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409A -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409A
KR20210084409A KR1020210086258A KR20210086258A KR20210084409A KR 20210084409 A KR20210084409 A KR 20210084409A KR 1020210086258 A KR1020210086258 A KR 1020210086258A KR 20210086258 A KR20210086258 A KR 20210086258A KR 20210084409 A KR20210084409 A KR 20210084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tag
user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21008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4409A/ko
Publication of KR2021008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고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에 따른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탐색신호를 감지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태그, 및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고정 단말기를 포함하고,
무선 태그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감지하고 시각장애인에게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인 무선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경로 안내 설비의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A route guidance device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a wireless tag map}
본 발명은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로 안내 대상 장소에 설치된 무선 태그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감지하고 시각장애인에게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지리정보 시스템은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지도 및 목적지의 위치를포함한 지리정보를 전송받아 경로를 산출하고 안내하며, 이 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통신 기지국과의 신호 전송 상태 및 시간이나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지리정보 시스템을 통한 경로 안내 방법을 통해서는 실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이나 시시각각으로 이동하는 다른 보행자 또는 차량과 같은 장애물을 피하여 시각 장애인을 안내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정밀하고 실시간적 상황에 부합하는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를 위해서는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것으로는 시각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경로를 안내할 수 없으며, 매 상황마다 목적지로 향하는 경로를 추종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서 진행 방향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안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안내는 시각 장애인도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경로 안내 대상 장소에 설치된 무선 태그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감지하고 시각장애인에게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할수 있고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에 따른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탐색신호를 감지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태그, 및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지리 정보에 의한 경로 안내 정보 및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정보 및 위치 정보에 의해 만들어진 건물 안과 밖의 태그 지리정보 지도를 포함하여 각종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장치를 형성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사용자에 맞고 원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하여 방향 정보 사이의 전환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고정 단말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신호 및 상기 고정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 신호를 송출한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상기 판독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에 따른 상기 방향 정보를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장애물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장애물 센서가 장애물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에게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복수 개의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신호의 각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태그 각각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무선 태그 각각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거리에 근거하여 삼변측량 방법 또는 두 갱의 태그를 일변으로 하거나 사용자 단말과 이변으로 하여 사용자의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하나의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신호를 근거로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고정단말장치의 무선 태그 지도와 비교하여 방향과 여러 이동방법과 이동수단을 고려하여 목적지까지 지리안내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방법은 고정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태그가 상기 탐색신호를 감지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무선 태그가 송출한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에 따른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단말기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지리 정보에 의한 경로 안내 정보 및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정보 및 위치 정보에 의한 방향 정보 사이의 전환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정보는 건물 안의 출입구와 이동방법인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계단,전동이동장치 및 공간정보인 화장실, 사무실, 식당, 음식점, 매표창구, 휴게실 등등 각종 개체정보를 포함하고,이용하기 위한 사용정보 및 시작장애인을 위한 음성정보 및 점자정보를 포함하고, 위치정보를 체계화 하여 태그지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신호 및 상기 고정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 신호를 송출한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장애물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장애물 센서가 장애물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에게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복수 개의 상기 무선태그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신호의 각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태그 각각으로부터의 거리를 고정 단말기로 부터 사용자 단말이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를 통해 산출하고, 상기 무선 태그 각각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거리에 근거하여 삼변측량 방법 또는 두 개의 태그를 일변으로 또는 사용자단말기와 이변으로 하는 또는 한 개의 태그와 사용자단말기를 일변으로 또는 태그지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또한 고정단말장치의 무선 태그 지도와 비교하여 방향과 여러 이동방법과 이동수단을 고려하여 목적지까지 지리안내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태그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감지하고 시각장애인에게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인 무선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경로 안내 설비의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삼각 측량에 의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의 산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는 사용자 단말(300), 무선 태그(201 ∼ 209), 고정 단말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고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에 따른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무선 태그(201 ∼ 209)는 사용자 단말(300)이 송신한 탐색신호를 감지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신호를 송출한다. 이 때 무선 태그(201 ∼ 209)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 규격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태그(201 ∼209)는 블루투스 태그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태그(201 ∼ 209)는 능동적인 동작을 하지 않고 수동적으로 외부의 신호에 반응하여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식별신호를 송출하는 동작만을 수행하며, 따라서 전력 소모가 적고 크기가 작아 지리적으로 다양한 장소에 배치되어 오랜 시간 동안 동작할 수 있으며 제조 및 유지 보수 비용이 낮다는 특징이 있다. 무선 태그(201 ∼ 209)가 송출하는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은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목적지까지의 방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태그(201 ∼ 209)의 외측에 시각장애인에 대한 안내문 등의 정보가 점자로 표시되어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태그(201 ∼ 209)는 자신이 식별신호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를 시각장애인인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태그(201 ∼ 209)는 상술한 바와 같은 소형, 저전력, 저비용이라는 성질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실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피하여 경로를 안내 받을 수 있도록 충분히 조밀하게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태그(201 ∼ 209) 사용자에게 상술한 점자로 표시되는 정보 등의 시각장애인에게 유용한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고정 단말기(100)는 실내의 특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사용자들에게 특정한 지리적 장소에 관한 안내를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고정 단말기(100)는 예컨대 키오스크와 같은 형태나 안내표지판이나 비상안내표시장치나 출입구의 간판이나 특정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 단말기(100)는 무선 태그(201 ∼ 209)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공간의 정보지도를 형성하여 저장하고 무선태그와 사용자 단말에 정보를 송수하고 또한 특정 정보를 전달한다.
무선 태그(201 ∼ 209)는 자신을 나타내는 식별자(Identifier)인 식별 정보을 송출하므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산출하기 위하여는 특정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한 무선 태그의 지리적 위치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은 고정 단말기(100)로부터 이러한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가 짝지어진 정보를 전달받아 무선 태그(201 ∼ 209)로부터 송출받는 식별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한 방향을 산출하는 데 사용한다. 이러한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가 짝지어진 정보가 고정 단말기(100)와 연관된 특정한 지리적 장소에 대한 무선 태그 지도를 구성할 수 있다. 고정 단말기(100)는 고정 단말기(100)와 연관된 특정한 지리적 장소에 배치된 무선 태그(201 ∼ 209)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 쌍, 즉 무선 태그 지도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저장된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을 받아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한 지리적 장소는 예컨대, 특정한 건물, 역, 공공기관, 상업시설 등의 지리적 단위일 수 있다.
고정 단말기는 무선 태그(201 ∼ 209)와 관련된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고정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상술한 특정한 지리적 장소에 대한 무선 태그 지도를 저장하고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업데이트하며, 사용자에게 무선 태그 지도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단말기(100)는 서버(미도시) 및 다른 고정 단말기(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른 지리적 장소에 위치한 고정 단말기(100)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 태그(201 ∼ 209)에 관련된 정보 및 지리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고정단말기(100) 사용자에게 무선 태그(201 ∼ 209)에 관한 정보뿐 아니라 일반적인 지리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이에는 사용자의 목적지의 위치 정보 및 목적지까지 향하기 위한 경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버(미도시)는 일반적인 지리 정보 시스템과 접속하여 고정 단말기(100)의 위치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외부 보도 또는 도로로부터 고정 단말기(100)가 연관된 특정한 지리적 장소의 무선 태그 지도와, 지리 정보 시스템이 지원하는 이러한 지리적 장소 외부의 지리 정보를 연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고정 단말기(100)가 연관된 장소 외부로부터 고정 단말기(100)가 연관된 지리적 장소 내부의 특정 위치까지 길안내를 원하는 경우, 또는 반대로 고정 단말기(100)가 연관된 지리적 장소 내부의 특정 위치로부터 외부 장소까지의 길안내를 원하는 경우, 고정 단말기(100)는 무선 태그 지도를 이용한 방향 안내 및 일반적인 지리 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길안내 사이의 전환을 사용자 단말(300)에 지시하거나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무선 태그(201 ∼ 209)로부터 수신한 식별 신호 및 고정 단말기로(100)부터 전달받은 무선태그(201 ∼ 209)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식별 신호를 송출한 무선 태그(201 ∼ 209)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상기 판독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에 따른 상기 방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은 무선 태그(201 ∼ 209)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의 쌍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렇게 저장된 쌍에 식별 정보를 대입하면 위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이 현재 수신하는 식별 신호로부터 식별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태그(201 ∼ 209)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무선 태그(201 ∼ 209)들의 위치를 알 수 있고 이러한 무선 태그(201 ∼ 209)들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00)은 자신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무선 태그(201 ∼ 209)의 위치로 자신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복수 개의 무선 태그(201 ∼209)로부터 수신한 식별 신호의 각 세기에 근거하여 무선 태그(201 ∼ 209) 각각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고,무선 태그(201 ∼ 209) 각각의 위치 정보 및 거리에 근거하여 삼변측량 방법으로 또는 두 개의 태그를 일변으로 또는 사용자단말기와 이변으로 하는 또는 한 개의 태그와 사용자 단말기를 일변으로 또는 태그지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도 2는 삼각 측량에 의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의 산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무선 태그(201, 202, 203)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할 경우, 사용자 단말은 세 개의 무선 태그(201, 202, 203)의 위치를 알게 된다. 또한 이 때 사용자 단말은 각 무선 태그(201, 202, 203)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에 근거하여 각 무선 태그(201, 202, 203)까지의 거리(d1, d2, d3)를 추산할 수 있다. 이렇게 세 개의 무선 태그(201, 202, 203)의 위치 및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각 무선 태그(201, 202, 203)까지의 거리(d1, d2, d3)를 알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무선 태그(201,202) 또는 고정단말기(100)와 무선태그(203)로 이뤄진 일변의 방향으로 지리 안내와 식별신호의 세기로 사용자 단말기의 현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고정단말기(100 )에 저장되어 있는 공간의 태그 지리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동방향과 이동하면서 한 개씩 태그와 송수신하여 경로를 탐색하여 현 위치와 목적지의 지리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위의 방법들을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지리와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산출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변화하는 위치 정보의 히스토리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지금까지 이동한 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 단말(300)이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저장함으로써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목적지가 현재 위치로부터 제1 방향에 있는데, 사용자가 현재 이동하고 있는 방향이 제2 방향이라면,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에게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 전환하라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목적지가 현재 위치로부터 남쪽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면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에게 왼쪽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동쪽 으로 이동하고 있다면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에게 오른쪽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진동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방향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조끼 등 의복 형식으로 몸에 착용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면에 진동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진동을 통하여 방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장애물 센서를 구비하고, 장애물 센서가 장애물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에게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이 때 장애물을 회피하는 경로를 산출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300)은 고정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지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방법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고정 단말기로(100)부터 사용자 단말(300)이 무선 태그(201 ∼ 209)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다(S110).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은 고정 단말기로부터 목적지의 위치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를 같이 전달받을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300)이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S120). 이러한 탐색 신호에 수동적으로 반응하여 무선 태그(201 ∼ 209)가 식별 신호를 송출하게 되므로, 탐색 신호는 무선 태그(201 ∼ 209)에게 사용자가 접근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후, 무선 태그(201 ∼ 209)가 탐색신호를 감지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신호를 송출한다(S130).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신호는 식별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태그(201 ∼ 209)를 식별하는 역할만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300)이 무선 태그(201 ∼ 209)가 송출한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S140).
이후, 사용자 단말(300)이 무선 태그(201 ∼ 209)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저장한다(S150). 이 때 사용자 단말(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태그(201 ∼ 209)의 식별 신호로부터 무선 태그(201 ∼ 209)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무선 태그(201 ∼ 209)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00)은 무선 태그(201 ∼ 209)로부터 수신한 식별 신호 및 고정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태그(201 ∼ 209)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식별 신호를 송출한 무선 태그(201 ∼ 209)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00)은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무선 태그(201 ∼ 209)로부터 수신한 식별 신호의 각 세기에 근거하여 무선 태그(201 ∼ 209) 각각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고, 무선 태그 각각(201 ∼ 209)의 위치 정보 및 거리에 근거하여 삼변측량 방법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300)은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에 따른 방향 정보를 산출한다(S160). 이 때 사용자 단말(300)이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저장함으로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목적지가 현재 위치로부터 제1 방향에 있는데, 사용자가 현재 이동하고 있는 방향이 제2 방향이라면,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에게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 전환하는 방향을 방향 정보로서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목적지가 현재 위치로부터 남쪽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면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전환할 방향을 왼쪽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면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전환할 방향을 오른쪽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300)은 산출된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S170)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은 장애물 센서를 구비하고, 장애물 센서가 장애물을 감지할 경우사용자에게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태그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감지하고 시각장애인에게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인 무선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경로 안내 설비의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고정 단말기 201 ∼ 209 : 무선 태그 300 : 사용자 단말

Claims (13)

  1.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고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에 따른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네트워크로 연결된 식별정보, 위치정보,점자지도,음성정보테그,점자정보테그를 둘이상의 쌍으로 결합한 정보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진동 또는 음성이 결된 출력 )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탐색신호를 감지하여 식별 정보(네트워크로 연결된 시각장애인 식별정보, 위치정보,점자지도,음성정보테그,점자정보테그를 둘이상의 쌍으로 결합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태그;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또는 시작장애인의 보행안내장치 및 방법 / 특허 등록번호 1007539120000(2007.08.24.) )에 전달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지리 정보에 의한 경로 안내 정보 및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에 의한 방향 정보 사이의 전환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지시하는 고정 단말기(로봇키오스크 / 특허 등록번호 10090445090000)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신호 및 상기 고정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 신호(지리정보와 둘 이상의 쌍으로 결합된 서비스 정보)를 송출한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저장하며,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에 따른 상기 방향 정보(진동과 결합된 둘 이상의 쌍으로 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또는 시작장애인의 보행안내장치 및 방법 / 특허 등록번호 1007539120000(2007.08.24.) )은 상기 방향 정보(진동과 결합된 둘 이상의 쌍으로 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시작장애인의 보행안내장치 및 방법 / 특허 등록번호 1007539120000(2007.08.24.)은 장애물 센서(조끼형태의 착용형 )를 구비하고, 상기 장애물 센서가 장애물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에게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방향 정보(진동과 결합된 둘 이상의 쌍으로 된 정보)를 활용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밀폐된 건물등 구조물의 내부의 지리정보를 포함한 상기 방향 정보(진동과 결합된 둘 이상의 쌍으로 된 정보)가 저장된 고정 단말기(로봇키오스크 / 특허 등록번호 10090445090000)와 통신동기화 된 상기 사용자 단말(시작장애인의 보행안내장치 및 방법 / 특허 등록번호 1007539120000(2007.08.24.)은 복수 개의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신호(지리정보와 둘 이상의 쌍으로 결합된 서비스 정보)의 각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태그 각각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무선 태그 각각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거리에 근거하여 삼변측량 방법 또는 두 개의 태그를 일변으로 또는 사용자단말기와 이변으로 하는 또는 한 개의 태그와 사용자 단말기를 일변으로 또는 태그지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6. 밀폐된 건물등 구조물의 내부의 지리정보를 포함한 상기 방향 정보(진동과 결합된 둘 이상의 쌍으로 된 정보)가 저장된 고정 단말기(로봇키오스크 / 특허 등록번호 10090445090000)로부터 사용자 단말 시작장애인의 보행안내장치 및 방법 / 특허 등록번호 1007539120000(2007.08.24.)이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 (시각장애인 인식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지리정보와 둘 이상의 쌍으로 결합된 서비스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태그가 상기 탐색 신호를 감지하여 식별 정보(진동과 결합 된 지리정보와 둘 이상의 쌍으로 결합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무선 태그가 송출한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저장된 정보(밀폐된 건물등 구조물의 내부의 지리정보를 포함한 상기 방향 정보(진동과 결합된 둘 이상의 쌍으로 된 정보)가 저장된 고정 단말기(로봇키오스크 / 특허 등록번호 10090445090000)와 송수신된 동기화된 저장 정보) 및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에 따른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밀폐된 건물등 구조물의 내부의 지리정보를 자체 저장장치에 저장한 상기고정 단말기(로봇키오스크 / 특허 등록번호 100904450900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지리 정보에 의한 경로 안내 정보 및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정보 (진동과 결합 된 지리정보와 둘 이상의 쌍으로 결합된 서비스 정보) 및 위치 정보에 의한 방향 정보 사이의 전환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신호 및 상기 고정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 신호를 송출한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장애물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장애물 센서가 장애물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에게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복수 개의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신호의 각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태그 각각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무선 태그 각각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거리에 근거하여 삼변측량 방법 또는 두 개의 태그를 일변으로 또는 사용자단말기와 이변으로 하는 또는 한 개의 태그와 사용자 단말기를 일변으로 또는 태그지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방법.
  11. 상기 사용자 단말(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또는 시작장애인의 보행안내장치 및 방법 : 특허 등록번호 1007539120000(2007.08.24.) )이 송신한 탐색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식별 정보와 위치정보를 쌍으로 포함하는 식별공간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태그;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고정단말기( 로봇키오스크: 특허 등록번호 10090445090000 (2009.06.17.) ) 에 저장하고 변경사항을 송수신 전달가능 하도록 하여, 특정 공간과 지역을 정보지도화 한 정보가 저장운영 되는 장치.
  12. 상기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점자지도 또는 음성과 점자태그 등 결합하여 방향 정보 사이의 전환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지시하는 고정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과 일반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건물 안이나 특정공간의 상기고정단말기에 내장된 각종 정보(지리정보와 둘이상의 쌍으로 결합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내부서버 및 네트워크화된 무선테그 장치와 이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식별정보, 위치정보,점자지도,음성테그,점자테그를 둘이상의 쌍으로 결합한 정보저장 장치.
  13. 상기 11항에 있어서,
    건물 안이나 특정공간의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내부서버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지리 정보와 각종 서비스 정보(지리정보와 둘이상의 쌍으로 결합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정보 장치 및 네트워크화된 무선테그 장치 및 이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식별정보, 위치정보,점자지도,음성테그,점자테그를 둘이상의 쌍으로 결합한 정보저장 장치
KR1020210086258A 2020-11-08 2021-07-01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10084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58A KR20210084409A (ko) 2020-11-08 2021-07-01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80A KR20200130212A (ko) 2020-11-08 2020-11-08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86258A KR20210084409A (ko) 2020-11-08 2021-07-01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180A Division KR20200130212A (ko) 2020-11-08 2020-11-08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409A true KR20210084409A (ko) 2021-07-07

Family

ID=736977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180A KR20200130212A (ko) 2020-11-08 2020-11-08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86258A KR20210084409A (ko) 2020-11-08 2021-07-01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180A KR20200130212A (ko) 2020-11-08 2020-11-08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302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0938B (zh) * 2021-12-10 2024-03-19 北京云迹科技股份有限公司 引领机器人周围障碍物的语音提醒方法、装置和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212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7508B1 (en) System for displaying a map
KR101214503B1 (ko) 비콘 노드를 이용한 실내 측위 서비스 시스템
Jain Path-guided indoor navig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minimal building retrofitting
KR101729775B1 (ko) 대피경로 제공 기능을 구비한 실내 재난 통신 시스템 및 실내 재난 통신 방법
CN108139215B (zh) 利用声音信号对人员的路径导引
KR101130735B1 (ko) Rf비콘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101271743B1 (ko) 시각 장애인용 교통 편의 시스템
KR102075646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경로 안내 방법
JP2010215302A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装置
KR101796276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장치 및 시스템
Bilgi et al. Navigation system for blind, hearing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in ITU Ayazaga campus
KR20210084409A (ko)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10138534A (ko) 센서노드와 연동되는 점자보도블럭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47270A (ko) 시각 장애인용 실내 경로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JP2002128406A (ja)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ビル内案内システム
KR20160050410A (ko)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0984038B1 (ko) 위치 추적 시스템
JP2009232203A (ja) 位置誘導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携帯電話端末およびルート情報配信サーバ
KR20180051104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9251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 블록 길안내 시스템
KR101701292B1 (ko) 위치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실내 재난 통신 시스템 및 실내 재난 통신 방법
KR102178152B1 (ko)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JP7251713B2 (ja) 案内システム
KR20210001885A (ko) 시각장애인용 횡단경로 안내 시스템
DeRuwe et al. Pedestrian navigation and integration with distributed smart signal traffic contr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