 수신한 GPS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집/분석장치(100)에 제공하고(S507), 수집/분석장치(100)는 수신되는 GPS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S508)
사용자 단말(10)이 사용자가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게 되면, 수집앱(11)은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정보 제공을 종료한다(S510). 이에 따라 수집/분석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설정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하게 되고(S511), 그에 따라 수집모드를 해제한다(S512). 여기서, 수집모드의 해제는 정보 수집부(102)에서 수행하거나, 수집/분석장치(100)의 제어장치(미도시)에서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 및 분석 장치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1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수집/분석장치(100)의 각 구성이 처리하는 동작들을 모두 처리할 수 있다.
수집/분석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instructions)이 포함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집/분석장치(100)의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스토리지(130') 및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 구성은 통신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품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별도의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등의 하드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분석장치(100)는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비롯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스토리지(130')와 같은 저장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서(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이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해당 프로그램을 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 일 수 있다.
스토리지(130')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130')의 일부 영역에는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들 간의 통신, 및 외부 연동된 장치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통신부(110)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 수집모드를 설정하고 해제하는 것은 정보수집부(102)에서 수행하거나, 수집/분석장치(100)의 제어장치(미도시)에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명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들 및 동작들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위 실시 예들을 단순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얻어질 수 있는 구현들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을 앞으로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달성될 수 있는 구현들도 포함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 100: 수집/분석장치
200: 장애인지도 생성장치 11: 수집앱
12: 카메라 13: GPS 장치
14: 기울기 측정장치 101: 사용자 인터페이스
102: 정보수집부 103: 정보분류부
104: 영상처리부 105 : 경로지정부
106 : 경사도 파악부 107 : 보행편의 분석부
108 : 지도정보 생성부 109 :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장애인용 지도정보를 영상정보, 현재위치정보, 기울기 정보로 각각 분류하는 정보분류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와 현재위치를 동일 시간을 기준으로 매칭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위치정보를 시간을 기준으로 추적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지정하는 경로지정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거리와 상기 정보분류부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 단위거리별 경사도를 산출하는 경사도 파악부,
    상기 경사도 파악부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단위거리의 경사도를 이용하여 보행 레벨을 결정하는 보행편의 분석부, 그리고
    수신되는 현재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지도정보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현재위치한 장소의 POI를 파악하고, 상기 경로지정부로부터 수신된 제1 경로와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 및 상기 경사도 파악부로부터 수신된 보행레벨을 이용하여 장애인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지도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인용 지도정보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기의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 정보,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GPS 장치에서 측정된 현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보행편의 분석부는 설정 단위거리의 경사도가 제1 각도 미만이면 휠체어 이동가능 레벨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1 각도 이상이면 휠체어 이동에 신경을 써야 하는 주의레벨이라고 판단하며,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 이상이면 휠체어 이동불가능 레벨이라고 판단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지도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경로 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설정 단위거리의 경사도가 모두 상기 제1 각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1 경로를 유효 보행경로로 판단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정보수집부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위치정보가 최초 수신되는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수집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수집동작을 중지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정보수집부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보전송시작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수집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보전송종료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수집동작을 중지하는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KR1020200042320A 2020-04-07 2020-04-07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KR102477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320A KR102477995B1 (ko) 2020-04-07 2020-04-07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US16/897,247 US20210310813A1 (en) 2020-04-07 2020-06-09 Map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device for the disab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320A KR102477995B1 (ko) 2020-04-07 2020-04-07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803A true KR20210124803A (ko) 2021-10-15
KR102477995B1 KR102477995B1 (ko) 2022-12-15

Family

ID=7792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320A KR102477995B1 (ko) 2020-04-07 2020-04-07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310813A1 (ko)
KR (1) KR102477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775B1 (ko) * 2021-12-10 2022-09-14 (주) 경성테크놀러지 교통약자전용 지도 생성 및 맞춤형 길안내 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754B2 (ja) 1989-09-29 2000-06-26 マツダ株式会社 パワートレイン制御装置
JP2002297611A (ja) * 2001-03-29 2002-10-11 Toshiba Corp 地図情報取得方法および位置情報取得方法および地図情報取得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および地図情報蓄積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21191A (ja) * 2001-10-12 2003-04-23 Zenrin Co Ltd 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経路探索装置
JP2010020702A (ja) * 2008-07-14 2010-01-28 Sumitomo Electric Ind Ltd バリア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とこれに用いる低速車両
KR20120071523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정보 단말기, 이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관리 시스템과,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KR101809596B1 (ko) 2016-01-28 2017-12-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내비게이션을 위한 교통약자 유형별 맞춤형 경로 탐색 방법
KR20180079116A (ko) * 2016-12-30 2018-07-10 김영록 시각 장애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8112579A (ja) * 2017-01-06 2018-07-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サーバ、電子装置および地図提供方法
KR20180101306A (ko) * 2018-09-03 2018-09-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보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0269A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어뮤즈트래블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754B2 (ja) 1989-09-29 2000-06-26 マツダ株式会社 パワートレイン制御装置
JP2002297611A (ja) * 2001-03-29 2002-10-11 Toshiba Corp 地図情報取得方法および位置情報取得方法および地図情報取得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および地図情報蓄積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21191A (ja) * 2001-10-12 2003-04-23 Zenrin Co Ltd 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経路探索装置
JP2010020702A (ja) * 2008-07-14 2010-01-28 Sumitomo Electric Ind Ltd バリア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とこれに用いる低速車両
KR20120071523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정보 단말기, 이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관리 시스템과,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KR101809596B1 (ko) 2016-01-28 2017-12-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내비게이션을 위한 교통약자 유형별 맞춤형 경로 탐색 방법
KR20180079116A (ko) * 2016-12-30 2018-07-10 김영록 시각 장애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8112579A (ja) * 2017-01-06 2018-07-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サーバ、電子装置および地図提供方法
KR20190070269A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어뮤즈트래블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1306A (ko) * 2018-09-03 2018-09-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보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775B1 (ko) * 2021-12-10 2022-09-14 (주) 경성테크놀러지 교통약자전용 지도 생성 및 맞춤형 길안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0813A1 (en) 2021-10-07
KR102477995B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etovic et al. Achieving practical and accurate indoor navigation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hmetovic et al. NavCog: a navigational cognitive assistant for the blind
JP5905483B2 (ja) 自律移動方法および自律移動装置
KR101779521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정보처리장치
CN112711249B (zh) 机器人定位方法、装置、智能机器人和存储介质
Fusco et al. Indoor localization for visually impaired travelers using computer vision on a smartphone
Coughlan et al. Crosswatch: a system for providing guidance to visually impaired travelers at traffic intersection
KR101176947B1 (ko) Cctv를 이용한 인파정보 제공시스템
Rituerto et al. Towards a sign-based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O2015113330A1 (zh) 一种利用图像信息码提供校正信息的自主导航系统
Kuriakose et al. DeepNAVI: A deep learning based smartphone navigation assistant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US201901786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of disabled person
CN117579791B (zh) 具有摄像功能的信息显示系统及信息显示方法
Ranaweera et al. Electronic travel aid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KR102477995B1 (ko) 장애인용 지도정보 수집/분석장치
JP6943183B2 (ja) 位置特定装置、位置特定方法、位置特定プログラムおよびカメラ装置
Mau et al. BlindAid: An electronic travel aid for the blind
Filipe et al. Assisted guidance for the blind using the Kinect device
Ooi et al. Study on a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based on egocentric vision using deep learning
JP6796000B2 (ja) 監視支援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KR20180036562A (ko)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Pawar et al. Smartphone Based Tactile Feedback System Providing Navigation and Obstacle Avoidance to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Das et al. PathLookup: A Deep Learning-Based Framework to Assist Visually Impaired in Outdoor Wayfinding
Valvo et al. A cultural heritage experienc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Gonzalez et al. Case study: Environmental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sidewal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