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041B1 -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 Google Patents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041B1
KR101826041B1 KR1020160008071A KR20160008071A KR101826041B1 KR 101826041 B1 KR101826041 B1 KR 101826041B1 KR 1020160008071 A KR1020160008071 A KR 1020160008071A KR 20160008071 A KR20160008071 A KR 20160008071A KR 101826041 B1 KR101826041 B1 KR 101826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information
safe
rout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458A (ko
Inventor
이금창
이용시
김정욱
박재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6000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0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어플을 설치하는 것으로 안전한 경로 및 안전한 숙소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안전한 경로 또는 안전한 숙소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안전한 경로 또는 안전한 숙소까지의 안전한 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출하며 스마트 워치로부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신하여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시에는 기 지정하여 등록 저장된 가족 단말기 또는 에스원 서버로 전송하며, 통합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가 이용한 안전경로 또는 안전 숙소에 대한 안전도 후감(피드백 정보)을 입력받아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기와, 어느 도시에 속한 건물의 번지수, 명칭, 전화번호 등에 따른 위치 정보와 안전도(교통사고, 폭행, 살인 사고 등의 발생 건수를 기초로 하는 것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트레쉬홀드 이상인 경우 안전 경로로 판단한 안전 경로 정보 및 여러 숙소 중에서 안전한 숙소(예를 들어 세콤에서 관리되고 있는 숙소)로 인정된 안전한 숙소 정보를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사용 후 피드백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목적지 또는 안전한 숙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목적지까지의 안전한 길 정보 또는 안전한 숙소까지의 안전한 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와, 차량 탑승자의 심박수를 체크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워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차량 탑승자의 건강 이상 정보를 수신하는 가족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건강 이상 정보 또는 비상 상태(차량 사고, 화재 등) 발생시 정보를 수신하여 직원을 출동하도록 조치하는 세콤 서버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통합 관리 서버 및 가족 단말기 및 세콤 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인터넷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Intelligent Safety Navigation System for Travel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여행자에게 출발지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것에 부가하여 안전 경로 및 안전 숙소를 안내하도록 하는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네비게이션은 출발지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또는 최적 노선을 안내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뉴욕이나 멕시코시티와 같은 위험하고 낯선 장소에 있는 여행자에게 안전한 경로를 제공하고 거기에다가 안전한 숙소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2-0076656호(2012. 07. 09. 공개)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택시 안전 귀가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택시 안전 귀가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차량 정보 시스템(100), 탑승객이 소지한 모바일 기기(110), 모바일 기기(11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외부 시스템(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 시스템(100)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고 차량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모바일 기기(110)로 현재의 차량의 위치를 제공한다. 모바일 기기(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를 차량 정보 시스템(100)에 제공하고, 차량 정보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까지의 예상 주행 경로와 실제 주행 경로를 비교하여 경로 이탈 여부를 결정하고, 경로를 이탈하였다고 판단되면 외부 시스템(120)에 경로 이탈 사실을 통보한다. 또한 차량 정보 시스템(100)은 차량 내부에 있는 모바일 기기(11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04), 목적지에 대한 예상 주행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네비게이션부(101), 차량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측위부(102), 통신부(104)를 통해, 모바일 기기(11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네비게이션부(101)에 의해 탐색된 목적지에 대한 예상 주행 경로를 모바일 기기(110)로 전송하고, 측위부(102)에 의해 획득된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바일 기기(110)로 전송하는 차량 정보 관리부(103)를 포함한다. 차량 정보 관리부(103)는 차량의 위치, 차량의 등록번호, 운전자 정보 등 차량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탑승객의 모바일 기기(110)에 이들 차량 정보를 전송하거나, 탑승객이 모바일 기기(110)를 통해 이들 차량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04)는 모바일 기기(110)와의 통신을 위해 WiFi(Wireless Fidelity), Ad-hoc, 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측위부(102)는 GPS나 ACC 등의 측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10)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 정보 시스템(10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11), 통신부(111)를 통해, 목적지 정보를 차량 정보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차량 정보 시스템(100)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목적지에 대한 예상 주행 경로와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현재 위치가 목적지에 대한 예상 주행 경로에서 소정의 한계 이상 이탈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태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경로 추적부(112)를 포함한다. 통신부(111)는 차량 정보 시스템(100)과의 통신을 위해 WiFi(Wireless Fidelity), Ad-hoc, 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시스템(120)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호하는 주행 경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네비게이션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시스템(120)은 경찰청 서버와 연동 가능한 안전 귀사 서비스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족 등 제3자의 단말을 포함하여 복수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택시의 안전 귀가 시스템은 주행하는 차량이 예측경로에서 벗어나는 경우 현재의 차량에 대한 상태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조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경로 이탈과 같은 이상 상태가 발생한 후에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양한 경로 중에서 사건이나 사고가 많은 지역을 피하여 안전한 길을 중심으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은 여행자가 목적지에서 숙박하려고 하는 경우 안전한 숙소를 추천하고 상기 추천된 안전한 숙소까지 안전한 길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여행자의 건강을 체크하여 건강 이상 시 사전에 등록된 여행자의 가족 단말기 또는 세콤과 같은 보안 회사 서버에 건강 이상 정보를 전송하여 조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어플을 설치하는 것으로 다수의 안전한 경로 및 다수의 안전한 숙소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안전한 경로 또는 안전한 숙소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안전 경로 또는 안전 숙소까지의 안전 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출하며 스마트 워치로부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신하여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시에는 기 지정하여 등록 저장된 가족 단말기 또는 세콤 서버로 전송하며, 통합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가 이용한 안전 경로 또는 안전 숙소에 대한 안전도 후감(피드백 정보)을 입력받아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기와, 도시에 속한 건물의 번지수, 명칭, 전화번호 등에 따른 위치 정보와 안전도(교통사고, 폭행, 살인 사고 등의 발생 건수를 기초로 하는 것임)에 따라 안전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안전도 가중치가 트레쉬 홀드 이상인 경우 안전 경로로 판단한 안전 경로 정보 및 여러 숙소 중에서 안전한 숙소(예를 들어 세콤에서 관리되고 있는 숙소)로 인정된 안전한 숙소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사용 후 피드백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목적지 또는 안전한 숙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목적지까지의 안전 경로 정보 또는 안전한 숙소까지의 안전 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와, 차량 탑승자의 심박수를 체크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워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차량 탑승자의 건강 이상 정보를 수신하는 가족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건강 이상 정보 또는 비상 상태(차량 사고, 화재 등) 발생시 정보를 수신하여 직원을 출동하도록 조치하는 세콤 서버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통합 관리 서버 및 가족 단말기 및 세콤 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인터넷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은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에서 목적지를 선택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이 여행자가 선택한 목적지에 대하여 최단 경로 정보, 최적 경로 정보 또는 안전 경로 정보 중에서 안전 경로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이 현재 차량의 위치 정보와 선택된 안전 경로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통합 관리 서버가 여행자가 탑승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안전도를 기준으로 안전도가 높은 순으로 안전 경로를 선택하여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단계와, 통합 관리 서버가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 도착 여부를 판단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 안내 종료 정보를 네비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이 안내 종료 멘트를 하고 경로 안내를 종료하는 단계와, 통합 관리 서버가 차량에 탑승한 여행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안내받은 안전 경로에 대한 안전 여부를 질의문 행태로 전송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스마트 단말기가 여행자의 안전 경로가 안전하지 않다고 입력한 경우 안전하지 못함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통합 관리 서버가 기 저장된 여행자의 해당 안전 경로에 대한 안전도 가중치를 감소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변경된 안전도 가중치를 기초로 안전 경로를 업데이트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안전 경로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다수의 안전 경로가 있을 수 있으며 안전도 가중치가 0.5 이상인 경우로서 안전도가 높은 순으로 안전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에서 기 안내받은 안전 경로가 안전하다고 입력받아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한 경우에는 해당 안전 경로의 안전도 가중치를 증가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은 낯선 도시를 방문하는 여행자 또는 보행자에게 목적지까지 안전한 길을 안내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여행자나 보행자가 원하는 안전한 숙소에 대하여 안전한 경로를 통하여 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데이터 마이닝과 통계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택시 안전 귀가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1실시 예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2실시 예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보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제2실시 예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 보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전길 경로 결정을 위한 Decision Tree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전한 숙소 결정을 위한 Decision Tree 설명도 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9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1실시 예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1실시 예는 네비게이션 어플을 네비게이션용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안전 경로 정보를 제공하여 여행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여행자가 선택한 안전 경로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여행자가 선택한 안전 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출하며 스마트 워치로부터 여행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신하여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시에는 기 지정하여 등록 저장된 가족 단말기 또는 세콤 서버로 전송하며, 통합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하여 여행자가 이용한 안전 경로 또는 안전 숙소에 대한 안전도 후감(피드백 정보)을 입력받아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으로 비상 상태 버튼이 구성되어 위급 시 비상 상태 버튼을 조작하면 비상 상태 버튼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 상태 정보를 세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10)와, 어느 도시에 속한 건물의 번지수, 명칭, 전화번호 등에 따른 위치 정보와 도로의 안전도(교통사고, 폭행, 살인 사고 등의 발생 건수를 기초로 하는 것임)에 따라 안전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안전도 가중치가 트레쉬홀드 이상인 경우 안전 경로로 판단한 안전 경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여행자의 사용 후 피드백 정보에 따라 안전 경로를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목적지까지의 안전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20)와, 차량을 탑승한 여행자의 심박수를 체크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워치(3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여행자의 건강 이상 정보를 수신하는 가족 단말기(4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건강 이상 정보 또는 비상 상태(차량 사고, 화재 등) 발생시 비상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직원을 출동하도록 조치하는 세콤 서버(5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통합 관리 서버 및 가족 단말기 및 세콤 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인터넷망(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통합 관리 서버는 네비게이션용으로 건물의 명칭, 주소, 전화번호를 기초로 하여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고 출발지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가 선택되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 최적 경로 및 안전 경로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2실시 예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제2실시 예는 네비게이션 어플을 네비게이션용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안전 경로 및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여행자가 선택한 안전 경로 또는 목적지에서의 안전 숙소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여행자가 선택한 안전 경로 정보 또는 안전 숙소까지의 안전 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출하며 스마트 워치로부터 여행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신하여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시 기 지정하여 등록 저장된 가족 단말기 또는 세콤 서버로 전송하며 또는 비상 상태 발생 시에는 비상 버튼 조작 신호에 의하여 비상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세콤 서버로 전송하고, 통합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하여 여행자가 이용한 안전경로 또는 안전 숙소 정보에 대한 안전도 후감(피드백 정보)인 안전도(만족도) 정보를 입력받아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기(10-1)와, 어느 도시에 속한 건물의 번지수, 명칭, 전화번호 등에 따른 위치 정보와 안전도(교통사고, 폭행, 살인 사고 등의 발생 건수를 기초로 하는 것임)에 따라 안전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안전도 가중치가 트레쉬홀드 이상인 경우 안전 경로로 판단한 안전 경로 정보 및 여러 숙소 중에서 안전 숙소(예를 들어 세콤에서 관리되고 있는 숙소)로 인정된 안전 숙소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여행자의 사용 후 피드백 정보에 따라 안전 경로 및 안전 숙소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목적지 또는 안전 숙소 정보를 수신하면 목적지까지의 안전 경로 정보 또는 안전 숙소까지의 안전 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20-1)와, 차량에 탑승한 여행자의 심박수를 체크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워치(30-1)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여행자의 건강 이상 정보를 수신하는 가족 단말기(40-1)와, 세콤에서 관리하는 안전한 숙소 정보의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변경된 만족도 가중치 정보를 수신하여 안전 숙소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건강 이상 정보 또는 비상 상태(차량 사고, 화재 등) 발생시 비상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직원을 출동하도록 조치하는 세콤 서버(50-1)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통합 관리 서버와 가족 단말기 및 세콤 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인터넷망(60-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보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 보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어플을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보행자용 안전길 안내 버튼 신호에 의하여 목적지 입력 안내문을 표출하며 목적지를 입력받아 상기 목적지 정보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안전길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며 안내받은 안전 길로 보행하는 동안 안전 위협 여부를 판단하고 안전이 위협받는 경우에는 비상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안전 위협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스마트 워치로부터 심박수 등 건강 이상 정보를 수신하여 가족 단말기 또는 세콤 서버로 전송하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목적지 도착 정보를 수신하면 안전 도착 버튼을 조작하여 경로 안내를 해제하는 스마트 단말기(10-2)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기 저장된 안전길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보행자의 경로 안내 후 보행자가 소지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안전 길에 대한 안전 여부 판단 정보를 수신하여 안전 길에 적용한 안전도 가중치를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는 통합 관리 서버(20-2)와, 보행자의 심박수 등을 체크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건강 이상을 판단하도록 하는 스마트 워치(30-2)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스마트 단말기 위치 정보, 안전 위협 정보 또는 건강 이상 정보를 수신하여 관계자에게 제공하는 세콤 서버(50-2) 및 스마트 단말기, 세콤 서버 및 통합 관리 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인터넷망(60-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제1실시 예는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에서 목적지를 선택하는 단계(S11)와, 네비게이션이 여행자가 선택한 목적지에 대하여 최단 경로 또는 최적 경로 또는 안전 경로 중에서 안전 경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S12)와, 스마트 단말기가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와 선택된 안전 경로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3)와, 통합 관리 서버가 여행자가 탑승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안전 경로로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S14)와, 통합 관리 서버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 도착 여부를 판단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 안내 종료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5)와, 스마트 단말기의 네비게이션이 안내 종료 멘트를 하고 경로 안내를 종료하는 단계(S16)와, 상기 통합 관리 서버가 차량에 탑승한 여행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안내받은 안전 경로에 대한 안전 여부를 질의문 행태로 전송하는 단계(S17)와, 스마트 단말기가 여행자의 안전 경로에 대한 안전 여부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안전 여부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8)와, 통합 관리 서버가 안전 여부 정보에 따라 기 저장된 여행자의 해당 안전 경로에 대한 안전도 가중치를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하는 단계(S19)와,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변경된 안전도 가중치를 기초로 안전 경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종료하는 단계(S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안전 경로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다수의 안전 경로가 있을 수 있으며 안전도 가중치가 0.5 이상인 경우 안전도가 높은 순으로 안전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에서 기 안내받은 안전 경로가 안전하다고 입력받아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한 경우에는 해당 안전 경로의 안전도 가중치를 증가하고 안전하지 않다고 전송한 경우에는 안전도 가중치를 감소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안전 경로는 다수 일수 있으며 각 경로에 따른 안전도 가중치가 0.5 이상이면 안전 경로인 결정하고 저장 관리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제2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6에서 본 발명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제2실시 예는 세콤 서버가 관리하고 있는 안전 숙소 정보(위치 정보, 명칭, 전화번호 등)를 통합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S41)와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에서 목적지를 선택하는 단계(S42)와, 스마트 단말기의 네비게이션이 여행자로 하여금 목적지의 안전 숙소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S43)와, 스마트 단말기가 위치 정보,목적지 정보와 선택된 안전 숙소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44)와, 통합 관리 서버가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를 기초로 안전 경로를 추출하도록 하는 단계(S45)와, 통합 관리 서버가 추출된 안전 숙소에 대한 안전 경로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안내하도록 하는 단계(S46)와, 통합 관리 서버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 도착 여부를 판단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 안내 종료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47)와, 스마트 단말기의 네비게이션이 안내 종료 멘트를 하고 경로 안내를 종료하는 단계(S48)와, 상기 통합 관리 서버가 여행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안내받은 안전 숙소에 대한 안전(만족)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49)와, 통합 관리 서버가 만족 여부 결과 정보에 따라 기 저장된 여행자의 해당 안전 숙소에 대한 만족도 가중치를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하는 단계(S50)와,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안전 숙소에 대한 변경된 만족도 가중치를 기초로 안전 숙소를 업데이트하고 만족도 가중치를 세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51)와 세콤 서버가 수신한 만족도 가중치를 기초로 해당 안전 숙소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S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보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7에서 본 발명 보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은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보행자용 안전길 안내 버튼을 누르는 단계(S61)와,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안전길 안내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목적지 입력창을 표출하는 단계(S62)와, 스마트 단말기가 목적지를 입력받고 GPS 수신기로부터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63)와 스마트 단말기가 현재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64)와 네비게어션 DB를 저장 관리하고 있는 통합 관리 서버가 현재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추천 안전 경로를 추출하고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5)와,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한 안전 경로를 표출하여 보행자로 하여금 길을 안내받도록 하는 단계(S66)와, 보행중 보행이 안전한지 여부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받는 단계(S67)와, 안전한 경우에 스마트 단말기가 스마트 워치로부터 심박수 등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고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8)와, 건강에 이상이 없는 경우 스마트 단말기가 보행자의 길 안내 정보를 계속하는 단계(S69)와, 통합 관리 서버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위치 정보와 기저장된 목적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목적지 도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와, 목적지에 도착하면 통합 관리 서버가 안내 종료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안내를 종료하도록 하는 단계(S71)와, 안내 종료 후 스마트 단말기가 추천 경로에 대한 안전(만족) 여부를 입력받아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72)와, 통합 관리 서버가 수신한 추천 경로 안전 여부에 따라 해당 경로의 안전도 가중치를 감소하거나 증가시키는 단계(S73)와, 통합 관리 서버에 기 저장된 해당 경로의 안전도 가중치를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는 단계(S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67 단계에서 안전하지 아니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긴급 SOS 버튼을 눌러서 비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상 신호와 현재 위치 정보를 세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75)와, 세콤 서버가 수신한 스마트 단말기 위치 정보 및/또는 비상 신호 정보를 관계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현장으로 출동하도록 하는 단계(S7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전 경로 결정을 위한 Decision Tree 설명도이다. 상기도 8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전 경로 결정을 위한 방법은 통합 관리 서버에서 결정하는 것으로 서비스 시작 시에 특정 경로(출발↔목적지)구간의 n 개의 안전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와, n개의 안전 경로 중에서 1개의 경로를 여행자에게 임으로 안내하는 단계와, 각 여행자가 경로에 대한 안내를 받은 후 안전 여부(만족여부)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피드백 받는 단계와 일정 기간 동안 안전 경로에 대한 서비스 후에 특정 경로(출발↔목적지) 구간에 대한 아래 표 1과 같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와,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ID3 등의 ML Algorithm을 이용하여 Decision Tree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Decisiom Tree에서 가중치를 충족하는 Yes(빨간색 타워 내) 가지들 중에서 여행자 조건을 충족하는 경로를 안전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특정 경로의 가중치는 (경로 x의 안전 또는 만족 긍정 대답 건수)/(경로 x의 안내 받은 총 건수)로 산정하며 가중치가 0.5(Treshold)이상이면 안전 경로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래 표 1]
Figure 112016007447812-pat00001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전한 숙소 결정을 위한 Decision Tree 설명도 이다. 상기도 9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으로 통합 관리 서버에서 안전한 숙소를 결정 방법은 안전숙소 안내 서비스에 대한 시작 시에 특정 여행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세콤에서 관리를 받는 n 개의 숙소(사건 및 사고가 없는 숙소)를 추천 숙소로 설정하고저장하는 단계와, 여행자가 원하는 여행 지역에 위치한 설정된 n개의 추천숙소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도록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각 여행자가 선택한 숙소에 대하여 숙박을 마친 후에 만족 여부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피드백하도록 하는 단계와, 일정기간의 서비스 후에 특정 여행 지역에서 아래 표 2와 같은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ID3 등의 ML Algorithm을 이용하여 Decision Tree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Decisiom Tree에서 가중치를 충족하는 Yes(빨간색 타원 내) 가지들 중에서 여행자 조건을 충족하는 숙소를 안전 숙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특정 숙소의 가중치는 (숙소 x의 만족 긍정 대답 건수)/(숙소 x에 대한 숙박한 총 건수)로 산정하여 가중치가 0.5(Treshold) 이상인 경우 추천할 수 있는 숙소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아래 표2]
Figure 112016007447812-pat00002

10 : 스마트 단말기, 20 : 통합 관리 서버,
30 : 스마트 워치, 40 : 가족 단말기,
50 : 세콤 서버, 60 : 인터넷망

Claims (22)

  1.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어플을 설치하는 것으로 안전한 경로 정보를 제공하여 여행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여행자가 선택한 안전 경로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여행자가 선택한 안전 경로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출하며 통합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하여 여행자가 이용한 안전경로에 대한 안전도의 피드백 정보를 입력받아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기(10)와;
    어느 도시에 속한 건물의 번지수, 명칭, 전화번호 등에 따른 위치 정보와 도로의 안전도에 따라 안전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안전도 가중치가 트레쉬홀드 이상인 경우 안전 경로로 판단한 안전 경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여행자의 사용 후 전송하는 피드백 정보에 따라 안전도 가중치를 변경하여 안전 경로를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목적지까지의 안전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20);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통합 관리 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인터넷망(60)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안전 경로에 대한 결정은 통합 관리 서버에서 결정하며 서비스 시작 시에 특정 경로(출발↔목적지)구간의 n 개의 안전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와 n개의 안전 경로 중에서 1개의 경로를 여행자에게 임으로 안내하는 단계와 각 여행자가 경로에 대한 안내를 받은 후 안전 여부(만족여부)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피드백 받는 단계와 일정 기간 동안 안전 경로에 대한 서비스 후에 특정 경로(출발↔목적지)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와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ID3 등의 ML Algorithm을 이용하여 Decision Tree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Decisiom Tree에서 가중치를 충족하는 Yes 가지들 중에서 여행자 조건을 충족하는 경로를 안전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가중치는,
    (경로 x의 안전 또는 만족 긍정 대답 건수)/(경로 x의 안내 받은 총 건수)에 의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가중치가 0.5 이상이면 안전 경로로 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여행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건강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워치(30)와;
    상기 스마트 워치의 건강 정보가 이상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여행자의 건강 이상 정보를 수신하는 가족 단말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여행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건강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워치(30)와;
    상기 스마트 워치의 건강 정보가 이상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여행자의 건강 이상 정보를 수신하는 가족 단말기(40);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건강 이상 정보를 수신하여 출동하도록 조치하는 세콤 서버(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6.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어플을 설치하는 것으로 안전 경로 및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여행자가 선택한 안전 숙소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여행자가 선택한 안전 숙소까지의 안전 경로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출하며 통합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하여 여행자가 이용한 안전 숙소 정보에 대한 안전도 피드백 정보인 안전도(만족도) 정보를 입력받아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으로 비상 상태 발생 시 비상 버튼 신호 생성에 의하여 비상 상태 정보를 세콤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기(10-1)와;
    어느 도시에 속한 건물의 번지수, 명칭, 전화번호 등에 따른 위치 정보와 안전도에 따라 안전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안전도 가중치가 트레쉬홀드 이상인 경우 안전 경로로 판단한 안전 경로 정보 및 여러 숙소 중에서 안전 숙소로 인정된 안전 숙소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여행자의 사용 후 피드백 정보에 따라 안전 숙소 정보를 안전도 가중치를 적용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안전 숙소 정보를 수신하면 안전 숙소까지의 안전 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20-1)와;
    세콤에서 관리하는 안전 숙소 정보의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변경된 만족도 가중치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안전 숙소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비상 상태 발생시 비상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직원을 출동하도록 조치하는 세콤 서버(50-1);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통합 관리 서버와 세콤 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인터넷망(60-1)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안전 숙소의 결정은 안전숙소 안내 서비스에 대한 시작시에 특정 여행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세콤에서 관리를 받는 n 개의 숙소(사건 및 사고가 없는 숙소)를 추천 숙소로 설정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여행자가 원하는 여행 지역에 위치한 설정된 n개의 추천숙소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도록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각 여행자가 선택한 숙소에 대하여 숙박을 마친 후에 만족 여부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피드백하도록 하는 단계와 일정기간의 서비스 후에 특정 여행 지역에서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ID3 등의 ML Algorithm을 이용하여 Decision Tree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Decisiom Tree에서 가중치를 충족하는 Yes 가지들 중에서 여행자 조건을 충족하는 숙소를 안전 숙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차량에 탑승한 여행자의 심박수를 체크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워치(30-1);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여행자의 건강 이상 정보를 수신하는 가족 단말기(40-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가중치는,
    (숙소 x의 만족 긍정 대답 건수)/(숙소 x에 대한 숙박한 총 건수)에 의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안전도 가중치가 0.5 이상이면 안전 숙소로 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안전 숙소 정보의 안전도 가중치가 큰 순서대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은,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에서 목적지를 선택하는 단계(S11)와;
    네비게이션이 여행자가 선택한 목적지에 대하여 최단 경로 또는 최적 경로 또는 안전 경로 중에서 안전 경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S12)와;
    스마트 단말기가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와 선택된 안전 경로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3)와;
    통합 관리 서버가 여행자가 탑승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안전 경로로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S14)와;
    통합 관리 서버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 도착 여부를 판단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 안내 종료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5)와;
    스마트 단말기의 네비게이션이 안내 종료 멘트를 하고 경로 안내를 종료하는 단계(S16)와;
    상기 통합 관리 서버가 차량에 탑승한 여행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안내받은 안전 경로에 대한 안전 여부를 질의문 행태로 전송하는 단계(S17)와;
    스마트 단말기가 여행자의 안전 경로에 대한 안전 여부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안전 여부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8)와;
    통합 관리 서버가 안전 여부 정보에 따라 기 저장된 여행자의 해당 안전 경로에 대한 안전도 가중치를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하는 단계(S19);
    및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변경된 안전도 가중치를 기초로 안전 경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종료하는 단계(S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안전 경로에 대한 결정은 통합 관리 서버에서 결정하며 서비스 시작 시에 특정 경로(출발↔목적지)구간의 n 개의 안전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와 n개의 안전 경로 중에서 1개의 경로를 여행자에게 임으로 안내하는 단계와 각 여행자가 경로에 대한 안내를 받은 후 안전 여부(만족여부)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피드백 받는 단계와 일정 기간 동안 안전 경로에 대한 서비스 후에 특정 경로(출발↔목적지)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와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ID3 등의 ML Algorithm을 이용하여 Decision Tree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Decisiom Tree에서 가중치를 충족하는 Yes 가지들 중에서 여행자 조건을 충족하는 경로를 안전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다수의 안전 경로가 있을 수 있으며 안전도 가중치가 0.5 이상인 경우 안전도가 높은 순으로 안전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가중치는,
    (경로 x의 안전 또는 만족 긍정 대답 건수)/(경로 x의 안내 받은 총 건수)에 의하여 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18.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은,
    세콤 서버가 관리하고 있는 안전 숙소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S41)와;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에서 목적지를 선택하는 단계(S42)와;
    스마트 단말기의 네비게이션이 여행자로 하여금 목적지의 안전 숙소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S43)와;
    스마트 단말기가 위치 정보,목적지 정보와 선택된 안전 숙소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44)와;
    통합 관리 서버가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를 기초로 안전 경로를 추출하도록 하는 단계(S45)와;
    통합 관리 서버가 추출된 안전 숙소에 대한 안전 경로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안내하도록 하는 단계(S46)와;
    통합 관리 서버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 도착 여부를 판단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 안내 종료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47)와;
    스마트 단말기의 네비게이션이 안내 종료 멘트를 하고 경로 안내를 종료하는 단계(S48)와;
    상기 통합 관리 서버가 여행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안내받은 안전 숙소에 대한 만족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49)와;
    통합 관리 서버가 만족 여부 결과 정보에 따라 기 저장된 여행자의 해당 안전 숙소에 대한 만족도 가중치를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하는 단계(S50)와;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안전 숙소에 대한 변경된 만족도 가중치를 기초로 안전 숙소를 업데이트하고 만족도 가중치를 세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51);
    및 세콤 서버가 수신한 만족도 가중치를 기초로 해당 안전 숙소의 안전도 가중치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S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안전 숙소의 결정은 안전숙소 안내 서비스에 대한 시작시에 특정 여행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세콤에서 관리를 받는 n 개의 숙소(사건 및 사고가 없는 숙소)를 추천 숙소로 설정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여행자가 원하는 여행 지역에 위치한 설정된 n개의 추천숙소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도록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각 여행자가 선택한 숙소에 대하여 숙박을 마친 후에 만족 여부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피드백하도록 하는 단계와 일정기간의 서비스 후에 특정 여행 지역에서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ID3 등의 ML Algorithm을 이용하여 Decision Tree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Decisiom Tree에서 가중치를 충족하는 Yes 가지들 중에서 여행자 조건을 충족하는 숙소를 안전 숙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가중치는,
    (숙소 x의 만족 긍정 대답 건수)/(숙소 x에 대한 숙박한 총 건수)에 의하여 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숙소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방법.




  21. 삭제
  22. 삭제
KR1020160008071A 2016-01-22 2016-01-22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KR101826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071A KR101826041B1 (ko) 2016-01-22 2016-01-22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071A KR101826041B1 (ko) 2016-01-22 2016-01-22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458A KR20170088458A (ko) 2017-08-02
KR101826041B1 true KR101826041B1 (ko) 2018-03-23

Family

ID=5965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071A KR101826041B1 (ko) 2016-01-22 2016-01-22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0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1878B2 (en) 2021-11-04 2023-10-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mmend routes in enhanced navig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1030A (zh) * 2018-04-09 2019-10-22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可携式装置与车辆间的导航启动管理方法及系统
KR102174704B1 (ko) * 2020-01-20 2020-11-05 임승환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2381298B (zh) * 2020-11-16 2024-04-12 北京交通大学 空港旅客智能导航导乘自助服务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621A (ja) * 2002-09-09 2004-04-02 Fujitsu Ltd 宿泊予約装置、宿泊予約方法および宿泊予約プログラム
JP2004205348A (ja) * 2002-12-25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4243948A (ja) * 2003-02-14 2004-09-02 Mazda Motor Corp 自動車用健康管理システム、自動車用健康管理方法、及び、自動車用健康管理プログラム
JP2011148323A (ja) * 2010-01-19 2011-08-04 Hitachi Solutions Ltd 経路検索時における人気経路の優先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621A (ja) * 2002-09-09 2004-04-02 Fujitsu Ltd 宿泊予約装置、宿泊予約方法および宿泊予約プログラム
JP2004205348A (ja) * 2002-12-25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4243948A (ja) * 2003-02-14 2004-09-02 Mazda Motor Corp 自動車用健康管理システム、自動車用健康管理方法、及び、自動車用健康管理プログラム
JP2011148323A (ja) * 2010-01-19 2011-08-04 Hitachi Solutions Ltd 経路検索時における人気経路の優先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1878B2 (en) 2021-11-04 2023-10-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mmend routes in enhanced navig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458A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775B1 (ko) 승하차 지점 제공 방법
EP0795835B1 (en) Schedule setting and processing system
KR101826041B1 (ko)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US20080033644A1 (en) Navigation Routing System Having Environmentally Triggered Routing
JP5238422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5138324A (ja) 配車システム
US113285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810204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
JP2018112579A (ja) 表示システム、サーバ、電子装置および地図提供方法
JP684680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409767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経路探索方法並びに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装置
JP6682193B2 (ja) 通知システム、サーバ装置、通信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知方法
JP7020586B2 (ja) 配車サービス乗車地決定方法及び配車サービス乗車地決定装置
JP4131745B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KR102143596B1 (ko)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JP6962659B2 (ja) 電子装置
JP446061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案内方法
JP2014020989A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0405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KR20160112805A (ko)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대중교통 안심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JP446118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案内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KR101628146B1 (ko) 탑승자 피로도 기반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08239005A (ja) 車両案内システム、車両案内方法および車両案内プログラム
KR102178152B1 (ko)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JP202108144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