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037B1 -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037B1
KR102487037B1 KR1020220091121A KR20220091121A KR102487037B1 KR 102487037 B1 KR102487037 B1 KR 102487037B1 KR 1020220091121 A KR1020220091121 A KR 1020220091121A KR 20220091121 A KR20220091121 A KR 20220091121A KR 102487037 B1 KR102487037 B1 KR 102487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ation
guidance
indoor
rout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치영
이준행
Original Assignee
(주)휴먼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케어 filed Critical (주)휴먼케어
Priority to KR102022009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3Indoor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44Data obtained from position sensors only, e.g. from inertial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약자의 유형과 선택한 보행간 이용수단에 따라 최적의 길을 안내하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건출물내 비콘의 위치와 비콘별로 할당되어 있는 존 내에 위치좌표들이 지자기 센서값과 매핑되어 있는 지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정보에는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의 조합별로 실내 안내경로가 매핑되어 있는 길 안내 DB와; 지자기 센서값을 포함하는 위치검색정보를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부터 전송받아 실내에서의 교통약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교통약자 위치 획득부와;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실내 안내경로를 제공하되, 교통약자 단말 앱에서 선택된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에 맞는 실내 안내경로를 상기 길 안내 DB에서 독출하여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제공하는 길 안내 제공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Indoor road guidance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handicapped}
본 발명은 길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통약자의 유형과 선택한 보행간 이용수단에 따라 최적의 실내 길을 안내하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길 안내 시스템은 지도와 길 안내 주요 정보를 화면을 이용한 시각정보로 표시하고, 부가적인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즉, 일반적인 길 안내 시스템은 이용자의 고려 없이 단순히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해 주는 시스템이다.
특히 실내에서 길을 안내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이용자(교통약자, 비교통약자)에 따라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등을 이용해야 하나,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함 없이 단순히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해 주다 보니, 교통약자들은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 이용수단(경사로, 엘리베이터, 점자블럭 등)을 찾아 재차 이동 혹은 방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67424호에 게시된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이 있다. 이 특허발명은 키오스크 장치의 설치 위치에서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후보 이동 경로들 중 교통약자 타입 정보에 따라서 어느 한 후보 이동경로를 이동 경로로 결정해 유저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허발명에서는 교통약자가 이용 불가능한 이동 수단이 포함된 경로를 제외하고, 교통약자가 이용 가능한 교통 수단만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술한 교통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교통약자 등이 키오스크 장치를 찾아 이동해야 하고, 상술한 교통 정보 시스템에서는 교통약자의 타입을 선택할 수는 있지만 이동수단을 교통약자가 직접 선택할 수 없기에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이동 경로만을 이용해야 하며, 더 나아가 교통약자가 열차, 고속버스,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을 이용함에 있어서 탑승 위치 미확정 상태에서는 목적지를 입력할 수 없기에 상술한 교통 정보 시스템을 이용해 이동 경로 제공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이에 상술한 교통 정보 시스템에 비해 이용이 편리하고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여 길 안내함은 물론,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기와 연계 동작하여 교통약자들을 보다 안전하게 목적지로 안내할 수 있는 길 안내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7424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교통약자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단말을 통해 교통약자 유형과 보행간 이용수단을 선택해 최적의 실내 길을 안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통약자가 위치하는 실내의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교통약자가 선택한 목적지에 정확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안내하되 교통약자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통약자가 소지한 운송수단의 승차권 정보를 이용해 교통약자를 탑승지까지 안내할 수 있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교통약자에게 제공되는 안내경로상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기들과 연계하여 자동 혹은 수동으로 여러 종류의 음성 안내 방송을 송출하여 길 안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교통약자 단말 앱과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검색정보를 이용해 실내에서의 교통약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교통약자 위치 획득부와;
각 건출물내 비콘의 위치와 비콘별로 할당되어 있는 존 내에 위치좌표들이 매핑되어 있는 지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정보에는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의 조합별로 실내 안내경로가 매핑되어 있는 길 안내 DB와;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실내 안내경로를 제공하되, 교통약자 단말 앱에서 선택된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에 맞는 실내 안내경로를 상기 길 안내 DB에서 독출하여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제공하는 길 안내 제공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은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부터 전송된 운송수단의 승차권 정보를 승차권 발권기관 서버로 전송해 탑승지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목적지 정보로서 상기 길 안내 제공부로 제공하는 탑승지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각각의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 제공부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제공되는 실내 안내경로상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기 근방으로 교통약자가 진입시 음성안내방송의 송출을 요청하는 송출제어신호를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전송하는 음성안내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길 안내 제공부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제공되는 실내 안내경로상에서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중간 경유지 안내, 이용수단 안내, 위험물 안내, 목적지 도착 안내방송을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전송하는 음성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의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통약자 위치 획득부는 상기 위치검색정보중 하나로 전송되는 GPS 값으로 교통약자가 위치하는 건축물을 식별하고, 식별된 건축물내에서 상기 위치검색정보중 하나로 전송되는 비콘 ID로 사용자가 위치하는 존을 식별하며, 식별된 존에서 상기 위치검색정보중 하나로 전송되는 지자기 센서값에 따라 상기 식별된 존 내에서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은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실내 길 경로를 안내해 주되, 교통약자가 선택한 교통약자 유형과 보행간 이용수단에 맞는 이동경로만을 추출하여 실내 길 안내경로로 제공해 주기 때문에, 교통약자가 이용할 수 있는 경로 중 교통약자가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해 안내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약자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단말을 통해 교통약자 유형과 보행간 이용수단을 선택해 최적의 실내 길을 안내받을 수 있기 때문에, 키오스크와 같은 별도의 길 안내 시스템을 찾아다닐 필요가 없어 교통약자에 대해 친화적인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약자가 목적지를 입력하지 않고서 QR 코드와 같은 승차권 정보의 리딩만으로도 목적지의 자동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통약자는 앱 조작을 최소화하면서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길 안내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비콘신호가 도달하는 존에 교통약자가 위치할 경우 그 존에서 감지되는 지구 자기장의 값으로 교통약자가 위치하는 지점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을 실내 안내경로상에 위치하는 점자블록으로 정확히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일반 교통약자들에게 길을 안내함에 있어 교통약자를 기준으로 안내하는 곳(목적지, 경유지, 방향전화지점 등)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산출 표시하여 안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교통약자에게 제공되는 안내경로상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기들과 연계하여 자동 혹은 수동으로 여러 종류의 음성 안내 방송을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약자가 보다 쉽게 길을 찾아갈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의 주변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단말 앱의 표시화면 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 예를 들면 비콘 통신, GPS 정보의 수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의 주변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은 통신망을 통해 교통약자 단말(100)에 설치된 앱(이하 교통약자 단말 앱이라 함)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교통약자 단말(100)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휴대용 컴퓨터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함)로서, GPS 수신이 가능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무선와이파이, 블루투스 모듈 탑재)이 탑재되며, 지구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가 내장된 단말이다. 이러한 교통약자 단말(100)에 설치된 앱은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의 운영사가 배포하는 길 안내 서비스 앱으로서,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위치검색정보를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에 제공하며, 상기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실내 안내경로를 여러 형태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위치검색정보는 수신된 GPS 정보, 지자기 센서값, 건축물 실내에 설치되어 비콘신호를 송신한 비콘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은 교통약자 단말 앱(100)에서 전송된 위치검색정보에 기반하여 실내에서의 교통약자 위치를 획득하고, 교통약자가 선택 혹은 입력한 목적지까지의 경로(실내 안내경로라 함)를 찾아 제공해 주되, 교통약자가 선택한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에 맞는 경로만을 찾아 제공해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통약자란 보행하면서 이용할 수 있는 보행간 이용수단(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계단, 회전문 등)을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거나 이동보조도구를 활용하여 보행하는 사람들인 것으로 가정한다. 장애인(시각, 청각), 휠체어 이용자, 유모차 이용자, 노인, 목발 이용자 등이 대표적인 교통약자라 할 수 있다. 교통약자 유형은 교통약자를 구분한 것으로,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휠체어 이용자, 유모차 이용자, 노인 등이 각각 하나의 교통약자 유형이 된다. 교통약자 유형에 따라 특정 이용수단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길 안내시 교통약자가 이용할 수 없는 보행간 이용수단(이하 이용수단이라고도 함)이 경로상에 존재하는 길을 배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300은 통신망을 통해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과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승차권(버스, 철도, 항공기) 발권기관 서버(300)를 도시한 것으로,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에서 제공된 승차권 정보에 기재된 운송편이 출발하는 탑승지(플랫폼) 정보를 상기 시스템(200)에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승차권 정보를 이용해 운송편이 출발하는 탑승지 정보를 자동 획득할 수 있다면 별도의 목적지 입력 없이 승차권 정보의 리딩만으로도 목적지 자동 설정이 가능하다. 특히 운송편의 배차 지연, 긴급 운송편 편성,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탑승지가 긴급 편성되어 출발 15 내지 30분 전에 공지되거나, 변경 공지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승차권 정보의 리딩을 통해 목적지(탑승지)까지 길 안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교통약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은 서버 컴퓨터 시스템의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결합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은 통신망을 통해 교통약자 단말 앱(100)과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각 건출물내 비콘의 위치와 비콘별로 할당되어 있는 존 내에 위치좌표(x,y좌표)들이 지자기 센서값과 매핑되어 있는 지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정보에는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의 조합별로 실내 안내경로가 매핑되어 있는 길 안내 DB(2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은 지자기 센서값을 포함하는 위치검색정보를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부터 전송받아 실내에서의 교통약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교통약자 위치 획득부(210)와,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실내 안내경로를 제공하되, 교통약자 단말 앱(100)에서 선택된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에 맞는 실내 안내경로를 상기 길 안내 DB(270)에서 독출하여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 제공하는 길 안내 제공부(2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교통약자 위치 획득부(210)는 상기 위치검색정보중 하나로 전송되는 GPS 값으로 교통약자가 위치하는 건축물을 식별하고, 식별된 건축물내에서 상기 위치검색정보중 하나로 전송되는 비콘 ID로 사용자가 위치하는 존을 식별하며, 식별된 존에서 상기 위치검색정보중 하나로 전송되는 지자기 센서값에 따라 상기 식별된 존 내에서 교통약자가 위치하는 지점을 획득한다.
상기 길 안내 DB(270)에는 건축물을 식별하기 위한 GPS정보와, 각 건축물에 설치된 비콘의 위치정보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비콘의 신호가 도달하는 존을 평면(x,y)상의 위치좌표들로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위치좌표에서 사전 측정된 지자기 센서값을 매핑시켜 놓은 지도정보가 저장되며, 각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음성 안내기 설치정보, 위험물 위치정보, 이용수단 위치정보 및 각종 음성안내 정보가 저장된다.
참고적으로, 길 안내 DB(270) 구축된 각 건축물의 실내가 사전 측정에 의해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은 실내 지자기(지구 자기장) 맵 패턴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비콘에 의해 식별되는 존 내에서 교통약자 단말(100)로부터 측정되는 지자기 센서값을 통해 그 존내에서 교통약자가 위치하는 지점을 특정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길 안내 제공부(220)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 제공되는 실내 안내경로상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기 근방으로 교통약자가 진입시 음성안내방송의 송출을 요청하는 송출제어신호를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 전송하는 음성안내기 제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음성안내기 제어부(240)는 길 안내 제공부(220)와는 독립된 모듈로 존재할 수도 있다. 교통약자 단말 앱(100)은 송출제어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음성안내방송의 송출을 요청하는 신호를 자동으로 무선 송출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또 하나의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길 안내 제공부(220)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 제공되는 실내 안내경로상에서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중간 경유지 안내, 이용수단 안내, 위험물 안내, 목적지 도착 안내방송을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 전송하는 음성 안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안내부(250) 역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 안내 제공부(220)와는 독립된 모듈로 존재할 수 있다. 음성 안내부(250)와 음성 안내기 제어부(240)가 독립된 모듈로 정상 동작하기 위해서는 길 안내 제공부(220)에 의해 제어되어야 할 것이다.
교통약자 위치 획득부(210), 길 안내 제공부(200), 길 안내 DB(270)의 기본 구성 외에,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은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부터 전송된 운송수단의 승차권 정보를 승차권 발권기관 서버(300)로 전송해 탑승지(예를 들면 탑승 플랫폼)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목적지 정보로 설정해 상기 길 안내 제공부(220)로 제공(전달)하는 탑승지 정보 획득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길 안내 제공부(200)는 교통약자가 입력한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할 수도 있고 탑승지 정보 획득부(230)에서 전달된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해 실내 안내경로를 찾을 수 있다. 교통약자 단말 앱(100)에서 승차권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승차권에 인쇄된 QR코드를 읽거나, 앱에 승차권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으며, 이때 획득된 승차권 정보는 승차권 발권기관의 API를 통해 승차권 발권기관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은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부터 긴급호출신호 수신시에 교통약자가 현재 위치하는 시설(건축물)의 통제실 전화번호를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 전달하여 전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요청하는 통화 연결부(260)를 더 포함할수도 있다. 전화연결 요청에 따라 교통약자 단말 앱(100)은 통제실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이 이루어지도록 해 교통약자와 통제실 관리자 사이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은 상기 긴급호출신호 수신시부터 교통약자의 위치정보(위치좌표)를 저장하여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도시하지 않았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위치정보는 건축물 등에 화재, 붕괴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교통약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은, 상기 길 안내 제공부(220)가 제공하는 실내 안내경로를 단말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되, 음성안내방송의 송출을 요청하는 송출제어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음성 안내기측으로 송출하기 위한 음성안내버튼을 상기 표시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교통약자 단말 앱(100)을 일 구성요소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교통약자는 앱에 표시되는 음성안내버튼을 수동 조작하여 음성안내방송의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음성안내방송의 송출이 가능한 지역에 진입하였음을 교통약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은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 제공되는 실내 안내경로상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기 근방으로 교통약자가 진입시 음성안내방송의 송출을 요청하는 송출제어신호를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 전송하는 음성안내기 제어부(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100)은 상기 송출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음성안내버튼을 점멸 표시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단말 앱(100)의 표시화면과 실내 지자기 맵 패턴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실내 길 안내 서비스 앱을 자신의 단말(100)에 설치한 교통약자는 실내에 진입하여 길 안내 서비스 앱을 실행시킨다. 이에 길 안내 서비스 앱은 교통약자 단말(100)에 설치된 GPS 수신부, 비콘 수신기(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 지자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GPS 정보, 비콘 ID, 지자기 센서값들을 획득한다. 이어 길 안내 서비스 앱은 획득된 GPS 정보, 비콘 ID, 지자기 센서값을 위치검색정보로서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며, 교통약자에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통약자의 유형(장애 여부 설정)과 이용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표시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해 준다.
이에 교통약자는 도 4의 (a)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자신이 시각장애(다시 전맹, 약시 등으로 구분 선택 가능)인인지, 휠체어 사용자인지, 교통약자인지를 선택한다.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길 안내가 필요한 유형을 구비해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교통약자의 유형이 선택 완료되면 도 4의 (b)와 같은 화면을 통해 교통약자는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 보행간 이용수단을 선택한다. 이때 우선순위를 두어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된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 정보는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으로 전달된다. 아울러 교통약자가 이동하기를 희망하는 목적지 정보 또한 입력되어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으로 전달되어야 하는데, 교통약자에 의한 목적지 정보의 입력은 교통약자 유형의 선택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교통약자의 유형과 이용수단의 선택 입력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의 교통약자 위치 획득부(210)는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부터 GPS 정보, 비콘 ID, 지자기 센서값을 포함하는 위치검색정보를 수신하여 실내에서의 교통약자의 위치정보를 획득(S100단계)한다.
상기 위치검색정보중 하나로 전송되는 GPS 값으로는 교통약자가 위치하는 건축물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건축물내에서 상기 위치검색정보중 하나로 전송되는 비콘 ID로 사용자가 위치하는 존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존에서 상기 위치검색정보중 하나로 전송되는 지자기 센서값에 따라 상기 식별된 존 내에서 교통약자가 위치하는 x,y 좌표지점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위치정보(x,y좌표지점)는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 전달되어 지도상에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를 표시해 주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교통약자 실내길 안내 시스템(200)의 길 안내 제공부(220)는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S110단계)되면,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서 수신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길 안내 DB(270)에서 검색(S120단계)한다.
이어 길 안내 제공부(220)는 검색된 다수의 이동경로들 중 교통약자가 선택하여 수신(S110단계)된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에 맞는 이동경로만을 추출(S130단계)한다. 예를 들어 교통약자 유형이 시각장애인이라면 점자블럭을 따라 목적지까지 안내할 수 있는 복수의 이동경로를 추출하되, 이용수단에 있어 계단이 배제된 경우라면 상기 추출된 복수의 이동경로중 계단이 위치하는 이동경로를 제거하는 방식, 혹은 이용수단에 있어 엘리베이터가 선택된 경우라면 상기 추출된 복수의 이동경로중 엘리베이터가 위치하는 이동경로만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이동경로를 추출한다. 최종 추출된 이동경로가 복수 개일 경우 교통약자로 하여금 하나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어 길 안내 제공부(220)는 추출된 이동경로를 실내 안내경로로서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으로 제공(S140단계)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길 안내 화면이 교통약자 단말 앱(1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화면은 하나의 예이며, 교통약자가 이동해 감에 따라 혹은 방향전환이 필요할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은 화면으로 자동 전환하여 길 안내 할 수 있고, 교통약자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화면 구성을 표시해 주어 이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한편, 길 안내 제공부(220)에서 제공해 준 실내 안내경로를 확인한 교통약자가 이동을 시작하면, 길 안내 제공부(220)는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부터 계속하여 전송되어 오는 위치검색정보, 즉 비콘 ID와 지자기 센서값을 통해 교통약자의 이동을 체크(S150단계)할 수 있고, 이러한 교통약자의 이동중 교통약자가 음성 안내기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S160단계), 길 안내 제공부(220) 혹은 독립된 음성 안내기 제어부(240)는 음성안내방송의 송출을 요청(S170단계)하는 송출제어신호를 교통약자 단말 앱(100)으로 전송한다. 이에 교통약자 단말 앱(100)에서는 음성안내방송의 송출을 요청하는 송출제어신호를 무선 송출함으로써, 음성 안내기에서는 음성안내방송이 출력된다. 이는 자동으로 송출제어신호가 무선 송출되는 예이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통약자에 의해 수동으로 송출제어신호가 송출될 수도 있다.
이에 교통약자는 음성 안내기에서 출력되는 안내방송을 청취하면서 계속적으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안내방송은 길 안내용, 광고용, 명소 소개용 등 다양한 안내방송일 수 있다.
길 안내 제공부(220)는 교통약자의 이동을 체크하면서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S180단계)되면 교통약자 단말 앱(100)을 통해 목적지 도착안내 음성을 출력(S190단계)하여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200)은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실내 길 경로를 안내해 주되, 교통약자가 선택한 교통약자 유형과 보행간 이용수단에 맞는 이동경로만을 추출하여 실내 길 안내경로로 제공해 주기 때문에, 교통약자가 이용할 수 있는 경로 중 교통약자가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해 안내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교통약자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단말을 통해 교통약자 유형과 보행간 이용수단을 선택해 최적의 실내 길을 안내받을 수 있기 때문에, 키오스크와 같은 별도의 길 안내 시스템을 찾아다닐 필요가 없어 교통약자에 대해 친화적인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은 교통약자가 목적지를 입력하지 않고서 QR 코드와 같은 승차권 정보의 리딩만으로도 목적지의 자동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통약자는 앱 조작을 최소화하면서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길 안내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콘신호가 도달하는 존에 교통약자가 위치할 경우 그 존에서 감지되는 지구 자기장의 값으로 교통약자가 위치하는 지점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을 실내 안내경로상에 위치하는 점자블록으로 정확히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일반 교통약자들에게 길을 안내함에 있어 교통약자를 기준으로 안내하는 곳(목적지, 경유지, 방향전화지점 등)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산출 표시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약자에게 제공되는 안내경로상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기들과 연계하여 자동 혹은 수동으로 여러 종류의 음성 안내 방송을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약자가 보다 쉽게 길을 찾아갈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통신망을 통해 교통약자 단말 앱과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각 건출물내 비콘의 위치와 비콘별로 할당되어 있는 존 내에 위치좌표들이 지자기 센서값과 매핑되어 있는 지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정보에는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의 조합별로 실내 안내경로가 매핑되어 있는 길 안내 DB와;
    GPS값, 비콘 ID, 지자기 센서값을 포함하는 위치검색정보를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부터 전송받아 실내에서의 교통약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교통약자 위치 획득부와;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실내 안내경로를 제공하되, 교통약자 단말 앱에서 선택된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에 맞는 실내 안내경로를 상기 길 안내 DB에서 독출하여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제공하는 길 안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길 안내 제공부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제공되는 실내 안내경로상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기 근방으로 교통약자가 진입시 상기 음성 안내기에서 음성안내방송이 송출되도록 요청하는 송출제어신호를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전송하는 음성안내기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2. 통신망을 통해 교통약자 단말 앱과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각 건출물내 비콘의 위치와 비콘별로 할당되어 있는 존 내에 위치좌표들이 지자기 센서값과 매핑되어 있는 지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정보에는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의 조합별로 실내 안내경로가 매핑되어 있는 길 안내 DB와;
    GPS값, 비콘 ID, 지자기 센서값을 포함하는 위치검색정보를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부터 전송받아 실내에서의 교통약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교통약자 위치 획득부와;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실내 안내경로를 제공하되, 교통약자 단말 앱에서 선택된 교통약자 유형과 이용수단에 맞는 실내 안내경로를 상기 길 안내 DB에서 독출하여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제공하는 길 안내 제공부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에서 리딩되어 전송된 운송수단의 승차권 정보를 승차권 발권기관 서버로 전송해 탑승지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목적지 정보로서 상기 길 안내 제공부로 제공하는 탑승지 정보 획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 제공부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제공되는 실내 안내경로상에 위치하는 음성 안내기 근방으로 교통약자가 진입시 상기 음성 안내기에서 음성안내방송이 송출되도록 요청하는 송출제어신호를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전송하는 음성안내기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 제공부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제공되는 실내 안내경로상에서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중간 경유지 안내, 이용수단 안내, 위험물 안내, 목적지 도착 안내음성을 상기 교통약자 단말 앱으로 전송하는 음성 안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 DB는,
    건축물을 식별하기 위한 GPS정보와, 각 건축물에 설치된 비콘의 위치정보와, 각 비콘의 신호가 도달하는 존을 평면(x,y)상의 위치좌표로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위치좌표에서 측정된 지자기 센서값을 매핑시켜 놓은 지도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출제어신호 수신시에 음성안내방송의 송출을 요청하는 송출제어신호를 상기 음성 안내기로 무선 송출하는 교통약자 단말 앱;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9. 삭제
KR1020220091121A 2022-07-22 2022-07-22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KR102487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121A KR102487037B1 (ko) 2022-07-22 2022-07-22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121A KR102487037B1 (ko) 2022-07-22 2022-07-22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037B1 true KR102487037B1 (ko) 2023-01-11

Family

ID=8489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121A KR102487037B1 (ko) 2022-07-22 2022-07-22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0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094B1 (ko) * 2008-07-22 2008-10-01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KR20170113255A (ko) * 2016-03-24 2017-10-12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모바일 센서 데이터 기반 교통 약자 맞춤형 이동 경험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0392A (ko) * 2017-03-29 2018-10-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스마트기기 기반의 실내 위치 측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위치 측위 방법
KR20200049266A (ko) * 2018-10-31 2020-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67424B1 (ko) 2019-12-30 2022-02-24 주식회사 플럭시티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094B1 (ko) * 2008-07-22 2008-10-01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KR20170113255A (ko) * 2016-03-24 2017-10-12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모바일 센서 데이터 기반 교통 약자 맞춤형 이동 경험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0392A (ko) * 2017-03-29 2018-10-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스마트기기 기반의 실내 위치 측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위치 측위 방법
KR20200049266A (ko) * 2018-10-31 2020-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67424B1 (ko) 2019-12-30 2022-02-24 주식회사 플럭시티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3747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LAN system
US10441494B2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JP2001304908A (ja) 車椅子利用者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車椅子利用者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2033174B1 (ko) 스마트폰 통합측위를 활용한 지하철역 도착알림 및 역사 정보안내 시스템
US20180099839A1 (en) Elevator call system with mobile device
JP661092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13768A (ko) 장애인의 이동 경로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JP6698887B2 (ja) 携帯情報端末、情報取得装置、情報取得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7139921B2 (ja) 車両及び通知方法
KR101826041B1 (ko)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KR102487037B1 (ko)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28406A (ja)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ビル内案内システム
JP2002117173A (ja) ビル内案内システム
KR102259251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 블록 길안내 시스템
US20180017393A1 (en) Handicap assist apparatus
KR2019006370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2178152B1 (ko)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KR20210084409A (ko)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JP2022023273A (ja) 誘導情報生成プログラム
JP6795731B2 (ja) 案内情報表示装置、案内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97317B1 (ko)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JP3887650B2 (ja) 歩行者に施設情報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587166B1 (ko) 대중교통수단의 노선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0217019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