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892B1 -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892B1
KR101971892B1 KR1020180083721A KR20180083721A KR101971892B1 KR 101971892 B1 KR101971892 B1 KR 101971892B1 KR 1020180083721 A KR1020180083721 A KR 1020180083721A KR 20180083721 A KR20180083721 A KR 20180083721A KR 101971892 B1 KR101971892 B1 KR 10197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node
user
pedestrian type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300A (ko
Inventor
전용주
박은지
김홍회
정임수
김승현
고명호
김선연
서봉기
김광식
Original Assignee
디토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토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토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89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5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destinations, e.g. if hospital does not answer send to police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정의되어 있는 링크 또는 노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가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부, 전자 지도에 포함되는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그리고 수집된 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링크 또는 노드의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재난 발생 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복수의 사용자를 그룹핑하여 대피자 그룹을 생성한다. 경로 탐색부는,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변경된 링크 또는 노드를 반영하여 대피 경로를 재탐색하며, 복수의 사용자로 이루어진 대피자 그룹이 생성된 경우, 대피자 그룹이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고, 대피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에게 동일한 대피 경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vacuation Path Navigation Through Evacuees Group Generation}
본 발명은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보행 능력 유형에 맞추어 최적의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지도 정보와 GPS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또는 최저 비용 경로 등을 탐색하여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받아 도로 상황에 따라 경로를 자동으로 재탐색하여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차량용 내비게이션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보행자를 위한 보행 경로를 안내하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아울러 비콘,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나 지하 등에서 실내 측위가 가능해지면서, 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설정받고, 그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는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달리, 화재, 침수, 붕괴, 가스 누출, 테러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재난 지역에서 사용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며 재난에 따른 회복탄력성을 극대화하도록 재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18027호는 재난 발생 시 사용자 단말의 주변 상황을 파악하여 대피 경로를 안내하되, 복수의 사용자의 대피 동선이 교차되어 혼잡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동일한 경로라 하더라도 보행 능력에 따라 이동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심한 경우 이동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평상 시에는 이동 시간이 지연되더라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재난 대피 시에는 불행한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18027호(공개일자: 2016.02.17)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행 능력 유형에 맞추어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별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정의되어 있는 링크 또는 노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가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부, 상기 전자 지도에 포함되는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그리고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링크 또는 상기 노드의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재난 발생 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복수의 사용자를 그룹핑하여 대피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경로 탐색부는,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변경된 상기 링크 또는 상기 노드를 반영하여 대피 경로를 재탐색하며, 복수의 사용자로 이루어진 대피자 그룹이 생성된 경우, 상기 대피자 그룹이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대피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에게 동일한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로 탐색부는,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대피자 그룹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된 대피 경로 중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른 대피 경로를 우선적으로 탐색하되, 동일한 대피 경로로 탐색된 인원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면, 보행자 유형을 고려하여 상기 인원 중 일부에 우회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방법은,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정의되어 있는 링크 또는 노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전자 지도에 포함되는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자 지도에 포함되는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링크 또는 상기 노드의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을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변경된 상기 링크 또는 상기 노드를 반영하여 대피 경로를 재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피자의 보행 능력 유형에 맞추어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별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탐색된 대피 경로에 포함된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가 변경되어, 해당 경로로 계속 대피하는 것이 위험한 경우 대피 경로를 재탐색하여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피자 그룹을 생성하여 독자적으로 대피가 어려운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을 받거나 함께 협력하면서 대피할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a, 100b, 100c, …, 100n), 경로 안내 서버(200), 센서(300) 및 카메라(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a, 100b, 100c, …, 100n), 경로 안내 서버(200), 센서(300) 및 카메라(400)는 통신망(10)을 통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internet), 3G(generation), 4G(generation)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가시광통신(L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사용자 단말(100a, 100b, 100c, …, 100n)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대피 경로 안내 앱'이라 함)이 사용자 단말(100a, 100b, 100c, …, 100n)에 설치되어, 화재, 지진, 테러, 독가스 살포나 유출 등의 재난 발생 시 사용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대피 경로 안내 앱은 사용자로부터 본인의 보행자 유형을 설정받을 수 있다. 보행자 유형은 아래 표 1과 같이 크게 '자력 보행 가능', '자력 보행 불가능' 및 '대피자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자력 보행 가능' 유형은 더 세분하여 '청소년 및 성인(10~50대)', '어린이(10세 미만)', '노인(60대 이상)', '임산부'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자력 보행 불가능' 유형도 '휠체어 이용자', '시각 장애자', '기타 다리 부상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피자 그룹'은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의 조합을 고려하여 구분할 수 있다.
자력 보행 불가능한 사용자는 재난 발생 시 독자적으로 대피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자력 보행 가능하더라도 어린이, 노인, 임산부 등은 혼자 대피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재난 발생 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를 그룹핑하여 대피자 그룹을 생성하고, 동일한 대피 경로를 안내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경로로 대피하면서, 자력 보행 불가능한 사용자가 자력 보행 가능한 사용자에게 도움을 받거나, 어린이, 노인, 임산부 등이 청소년이나 성인에게 도움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대피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끼리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대피할 수도 있다.
경로 안내 서버(200)는 대피 경로 안내 앱으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 등을 고려하여 대피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이미 생성된 대피자 그룹에서 일정 인원이 이탈한 경우, 남아있는 인원의 보행자 유형을 고려하여 대피자 그룹의 보행자 유형을 변경할 수도 있다.
분류 보행자 유형 코드 정의






자력 보행 가능
청소년 및 성인(10~50대) A 자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위급 상황 시 빠른 속도로 달리거나 장애물들을 무리 없이 피해가며 이동할 수 있는 유형. 위급 상황에서 일반적인 경로가 아닌 비상 탈출 경로(창문, 옥상)등을 이용할 수 있음
어린이(10세 미만), 노인(60대 이상), 임산부 B 자력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위급 상황 시 빠른 속도로 달리거나 장애물들을 피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의 보행만이 가능함. 경로 탐색 시 위험 요소가 있는 경로는 배제시킬 필요가 있는 유형






자력 보행 불가능


휠체어 이용자 C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는 일정 너비 이상의 평지에서는 A와 같은 수준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계단 및 좁은 공간 내에서는 이동이 불가능함
시각 장애자 D 재난 상황 발생 시 조력자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객체이며, 도움을 받아서 이동한다고 가정함에 따라 이동 속도의 조정이 필요함. 또한 장애물의 유형 및 수준에 따라 넘어갈 수 없는 경우도 존재
기타 다리 부상자 E D와 마찬가지로 조력자의 도움이 요구되지만 자력으로 상황 판단이 가능하며 C와 D에 비해 이동이 수월함




대피자 그룹
A를 포함하고 B, D, E를 선택적으로 포함 F A가 1인 이상 있고, B, D, E 에 속하는 인원이 1명 이상 있는 그룹으로 이동 속도가 A와 B 사이로 평가됨
B를 포함하고 D, E를 선택적으로 포함 G B가 1인 이상 있고, D, E에 속하는 인원인 1명 이상 있는 그룹으로, 이동 속도가 B와 D 사이로 평가됨
A와 C를 포함 H A가 1인 이상 있고, C에 속하는 인원이 1명 이상 있는 그룹으로 평지에서 A와 이동 속도가 같고, 기타 장애물이 있는 경우 E와 이동 속도가 대등함
앞서 설명한 표 1은 보행자 유형 구분을 예시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보행자 유형이나 그 기준 등이 다르게 정의되어 적용될 수 있다.사용자 단말(100a, 100b, 100c, …, 100n)은 GPS 기반, 비콘 기반, Wi-Fi 기반 또는 Li-Fi 기반 등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대피 경로 안내 앱에 제공할 수 있다. 대피 경로 안내 앱은 실외에서는 GPS 기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고,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실내에서는 비콘 기반, Wi-Fi 기반 또는 Li-Fi 기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재난 발생 시 사용자는 대피 경로 안내 앱을 실행하여 경로 안내 서버(200)에 대피 경로 요청을 할 수 있다. 물론 경로 안내 서버(200)로부터 재난 발생 메시지를 푸시 방식으로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0a, 100b, 100c, …, 100n)에서 대피 경로 안내 앱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경로 안내 서버(200)에 대피 경로 안내 요청을 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대피 경로 요청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대피 경로 안내 앱은 경로 안내 서버(200)로부터 대피 경로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a, 100b, 100c, …, 100n)은 대피 경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경로 안내 서버(200)는 대피 경로 안내 앱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대피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경로 안내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부(210), 경로 탐색부(230), 정보 수집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10)는 경로 안내 서버(2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210)는 대피 경로 안내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회원 정보에는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210)는 대피 경로 안내 서비스 대상 지역의 전자 지도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부(210)는 대피자 그룹이 생성된 경우, 해당 대피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정보와 보행자 유형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지도는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도는 사람이 평상시 이용하는 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뿐만 아니라, 창문, 완강기 등 대피 시설을 통한 통로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지도는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정의되어 있는 링크 노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드는 사람이 이동함에 있어 속도의 변화가 발생되는 곳을 의미하고, 링크는 노드와 노드를 연결한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노드는 건물 내에서 복도의 시점과 종점, 층별 엘리베이터 탑승구, 층별 계단 시점과 종점 등이 될 수 있으며, 노드는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통로 등이 있을 수 있다.
링크 노드 정보는 노드 정보와 링크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노드 정보는 노드 아이디, 노드 유형, 노드 명칭,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정보는 링크 아이디, 시작 노드 아이디, 종료 노드 아이디, 링크 명칭,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노드 아이디, 링크 아이디, 노드 명칭, 링크 명칭 등은 적절한 기준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노드 유형, 링크 유형은 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창문, 완강기 등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은 표 1에 예시한 것과 같은 보행자 유형 코드로 설정되거나, 아래 표 2에 예시한 것과 같은 상태 코드로 설정될 수도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정의되어 있는 링크 노드 상태표이다.

코드

정의
진입 가능 보행자 유형 및 이동 능력
A B C D E F G H



사람의 통행이 불가능함

X

X

X

X

X

X

X

X


이동을 어렵게 하지만 신체 건장한 일반인의 경우 넘어서 갈 수 있는 수준
50

X

X

X

X

X

X

X



옆에서 도움을 줄 경우 시간이 걸리지만 넘어서 갈 수 있는 수준

80

70

40

60

50

75

65

50


장애물 없음, 쉽게 통과할 수 있음

100

90

100

80

70

95

95

100
표 2를 참고하면, 링크 노드 상태표는 해당 유형의 노드 또는 링크에 진입 가능한 보행자 유형뿐만 아니라, 각 보행자 유형별로 해당 링크 또는 노드를 통과할 때 이동 능력(또는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설명한 링크 노드 정보와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은 일 예일뿐이며, 전자 지도에 포함되는 각 링크와 노드를 구분할 수 있고, 해당 링크와 노드별로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을 설정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하더라도 무방하다.
경로 탐색부(230)는 재난 발생 시 사용자가 위치한 재난 발생 지역에 포함되는 링크 및 노드 중에서, 사용자가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경로 탐색부(230)는 탐색된 경로로 해당 사용자가 대피할 경우 보행자 유형을 적용하여 대피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경로 탐색부(230)는 사용자가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대피 경로 중에서 최단 시간 또는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대피 경로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대피 경로에 일시에 다수의 인원이 몰리면 혼잡해져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대피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대피 경로가 탐색된 인원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면 보행자 유형을 고려하여, 인원 중 일부에 우회 대피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게 할 수 있다. 가령 휠체어 이용자에게 우선적으로 표 2에서 코드 '라'에 해당하는 링크나 노드로 이루어진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하고, 청소년 및 성인에게는 코드 '나' 또는 '다'에 해당하는 링크나 노드가 포함된 우회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대피자 그룹이 생성된 경우, 경로 탐색부(230)는 해당 대피자 그룹이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예컨대 정상 보행 가능한 성인과 휠체어 이용자가 하나의 대피자 그룹에 속하는 경우, 성인에게는 우회 경로일 수 있지만 휠체어 이용자가 이동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경사도가 심해서 휠체어 이용자가 단독으로 이동할 수 없었지만, 성인이 휠체어를 밀어 이동할 수 있는 링크가 포함된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정보 수집부(250)는 전자 지도에 포함되는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 정보를 센서(300) 또는 카메라(40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센서(300)와 카메라(400)는 대피 경로 안내 서비스 대상 지역의 일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센서(300)와 카메라(400)를 하나씩 표현하였으나, 주요 노드나 링크마다 센서(300)와 카메라(400)를 설치할 수 있다.
센서(300)는 온도 센서, 가스 감지 센서, 화재 감지 센서, 누전 감지 센서 등 각종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치된 지역의 온도, 가스 누출, 화재 발생, 누전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400)는 대피 경로 안내 서비스 대상 지역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경로 안내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경로 안내 서버(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100a, 100b, 100c, …, 100n)로부터 대피 경로 요청이 전달되면, 경로 탐색부(230)에 전달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대피 경로를 탐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사용자의 보행 유형 등을 고려하여 대피자 그룹을 생성하고, 경로 탐색부(230)가 대피자 그룹별로 동일한 대피 경로를 탐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정보 수집부(250)에서 수집된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노드 또는 링크의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270)는 특정 링크에 대응하는 통로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하거나 붕괴 되어 사람이 통과할 수 없게 되면, 해당 링크나 노드를 사람이 통행 불가능한 것으로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변경된 링크 노드 정보를 반영하여 경로 탐색부(230)가 대피 경로를 재탐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먼저 경로 안내 서버(200)는 대피 경로 안내 서비스 지역에 대해 구축된 전자 지도를 저장할 수 있다(S210). 단계(S210)에서 구축된 전자 지도는 링크 및 노드별로 이동 가능 보행자 유형이 정의된 링크 노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a, 100b, 100c, …, 100n)에 설치된 대피 경로 안내 앱에 자신의 보행자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S220). 단계(S220)에서 설정된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은 경로 안내 서버(200)에 등록될 수도 있다.
이후 재난이 발생하면(S230-Y), 사용자는 대피 경로 안내 앱을 실행하여 경로 안내 서버(200)에 대피 경로 요청을 할 수 있다(S240). 물론 경로 안내 서버(200)로부터 재난 발생 메시지를 푸시 방식으로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0a, 100b, 100c, …, 100n)에서 대피 경로 안내 앱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경로 안내 서버(200)에 대피 경로 요청을 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경로 안내 서버(200)는 대피 경로 요청을 한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을 판단한다(S240). 단계(S240)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 등을 고려하여 대피자 그룹을 생성한 다음, 해당 대피자 그룹이 속하는 보행자 유형을 판단할 수도 있다. 물론 대피자 그룹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을 단계(S220)에서 설정된 보행자 유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경로 안내 서버(200)는 사용자 또는 대피자 그룹이 속한 보행자 유형에 적합한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S260). 단계(S260)에서 경로 안내 서버(200)는 재난 발생 시 사용자가 위치한 재난 발생 지역에 포함되는 링크 및 노드 중에서, 사용자가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으며, 탐색된 경로로 해당 사용자가 대피할 경우 소요되는 대피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경로 안내 서버(200)는 최단 시간 또는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대피 경로를 우선적으로 탐색하되, 동일 대피 경로로 탐색된 인원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면, 인원 중 일부에 우회 대피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대피자 그룹이 생성된 경우, 경로 안내 서버(200)는 대피자 그룹 별로 동일한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로 안내 서버(200)는 탐색된 대피 경로를 대피 경로 안내 앱에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길 안내를 하도록 할 수 있다(S270). 사용자 단말(100a, 100b, 100c, …, 100n)은 사전에 다운로드 된 지도 상에 대피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사전에 다운로드 된 지도가 없는 경우, 경로 안내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지도를 전송받고 그 위에 대피 경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대피 경로를 화살표 만으로 표시하거나 음성만으로 출력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도중에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가 변경되면(S280-Y), 경로 안내 서버(200)는 링크 또는 노드의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을 변경하고, 변경된 링크 노드 정보를 반영하여 대피 경로를 재탐색할 수 있다(S260). 그리고 사용자가 출구에 도착할 때까지 단계(S260) 내지 단계(S280)를 반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출구에 도착하면(S290-Y), 경로 안내 서버(200)와 대피 경로 안내 앱은 대피 경로 안내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a, 100b, 100c, …, 100n: 사용자 단말
200: 경로 안내 서버
210: 데이터베이스부 230: 경로 탐색부
250: 정보 수집부 270: 제어부
300: 센서
400: 카메라

Claims (4)

  1. 삭제
  2.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정의되어 있는 링크 또는 노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가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부,
    상기 전자 지도에 포함되는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그리고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링크 또는 상기 노드의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을 변경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재난 발생 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복수의 사용자를 그룹핑하여 대피자 그룹을 생성하며,
    상기 경로 탐색부는,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변경된 상기 링크 또는 상기 노드를 반영하여 대피 경로를 재탐색하며, 복수의 사용자로 이루어진 대피자 그룹이 생성된 경우, 상기 대피자 그룹이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대피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대피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대피자 그룹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된 대피 경로 중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른 대피 경로를 우선적으로 탐색하되, 동일한 대피 경로로 탐색된 인원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면, 보행자 유형을 고려하여 상기 인원 중 상대적으로 이동 능력이 높은 일부에 우회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3. 삭제
  4.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정의되어 있는 링크 또는 노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전자 지도에 포함되는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자 지도에 포함되는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링크 또는 상기 노드의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을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이동 가능한 보행자 유형이 변경된 상기 링크 또는 상기 노드를 반영하여 대피 경로를 재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재난 발생 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복수의 사용자를 그룹핑하여 대피자 그룹을 생성하며,
    복수의 사용자로 이루어진 대피자 그룹이 생성된 경우, 상기 대피자 그룹이 속하는 보행자 유형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대피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의 보행자 유형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대피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대피자 그룹이 이동 가능한 링크 및 노드로 구성된 대피 경로 중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른 대피 경로를 우선적으로 탐색하되, 동일한 대피 경로로 탐색된 인원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면, 보행자 유형을 고려하여 상기 인원 중 상대적으로 이동 능력이 높은 일부에 우회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대피 경로 안내 방법.
KR1020180083721A 2018-07-18 2018-07-18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97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21A KR101971892B1 (ko) 2018-07-18 2018-07-18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21A KR101971892B1 (ko) 2018-07-18 2018-07-18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545A Division KR101884667B1 (ko) 2017-05-02 2017-05-02 회복탄력성을 극대화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300A KR20180122300A (ko) 2018-11-12
KR101971892B1 true KR101971892B1 (ko) 2019-04-24

Family

ID=6439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721A KR101971892B1 (ko) 2018-07-18 2018-07-18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992B1 (ko) * 2021-03-19 2021-11-16 대한민국 장애유형맞춤 실내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56193A (ko) * 2020-06-17 2021-12-24 박영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및 이의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3727B (zh) * 2018-12-17 2021-05-14 浙江创意声光电科技有限公司 智能照明控制系统的人流量分流引导方法及装置
KR102430958B1 (ko) * 2020-02-12 2022-08-09 대한민국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KR102467972B1 (ko) * 2021-01-20 2022-1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시 교통수단 별 대피 경로 산출 방법
KR102349293B1 (ko) * 2021-11-09 2022-01-11 대한민국 휴대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재실자의 피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005A (ja) * 2006-09-15 2007-02-15 Zenrin Co Ltd 経路探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774B1 (ko) * 2014-08-06 2016-08-25 한국과학기술원 안전 대피 경로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644933B1 (ko) 2014-08-07 2016-08-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대피 경로 안내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005A (ja) * 2006-09-15 2007-02-15 Zenrin Co Ltd 経路探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193A (ko) * 2020-06-17 2021-12-24 박영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및 이의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
KR102523262B1 (ko) * 2020-06-17 2023-04-21 박영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및 이의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26992B1 (ko) * 2021-03-19 2021-11-16 대한민국 장애유형맞춤 실내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300A (ko) 201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92B1 (ko)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884667B1 (ko) 회복탄력성을 극대화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6258401B2 (ja) 屋内尤度ヒートマップの生成
Kwan et al. Emergency response after 9/11: the potential of real-time 3D GIS for quick emergency response in micro-spatial environments
KR101868695B1 (ko) 이동 로봇 제어 방법
JP2013535666A5 (ko)
KR20100089218A (ko)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
JP2014190725A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901786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of disabled person
JP4569391B2 (ja) 経路誘導装置
KR102198594B1 (ko)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3579A (ko)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한 사물주소 기반의 배달 방법 및 장치
JP648395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Ortakci et al. Intelligent mobile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fire evacuation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JP7281306B2 (ja) 移動体管理装置、及び、移動体管理方法
JP3728497B2 (ja) 歩行者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14740844A (zh) 路径规划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146918B1 (ko) 유니버설 지도 기반의 유저 맞춤형 지리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JP3864212B2 (ja) 歩行者施設案内システム及び歩行者に施設を案内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エアプログラム
JP7246213B2 (ja) 支援管理装置、及び、支援管理方法
KR101895442B1 (ko)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3722364B2 (ja) 歩行者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歩行者の経路案内に関する処理を実行させる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エアプログラム
KR102351516B1 (ko)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공간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6053154A (ja) 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経路探索装置
Haber Ugalde et al. Wheelchair navigation system using node combination technique for people with motor dis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