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266A -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266A
KR20200049266A KR1020180132302A KR20180132302A KR20200049266A KR 20200049266 A KR20200049266 A KR 20200049266A KR 1020180132302 A KR1020180132302 A KR 1020180132302A KR 20180132302 A KR20180132302 A KR 20180132302A KR 20200049266 A KR20200049266 A KR 20200049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k
route
service
information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안태기
이태형
황종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9266A/ko
Publication of KR2020004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Abstract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교통 약자에게 역사 내 경로를 안내하는 서비스에 있어서, 역사 내 교통 약자를 대상으로 현 위치에서 원하는 위치(화장실 등의 시설물, 환승 승강장 등)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되, 교통 약자가 모바일 앱을 설치할 때 기본적으로 제공된 교통 약자의 유형 정보, 층간 이동시 이동 가능 수단 정보(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계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모바일 단말기로의 경로 안내 정보 송신, 경로 안내 로봇 이용)를 기준으로 하여 경로를 달리 생성한 후, 해당 교통 약자에게 최적의 편의 경로를 제공하는 철도 역사 내 경로 안내 서비스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Service to Persons in Need of Assistance}
본 실시예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철도의 고속화 등을 통해 전국 반나절 생활권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용객의 일정이 탄력적이고 유연해지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철도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용객들이 증가함에 따라 철도 역사는 최근 들어 더욱 복잡해져서 역사 이용객들이 역사 내부에서 본인들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찾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교통 약자들은 길을 찾는 데 더 어려움이 많으므로, 교통 약자의 철도 역사 이용 만족도를 향상시켜 불편 사항을 해소하고, 다양한 철도 이용객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철도 서비스 창출을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철도 여객 편의 시설 개선 기술 개발 기획 연구에서 수행한 철도 이용 만족도 및 불편 사항 조사 분석 결과에 의하면, 철도 이용시 불편함을 겪는 이용객은 기차역 59.5%, 열차 63.0%, 지하철역 59.5%, 전동차 51.0%에서 불편함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통 약자를 위한 철도 이동 편의 시설의 기준 적합 설치율은 매년 높아지고 있으나, 만족도는 정체하고 있거나 오히려 낮아지고 있는바 교통 약자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국토 교통부에서는 통합 교통 정보 상황 제공을 위한 TAGO(Transport Advice onGOing anywhere)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실내 서비스 단절 및 실시간 내비게이션 역할 등의 세부 정보 제공 부족으로 이용이 불편한 상황이다.
한편, 철도 역사 외부의 경우는 GPS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여, 네이버 등에 의한 경로 안내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주로 지하 구간 등을 많이 포함하는 철도 역사 내부의 경우는 GPS 신호 수신이 불가능하여 역사 내부의 위치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교통 약자는 그 유형별(시각장애 여부, 지체장애 여부, 및 노약자 여부 등)로 이용 가능한 층간 이동 수단(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 등)이 상이하고, 서비스의 종류도 교통 약자 유형별로 더욱 효율적인 서비스가 존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교통 약자의 유형을 고려한 서비스는 전무한 상황이다.
본 실시예는, 교통 약자에게 역사 내 경로를 안내하는 서비스에 있어서, 역사 내 교통 약자를 대상으로 현 위치에서 원하는 위치(화장실 등의 시설물, 환승 승강장 등)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되, 교통 약자가 모바일 앱을 설치할 때 기본적으로 제공된 교통 약자의 유형 정보, 층간 이동시 이동 가능 수단 정보(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모바일 단말기로의 경로 안내 정보 송신, 및 경로 안내 로봇 이용)를 기준으로 하여 경로를 달리 생성한 후, 해당 교통 약자에게 최적의 편의 경로를 제공하는 역사 내 경로 안내 서비스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교통 약자 유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로 안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경로 안내 신청을 전송한 상기 교통 약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d) 역사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혼잡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f)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가능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및 (g) 단계 (a)에서 입력받은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단계 (d)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 단계 (e)에서 결정된 상기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을 반영하여 상기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혼잡도 정보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상기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로 안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경로 안내 신청을 전송한 상기 교통 약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d) 역사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가능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및 (f) 단계 (a)에서 입력받은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단계, 및 단계 (d)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혼잡도 정보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상기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교통 약자 유형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환경 설정부;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로 안내 신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경로 안내 신청을 전송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역사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는 혼잡도 산출부;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혼잡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는 환경 결정부;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가능 경로를 산출하는 경로 산출부; 및 상기 환경 설정부에서 관리하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혼잡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 상기 환경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을 반영하여 상기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하는 후보 경로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혼잡도 산출부에서 산출하는 상기 혼잡도 정보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상기 후보 경로 산출부에서의 상기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환경 설정부;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로 안내 신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경로 안내 신청을 전송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역사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는 혼잡도 산출부;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가능 경로를 산출하는 경로 산출부; 및 상기 환경 설정부에서 관리하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역사 층간 이동 수단,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 및 상기 혼잡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하는 후보 경로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혼잡도 산출부에서 산출하는 상기 혼잡도 정보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상기 후보 경로 산출부에서의 상기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교통 약자의 유형을 파악하여, 교통 약자의 특성에 맞게 역사 내 경로 안내를 수행함으로써 교통 약자의 역사 시설물 이용 만족도를 높이면서, 빠르고 안전한 길 안내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철도 역사 내에 RFID 태그가 내장된 점자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교통 약자 단말(100), 관제 서버(110), 및 안내 로봇(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200), GPS 모듈(210), 및 통신 모듈(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은 교통 약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단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에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200)이 탑재된다.
교통 약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역사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200) 설치시 또는 실행 후 초기 단계에서, 향후 경로 안내시 효율을 높이고자 개인 환경 설정을 수행한다. 개인 환경 설정은 교통 약자 유형, 역사 층간 이동 수단, 서비스 유형(로봇 이용 유무)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약자 유형이라 함은 장애의 종류(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지체 장애인, 휠체어 장애인 등), 노인, 유아 동반인, 및 임산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역사 층간 이동 수단은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으로 구분하는데, 세 가지 이동 수단 중 하나만 이용 가능한 경우(예컨대 휠체어 장애인인 경우 엘리베이터만 이용 가능 등)와 세 가지를 모두 이용 가능하나 우선순위를 두는 경우를 구분하여 입력받는다. 서비스 유형은 로봇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안내 로봇 가이드 서비스와 교통 약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경로 안내를 받는 경우로 구분된다.
또한, 교통 약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역사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200) 실행시 철도 역사 내에서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 또는 목적지를 설정한다. 또한, 교통 약자 단말(100)의 GPS 모듈(210) 및 통신 모듈(220)에서는 교통 약자 단말(100)의 위치, 다시 말해 교통 약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교통 약자의 위치 및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제 서버(11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통 약자 단말(100)은 개인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예의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특수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는 교통 약자 단말(100)로부터 경로 또는 목표 위치, 및 교통 약자의 위치 등을 수집하여 해당 경로를 안내 로봇(120)에 전달한다. 이때 관제 서버(110)는 철도 역사내 시설물 정보, 열차 정보 및 환경 정보, 이용자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는 역사 내의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능 경로를 산출할 때, 교통 약자의 유형에 따라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안내 로봇 서비스를 제공할지 또는 단말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지)을 고려한다. 더불어, 역사내 혼잡도 정보도 경로 산출시 고려하는데, 이는 교통 약자의 유형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최적의 경로를 산출하는 데 이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는 교통 약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업데이트 및 운영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안내 로봇(120)의 운영을 관리한다. 관제 서버(110)는 철도 역사를 통합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는 철도 역사 운영 시스템 등에 설치될 수도 있고, 철도 역사 운영 시스템과 별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300), 환경 설정부(310), 요청 수신부(320), 위치 검출부(330), 혼잡도 산출부(340), 환경 결정부(350), 경로 산출부(360), 후보 경로 산출부(370), 경로 전송부(380), 안내 로봇 관리부(390), 및 운영 관리부(3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부(300)는 교통 약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회원 가입, 및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기능 및 정보 표출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경 설정부(310)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교통 약자 유형 정보는 교통 약자가 자신의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200)을 설치할 때, 또는 실행 후 초기 단계에서 개인 환경 설정 항목에서 입력하게 된다. 여기서 교통 약자 유형이라 함은 장애의 종류(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지체 장애인, 휠체어 장애인 등), 노인, 유아 동반인, 및 임산부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외에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까지 교통 약자로부터 입력받아 환경 설정부(310)에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사 층간 이동 수단은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용 서비스 유형은 안내 로봇(120)을 이용한 안내 로봇 가이드 서비스 및 단말기에 푸쉬 메시지의 형태 또는 지도 형태로 경로가 현시되는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요청 수신부(320)는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로 안내 신청을 수신한다. 이때, 요청 수신부(320)에서 수신하는 경로 안내 요청은 철도 역사 내부에 있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철도 역사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요청 수신부(320)에서 수신하는 경로 안내 요청에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환경 설정부(310)에서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등을 애플리케이션(200) 설치시 또는 실행 후 초기 단계의 개인 환경 설정 항목에서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경로 안내 요청을 할 때 목적지 정보와 함께 이러한 환경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부(330)는 경로 안내 신청을 전송한 사용자 및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잡도 산출부(340)는 역사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혼잡도 정보는 산출 당시 열차의 하중 센서값, 역사내 CCTV 분석값, 역사내 점자 블록 압력 센서에 입력된 단위 시간당 입력수, 및 단위 시간당 교통 카드 단말기 접촉 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산출 당시 열차의 하중 센서값이라 함은 경로 안내 요청을 받은 당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전에 역사에 들어온 하중 센서가 설치된 열차의 하중 센서값을 측정하여, 하중 센서값이 높으면 혼잡도가 높은 것으로 수치화하여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역사내 CCTV 분석은 역사 내의 CCTV 영상을 활용하여 경로 안내 요청을 받은 당시를 기준으로 교통 약자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의 일정 영역 안의 사람들의 수를 카운트하는 방식으로 수치화하여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역사 내에는 기본적으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록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설치되어 있는 점자 블록에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경로 안내 요청을 받은 당시를 기준으로 교통 약자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의 일정 영역 안의 역사내 점자 블록의 압력 센서에 입력된 단위 시간당 입력수를 수치화하여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 역사 내 점자 블록에는 현재 위치가 매칭되어 있는 RFID 태그(500)가 매설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방식의 혼잡도 정보 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위 시간당 교통 카드 단말기 접촉 수라 함은 경로 안내 요청을 받은 당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전에 교통 카드 단말기 접촉 수를 측정하여 접촉 수가 많으면 혼잡도가 높은 것으로 수치화하여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혼잡도 산출부(340)에서 산출되는 혼잡도 정보는 현재 혼잡도 및 예상 혼잡도 정보를 조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철도역 승하차 스케줄을 분석하여 출퇴근 시간에는 승하차장 주변의 혼잡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여 이를 수치화하여 예상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거나, 주말에는 역사 내 상점 주변의 혼잡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여 이를 수치화하여 예상 혼잡도 정보를 산출한 후, 이를 전술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산출한 현재 혼잡도와 조합하여 혼잡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경 결정부(350)에서는 환경 설정부(310)에 관리되어 있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요청 수신부(320)에서 수신된 목적지 정보, 및 혼잡도 산출부(340)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결정한다. 즉, 본 실시예는 교통 약자가 선호하는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미리 설정해놓지 않은 상황에서, 관제 서버(110)의 환경 결정부(350)에서 교통 약자 유형 정보, 목적지 정보, 및 혼잡도 정보 등을 고려하여 해당하는 교통 약자의 상황에서 최적의 환경, 즉 최적의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결정해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경로 서비스를 요청한 교통 약자가 휠체어 장애인인 경우, 환경 결정부(350)에서는 휠체어 장애인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역사 층간 이동 수단을 엘리베이터로 설정하고, 안내 로봇(120)의 이용은 휠체어 사용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교통 약자의 단말기에 지도를 현시하는 서비스로 이용 서비스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약자가 계단, 에스컬레이터, 및 엘리베이터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교통 약자인 경우, 현재 위치 및 목적지에서의 혼잡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혼잡도가 가장 낮은 환경의 역사 층간 이동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혼잡도 산출부(340)에서 산출한 경로상 혼잡도가 높은 경우는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로 결정하고, 혼잡도가 낮은 경우는 안내 로봇(120)을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로 이용 서비스 유형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통 약자는 단순히 자신의 교통 약자 유형과 목적지 정보만 입력하면 자신에게 최적의 환경이 고려된 경로 정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로 산출부(360)는 위치 검출부(330)에서 검출한 교통 약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요청 수신부(320)에서 수신된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가능 경로를 산출한다.
본 실시예의 후보 경로 산출부(370)는 환경 설정부(310)에서 관리하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 혼잡도 산출부(340)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 환경 결정부(350)에서 결정된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반영하여 경로 산출부(360)에서 산출된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한다. 또한,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외에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까지 교통 약자로부터 입력받아 환경 설정부(310)에서 관리하는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환경 설정부(310)에서 관리하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혼잡도 산출부(340)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여 경로 산출부(360)에서 산출된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한다.
이때, 후보 경로 산출부(370)에서는 혼잡도 산출부(340)에서 산출하는 혼잡도 정보를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할 때, 환경 설정부(310)에서 관리하는 교통 약자 유형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반영한다. 예컨대, 시각 장애인이나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경우는 혼잡한 상황에서 최적의 경로 안내를 하기가 어려우므로 혼잡도 정보의 가중치를 높게 하여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하고, 경증 지체 장애인의 경우는 다소 혼잡하여도 움직임에 크게 무리가 없으므로 혼잡도 정보의 가중치를 낮게 하여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로 전송부(380)는 후보 경로 산출부(370)에서 산출된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모두 교통 약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에서 이용할 경로를 교통 약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 편의 후보 경로라 함은 일반적으로 최단 거리 경로 및 최단 시간 경로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경로 전송부(380)에서 각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교통 약자 단말(100)로 전송시, 환경 결정부(350)에서 결정한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각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에 현시하여 교통 약자가 본인이 선호하는 유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의 경로 전송부(380)에서는 후보 경로 산출부(370)에서 산출된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중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교통 약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즉, 이전에 다른 경로에 대해 경로 선택을 한 히스토리가 있는 경우, 예컨대 그때 선택했던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에 해당되는 최적의 경로를 하나 선택해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의 경로 전송부(380)에서는 요청 수신부(320)에서 수신된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 서비스에 관한 동일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즉 이전에 동일한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 서비스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경로를 교통 약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 관리부(390)는 철도 역사 내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나 동작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안내 로봇(12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등을 체크하고, 안내 로봇(120)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관리자 등에게 안내할 수 있다. 더불어 안내 로봇(120)으로 전달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로봇 관리부(390)는 교통 약자가 이동할 수 있는 동선에서 관련되는 철도 시설물 정보, 철도 이용객 정보, 열차 정보, 및 교통 약자가 진입할 출입구의 위치와 각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안내 로봇(120) 중 현재 경로 안내 중이지 않고 교통 약자가 진입한 출입구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안내 로봇(120)을 선정하여 동작 지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철도역사 내 복수 개의 안내 로봇(120)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안내 로봇(120)의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며, 한 명의 교통 약자에게 하나의 안내 로봇(120)이 경로 지원을 하도록 함으로써, 안내 로봇(120)의 운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 로봇 관리부(390)는 교통 약자의 역사 층간 이동 수단이 계단이고, 이용 서비스 유형이 안내 로봇 가이드 서비스인 경우, 안내 로봇(120)을 배정하여 이 안내 로봇(120)이 교통 약자를 해당 층의 계단까지 안내하도록 하고, 교통 약자가 다음 층까지 이동하면, 다음 층을 안내하는 다른 안내 로봇(120)이 대기하고 있도록 안내 로봇을 배정 및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영 관리부(395)는 철도 역사 시설물의 장치 운영이 가능하여 안내 로봇(120)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안내 로봇(120)의 도착 시간에 맞춰 엘리베이터 탑승이 가능하게 하거나, 근처 장애인 화장실의 사용 현황을 확인하여 실시간 최적의 화장실 장소 안내 등이 가능하도록 하여 교통 약자의 이용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은 경로 안내부(400), 위치 감지부(410), 및 이동부(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부(410)는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위치 감지부(410)는 철도 역사 내에 미리 마련되어 있는 RFID, Bluetooth, 또는 WiFi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RFID 태그(500)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도 역사 내 점자 블록(510) 등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RFID 태그(500)에는 현재 위치가 매칭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120)의 위치 감지부(410)는 RFID 태그(500)를 인식하고, 인식된 RFID 정보를 기반으로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점자 블록 이외의 일반적인 블록에도 소형 RFID를 이용하여 2차원 방향의 위치 검지가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의 이동부(420)는 경로 안내부(4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안내 로봇(120)을 이동시킨다. 경로 안내부(400)는 교통 약자의 위치와 현재 위치를 전달받고, 교통 약자의 위치에 설정된 철도 역사 내 설정 위치까지의 경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교통 약자가 철도 역사의 3번 출구에 위치할 경우, 3번 출구와 가까운 위치, 예를 들어 안내 로봇이 이동 가능하며 교통 약자의 3번 출구 진입시 교통 약자와 만날 수 있는 설정 위치를 검출한 후, 해당 설정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가 설정되면, 경로 안내부(400)는 위치 감지부(410)를 통해 감지된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부(420)를 제어하여 해당 경로까지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 로봇(120)이 설정 위치까지 이동한 후 교통 약자와 만나면, 관제 서버(110)의 경로 전송부(380)에서 전송한 경로 중 교통 약자 단말(100)에서 선택된 최적 경로 및 이 경로에서 이용하는 층간 이동 수단을 안내 로봇(120)의 경로 안내부(400)로 송신한다. 만약 층간 이동 수단이 계단인 경우, 설정 위치로 이동한 안내 로봇(120)은 교통 약자를 해당 층의 계단까지 안내하고, 교통 약자가 다음 경로의 층까지 이동하면, 그 층을 안내하는 안내 로봇(120)의 안내를 받아 그 층의 목적지까지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로 안내부(400)는 위치 감지부(410)를 통해 감지된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부(420)를 제어하여 이동한다. 이때, 교통 약자는 안내 로봇(120)에 마련된 손잡이부 등을 통해 안내 로봇(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의 경로 안내부(400)는 교통 약자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설정된 경로 중에 엘리베이터 등이 있을 경우 관제 서버(110)와 연계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은 철도 역사를 이용 중인 다른 보행자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촬영부 또는 센서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120)의 경로 안내부(400)는 촬영부 또는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서 다른 보행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도를 검출한다. 이후, 경로 안내부(400)는 검출된 충돌 위험도에 따라 이동부(420)를 정지시키거나 그 속도를 감속시킨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본 실시예의 환경 설정부(310)에서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를 입력받아서 관리한다(S600). 교통 약자가 본 실시예의 역사 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향후 경로 안내시 효율을 높이고자 개인 환경 설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는 개인 환경 설정으로 교통 약자 유형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교통 약자 유형이라 함은 장애의 종류(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지체 장애인, 휠체어 장애인 등), 노인, 유아 동반인, 및 임산부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요청 수신부(320)에서는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로 안내 신청을 수신한다(S610). 본 실시예의 위치 검출부(330)에서는 경로 안내 신청을 전송한 교통 약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S620). 즉, 교통 약자의 현 위치는 위치 검출부(330)의 위치 모니터링을 통하여 파악하고, 경로 안내 요청은 목적지만을 입력받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목적지는 역사 내 주요 시설물인 화장실, 상점, 승강장, 게이트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혼잡도 산출부(340)에서는 역사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한다(S630). 역사 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는 이유는 최단 시간의 경로 안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역사 내의 혼잡도 등의 정보를 반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혼잡도를 반영하는 방법은 열차의 하중 센서값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차량의 하중과 역사의 혼잡도 간의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역사내 CCTV 분석값, 역사내 점자 블록 압력 센서에 입력된 단위 시간당 입력수, 및 단위 시간당 교통 카드 단말기 접촉 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합하여 혼잡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혼잡도 정보는 현재 혼잡도뿐만 아니라 예상 혼잡도 정보까지 조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환경 결정부(350)에서는 환경 설정부(310)에서 관리되고 있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결정한다(S640). 여기서 역사 층간 이동 수단은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으로 구분한다. 세 가지 이동 수단 중 하나만 이용 가능한 경우(휠체어 이용자인 경우 엘리베이터만 이용가능 등)와 우선순위를 두어 이용 가능한 경우를 구분하여 결정한다. 한편, 이용 서비스 유형은 로봇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와 교통 약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200)을 통해 안내를 받는 경우로 구분하여 결정한다. 즉, 본 실시예는 교통 약자가 선호하는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미리 설정해놓지 않은 상황에서, 관제 서버(110)의 환경 결정부(350)에서 교통 약자 유형 정보, 목적지 정보, 및 혼잡도 정보 등을 고려하여 해당하는 교통 약자의 상황에서 최적의 환경, 즉 최적의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결정해주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로 산출부(360)에서는 위치 검출부(330)에서 검출한 현재 위치로부터 요청 수신부(320)에서 수신한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가능 경로를 산출한다(S650).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후보 경로 산출부(370)는 환경 설정부(310)에서 관리하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 혼잡도 산출부(340)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 환경 결정부(350)에서 결정된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반영하여 경로 산출부(360)에서 산출된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한다(S660). 본 실시예의 관제 서버(110)에서는 역사의 주요 시설물 및 승강장, 게이트 등의 정보를 역사맵을 통해 좌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간 거리 및 이동 시간 등을 계산하여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 등을 기준으로 하여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단계 S660의 과정에서 혼잡도 산출부(340)가 산출하는 혼잡도 정보를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할 때, 환경 설정부(310)에서 관리하는 교통 약자 유형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반영한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경로 안내 서비스에서 이용할 경로를 교통 약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확정하도록 함으로써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시한다(S670).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후보 경로 산출부(370)에서 산출된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모두 교통 약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에서 이용할 경로를 교통 약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고; 후보 경로 산출부(370)에서 산출된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중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교통 약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요청 수신부(320)에서 수신된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 서비스에 관한 동일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즉 이전에 동일한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 서비스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경로를 교통 약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은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교통 약자가 자신의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200)을 설치할 때, 또는 실행 후 초기 단계에서 교통 약자 유형만을 개인 환경 설정 항목에서 입력하고, 추후 환경 결정부(350)에서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는 실시예임에 반해, 도 7의 실시예는 교통 약자가 애플리케이션(200)을 설치할 때, 또는 실행 후 초기 단계에서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외에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까지 입력하여 환경 설정부(310)에서 관리하는 것이다. 도 7에서는 도 6의 서비스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도 6의 서비스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환경 설정부(310)에서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를 입력받아서 관리한다(S700). 비록 교통 약자 유형이 시각 장애인이더라도, 장애 정도에 따라 역사 층간 이동 수단에 대해 엘리베이터, 계단,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선호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유형 역시 개인 성향이나, 장애 정도에 따라 안내 로봇(120)을 통해 안내를 받거나, 애플리케이션(200)에서 제공하는 경로 안내 기능을 볼 수 있거나, 또는 음성을 들어야 하는 경우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선호에 따라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요청 수신부(320)에서는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로 안내 신청을 수신한다(S710). 또한, 본 실시예의 위치 검출부(330)에서는 경로 안내 신청을 전송한 교통 약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S720).
본 실시예의 혼잡도 산출부(340)에서는 역사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고(S730), 본 실시예의 경로 산출부(360)에서는 위치 검출부(330)에서 검출한 현재 위치로부터 요청 수신부(320)에서 수신한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가능 경로를 산출한다(S740).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경로 생성의 주 제약 조건인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에 대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200) 설치 시, 또는 초기 단계에서 교통 약자가 설정했던 내용의 확정 여부를 확인/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후보 경로 산출부(370)는 환경 설정부(310)에서 관리하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 혼잡도 산출부(340)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여 경로 산출부(360)에서 산출된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한다(S750).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경로 안내 서비스에서 이용할 경로를 교통 약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확정하도록 함으로써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시한다(S760).
도 6 및 도 7에서는 과정 S600 내지 과정 S670, 과정 S700 내지 과정 S760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 및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600 내지 과정 S670, 과정 S700 내지 과정 S760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 및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교통 약자 단말 110: 관제 서버
120: 안내 로봇 200: 애플리케이션
210: GPS 모듈 220: 통신 모듈
300: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310: 환경 설정부
320: 요청 수신부 330: 위치 검출부
340: 혼잡도 산출부 350: 환경 결정부
360: 경로 산출부 370: 후보 경로 산출부
380: 경로 전송부 390: 안내 로봇 관리부
395: 운영 관리부 400: 경로 안내부
410: 위치 감지부 420: 이동부
500: RFID 태그 510: 점자 블록

Claims (26)

  1.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교통 약자 유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로 안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경로 안내 신청을 전송한 상기 교통 약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d) 역사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혼잡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f)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가능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및
    (g) 단계 (a)에서 입력받은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단계 (d)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 단계 (e)에서 결정된 상기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을 반영하여 상기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혼잡도 정보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상기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산출되는 상기 혼잡도 정보는 산출시 열차의 하중 센서값, 역사내 CCTV 분석값, 역사내 점자 블록 압력 센서에 입력된 단위 시간당 입력수, 및 단위 시간당 교통 카드 단말기 접촉 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산출되는 상기 혼잡도 정보는 현재 혼잡도 및 예상 혼잡도 정보를 조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은 안내 로봇 가이드 서비스 및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h) 상기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모두 교통 약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에서 이용할 경로를 상기 교통 약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h) 상기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중 상기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교통 약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h) 상기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 서비스에 관한 동일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경로를 상기 교통 약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약자 단말기로 경로 전송시, 단계 (d)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 단계 (e)에서 결정한 상기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 중 하나 이상을 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로 안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경로 안내 신청을 전송한 상기 교통 약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d) 역사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가능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및
    (f) 단계 (a)에서 입력받은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단계, 및 단계 (d)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혼잡도 정보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상기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산출되는 상기 혼잡도 정보는 산출시 열차의 하중 센서값, 역사내 CCTV 분석값, 역사내 점자 블록 압력 센서에 입력된 단위 시간당 입력수, 및 단위 시간당 교통 카드 단말기 접촉 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산출되는 상기 혼잡도 정보는 현재 혼잡도 및 예상 혼잡도 정보를 조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은 안내 로봇 가이드 서비스 및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g) 상기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모두 교통 약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에서 이용할 경로를 상기 교통 약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g) 상기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중 상기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교통 약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g) 상기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 서비스에 관한 동일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경로를 상기 교통 약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교통 약자 유형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환경 설정부;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로 안내 신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경로 안내 신청을 전송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역사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는 혼잡도 산출부;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혼잡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이용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는 환경 결정부;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가능 경로를 산출하는 경로 산출부; 및
    상기 환경 설정부에서 관리하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혼잡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 상기 환경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을 반영하여 상기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하는 후보 경로 산출부
    를 포함하되, 상기 혼잡도 산출부에서 산출하는 상기 혼잡도 정보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상기 후보 경로 산출부에서의 상기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경로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모두 교통 약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에서 이용할 경로를 상기 교통 약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경로 전송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경로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중 상기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교통 약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로 전송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 서비스에 관한 동일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경로를 상기 교통 약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로 전송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전송부에서 상기 교통 약자 단말기로 경로 전송시, 상기 환경 결정부에서 결정한 상기 역사 층간 이동 수단 및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을 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결정부에서 상기 역사 층간 이동 수단을 계단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을 안내 로봇 가이드 서비스로 결정한 경우, 안내 로봇을 배정하여 상기 안내 로봇이 상기 교통 약자를 해당 층의 계단까지 안내하도록 하고, 상기 교통 약자가 다음 층까지 이동하면, 상기 다음 층을 안내하는 다른 안내 로봇이 대기하고 있도록 안내 로봇을 제어하는 안내 로봇 관리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2.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환경 설정부;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로 안내 신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경로 안내 신청을 전송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역사내 혼잡도 정보를 산출하는 혼잡도 산출부;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가능 경로를 산출하는 경로 산출부; 및
    상기 환경 설정부에서 관리하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역사 층간 이동 수단,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 및 상기 혼잡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가능 경로 중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산출하는 후보 경로 산출부
    를 포함하되, 상기 혼잡도 산출부에서 산출하는 상기 혼잡도 정보는 상기 교통 약자 유형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상기 후보 경로 산출부에서의 상기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산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경로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를 모두 교통 약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에서 이용할 경로를 상기 교통 약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경로 전송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경로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최적 편의 후보 경로 중 상기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교통 약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로 전송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 서비스에 관한 동일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교통 약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경로를 상기 교통 약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로 전송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부에서 관리하는 상기 역사 층간 이동 수단이 계단이고,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이 안내 로봇 가이드 서비스인 경우, 안내 로봇을 배정하여 상기 안내 로봇이 상기 교통 약자를 해당 층의 계단까지 안내하도록 하고, 상기 교통 약자가 다음 층까지 이동하면, 상기 다음 층을 안내하는 다른 안내 로봇이 대기하고 있도록 안내 로봇을 제어하는 안내 로봇 관리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180132302A 2018-10-31 2018-10-31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9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02A KR20200049266A (ko) 2018-10-31 2018-10-31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02A KR20200049266A (ko) 2018-10-31 2018-10-31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266A true KR20200049266A (ko) 2020-05-08

Family

ID=7067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302A KR20200049266A (ko) 2018-10-31 2018-10-31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92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37B1 (ko) * 2022-07-22 2023-01-11 (주)휴먼케어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37B1 (ko) * 2022-07-22 2023-01-11 (주)휴먼케어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42643B2 (en) Elevator reservations using destination arrival time
KR101172000B1 (ko)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US11554931B2 (en) Inferred elevator car assignments based on proximity of potential passengers
KR20140113768A (ko) 장애인의 이동 경로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JP2023073301A (ja) 乗り物情報提供装置
JP20092044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20586B2 (ja) 配車サービス乗車地決定方法及び配車サービス乗車地決定装置
KR20200049266A (ko)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8081650A (ja) 乗車案内装置、乗車案内プログラムおよび乗車案内方法
CN111771102A (zh) 导航方法、导航系统、移动体以及导航程序
KR20170098436A (ko) 노약자 이동편의지원 시스템.
KR102237981B1 (ko) 교통 약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안내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약자 안내 방법
KR102097317B1 (ko)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6523A (ko) 보행 유형을 고려한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15436A (ko) 장애인의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이동편의 지원시스템
JP3722364B2 (ja) 歩行者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歩行者の経路案内に関する処理を実行させる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エアプログラム
KR20160059495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JP2022012533A (ja) モビリティ支援システム、車両配車装置、エレベータ管理装置、発券装置、設備管理装置およびモビリティ支援プログラム
KR20200052464A (ko) 점자 블록을 이용한 실내 측위를 통해 경로를 이동하는 안내 로봇 및 경로 이동 방법
KR101895442B1 (ko)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487037B1 (ko)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KR102481531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6107154A (ja) 車両利用支援システム
KR20200049275A (ko)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US20240050304A1 (en) Guiding a person while moving in a certain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