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317B1 -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317B1
KR102097317B1 KR1020180132311A KR20180132311A KR102097317B1 KR 102097317 B1 KR102097317 B1 KR 102097317B1 KR 1020180132311 A KR1020180132311 A KR 1020180132311A KR 20180132311 A KR20180132311 A KR 20180132311A KR 102097317 B1 KR102097317 B1 KR 102097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ance
route guidance
user
rout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황종규
이태형
안태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2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철도역 도착 자동 인식 및 위치 모니터링이 가능한 철도 역사 경로 안내 및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가 스마트폰으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이 신청 신호를 받아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시스템이 경로를 안내하되, 이용자가 역사 도착 전 임의의 지점에서 서비스를 요청하면 해당 위치에서 가장 편리한 최적의 역사 출입구를 안내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 이용자가 역사에 도착할 경우 역사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으로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시스템이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해서 대기시켜 놓은 안내 로봇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게 하며, 이후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환승지 또는 도착지 예상 도착 시간에 맞춰 해당 역사의 안내 로봇을 대기시켜 환승지 또는 도착지에서도 경로 안내 서비스를 이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철도역 도착 자동 인식 및 위치 모니터링이 가능한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Route Guidance in Railway Station}
본 실시예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철도의 고속화 등을 통해 전국 반나절 생활권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용객의 일정이 탄력적이고 유연해지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철도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용객들이 증가함에 따라 철도 역사는 최근 들어 더욱 복잡해져서 역사 이용객들이 역사 내부에서 본인들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찾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교통 약자들은 길을 찾는 데 더 어려움이 많으므로, 교통 약자의 철도 역사 이용 만족도를 향상시켜 불편 사항을 해소하고, 다양한 철도 이용객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철도 서비스 창출을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철도 여객 편의 시설 개선 기술 개발 기획 연구에서 수행한 철도 이용 만족도 및 불편 사항 조사 분석 결과에 의하면, 철도 이용시 불편함을 겪는 이용객은 기차역 59.5%, 열차 63.0%, 지하철역 59.5%, 전동차 51.0%에서 불편함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통 약자를 위한 철도 이동 편의 시설의 기준 적합 설치율은 매년 높아지고 있으나, 만족도는 정체하고 있거나 오히려 낮아지고 있는바 교통 약자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국토 교통부에서는 통합 교통 정보 상황 제공을 위한 TAGO(Transport Advice onGOing anywhere)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실내 서비스 단절 및 실시간 내비게이션 역할 등의 세부 정보 제공 부족으로 이용이 불편한 상황이다.
한편, 철도 역사 외부의 경우는 GPS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여, 네이버 등에 의한 경로 안내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주로 지하 구간 등을 많이 포함하는 철도 역사 내부의 경우는 GPS 신호 수신이 불가능하여 역사 내부의 위치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실시예는, 철도역 도착 자동 인식 및 위치 모니터링이 가능한 철도 역사 경로 안내 및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가 스마트폰으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이 신청 신호를 받아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시스템이 경로를 안내하되, 이용자가 역사 도착 전 임의의 지점에서 서비스를 요청하면 해당 위치에서 가장 편리한 최적의 역사 출입구를 안내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 지나 이용자가 역사에 도착할 경우 역사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으로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시스템이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해서 대기시켜 놓은 안내 로봇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게 하며, 이후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환승지 또는 도착지 예상 도착 시간에 맞춰 해당 역사의 안내 로봇을 대기시켜 환승지 또는 도착지에서도 경로 안내 서비스를 이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철도역 도착 자동 인식 및 위치 모니터링이 가능한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역사 출입구에 있는 비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도착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신호 수신부; 사용자 및 안내 로봇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요청 수신부에서 상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위치 검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는 시간 계산부; 상기 요청 수신부에서 상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위치 검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의 역사 출입구를 결정하여 송신하는 출입구 결정부; 상기 비콘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도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도착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진입한 진입 출입구를 판별하는 진입 판별부; 상기 시간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에 상기 출입구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출입구에 안내 로봇이 도착하도록 제어하는 안내 로봇 관리부; 및 상기 진입 판별부에서 판별한 출입구를 출발 지점으로 하여 경로를 설정하여 송신하는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의 최적 역사 출입구를 결정하여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에 상기 최적 역사 출입구에 안내 로봇이 도착하도록 안내 로봇을 배정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가 철도 역사 출입구에 도착하면, 상기 역사 출입구에 있는 비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g) 상기 도착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진입한 진입 출입구를 판별하는 단계; 및 (h) 상기 최적 역사 출입구와 상기 진입 출입구가 일치하면, 배정된 상기 안내 로봇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의 최적 역사 출입구를 결정하여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가 철도 역사 출입구에 도착하면, 상기 역사 출입구에 있는 비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도착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진입한 진입 출입구를 판별하는 단계; 및 (f) 상기 진입 출입구를 출발 지점으로 한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철도 역사 밖 임의의 지점에서 철도 역사 내의 경로 안내 등의 서비스를 요청하고 사용자가 역사로 이동하여 도착하면, 역사의 도착을 시스템이 자동으로 인식하여 서비스를 개시하고 환승지 또는 도착지에서도 서비스를 이어서 받을 수 있도록 안내를 수행함으로써 교통 약자의 역사 시설물 이용만족도를 높이면서, 빠르고 안전한 길 안내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철도 역사 내에 RFID 태그가 내장된 점자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은 교통 약자 단말(100), 관제 서버(110), 및 안내 로봇(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200), GPS 모듈(210), 및 통신 모듈(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은 교통 약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단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에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200)이 탑재된다.
교통 약자는 애플리케이션(200)을 실행시켜 자신이 진입하고자 하는 출발역 및 철도 역사 내에서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 또는 목표 위치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은 내부에 GPS 모듈(210)을 구비하여 교통 약자 단말(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관제 서버(110)에 전달한다.
즉, 교통 약자는 경로 안내 등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 자신의 교통 약자 단말(1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200)을 실행시킨다. 애플리케이션(200) 실행 후 초기 단계에서 교통 약자는 자신의 교통 약자 유형을 애플리케이션(200) 상에 선택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역사 이용을 위한 최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교통 약자 유형이라 함은 장애의 종류(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지체 장애인, 및 휠체어 장애인 등), 노인, 유아 동반인, 및 임산부 등이 될 수 있다. 출발역에 도착하기 전에 교통 약자는 단말 상의 애플리케이션(200)상 진입하고자 하는 출발역 및 목표 위치를 입력하면, 이 입력된 정보(출발역 및 목표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요청이 관제 서버(110)에 전달된다.
또한, 교통 약자 단말(100)의 GPS 모듈(210) 및 통신 모듈(220)에서는 교통 약자 단말(100)의 위치, 다시 말해 교통 약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교통 약자의 위치 및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제 서버(11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통 약자 단말(100)은 개인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예의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특수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는 교통 약자 단말(100)로부터 경로 또는 목표 위치, 및 교통 약자의 위치 등을 수집하여 해당 경로를 안내 로봇(120)에 전달한다. 이때 관제 서버(110)는 철도 역사 내의 시설물 정보, 열차 정보 및 환경 정보, 이용자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는 교통 약자가 역사 도착 전 임의의 지점에서 서비스를 요청하면 해당 위치에서 가장 편리한 최적의 역사 출입구를 안내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 이용자가 역사에 도착할 경우 역사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으로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시스템이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해서 대기시켜 놓은 안내 로봇(120)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게 한다. 이후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환승지 또는 도착지 예상 도착 시간에 맞춰 해당 역사의 안내 로봇(120)을 대기시켜 환승지 또는 도착지에서도 경로 안내 서비스를 이어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는 교통 약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업데이트, 및 운영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안내 로봇(120)의 운영을 관리한다. 관제 서버(110)는 철도 역사를 통합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는 철도 역사 운영 시스템 등에 설치될 수도 있고, 철도 역사 운영 시스템과 별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300), 요청 수신부(310), 비콘 신호 수신부(320), 위치 검출부(330), 시간 계산부(340), 출입구 결정부(350), 진입 판별부(360), 안내 로봇 관리부(370), 경로 설정부(380), 경로 요청 DB(390), 및 운영 관리부(3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부(300)는 교통 약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회원 가입, 및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기능 및 정보 표출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요청 수신부(310)에서 수신하는 경로 안내 요청은 철도 역사 내부에 있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철도 역사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요청 수신부(310)에서 수신하는 경로 안내 요청에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환승역 정보, 및 도착역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약자 유형이라 함은 장애의 종류(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지체 장애인, 휠체어 장애인 등), 노인, 유아 동반인, 및 임산부 등이 될 수 있고,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은 계단,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용 서비스 유형은 안내 로봇(120)을 이용한 안내 로봇 가이드 서비스 및 단말기에 푸쉬 메시지의 형태 또는 지도 형태로 경로가 현시되는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 수신부(320)는 역사 출입구에 있는 비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교통 약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도착 신호를 수신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역사 출입구에 비콘 센서를 설치하고 각각의 비콘 센서가 고유의 비콘 ID 및 출입구 정보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역사 출입구에 도착하게 되면 비콘 ID 및 출입구 정보를 가지는 도착 신호를 비콘 신호 수신부(320)로 전송하게끔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서비스를 신청한 교통 약자가 철도 역사에 도착하면 교통 약자 단말(100)이 역사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이 수신에 따라 교통 약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200)에서는 비콘 신호 수신부(320)로 본인이 역사 출입구에 도착하였다는 도착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부(330)는 사용자 및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 계산부(340)는 요청 수신부(310)에서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위치 검출부(33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 계산부(340)에서는 철도 역사 외부에서 이동중인 사용자가 본인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현재 위치에서 출발역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출발역에 도착하게 되는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 계산부(340)는 사용자가 출발역에 도착한 후 역사 내에서 이동을 하여 철도에 탑승을 하면 도착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고, 경로 중에 환승 정보가 있는 경우는 환승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 결정부(350)는 요청 수신부(310)에서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위치 검출부(33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역사 출입구를 결정한다. 이때, 출입구 결정부(350)는 요청 수신부(310)에서의 경로 안내 요청에 포함된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반영하여 출입구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가 휠체어 장애인인 경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출입구를 결정하고, 사용자가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로 에스컬레이터를 입력한 경우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출입구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안내 로봇(120)을 이용한 안내 로봇 가이드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안내 로봇(120)의 배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의 출입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입 판별부(360)는 비콘 신호 수신부(320)에서 사용자의 도착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도착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진입한 진입 출입구를 판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 관리부(370)는 시간 계산부(340)에서 계산된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에 맞춰 출입구 결정부(350)에서 결정된 출입구에 안내 로봇(120)이 도착하도록 제어하고, 시간 계산부(340)에서 계산된 환승역 예상 도착 시간 또는 도착역 예상 도착 시간에 환승역 또는 도착역 하차장에 안내 로봇(120)이 도착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구 결정부(350)에서 결정한 출입구와 진입 판별부(360)에서 판별한 진입 출입구가 불일치한 경우,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 관리부(370)는 진입 출입구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안내 로봇(120)을 진입 출입구로 배정하여 안내 로봇(120)이 진입 출입구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출입구 결정부(350)에서 결정된 출입구에 기배정되었던 안내 로봇(120)을 진입 출입구로 재배정하여 진입 출입구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 관리부(370)는 철도 역사 내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나 동작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안내 로봇(12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등을 체크하고, 안내 로봇(120)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관리자 등에게 안내할 수 있다. 더불어 안내 로봇(120)으로 전달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설정부(380)는 진입 판별부(360)에서 판별한 출입구를 출발 지점으로 하여 경로를 설정하여 송신한다. 사용자가 안내 로봇 가이드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경로 설정부(380)는 설정된 경로를 안내 로봇(120)으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경로 설정부(380)는 설정된 경로를 교통 약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로 설정부(380)는 교통 약자 단말(100)로부터 경로 또는 목표 위치, 및 교통 약자의 위치가 전달되면, 해당 경로 또는 목표 위치, 및 교통 약자의 위치 및 철도 시설물, 환경, 이용자 정보 등을 최적화 계산을 통하여 안내 로봇(120)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안내 로봇(120)이 교통 약자에게 그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안내 로봇 관리부(370)는 교통 약자가 이동할 수 있는 동선에서 관련되는 철도 시설물 정보, 철도 이용객 정보, 열차 정보, 및 교통 약자가 진입할 출입구의 위치와 각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안내 로봇(120) 중 현재 경로 안내 중이지 않고 교통 약자가 진입한 출입구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안내 로봇(120)을 선정하여 동작 지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철도 역사 내 복수 개의 안내 로봇(120)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안내 로봇(120)의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며, 한 명의 교통 약자에게 하나의 안내 로봇(120)이 경로 지원을 하도록 함으로써, 안내 로봇(120)의 운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로 요청 DB(390)는 요청 수신부(310)에서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경로 안내 요청 별로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 요청된 서비스의 경로 정보,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등을 하나의 테이블로 관리 및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영 관리부(395)는 철도 역사 시설물의 장치 운영이 가능하여 안내 로봇(120)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안내 로봇(120)의 도착 시간에 맞춰 엘리베이터 탑승이 가능하게 하거나, 근처 장애인 화장실의 사용 현황을 확인하여 실시간 최적의 화장실 장소 안내 등이 가능하도록 하여 교통 약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은 경로 안내부(400), 위치 감지부(410), 및 이동부(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부(410)는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위치 감지부(410)는 철도 역사 내에 미리 마련되어 있는 RFID, Bluetooth, 또는 WiFi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RFID 태그(500)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도 역사 내 점자 블록(510) 등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RFID 태그(500)에는 현재 위치가 매칭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120)의 위치 감지부(410)는 RFID 태그(500)를 인식하고, 인식된 RFID 정보를 기반으로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점자 블록 이외의 일반적인 블록에도 소형 RFID를 이용하여 2차원 방향의 위치 검지가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의 이동부(420)는 경로 안내부(4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안내 로봇(120)을 이동시킨다. 경로 안내부(400)는 관제 서버(110)로부터 교통 약자가 진입할 출입구의 위치, 교통 약자가 목표로 하는 경로 또는 위치가 전달되면 출입구의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교통 약자가 철도 역사의 3번 출입구로 진입할 것으로 설정된 경우, 3번 출구와 가까운 위치, 예컨대 안내 로봇(120)이 이동 가능하며 교통 약자의 3번 출구 진입시 교통 약자와 만날 수 있는 설정 위치를 검출한 후, 해당 설정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가 설정되면, 경로 안내부(400)는 위치 감지부(410)를 통해 감지된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부(420)를 제어하여 해당 경로까지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 로봇(120)이 설정 위치까지 이동한 후 교통 약자와 만나면, 경로 안내부(400)는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교통 약자가 설정한 경로 또는 목표 위치까지의 경로를 설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관제 서버(110)의 경로 설정부(380)에서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교통 약자가 설정한 경로 또는 목표 위치까지의 경로를 설정하여 안내 로봇(120)의 경로 안내부(4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어, 경로 안내부(400)는 위치 감지부(410)를 통해 감지된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부(420)를 제어하여 이동한다. 이때, 교통 약자는 안내 로봇(120)에 마련된 손잡이부 등을 통해 안내 로봇(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의 경로 안내부(400)는 교통 약자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설정된 경로 중에 엘리베이터 등이 있을 경우 관제 서버(110)와 연계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은 철도 역사를 이용 중인 다른 보행자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촬영부 또는 센서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120)의 경로 안내부(400)는 촬영부 또는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서 다른 보행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도를 검출한다. 이후, 경로 안내부(400)는 검출된 충돌 위험도에 따라 이동부(420)를 정지시키거나 그 속도를 감속시킨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본 실시예의 요청 수신부(3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한다(S600). 여기서 경로 안내 요청에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환승역 정보, 및 도착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철도 역사 내부의 경로 안내 또는 편의 시설 위치 정보를 얻는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철도 역사 밖 임의의 지점에서 예컨대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신청하면, 관제 서버(110)에서는 경로 안내 요청 별로 사용자의 스마트폰 정보(물리적인 폰 번호), 요청된 서비스의 경로 정보,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등을 경로 요청 DB(390)에 하나의 테이블로 관리 및 저장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위치 검출부(330)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S605). 본 실시예의 출입구 결정부(350)에서는 위치 검출부(330)에서 검출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최적인 최적 역사 출입구를 결정하여 송신한다(S610). 이때 최적 역사 출입구 결정시, 출입구 결정부(350)에서는 경로 안내 요청에 포함된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등을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출입구를 결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시간 계산부(340)에서는 위치 검출부(330)에서 검출한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한다(S615).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 관리부(370)에서는 시간 계산부(340)에서 계산된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에 출입구 결정부(350)에서 결정된 최적 역사 출입구에 안내 로봇(120)이 도착할 수 있도록 안내 로봇(120)을 배정한 후, 최적 역사 출입구 위치를 안내 로봇(120)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의 비콘 신호 수신부(320)에서는 사용자가 철도 역사 출입구에 도착하면, 역사 출입구에 있는 비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교통 약자 단말(100)로부터 도착 신호를 수신한다(S620). 즉,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가 역사 출입구에 도착하게 되면, 역사 출입구에서는 이 사용자의 도착을 인지하고 관제 서버(110)의 비콘 신호 수신부(320)로 전송하게 되면 관제 서버(110)에서는 경로 요청 DB(390)의 해당 항목에 당해 신청자가 역사에 도착한 것으로 위치 상태를 변경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진입 판별부(360)에서는 비콘 신호 수신부(320)로부터 수신된 도착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진입한 진입 출입구를 판별한다(S625).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신청자가 철도 역사에 도착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역사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이 신호 수신에 따라 스마트폰 앱은 관제 서버(110)로 사용자가 철도 역사의 특정 게이트에 도착하였음을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각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은 각각 고유의 비콘 ID 또는 출입구 정보를 함께 포함하기 때문에 관제 서버(110)의 진입 판별부(360)에서는 어느 게이트에 신청자가 도착했는지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관제 서버(110)에서는 출입구 결정부(350)에서 결정된 최적 역사 출입구와 진입 판별부(360)에서 판별된 사용자의 실제 진입 출입구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630), 최적 역사 출입구와 진입 출입구가 일치하면 최적 역사 출입구에 배정되어 기다리고 있던 안내 로봇(120)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시하도록 한다(S635). 이후, 역사 내부에서는 실내 위치 측위 방법을 통해 지속적으로 사용자가 역사 내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여 교통 약자 및 안내 로봇(12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처럼 역사 내부에서 교통 약자 및 안내 로봇(12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이유는 역사 내부의 경로 안내를 하기 위함이다.
한편, S630의 판단 결과 최적 역사 출입구와 진입 출입구가 불일치하면, 즉 관제 서버(110)에서 안내한 최적 역사 출입구가 아닌 다른 출입구로 교통 약자가 진입한 경우, 관제 서버(110)의 안내 로봇 관리부(370)에서는 교통 약자의 실제 진입 출입구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안내 로봇(120)을 진입 출입구로 배정하여 이동하도록 한 후, 배정된 안내 로봇(120)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시하도록 한다(S640). 다른 실시예에서는, 즉 관제 서버(110)에서 안내한 최적 역사 출입구가 아닌 다른 출입구로 교통 약자가 진입한 경우, 관제 서버(110)의 안내 로봇 관리부(370)에서는 최적 역사 출입구에 배정되어서 대기하고 있던 안내 로봇(120)을 진입 출입구로 재배정하여 이동하도록 한 후, 재배정된 안내 로봇(120)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시하도록 한다(S640).
한편, 교통 약자의 경로 안내 요청에 환승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관제 서버(110)의 시간 계산부(340)에서는 교통 약자가 철도에 탑승한 후 환승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한다(S645). 이후 관제 서버(110)의 안내 로봇 관리부(370)에서는 시간 계산부(340)에서 계산된 환승역 예상 도착 시간에 맞춰 환승역 하차장에 안내 로봇(120)이 도착하도록 배정한다(S650). 이후 교통 약자가 환승역에 도착하게 되면 배정된 안내 로봇(120)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가 연결되어 제공된다(S655).
한편, 교통 약자의 경로 안내 요청에 도착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관제 서버(110)의 시간 계산부(340)에서는 교통 약자가 철도에 탑승한 후 도착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한다(S660). 이후 관제 서버(110)의 안내 로봇 관리부(370)에서는 시간 계산부(340)에서 계산된 도착역 예상 도착 시간에 맞춰 도착역 하차장에 안내 로봇(120)이 도착하도록 배정한다(S665). 이후 교통 약자가 도착역에 도착하게 되면 배정된 안내 로봇(120)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가 연결되어 제공된다(S670).
도 7은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교통 약자가 안내 로봇(120)을 이용한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교통 약자가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는 도 6의 서비스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도 6의 서비스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관제 서버(110)의 요청 수신부(310)는 교통 약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한다(S700). 다음으로, 관제 서버(110)의 위치 검출부(330)에서는 교통 약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S705). 관제 서버(110)의 출입구 결정부(350)에서는 위치 검출부(330)에서 검출한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교통 약자에게 최적인 최적 역사 출입구를 결정하여 송신한다(S710).
교통 약자가 철도 역사 출입구에 도착하면, 관제 서버(110)의 비콘 신호 수신부(320)에서는 역사 출입구에 있는 비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교통 약자 단말(100)로부터 도착 신호를 수신한다(S715). 관제 서버(110)의 진입 판별부(360)에서는 비콘 신호 수신부(320)로부터 수신된 도착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진입한 진입 출입구를 판별한다(S720). 전술한 바와 같이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은 각각 고유의 비콘 ID 또는 출입구 정보를 함께 포함하기 때문에 관제 서버(110)의 진입 판별부(360)에서는 어느 게이트에 교통 약자가 도착했는지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관제 서버(110)에서는 진입 판별부(360)에서 판별된 사용자의 실제 진입 출입구를 출발 지점으로 한 경로를 설정하여 교통 약자 단말(100)로 송신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시한다(S725). 교통 약자 단말(100)이 수신한 경로는 교통 약자의 유형 및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이 반영된 최적의 경로가 되며, 요청 신호에 환승역 또는 도착역 정보가 있는 경우 이또한 반영되어 있게 된다.
즉, 관제 서버(110) 교통 약자의 스마트폰 앱으로부터 교통 약자의 출입구 도착을 인지하게 되면, 교통 약자의 서비스 요청 내용에 따른 적절한 경로 안내 또는 역사 내부 편의 시설 위치 정보를 안내 및 가이드 할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피드백하게 된다. 따라서 교통 약자가 역사 내부에 도착하면 경로 안내 등의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제어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과정 S600 내지 과정 S670, 과정 S700 내지 과정 S725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 및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600 내지 과정 S670, 과정 S700 내지 과정 S725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 및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교통 약자 단말 110: 관제 서버
120: 안내 로봇 200: 애플리케이션
210: GPS 모듈 220: 통신 모듈
300: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310: 요청 수신부
320: 비콘 신호 수신부 330: 위치 검출부
340: 시간 계산부 350: 출입구 결정부
360: 진입 판별부 370: 안내 로봇 관리부
380: 경로 설정부 390: 경로 요청 DB
395: 운영 관리부 400: 경로 안내부
410: 위치 감지부 420: 이동부
500: RFID 태그 510: 점자블록

Claims (26)

  1.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역사 출입구에 있는 비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도착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신호 수신부;
    사용자 및 안내 로봇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요청 수신부에서 상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위치 검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는 시간 계산부;
    상기 요청 수신부에서 상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위치 검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의 역사 출입구를 결정하여 송신하는 출입구 결정부;
    상기 비콘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도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도착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진입한 진입 출입구를 판별하는 진입 판별부;
    상기 시간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에 상기 출입구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출입구에 안내 로봇이 도착하도록 제어하는 안내 로봇 관리부; 및
    상기 진입 판별부에서 판별한 출입구를 출발 지점으로 하여 경로를 설정하여 송신하는 경로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경로 안내 요청은 상기 철도 역사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경로 안내 요청에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환승역 정보, 및 도착역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결정부는 상기 경로 안내 요청에 포함된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반영하여 출입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결정부에서 결정한 상기 출입구와 상기 진입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진입 출입구가 불일치하면, 상기 안내 로봇 관리부는 상기 진입 출입구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안내 로봇을 상기 진입 출입구로 배정하여 상기 진입 출입구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결정부에서 결정한 상기 출입구와 상기 진입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진입 출입구가 불일치하면, 상기 안내 로봇 관리부는 상기 출입구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출입구에 배정된 안내 로봇을 상기 진입 출입구로 재배정하여 상기 진입 출입구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안내 로봇 가이드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상기 경로 설정부는 설정된 상기 경로를 상기 안내 로봇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상기 경로 설정부는 설정된 상기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수신부에서 상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경로 안내 요청 별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 요청된 서비스의 경로 정보,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정보가 하나의 테이블로 관리되는 경로 요청 DB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도착 신호는 고유의 비콘 ID 및 출입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계산부는, 상기 사용자가 철도에 탑승한 경우 환승역 예상 도착 시간 및 도착역 예상 도착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계산하고,
    상기 안내 로봇 관리부는, 상기 시간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환승역 예상 도착 시간 또는 상기 도착역 예상 도착 시간에 환승역 또는 도착역 하차장에 안내 로봇이 도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11.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의 최적 역사 출입구를 결정하여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출발역 예상 도착 시간에 상기 최적 역사 출입구에 안내 로봇이 도착하도록 안내 로봇을 배정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가 철도 역사 출입구에 도착하면, 상기 역사 출입구에 있는 비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g) 상기 도착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진입한 진입 출입구를 판별하는 단계; 및
    (h) 상기 최적 역사 출입구와 상기 진입 출입구가 일치하면, 배정된 상기 안내 로봇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역사 출입구와 상기 진입 출입구가 불일치하면, 상기 진입 출입구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안내 로봇을 상기 진입 출입구로 배정하여 상기 진입 출입구로 이동하도록 한 후, 배정된 상기 안내 로봇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역사 출입구와 상기 진입 출입구가 불일치하면, 상기 최적 역사 출입구에 배정된 안내 로봇을 상기 진입 출입구로 재배정하여 상기 진입 출입구로 이동하도록 한 후, 배정된 상기 안내 로봇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요청에 도착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착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도착역 예상 도착 시간에 도착역 하차장에 안내 로봇이 도착하도록 배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착역에 도착하면 배정된 상기 안내 로봇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요청에 환승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환승역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환승역 예상 도착 시간에 환승역 하차장에 안내 로봇이 도착하도록 배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환승역에 도착하면 배정된 상기 안내 로봇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요청은 상기 철도 역사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요청에는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환승역 정보, 및 도착역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의 상기 최적 역사 출입구 결정시, 상기 경로 안내 요청에 포함된 상기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상기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상기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반영하여 출입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경로 안내 요청 별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 요청된 서비스의 경로 정보, 교통 약자 유형 정보, 역사 층간 선호 이동 수단 정보, 및 이용 서비스 유형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정보가 하나의 테이블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수신한 상기 도착 신호는 고유의 비콘 ID 및 출입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80132311A 2018-10-31 2018-10-31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097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11A KR102097317B1 (ko) 2018-10-31 2018-10-31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11A KR102097317B1 (ko) 2018-10-31 2018-10-31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317B1 true KR102097317B1 (ko) 2020-04-06

Family

ID=7028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311A KR102097317B1 (ko) 2018-10-31 2018-10-31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3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88B1 (ko) * 2007-03-16 2008-07-18 주식회사 나루기술 시각 장애우 보행 경로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249836A (ja) * 2010-06-21 2010-11-04 Zenrin Co Ltd 経路探索装置、プログラム、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記録媒体
KR20150135633A (ko) * 2014-05-22 2015-1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보행자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88B1 (ko) * 2007-03-16 2008-07-18 주식회사 나루기술 시각 장애우 보행 경로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249836A (ja) * 2010-06-21 2010-11-04 Zenrin Co Ltd 経路探索装置、プログラム、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記録媒体
KR20150135633A (ko) * 2014-05-22 2015-1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보행자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1348B (zh) 具有电梯系统的建筑物的疏散方案
AU2012342643B2 (en) Elevator reservations using destination arrival time
KR101172000B1 (ko)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US10441494B2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US20170057781A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bridge
US11554931B2 (en) Inferred elevator car assignments based on proximity of potential passengers
KR102237981B1 (ko) 교통 약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안내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약자 안내 방법
CN113853638A (zh) 车辆调度服务上车地点决定方法以及车辆调度服务上车地点决定系统
JP2016038623A (ja) 移動支援サーバ、障害者側通信端末、施設側通信端末、および移動支援システム
US9752882B2 (en) Transportation system
KR20200049266A (ko)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97317B1 (ko)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487037B1 (ko)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JP6267276B2 (ja) 経路案内方法、経路案内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076197A (ko) 엘리베이터용 목적층 예약장치 및 그 방법
JP2013257227A (ja) 自動応答装置、自動応答中継装置、自動応答通信システム、自動応答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70900A (ja) 経路案内方法、経路案内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095460A (ja) 交通管理装置、交通管理システム、交通管理方法、及び交通管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065262A (ko) 개인용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비콘인식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탑승자 인원검출 및 행동분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66523A (ko) 보행 유형을 고려한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4402086A1 (en) Aid and rescue by elevator in a residential building
KR102168458B1 (ko) 점자 블록을 이용한 실내 측위를 통해 경로를 이동하는 안내 로봇 및 경로 이동 방법
JP2022012533A (ja) モビリティ支援システム、車両配車装置、エレベータ管理装置、発券装置、設備管理装置およびモビリティ支援プログラム
KR101895442B1 (ko) 지하철 리프트 예약 시스템, 지하철 리프트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40113755A (ko) 장애인의 접근성 지표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