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442B1 -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442B1
KR101895442B1 KR1020170138179A KR20170138179A KR101895442B1 KR 101895442 B1 KR101895442 B1 KR 101895442B1 KR 1020170138179 A KR1020170138179 A KR 1020170138179A KR 20170138179 A KR20170138179 A KR 20170138179A KR 101895442 B1 KR101895442 B1 KR 10189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s
lift
station
user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준
백종원
배미경
서혜민
정혜진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4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예약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리프트를 예약할 출발역 출입구 번호 및 도착역 출입구 번호를 선택 받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리프트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미리 마련되는 지하철역 시설 정보 및 상기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기초로 이동경로별 승강기 이용 여부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SYSTEM AND METHOD FOR RESERVATING SUBWAY LIF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지하철역 시설 정보를 기초로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상 시간에 따른 리프트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들을 위한 대중교통 편의 제공 서비스가 마련되고 있다. 특히, 휠체어 등 보행 보조 장비에 의존하는 장애인들을 위해 지하철역에는 휠체어 리프트 서비스가 마련되어 있으며, 장애인들이 휠체어 리프트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장애인에게 지하철역 휠체어 리프트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공되었다. 지하철역 휠체어 리프트 정보 제공 기술은 지하철역 휠체어 리프트 구비 또는 고장 현황에 따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수집하여 휠체어 리프트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전달하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휠체어 리프트를 이용하고자 하는 장애인은 자신이 이용할 지하철역에 대한 휠체어 리프트 구비 또는 고장 현황 정보를 사전에 입수하여 보다 편리하게 지하철 이용 계획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역 리프트 예약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리프트를 예약할 출발역 출입구 번호 및 도착역 출입구 번호를 선택 받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리프트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미리 마련되는 지하철역 시설 정보 및 상기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기초로 이동경로별 승강기 이용 여부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지하철역 시설 정보 및 상기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지하철역 정보 및 상기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지하철을 이용할 출발역 및 도착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출발역 및 상기 도착역을 각각 출입구 외부 구역, 대합실 구역 및 상행 또는 하행 승강장 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구역별 구역분류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을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어느 하나의 구역 및 상기 다른 하나의 구역의 구역분류코드를 연산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이동분류코드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부여된 이동분류코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기초로 이동경로별 승강기 이용 여부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의 승강기 이용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경로의 이동거리에 가중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의 이동거리에 따라 최단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것은, 상기 관리서버가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시간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예약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휠체어 리프트를 예약할 출발역 출입구 번호 및 도착역 출입구 번호를 선택 받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리프트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미리 마련되는 지하철역 시설 정보 및 상기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구역분류부,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로 생성하는 경로생성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기초로 이동경로별 승강기 이용 여부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분석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시간예측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역분류부는 상기 지하철역 정보 및 상기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지하철을 이용할 출발역 및 도착역을 추출하고, 상기 출발역 및 상기 도착역을 각각 출입구 외부 구역, 대합실 구역 및 상행 또는 하행 승강장 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구역별 구역분류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경로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을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 추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구역 및 상기 다른 하나의 구역의 구역분류코드를 연산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이동분류코드를 부여하며, 상기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부여된 이동분류코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경로분석부는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의 승강기 이용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경로의 이동거리에 가중값을 연산하고,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의 이동거리에 따라 최단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간예측부는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시간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리프트 또는 승강기를 이용하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여 리프트를 미리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리프트 예약, 리프트 예약 상황 및 권장 이동 경로 확인, 관리자 연락 기능을 수행 및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리프트 예약을 위한 출발역 정보, 도착역 정보 및 환승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리프트 예약을 위한 리프트 예약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리프트 예약 정보에 따른 권장 이동 경로 및 리프트 예약 상황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이 출력하는 리프트 예약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관리자 연락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예약 방법의 제어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관리자 단말(200), 관리서버(300) 및 리프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위치를 추출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지하철 리프트를 예약할 출발역 및 도착역의 출입구 번호를 입력 받아 리프트 예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트 예약 정보는 사용자가 리프트를 예약할 출발역 예약 정보, 도착역 예약 정보 및 지하철 노선에 따른 환승역의 환승역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생성된 위치 정보 및 리프트 예약 정보를 출력하거나 관리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00)은 후술하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리프트 예약 정보 및 사용자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전달 받고, 리프트 예약 상황에 따른 리프트 예약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트 예약 상황은 리프트 예약 승인, 리프트 준비 시작 및 리프트 준비 완료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200)은 정보의 입출력 및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200)에는 리프트 예약 서비스를 제공 또는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미리 마련되는 지하철역 시설 정보,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지하철역 시설 정보는 지하철역별 층별 설계 정보 및 층별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유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 경로 또는 도착 예정 시간에 따라 리프트(400)가 준비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200)로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 경로 또는 도착 예정 시간을 전달하거나, 리프트(4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리프트(400)는 휠체어 등 이동 수단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관리서버(300)가 산출하는 권장 이동 경로 또는 도착 예정 시간에 따라 소정 위치에 준비될 수 있다. 리프트(40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직접 제어되거나, 관리서버(300)의 원격 제어 신호를 전달 받아 원격 제어될 수 있다. 리프트(400)가 제어되는 경우, 리프트(400)는 제어에 따른 리프트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프트(400)는 원격 제어 또는 정보 전달 기능을 수행하도록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제어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단말 통신부(110), 단말 입력부(120), 단말 출력부(130), 단말 저장부(140), 단말 측위부(150) 및 단말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10)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여 관리자 단말(200) 및 관리서버(300) 등 다른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10)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 NFC, 3G, 4G, 5G 또는 적외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입력부(120)는 키 패드, 터치 패드,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 적어도 하나의 감지 장치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 출력부(130)는 화상 출력 장치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화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 정보는 리프트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이 생성한 정보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저장부(140)는 단말 제어부(160)의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되는 정보의 임시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측위부(150)는 사용자가 위치를 추출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소정 주기에 마다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추출하여 갱신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단말 측위부(15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장치 등 측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리프트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리프트 예약, 리프트 예약 상황 및 권장 이동 경로 확인, 관리자 연락 기능을 수행 및 제공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제어부(160)는 지하철역 설정부(161), 예약정보 생성부(162), 예약상황 확인부(163) 및 관리자 연락부(16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하철역 설정부(161), 예약정보 생성부(162), 예약상황 확인부(163) 및 관리자 연락부(164)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리프트 예약을 위한 출발역 정보, 도착역 정보 및 환승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리프트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출발역 정보, 도착역 정보 및 환승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지하철역 설정부(161)는 사용자의 UI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거나, 출발역, 출발역의 출입구 번호, 도착역 및 도착역의 출입구 번호를 선택 받아 출발역 정보 및 도착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출발역 정보 및 도착역 정보를 기초로 지하철 노선에 따른 환승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도 4와 같이 출발역, 출발역의 출입구 번호, 도착역 및 도착역의 출입구 번호를 선택하여 “다음” 버튼을 입력하고, 도 5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 출발역, 도착역 및 환승역을 확인하여 리프트를 예약하기 위해 “다음” 버튼을 입력하면 지하철역 설정부(161)는 사용자가 리프트를 예약할 출발역 정보, 도착역 정보 및 환승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하철역 설정부(161)는 출발역의 출입구 번호 및 도착역의 출입구 번호를 포함하는 출발역 정보 및 도착역 정보를 생성하므로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에 대한 리프트 예약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인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리프트 예약을 위한 리프트 예약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리프트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는 출발역, 환승역 및 도착역의 리프트를 예약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약정보 생성부(162)는 미리 저장된 지하철역 시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가 리프트를 예약하고자 하는 출발역, 도착역 및 환승역에 대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유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출발역, 도착역 및 환승역에 대한 리프트 예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예약정보 생성부(162)는 지하철역 설정부(161)가 생성한 출발역 정보, 도착역 정보 및 환승역 정보에 따른 각 지하철역에 대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유무를 각각 출력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고, 지하철역별 제공되는 출력 화면에 따라 사용자가 리프트를 예약하기 위해 “리프트 예약하기” 버튼을 입력하면, 예약정보 생성부(162)는 사용자가 “리프트 예약하기” 버튼을 입력한 지하철역에 대한 리프트의 예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예약정보 생성부(162)가 생성하는 지하철역에 대한 리프트 예약 정보는 출발역 예약 정보, 도착역 예약 정보 및 환승역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발역 예약 정보, 도착역 예약 정보 및 환승역 예약 정보는 각 지하철역에 대한 리프트 예약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출발역 및 도착역에서 리프트를 이용하고, 환승역에서 승강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출발역 및 도착역 UI에서 “리프트 예약하기” 버튼을 입력하고, 환승역 UI에서 “리프트 예약하기” 버튼을 입력하지 않았으므로 이를 통해 출발역 예약 정보, 도착역 예약 정보 및 환승역 예약 정보는 각 지하철역에 대한 리프트 예약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리프트 예약 정보에 따른 권장 이동 경로 및 리프트 예약 상황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리프트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는 권장 이동 경로 및 리프트 예약 상황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약상황 확인부(163)는 사용자의 UI 조작에 따라 후술하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전달받는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 경로를 출력하거나,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받는 리프트 예약 상황 정보를 출력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300)로부터 전달받는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는 도 0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이 출력하는 리프트 예약 상황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예약상황 확인부(163)는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받는 리프트 예약 상황 정보를 기초로 리프트 예약 상황을 출력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예약상황 확인부(163)가 리프트 예약 상황 정보를 기초로 리프트 예약 상황을 출력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는 것은 리프트 예약 상황을 “예약 확인”, “준비 시작” 및 “준비 완료”로 구분하여 각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리프트 예약 상황을 색상별로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1은 관리자 연락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리프트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는 관리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 연락부(164)는 관리자 단말(200)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연락부(164)가 관리자 단말(200)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는 것은 사용자가 리프트를 예약한 지하철역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200)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연락부(164)의 메시지 송수신 제어 기능은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리프트를 예약한 지하철역의 관리자 단말(200)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수행될 수 있으며, 지하철역별 관리자 단말(200)과 일대일 또는 그룹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리프트 예약 및 리프트 이용 시 겪을 수 있는 불편 사항을 관리자에게 직접 문의하거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제어블록도이다.
관리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10), 서버 저장부(320), 구역 분류부(330), 경로 생성부(340), 경로 분석부(350) 및 시간 예측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100), 관리자 단말(200) 및 리프트(400) 등 다른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 통신부(310)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 NFC, 3G, 4G, 5G 또는 적외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320)는 관리서버(300)가 생성한 정보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 저장부(320)는 지하철 노선 정보 및 지하철역 시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지하철 노선 정보는 지하철역 환승 정보 및 빠른 환승을 위한 환승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저장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달 받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리프트 예약 정보를 분류하여 사용자별 예약 이력 정보로 저장하거나, 리프트(400)로부터 전달 받는 리프트 제어 정보를 기초로 리프트를 예약한 사용자의 도착 시간 이력 정보를 저장 및 사용자별로 분류할 수 있다.
구역 분류부(330)는 미리 마련되는 지하철역 시설 정보,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역 분류부(330)는 사용자의 리프트 예약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역 정보, 환승역 정보 및 도착역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예상 이동 방향을 예측하여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출발역 출입구 외부 구역, 출발역 대합실 구역, 출발역 상행 또는 하행 승강장 구역, 도착역 상행 또는 하행 승강장 구역, 도착역 대합실 구역 및 도착역 출입구 외부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트 예약 정보에 환승역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구역 분류부(330)는 환승역 어느 하나 호선 상행 또는 하행 승강장 구역, 환승역 대합실 구역 및 환승역 다른 하나 호선 상행 또는 하행 승강장 구역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구역 분류부(330)는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류하여 각 구역별 구역분류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구역분류코드는 소정 범위의 상수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역 분류부(330)는 사용자의 예상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하는 구역을 출발역 출입구 외부 구역, 출발역 대합실 구역, 출발역 상행 승강장 구역, 도착역 상행 승강장 구역, 도착역 대합실 구역 및 도착역 출입구 외부 구역으로 분류한 경우, 각 구역에 대해 사용자의 예상 이동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상수값을 구역분류코드를 각각 부여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340)는 지하철 노선 정보 및 구역 분류부(330)가 분류한 복수 개의 구역별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경로 생성부(340)가 복수 개의 구역별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것은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리프트 또는 승강기의 이동 구역에 따른 이동분류코드를 부여하고, 이동분류코드를 기초로 복수 개의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40)가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이동분류코드를 부여하는 것은 리프트 또는 승강기로 이동하는 어느 하나의 구역의 구역분류코드 및 다른 하나의 구역의 구역분류코드를 연산한 값에 따라 이동분류코드를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340)가 이동분류코드를 기초로 복수 개의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것은 구역별 적어도 하나 추출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부여된 이동분류코드를 서로 비교하여 이동분류코드가 적은 값을 갖는 설치 지점에서 큰 값을 갖는 설치 지점까지의 이동경로를 적어도 하나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출발역 출입구 외부 구역의 구역분류코드가 “1”, 출발역 대합실 구역의 구역분류코드가 “2”, 출발역 상행 승강장 구역의 구역분류코드가 “3”, 도착역 상행 승강장 구역의 구역분류코드가 “4”, 도착역 대합실 구역의 구역분류코드가 “5” 및 도착역 출입구 외부 구역의 구역분류코드가 “6”으로 부여된 경우, 경로 생성부(340)는 출발역 출입구 외부 구역에서 출발역 대합실 구역으로 이동하는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이동분류코드를 “3”, 출발역 대합실 구역에서 출발역 상행 승강장 구역으로 이동하는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이동분류코드를 “5”로 부여할 수 있다. 도착역의 각 구역의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연산되어 이동분류코드가 부여될 수 있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런 경우, 경로 생성부(340)는 출발역 출입구 외부 구역의 사용자의 위치에서 이동분류코드 “1”이 부여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출발역 대합실 구역의 이동분류코드 “3”이 부여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서 이동분류코드 “5”가 부여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340)는 지하철 노선 정보를 기초로 도착역 외부 구역의 빠른 환승 위치에서 이동분류코드 “7”이 부여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도착역 대합실 구역의 이동분류코드 “9”가 부여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서 이동분류코드 “11”이 부여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경로 분석부(350)는 경로 생성부(340)가 생성한 복수 개의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기초로 이동경로별 승강기 이용 여부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 분석부(350)가 이동경로별 승강기 이용 여부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는 것은 승강기를 이용하는 이동경로의 거리값에 소정 상수 범위의 가중값을 연산하여 이동경로별 이동거리를 분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경로 분석부(350)가 생성하는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는 복수 개의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 중 최단 거리값을 갖는 이동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생성부(340)가 생성한 출발역 대합실 구역의 이동경로가 어느 하나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출발역 승강장 구역으로 이동하는 제1경로, 다른 하나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제2경로 및 승강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제3경로를 생성한 경우, 경로 분석부(350)는 제3경로의 거리값에 가중값을 감하고, 제1경로, 제2경로 및 제3경로의 거리값을 비교하여 최단 거리값을 갖는 이동경로를 권장 이동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생성부(340)가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것은 동일한 원리로 복수 개의 구역별 수행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시간 예측부(360)는 경로 분석부(350)가 생성하는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기초로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예측부(360)가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것은 권장 이동경로의 거리값에 미리 정해진 소정 이동속도값을 연산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시간 예측부(360)는 사용자별 예약 이력 정보 및 도착 시간 이력 정보를 기초로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리프트를 예약하기 위해 출발역 및 도착역을 선택하여 예약을 진행한 경우, 시간 예측부(360)는 선택된 출발역 정보 및 도착역 정보를 동일하게 포함하는 예약 이력 정보를 추출하고, 도착 시간 이력 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별 실제 리프트를 제어한 시간을 기초로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예약 방법의 제어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리프트를 예약할 출발역 출입구 번호 및 도착역 출입구 번호를 선택 받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리프트 예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GPS 등 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 생성 기능은 소정 주기 마다 수행될 수 있다(500).
관리서버(300)는 미리 마련되는 지하철역 시설 정보 및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지하철역 시설 정보는 지하철역별 층별 설계 정보 및 층별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유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것은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구역별로 구역분류코드를 부여하여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관리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은 출발역 및 도착역을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출발역 출입구 구역, 출발역 대합실 구역, 출발역 상행 또는 하행 승강장 구역, 도착역 상행 또는 하행 승강장 구역, 도착역 대합실 구역 및 도착역 출입구 외부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510).
관리서버(300)는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별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관리서버(300)는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을 복수 개의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300)는 상기 어느 하나의 구역 및 상기 다른 하나의 구역의 구역분류코드를 연산하여 복수 개의 구역별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이동분류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분류코드를 기초로 관리서버(300)는 복수 개의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생성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520).
관리서버(300)는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기초로 이동경로별 승강기 이용 여부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출발역 대합실 구역의 이동경로가 어느 하나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출발역 승강장 구역으로 이동하는 제1경로, 다른 하나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제2경로 및 승강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제3경로를 생성한 경우, 관리서버(300)는 제3경로의 거리값에 가중값을 감하고, 제1경로, 제2경로 및 제3경로의 거리값을 비교하여 최단 거리값을 갖는 이동경로를 권장 이동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서버(300)가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것은 동일한 원리로 복수 개의 구역별 수행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530).
관리서버(300)는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기초로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300)가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것은 소정 속도값을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의 거리값과 연산하여 산출하는 것이거나, 사용자별 예약 이력 정보 및 도착 시간 이력 정보를 기초로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540).
관리서버(300)는 관리자가 리프트()를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에 준비하도록 관리자 단말()로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을 전달하거나,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에 리프트()가 준비되도록 리프트()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550).
이와 같은, 리프트 예약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리프트 예약 시스템
100 : 사용자 단말
200 : 관리자 단말
300 : 관리서버
400 : 리프트

Claims (11)

  1. 리프트 또는 승강기를 포함하는 휠체어 이송 시설이 구비된 지하철역 리프트 예약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리프트를 예약할 출발역 출입구 번호 및 도착역 출입구 번호를 선택 받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리프트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미리 마련되는 지하철역 시설 정보 및 상기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기초로 이동경로별 승강기 이용 여부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프트 예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지하철역 시설 정보 및 상기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지하철역 시설 정보 및 상기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지하철을 이용할 출발역 및 도착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출발역 및 상기 도착역을 각각 출입구 외부 구역, 대합실 구역 및 상행 또는 하행 승강장 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구역별 구역분류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프트 예약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을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어느 하나의 구역 및 상기 다른 하나의 구역의 구역분류코드를 연산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이동분류코드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부여된 이동분류코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프트 예약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기초로 이동경로별 승강기 이용 여부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의 승강기 이용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경로의 이동거리에 가중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의 이동거리에 따라 최단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프트 예약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것은,
    상기 관리서버가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시간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것인 리프트 예약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 항에 따른 리프트 예약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리프트 또는 승강기를 포함하는 휠체어 이송 시설이 구비된 지하철역 리프트 예약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휠체어 리프트를 예약할 출발역 출입구 번호 및 도착역 출입구 번호를 선택 받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리프트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미리 마련되는 지하철역 시설 정보 및 상기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구역분류부,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리프트 또는 승강기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로 생성하는 경로생성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기초로 이동경로별 승강기 이용 여부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분석부,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시간예측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리프트 예약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분류부는,
    상기 지하철역 시설 정보 및 상기 리프트 예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지하철을 이용할 출발역 및 도착역을 추출하고, 상기 출발역 및 상기 도착역을 각각 출입구 외부 구역, 대합실 구역 및 상행 또는 하행 승강장 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구역별 구역분류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도착역의 출입구까지 이동하는 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리프트 예약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을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 추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구역 및 상기 다른 하나의 구역의 구역분류코드를 연산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이동분류코드를 부여하며, 상기 리프트 또는 승강기 설치 지점에 부여된 이동분류코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리프트 예약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분석부는,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의 승강기 이용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경로의 이동거리에 가중값을 연산하고,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경로의 이동거리에 따라 최단 이동거리를 갖는 이동경로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권장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리프트 예약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예측부는,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시간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별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리프트 예약 시스템.
KR1020170138179A 2017-10-24 2017-10-24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89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179A KR101895442B1 (ko) 2017-10-24 2017-10-24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179A KR101895442B1 (ko) 2017-10-24 2017-10-24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442B1 true KR101895442B1 (ko) 2018-10-04

Family

ID=6386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179A KR101895442B1 (ko) 2017-10-24 2017-10-24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4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0157A (ja) 2002-06-25 2004-01-29 Toshiba Corp 乗降補助予約システムと予約方法
KR100847288B1 (ko) 2007-03-16 2008-07-18 주식회사 나루기술 시각 장애우 보행 경로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0157A (ja) 2002-06-25 2004-01-29 Toshiba Corp 乗降補助予約システムと予約方法
KR100847288B1 (ko) 2007-03-16 2008-07-18 주식회사 나루기술 시각 장애우 보행 경로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1152B (zh) 移动装置状态管理和位置确定
AU2012342643B2 (en) Elevator reservations using destination arrival time
EP3083465B1 (en) Elevator control with mobile devices
US9323232B2 (en) Transportion remote call system based on passenger geo-routines
EP3116200A2 (en) Passenger conveyance way finding beacon system and method
US20170213308A1 (en) Arbitration of passenger pickup and drop-off and vehicle routing in an autonomous vehicle based transportation system
US10167173B1 (en) Prioritizing the direction of a directional pedestrian mover (DPM) in real time, based on predicted pedestrian traffic flow
US201601301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Elevator Cars in a Group Elevator System with Uncertain Information about Arrivals of Future Passengers
JP6210921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予測配車制御方法
CN107265215A (zh) 移动呼叫修改
KR101971892B1 (ko)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U2019261731A1 (en) Computer-implemented crowd influencing system
JP695039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884667B1 (ko) 회복탄력성을 극대화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078177B1 (ko) 경로선택방법을 이용한 통합경로정보제공방법
KR101895442B1 (ko)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2019218160A (ja) エレベータの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
JP648395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5114955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CN115358459A (zh) 一种航站楼智能化客流引导系统及方法
KR20200049266A (ko)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10399A (ko) 실시간 대중교통 혼잡도 제공 시스템
CN115049183A (zh) 用于管理大楼内的移动以降低人身风险的系统
JP6791309B1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NL2029880B1 (en) Pedestrian traffic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