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764A -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764A
KR20150070764A KR1020130157350A KR20130157350A KR20150070764A KR 20150070764 A KR20150070764 A KR 20150070764A KR 1020130157350 A KR1020130157350 A KR 1020130157350A KR 20130157350 A KR20130157350 A KR 20130157350A KR 20150070764 A KR20150070764 A KR 20150070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ic wheelchair
wheelchair
traveling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231B1 (ko
Inventor
박주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7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2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전동휠체어의 주행에 필요한 전자 지도 DB 또는 음성 안내 DB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입력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베이스 정보 수신을 통해 추가적인 도로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 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판단하는 주행 환경 판단부; 및 기수집된 GPS 위치 정보,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장애 요소에 따른 전동휠체어 주행에 적합한 경로 탐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휠체어의 주행을 위한 안전하고 빠른 길찾기가 가능해짐으로써 장애인의 이동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억에만 의존했던 길찾기를 벗어나 빠르고 안전한 길찾기를 통해서 장애인의 이동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NAVIGATION APPARATUS FOR POWERED WHEELCHAI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휠체어 주행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제거하고 장애인 편의 시설이 설치된 경로로 전동휠체어를 안내하기 위한 전동휠체어용 지능형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이 휠체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일은 보도턱이나 계단, 급격한 경사 길을 피해서 안전한 길을 찾는 것이다. 이 경우 휠체어가 통과하기가 어려운 도로의 보도턱과 과도한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그리고 지면이 불규칙적인 울퉁불퉁한 길(비포장도로)과 휠체어리프트나 휠체어용 경사로는 없고 일반인을 위한 계단만 설치된 지역이나 건물은 피하여야 한다.
또한 장애인이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휠체어 전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출구를 찾아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하지만 장애인을 위한 이러한 지리적인 정보는 쉽게 구할 수가 없으며, 휠체어를 탑승하는 장애인의 경우도 자신이 이전에 가본 경험이나 주변 장애인들의 휠체어 탑승 경험담에 의존하여 휠체어로 도로주행을 하다 보니 길을 찾지 못해서 잘못 들어간 큰 도로에서 차량과의 충돌사고가 발생하거나, 스스로는 길을 찾지 못해서 왔던 길을 다시 되돌아 가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 장애인의 휠체어 주행에 있어서의 불편한 점들은 장애인의 이동권과도 연결되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43962호(2010.04.29)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동휠체어 주행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제거하고 장애인 편의 시설이 설치된 경로로 전동휠체어를 안내하기 위한 전동휠체어용 지능형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전동휠체어의 주행에 필요한 전자 지도 DB 또는 음성 안내 DB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입력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베이스 정보 수신을 통해 추가적인 도로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 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판단하는 주행 환경 판단부; 및 기수집된 GPS 위치 정보,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장애 요소에 따른 전동휠체어 주행에 적합한 경로 탐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는, 상기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네가티브 요소(Negative Element)로, 전동휠체어 주행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파지티브 요소(Positive Element)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티브 요소는,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의 설치에 대한 제1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공존에 대한 제2 정보, 수동 또는 전동휠체어 고장 시 긴급 수리서비스에 대한 제3 정보, 대도로가 아닌 중, 소 도로에 대한 제4 정보 및 등고선에 의한 완만한 도로에 관한 제5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네가티브 요소는,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의 미설치에 대한 제6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미확보에 대한 제7 정보, 고속도로 또는 대도로에 대한 제8 정보, 등고선에 의한 가파른 도로에 관한 제9 정보 및 비포장 도로, 불규칙한 도로 상태에 관한 제10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네가티브 요소 또는 파지티브 요소를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도착지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네비게이션 방법은, 상기 전동휠체어의 주행에 필요한 전자 지도 DB 또는 음성 안내 DB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베이스 정보 수신을 통해 추가적인 도로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판단하는 단계; 및 기수집된 GPS 위치 정보,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장애 요소에 따른 전동휠체어 주행에 적합한 경로 탐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로 탐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도착 정보와 도착지 주변의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의 지점과 도착지 사이의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GPS 위치 정보,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정보 내지 제5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출발지와 상기 제1 정보의 지점을 연결하는 복수의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경로에서 상기 제6 내지 제10 정보를 만족시키는 경로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차단된 경로를 우회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에서 최적인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전동휠체어의 안전 주행을 위한 빠른 길찾기가 가능해짐으로써 장애인의 이동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억에만 의존했던 길찾기를 벗어나 빠르고 안전한 길찾기를 통해서 장애인의 이동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경로 탐색을 제어하는 단계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의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데이터 베이스(110), 정보 수집부(120), 주행 환경 판단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50), 입력부(160) 및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전동휠체어에 장착되는데, 빌트인(Built-in)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 제작되어 브라켓 등의 장치를 이용해 전동휠체어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구현되는 경우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방법을 구현하는 수단인 컴퓨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읽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장치(100)와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10)는 상기 전동휠체어의 주행에 필요한 전자 지도 DB 또는 음성 안내 DB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베이스(110)는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지도 DB, 네비게이션 펌웨어(firmware), 기타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들이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110)는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경우, 입력되는 도착지 정보, 과거의 각종 주행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20)는 사용자 입력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베이스 정보 수신을 통해 추가적인 도로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를 업데이트 한다. 즉, 정보 수집부(120)는 데이터 베이스(110)에 포함된 전자 지도 DB를 업데이트뿐만 아니라, 장애인을 위한 도로 및 위치 정보에 관한 추가적인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는 건물 또는 지하철 역 내부의 통로, 엘리베이터, 리프트 및 그 밖의 각종 장애인 편의 시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는 전동휠체어 운행 중에 체험으로 알게 된 지형물 및 도로에 관한 각종 정보를 직접 입력부(160)를 통해서 데이터 베이스(100)에 저장할 수 있다.
주행 환경 판단부(130)는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판단한다. 또한, 주행 환경 판단부(130)는 상기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 즉 장애 요소의 유무뿐만 아니라, 장애 요소를 백분율로 표시되는 장애도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동휠체어의 주행에 있어서 전동휠체어용 리프트가 없는 계단을 장애도 100으로 판단했을 경우, 전동휠체어가 탑승 가능한 엘리베이터는 그 위치에 따라 10 내지 30으로 장애도 판단이 가능하며, 계단에 설치된 전동휠체어용 리프트는 50의 장애도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주행 환경 판단부(130)는 상기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네가티브 요소(Negative Element)로, 전동휠체어 주행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파지티브 요소(Positive Element)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환경 판단부(130)는 표 1과 같이 기설정된 세부 정보를 이용하여 파지티브 요소 및 네가티브 요소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파지티브 요소는,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의 설치에 대한 제1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공존에 대한 제2 정보, 수동 또는 전동휠체어 고장시 긴급 수리서비스에 대한 제3 정보, 대도로가 아닌 중, 소 도로에 대한 제4 정보 및 등고선에 의한 완만한 도로에 관한 제5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가티브 요소는,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의 미설치에 대한 제6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미확보에 대한 제7 정보, 고속도로 또는 대도로에 대한 제8 정보, 등고선에 의한 가파른 도로에 관한 제9 정보 및 비포장 도로, 불규칙한 도로 상태에 관한 제10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티브 요소 및 네가티브 요소에 대한 자세한 세부 정보에 대해서는 하기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기수집된 GPS 위치 정보,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장애 요소에 따른 전동휠체어 주행에 적합한 경로 탐색을 제어한다.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상기 각각의 네가티브 요소 또는 파지티브 요소를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도착지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데이터 베이스(110)는 상기 전동휠체어의 주행에 필요한 전자 지도 DB 또는 음성 안내 DB를 저장한다(S210).
정보 수집부(120)는 사용자 입력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베이스 정보 수신을 통해 추가적인 도로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를 업데이트 한다(S220).
주행 환경 판단부(130)는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판단한다(S230). 특히, 주행 환경 판단부(130)는 상기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네가티브 요소로, 전동휠체어 주행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파지티브 요소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티브 요소는 전동휠체어가 통과하기 용이한 도로 조건과 지형 조건을 포함하며, 네가티브 요소는 전동휠체어가 통과하기 어려운 도로 조건과 지형 조건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파지티브 요소는,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의 설치에 대한 제1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공존에 대한 제2 정보, 수동 또는 전동휠체어 고장 시 긴급 수리서비스에 대한 제3 정보, 대도로가 아닌 중, 소 도로에 대한 제4 정보 및 등고선에 의한 완만한 도로에 관한 제5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가티브 요소는,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의 미설치에 대한 제6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미확보에 대한 제7 정보, 고속도로 또는 대도로에 대한 제8 정보, 등고선에 의한 가파른 도로에 관한 제9 정보 및 비포장 도로, 불규칙한 도로 상태에 관한 제10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표 1에 상기 파지티브 요소 및 네가티브 요소에 해당되는 세부 정보를 나타내었다.
구분 정보 요소 세부 정보
파지티브 요소
(Positive Element)
제1 정보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 - 건물 내부나 외부에 설치된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 계단이 설치된 곳 옆에 존재하는 휠체어 리프트
- 건물내부로의 진입을 위한 계단 옆에 설치된 휠체어용 경사로
제2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공존 - 일반인 대상 남, 여 화장실 내부에 종속되어 설치된 한 칸 규모의 각각의 별도의 장애인 화장실
- 일반인 대상 남, 여 화장실과 분리된 곳에 별도로 설치된 남여공용 장애인 전용 화장실
- 일반인 대상 남, 여 화장실과 분리된 곳에 별도로 설치된 남,여 분리형 개별 장애인 전용 화장실
- 관공서의 화장실 (법적으로 장애인 전용시설이 설치된 곳)
제3 정보 수동 또는 전동휠체어 고장시 긴급 수리서비스
제4 정보 대도로가 아닌 중, 소 도로 - 차도와 인도의 경계라인인 보도턱이 설치가 되지 않아서 휠체어의 이동에 용이한 곳에 대한 정보
- 대도로와 중, 소도로가 인접하는 곳으로 보도턱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곳에 대한 정보
- 차도와 인도의 경계라인인 보도턱에 휠체어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설치된 경사로가 존재하는 곳에 대한 정보
- 차도와 인도의 경계라인인 보도턱이 부분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곳에 대한 정보
제5 정보 등고선에 의한 완만한 도로 - 지형도에 표시된 등고선이 같은 높이에 존재하는 도로의 정보
- 등고선간의 간격이 넓은 지역으로 존재하는 도로의 정보
네가티브 요소
(Negative Element)



제6 정보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 미설치 - 건물 내부로의 진입을 위해 설치된 계단 주위에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이 전혀 없는 곳
- 건물 내부에 계단만 있고 엘리베이터가 없는 곳
- 오래된 건물로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이 존재하지 않는 곳
제7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미확보 - 일반인 대상 남, 여 화장실만 존재하는 경우
- 오래된 건물로 장애인 관련 편의시설이 법적으로 설치가 의무화 되지 않는 곳
제8 정보 고속도로 또는 대도로 - 차도와 인도의 경계라인인 보도턱이 설치가 높게 되어 있어서 휠체어의 이동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곳에 대한 정보
- 고속도로, 고가도로, 큰 도로와 인접하는 곳으로 휠체어의 이동이 위험하거나 불가능한 곳에 대한 정보
- 휠체어 교통사고가 있었던 곳에 대한 정보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의 30도 이상의 경사가 있는 곳에 대한 정보
제9 정보 등고선에 의한 가파른 도로 - 지형도에 표시된 등고선이 높이의 차이가 매우 급하게 존재하는 도로의 정보
- 등고선간의 간격이 좁은 지역으로 존재하는 도로의 정보
제10 정보 불규칙한 도로 상태 - 비포장 도로, 울퉁불퉁한 길 또는 위험지역
제어부(140)는 기수집된 GPS 위치 정보,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장애 요소에 따른 전동휠체어 주행에 적합한 경로 탐색을 제어한다(S240). 이하 구체적인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서의 경로 탐색을 제어하는 단계에 관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140)는 상기 도착 정보와 도착지 주변의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의 지점과 도착지 사이의 경로를 결정한다(S241). 제1 정보는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이 설치된 곳에 대한 정보인데, 사용자가 전동휠체어 주행을 통해 이동하는 경우 최종 도착지는 지하철 역에서 가까운 곳 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특정 건물 내부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로 결정 방법의 특징은 출발지에서 도착지 순서로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도착지 주변의 경로를 먼저 결정하는 점에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상기 GPS 위치 정보,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내지 제5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출발지와 상기 제1 정보의 지점을 연결하는 복수의 경로를 결정한다(S242).
제어부(140)는 GPS 수신부(170)가 수신한 사용자와 전동휠체어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입력부(160)통한 입력에 의한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상기 제1 정보의 지점을 연결하는 복수의 경로를 결정한다. 상기 복수의 경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3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경로가 고려된다. 만약, 상기 제2 내지 제3 정보 중에서 만족되는 정보가 없는 경우, 제어부(140)는 만족 정보가 없다는 표시와 함께 대안 경로를 결정하여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및 제3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정보, 제4 정보 및 제5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결정한다. 또한, 제4 정보와 제5 정보는 항상 만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상기 복수의 경로에서 상기 제6 내지 제10 정보를 만족시키는 경로를 차단한다(S243).
이는 전동휠체어의 운행에 있어서 장애가 되는 네가티브 요소를 제거하여 경로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40)는 상기 차단된 경로를 우회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에서 최적인 경로를 결정함(S244)으로써, 도착지 주변의 경로를 먼저 결정하는 방법으로 최종 경로를 확정한다.
상기 경로 차단(S243) 이후에 최적인 경로를 결정(S244)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2 내지 제5 정보가 다시 고려되는데 결과적으로 제2 내지 제5 정보는 처음(S242)과 나중(S244)에 이중으로 고려된다. 이는 네가티브 요소에 의해 특정 경로를 먼저 차단하고 파지티브 요소가 고려된 경로를 탐색하게 되면 도로와 위치에 대한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지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도착지 정보 입력을 받는 입력 단계 및 상기 각각의 네가티브 요소 또는 파지티브 요소를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전동휠체어의 주행을 위한 안전하고 빠른 길찾기가 가능해짐으로써 장애인의 이동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억에만 의존했던 길찾기를 벗어나 빠르고 안전한 길찾기를 통해서 장애인의 이동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110: 데이터 베이스,
120: 정보 수집부, 130: 주행 환경 판단부,
140: 제어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입력부, 170: GPS 수신부

Claims (9)

  1. 전동휠체어의 주행 정보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휠체어의 주행에 필요한 전자 지도 DB 또는 음성 안내 DB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입력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베이스 정보 수신을 통해 추가적인 도로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 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판단하는 주행 환경 판단부; 및
    기수집된 GPS 위치 정보,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장애 요소에 따른 전동휠체어 주행에 적합한 경로 탐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는,
    상기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네가티브 요소로, 전동휠체어 주행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파지티브 요소로 판단하는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티브 요소는,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의 설치에 대한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공존에 대한 정보, 수동 또는 전동휠체어 고장시 긴급 수리서비스에 대한 정보, 대도로가 아닌 중, 소 도로에 대한 정보 및 등고선에 의한 완만한 도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네가티브 요소는,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의 미설치에 대한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미확보에 대한 정보, 고속도로 또는 대도로에 대한 정보, 등고선에 의한 가파른 도로에 관한 정보 및 비포장 도로, 불규칙한 도로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네가티브 요소 또는 파지티브 요소를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도착지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5. 전동휠체어의 주행 정보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네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동휠체어의 주행에 필요한 전자 지도 DB 또는 음성 안내 DB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베이스 정보 수신을 통해 추가적인 도로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판단하는 단계; 및
    기수집된 GPS 위치 정보, 도착지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장애 요소에 따른 전동휠체어 주행에 적합한 경로 탐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동휠체어 주행의 장애 요소를 네가티브 요소로, 전동휠체어 주행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파지티브 요소로 판단하는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티브 요소는,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의 설치에 대한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공존에 대한 정보, 수동 또는 전동휠체어 고장시 긴급 수리서비스에 대한 정보, 대도로가 아닌 중, 소 도로에 대한 정보 및 등고선에 의한 완만한 도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네가티브 요소는,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의 미설치에 대한 정보, 일반인 대상 편의시설에 장애인 전용시설 미확보에 대한 정보, 고속도로 또는 대도로에 대한 정보, 등고선에 의한 가파른 도로에 관한 정보 및 비포장 도로, 불규칙한 도로 상태에 관한 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도착지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단계; 및
    상기 각각의 네가티브 요소 또는 파지티브 요소를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도착 정보와 도착지 주변의 상기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의 설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치 지점과 도착지 사이의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GPS 위치 정보,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편의시설 설치에 대한 정보 외의 파지티브 요소에 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출발지와 상기 설치 지점을 연결하는 복수의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경로에서 상기 네가티브 요소에 관한 정보를 만족시키는 경로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차단된 경로를 우회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 중에서 최적인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방법.
KR1020130157350A 2013-12-17 2013-12-17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155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350A KR101552231B1 (ko) 2013-12-17 2013-12-17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350A KR101552231B1 (ko) 2013-12-17 2013-12-17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764A true KR20150070764A (ko) 2015-06-25
KR101552231B1 KR101552231B1 (ko) 2015-09-10

Family

ID=5351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350A KR101552231B1 (ko) 2013-12-17 2013-12-17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2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269A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어뮤즈트래블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9127261A1 (zh) * 2017-12-28 2019-07-04 四川金瑞麒智能科学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轮椅自动驾驶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KR20200145165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티머니 장애인 차량의 길안내 시스템
KR20210069752A (ko) * 2019-12-03 2021-06-14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인 전동휠체어용 멀티 기능 모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장애인 전동휠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086B1 (ko) * 2016-12-20 2019-04-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중력보상을 위한 동력보조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KR102452843B1 (ko) * 2021-12-10 2022-10-11 (주) 경성테크놀러지 장애인 전용 지도 생성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1236A (ja) * 1999-10-01 2001-04-13 For-A Co Ltd 車椅子ナビゲーション用データベース構築システム
JP2003010257A (ja) * 2001-07-04 2003-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経路情報収集車椅子
JP3888088B2 (ja) * 2001-07-09 2007-02-28 富士通株式会社 通行者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56208A (ja) * 2003-08-06 2005-03-03 Nec Corp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ナビゲーション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269A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어뮤즈트래블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9127261A1 (zh) * 2017-12-28 2019-07-04 四川金瑞麒智能科学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轮椅自动驾驶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CN111542295A (zh) * 2017-12-28 2020-08-14 四川金瑞麒智能科学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轮椅自动驾驶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KR20200145165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티머니 장애인 차량의 길안내 시스템
KR20210069752A (ko) * 2019-12-03 2021-06-14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인 전동휠체어용 멀티 기능 모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장애인 전동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231B1 (ko)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231B1 (ko) 전동휠체어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1122748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imating vulnerable road users
KR101971892B1 (ko)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89218A (ko)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
US20110153193A1 (en) Navig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lassifications
EP1521057A1 (en) Self-movement support system, it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00019161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perating a vehicle based on vulnerable road user data
KR102192916B1 (ko)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23701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navigation route based on vulnerable road user data
JP2003240591A (ja) 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経路探索装置
KR20090004252A (ko) 보행자 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19113347A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884667B1 (ko) 회복탄력성을 극대화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03121191A (ja) 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経路探索装置
Weyrer et al. Intermodal door-to-door routing for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in a web-based, open-source platform
US878172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ability-specific routing
JP3983034B2 (ja) 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経路探索装置
JP2002286491A (ja) 携帯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237049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유 모빌리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504941B1 (ko)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한 사물주소 기반의 배달 방법 및 장치
JP2006331363A (ja) 施設利用情報および地理情報提供システム、障害者向け経路検索システム
JP3728497B2 (ja) 歩行者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20001962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pping vulnerable road users
JP417221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探索情報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79378B1 (ko) 교통약자용 실시간 이동경로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