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094B1 -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094B1
KR100861094B1 KR1020080071145A KR20080071145A KR100861094B1 KR 100861094 B1 KR100861094 B1 KR 100861094B1 KR 1020080071145 A KR1020080071145 A KR 1020080071145A KR 20080071145 A KR20080071145 A KR 20080071145A KR 100861094 B1 KR100861094 B1 KR 10086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terminal
weak
traffic w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Priority to KR102008007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09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통약자에 대한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은 교통약자 인식장치나 교통약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교통약자 관리서버나 교통신호 제어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식별정보 및 시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부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위치정보나 주변주요 건물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 통신부, 제 1 메모리부 및 제 2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 교통신호의 변화 정보나,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가 근접한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위치정보를 무선 전송하고,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로부터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현 위치 정보,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통상의 교통신호 제어기와 연결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로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식별정보(Identifier)와,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정보(Identifier)를 전송하는 각각의 식별정보를 갖고 있는 복수의 교통약자 인식장치; 자신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공중(Air)으로 출력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에서 교통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음성출력부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교통약자 단말기; 그리고,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영역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교통약자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여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 추적 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약자 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보행이 어려운 시각장애인, 노약자 등과 같은 교통약자들에게 횡단보행에 대한 명확한 신호등 점등 안내 및 진행 방향 정보 안내 등을 제공하여 안전한 보행 정보를 확보하여 교통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교통약자 안내, 위치추적

Description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announce disabled persons capable location tracking service}
본 발명은 교통약자에 대한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약자(노약자, 장애인, 아동 등)에 대한 횡단보행 지원, 안내 방법은 횡단보행 신호 알림과 관련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횡단보도 신호등에 설치되어 있는 횡단 요청 버튼을 누른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보행신호가 바뀌고 그에 따른 음향을 제공해주는 횡단요청 장치, 횡단보행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잔여시간 표시장치,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장치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은 횡단보행 신호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으나, 시각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들에게 주변 지역정보 및 교통신호 등의 상황에 대하여 개별적이고 명확한 안내 및 장애인에 대한 프라이버시가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교통약자들에게는 간접적인 안전지원 수단일 뿐 횡단 가능 여부에 대한 자발적인 판단이 어렵거나 난해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신체적인 장애를 가진 교통약자가 실수로 인해 위험에 직면할 경우 직접적으로 교통약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하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횡단을 돕는 시설로써는 육교, 지하보도 등과 같은 입체적인 시설이 전부이며, 이러한 시설은 보행 능력에 한계가 있는 교통약자들의 신체적 약점을 오히려 악화시켜 횡단을 포기하는 등 교통약자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소외감을 키워온 것이 교통약자 시책의 현황이다.
이와 같은 교통약자에 대한 안전지원이나 음성 안내를 위하여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05-67075호(2005년 7월 23일)(이하, 문헌 1이라 함)로 전파식별방식을 이용한 교통약자 횡단보행 안전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과, 특허출원 10-2005-109489(2005년 11월 16일)(이하, 문헌2라 함)로 교통약자를 이용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문헌 1은 교통약자 유도방법, 인식방법, 횡단보행 신호시간 연장 방법을 포함하고 있고, 문헌 2는 시각장애인이나 안내문 등을 읽을 수 없는 노약자나 외부지역 거주자등에 대한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1의 경우에는 횡단보도 신호등에 설치되어 있는 횡단 요청 버튼을 누른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보행신호가 바뀌고 그에 따른 음향을 제공하지만, 신체적 결함이 있는 교통약자들의 교통안전 시설물 조작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문헌 2의 경우 횡단보도에 설치된 교통신호등에 RFID Tag를 이용한 인식기술을 이용하여 교통약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이후 음성 안내를 실시하는 장치는 RFID Tag에 대한 기술적 차원의 인식 거리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 문제가 있다.
또한, 교통신호등에 교통신호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교통신호등 잔여시간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시각장애인에 대한 확실한 신호등 변환 상태 알림 기능이 제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교통약자들이 비교적 쉽게 횡단할 수 있는 횡단보도에서의 안전한 횡단을 돕고 정확한 길안내가 가능하며 교통약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계속해서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교통약자에 대한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은, 교통약자 인식장치나 교통약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교통약자 관리서버나 교통신호 제어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식별정보 및 시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부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위치정보나 주변주요 건물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 통신부, 제 1 메모리부 및 제 2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 교통신호의 변화 정보나,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가 근접한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위치정보를 무선 전송하고,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로부터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현 위치 정보,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통상의 교통신호 제어기와 연결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로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식별정보(Identifier)와,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정보(Identifier)를 전송하는 각각의 식별정보를 갖고 있는 복수의 교통약자 인식장치; 자신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공중(Air)으로 출력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에서 교통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음성출력부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교통약자 단말기; 그리고,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영역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교통약자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여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 추적 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약자 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한편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는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 및 교통약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는 상기 교통신호 정보에 포함된 각종 음성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상기 음성 출력부와,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 및 교통약자 인식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에서의 긴급호출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긴급호출 버튼 및 교통약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무선 송수신부와 통신하는 제 1 통신 모듈부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부와 통신하는 제 2 통신 모듈부로 구성되고,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무선 송수신부의 제 1 통신 모듈부와 통신하는 제 1 통신 모듈부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부와 통신하는 제 2 통신 모듈부로 구성되며,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무선 송수신부의 제 2 통신 모듈부와 통신하는 제 1 통신 모듈부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무선 송수신부의 제 2 통신 모듈부와 통신하는 제 2 통신 모듈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제 1 통신 모듈부와, 제 2 통신 모듈 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제 1 통신 모듈부 및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제 1 통신모듈부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제 2 통신 모듈부 및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제 2 통신 모듈부는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제 1 통신 모듈부와, 제 2 통신 모듈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제 1 통신 모듈부 및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제 1 통신모듈부의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하지만 서로 간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교통약자 관리서버는 교통신호 제어기나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교통약자의 이름, 주민번호, 해당 교통약자의 교통약자 단말기 식별정보, 해당 교통약자의 보호자 전화번호 또는 이동 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이동정보 및 긴급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호출이 오면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 사용자의 보호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생성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위치정보 및 긴급호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 생성부를 통해 긴급호출이 발생한 교통약자 단말기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해당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방법은, 교통약자 단말기가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설정영역에 위치하면, 해당 교통약자 인식장치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교통약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자신의 교통약자 인식장치 식별정보를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현 위치정보, 이동방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위치정보를 교통약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교통약자 관리서버로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정보,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식별정보 및 시간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 교통신호 제어기와 연동하여 교통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는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교통신호 변화정보나 횡단보도 주변 지리 안내 방송 정보 등에 대해 음성 출력부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긴급호출이 발생하면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는 상기 긴급호출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식별정보 및 시간 정보를 상기 교통약자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통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를 통해 전송된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긴급호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긴급호출이 발생한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시간 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 교통약자 인식장치는 상기 교통약자 관리서버와 상호접속인증을 위하여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식별정보(ID)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에 대한 식별정보(ID)를 전송하여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와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간에 교통정보안내와 긴급호출은 2 내지 4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행이 어려운 시각장애인, 노약자 등과 같은 교통약자들에게 횡단보행에 대한 명확한 신호등 점등 안내 및 진행 방향 정보 안내 등을 제공하여 안전한 보행 정보를 확보하여 교통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교통약자가 교통약자 단말기를 소지하는 경우 위치추적이 가능하므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이 구성된 곳에서는 안전한 생활이 가능하다.
셋째, 교통약자가 교통약자 단말기를 소지하는 경우 야간 시간대에도 차량 운전자로부터 교통약자의 위치를 표시부를 통하여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식별 기능에 의해 야간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 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여,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교통약자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장치(100)와, 교통약자 인식장치(200) 및 교통약자 단말기(300)로 구성된다.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은 무선 송수신부(110), 통신부(120), 전원부(130), 제 1 메모리부(140), 제 2 메모리부(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그리고,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무선 송수신부(210), 전원부(220) 및 제 어부(230)로 구성된다.
한편, 교통약자 단말기(300)는 무선 송수신부(310), 음성 출력부(320), 표시부(330), 긴급호출 버튼(340), 전원부(350) 및 제어부(360)로 구성된다.
여기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무선 송수신부(110)는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무선 송수신부(210)의 제 1 통신 모듈부(211)과 통신하는 제 1 통신 모듈부(111)과,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무선 송수신부(310)의 제 1 통신 모듈부(311)과 통신하는 제 2 통신 모듈부(112)로 구성된다. 이때, 제 1 통신 모듈부(111)과 제 2 통신 모듈부(112)은 각각 4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무선 송수신부(210)는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무선 송수신부(110)의 제 1 통신 모듈부(111)과 통신하는 제 1 통신 모듈부(211)과,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무선 송수신부(310)의 제 2 통신 모듈부(312)과 통신하는 제 2 통신 모듈부(212)로 구성된다. 이때, 제 1 통신 모듈부(211)은 4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제 2 통신 모듈부(212)은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무선 송수신부(310)는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무선 송수신부(110)의 제 1 통신 모듈부(111)과 통신하는 제 1 통신 모듈부(311)과,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무선 송수신부(210)의 제 2 통신 모듈부(212)과 통신하는 제 2 통신 모듈부(312)로 구성된다. 이때, 제 1 통신 모듈부(311)은 4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제 2 통신 모듈부(312)은 2.4GHz 대 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교통약자 관리서버(400) 및 교통신호 제어기(500)와 연결된다.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는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영역(지역정보)을 관리하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교통약자 단말기(300) 정보를 관리한다.
교통신호 제어기(500)는 통상의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횡단보도의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 교통약자 인식장치(200) 및 교통약자 단말기(300)가 각각 서로 다른 대역의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하는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2종의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모듈을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트래픽을 향상시키고, 무선 모듈 각각의 고유특성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제 2 통신 모듈부(112)를 통해 교통약자가 소지하는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제 1 통신 모듈부(311)로 교통신호의 변화 정보나 교통약자 단말기(300)가 근접한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위치정보(지리정보, 주변주요 건물(관공서, 기업체 정보 등))를 무선 전송하고,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제 1 통신 모듈부(211)로부터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현 위치 정보, 이동 방향 정 보를 제 1 통신 모듈부(111)를 통해 수신하여 제 1 메모리부(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된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현 위치 정보는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한편 제 2 메모리부(150)에는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위치정보(지리정보, 주변주요 건물(관공서, 기업체 정보 등)가 저장된다.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제 2 통신모듈부(212)를 통해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제 2 통신모듈부(312)로부터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접근을 인식하며, 제 1 통신 모듈부(211)를 통해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제 1 통신 모듈부(111)로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식별정보(Identifier)와,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식별정보(Identifier)를 전송한다.
교통약자 단말기(300)는 제 2 통신모듈부(312)를 통해 자신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공중(Air)으로 출력하고, 제 1 통신모듈부(311)를 통해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제 2 통신 모듈부(112)에서 교통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음성출력부(320)나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한다.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식별 정보와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식별정보 및 시간정보를 교통약자 이동정보로 하여 제 1 메모리부(14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시간대별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교통약자 이동 정보는 통신부(120)를 통해 교통신호 제어기(500)를 통해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로 전송하거나,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로 직접 전송한다.
교통약자 관리서버(400)에 저장된 교통약자 이동 정보는 노약자가 길을 잃거나 실종되었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음성 출력부(320)는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현재 위치의 주변정보(지리정보, 주변주요 건물(관공서, 기업체 정보 등)나 교통신호등의 변화예정 잔여시간 정보를 음성출력 한다. 또한, 표시부(330)는 현재 시간 정보가 야간인 경우 설정된 주기로 점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부(330)는 고휘도 램프로 구성하여 야간에 교통약자의 안전 보행이나 교통사고 감소 및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야간에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경우 운전자의 보행자에 대한 식별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제적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교통약자 단말기(300)에 별도의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구성하거나,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에서 교통약자 단말기로 시간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제어부에서 시간정보에 따라 야간의 경우에 표시부(330)의 고휘도 램프가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시간정보는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제어부(360)에서 시간정보를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고,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로부터 시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제어부(360)에는 야간에 해당하는 경우 횡단보도 횡단시 발광되도록 프로그래밍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긴급 호출버튼(340)은 교통약자가 현재의 위치를 모르거나 위급한 상황(교통사고 등)에서 긴급 호출버튼(340)을 작동시키는 경우 제어부(360)에서는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긴급 호출 정보를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로 전송하고,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로 해당 긴급 호출 정보를 전송하여 후속 처리를 하도록 할 수 있다.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410), 인터페이스부(420), 제어부(430), 전원부(440), 데이터베이스부(450) 및 단문 메시지 생성부(460)로 구성된다.
통신부(410)는 교통신호 제어기(500)나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와 통신한다.
인터페이스부(420)는 마우스, 키보드 등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교통약자의 이름, 주민번호, 해당 교통약자의 교통약자 단말기 식별정보, 해당 교통약자의 보호자 전화번호, 이동 단말기 전화번호 등을 입력받는 부분이다.
전원부(440)는 교통약자 관리서버(4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데이터베이스(45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51), 교통약자 단말기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52) 및 긴급호출 정보 데이터베이스(4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51)는 교통약자의 이름, 주민번호, 해당 교통약자의 교통약자 단말기 식별정보, 해당 교통약자의 보호자 전화번호, 이동 단말기 전화번호 등을 저장한다.
교통약자 단말기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52)는 교통약자 단말기의 이동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이다.
긴급호출 정보 데이터베이스(453)는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호출이 오면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정보, 시간정보,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긴급호출 정보 데이터베이스(453)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긴급 호출이 발생한 교통약자에 대한 신속한 구난이 가능하다.
한편, 단문 메시지 생성부(460)는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호출이 오면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 사용자의 보호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시간 정보 등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제어부(430)는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를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4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51)에 저장하고, 통신부(410)를 통해 전송되는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교통약자 단말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52)에 저장하며, 긴급 호출 시에는 해당 정보를 긴급호출 정보 데이터베이스(453)에 저장하는 한편, 단문 메시지 생성부(460)를 통해 긴급호출이 발생한 교통약자 단말기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해당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약자 안내 서비스를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횡단보도 양쪽에 하나씩 두개가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복수의 근접한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에 대하여 1개가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교통약자의 횡단 시 교통약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횡단보도 양측에 1 개씩 설치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도 3에서는 사거리의 경우이므로 8개의 교통약자 인식장치(2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3이나 도 4에서와 같이 교통약자 단말기(300)가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에 근접 또는 도착하면, 해당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제 2 통신 모듈부(212)로부터 교통약자 단말기(300) 식별정보(ID)를 수신하고, 수신된 교통약자 단말기(300) 식별정보(ID)와 자신의 교통약자 인식장치(200) 식별정보(ID)를 제 1 통신 모듈부(211)를 통해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제 1 통신 모듈부(111)로 전송한다.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제 1 메모리부(140)에는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현 위치정보, 이동방향 정보 등을 저장하고, 제 2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위치정보(지리정보, 주변주요 건물(관공서, 기업체 정보 등))를 교통약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교통약자 단말기(300)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위치와 주변 주요 건물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메모리부(150)에 각 교통약자 인식장치(200)가 설치된 횡단보도의 진행방향에 따른 지리정보를 더욱 추가하여, 횡단보도를 건너 직진하는 경우,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경우의 지리정보나 주변주요 건물 정보나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 새로운 횡단보도가 있음을 안내하는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제 2 통신 모듈부(112)를 통해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식별정보(ID)를 포함하여 제 1 통신 모듈부(311)로 교통신호의 변화정보나 횡단보도 주변 지리 안내 방송 정보 등을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300)는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교통신호 변화정보나 횡단보도 주변 지리 안내 방송 정보 등에 대해 음성 출력부(320)나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교통신호 제어기(500)로부터 녹색신호등 점등 신호가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로 전달되면,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해당 정보를 교통약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음성출력부(320)는 해당 정보를 음성출력 한다. 이때, 교통약자의 진행 방향에 알맞은 음성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보행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수개로 구성되는 교통약자 인식장치(200)가 횡단보도의 일측(출발지 교통약자 인식장치)과 타측(도착지 교통약자 인식장치)에 각각 설치되는데, 일측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로부터 교통약자 단말기(300) 식별정보를 수신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해당 일측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에서 횡단하는 경우의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식별정보 역시 등록되어 있으므로,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300)가 타측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로부터 인식되는 경우 더 이상 횡단보행신호에 대한 안내를 하지 않도록 하는 안내 종료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에서는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인식범위와 노약자, 장애인의 보행 속도 등 현장경험이나 다양한 실험에 따라 안내 종료 제어신호 발생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약자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방법에서는 우선 교통약자 관리서버(400)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장치(100)의 영역(위치)을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포인트(AP) 장치(100)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와의 상호접속인증을 위하여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식별정보(ID)를 요청한다(S100).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로부터의 상호접속인증 요청에 대해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자신의 식별정보(ID)를 전송하여 인증요청에 대해 응답한다(S110).
이어,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는 무선 액세스포인트(AP) 장치(100)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검출 영역 정보(Detecting Area)를 요청한다(S120).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로부터의 검출 영역 정보 요청에 대해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들에 대한 식별정보(ID)를 전송한다(S130).
그 다음,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는 무선 액세스포인트(AP) 장치(100)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의 환경정보 설정을 요청한다(S140).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로부터의 환경정보 설정을 요청받은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환경정보를 설정한 후 응답한다(S150).
이어,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는 무선 액세스포인트(AP) 장치(100)로 검출영 역 즉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들에 대한 환경정보 설정을 요청한다(S160).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로부터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들의 환경정보 설정을 요청받은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들의 환경정보를 설정한 후 응답한다(S170).
그리고,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와 다수의 교통약자 인식장치(200)간 통신 환경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기본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에 검출영역환경정보(교통약자 인식장치의 통신모듈의 채널정보, 송신파워 레벨, 시간정보 등)를 요청한다(S200).
그에 따라,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 역시 기본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각각의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에 검출영역환경정보를 응답한다(S210).
그에 따라 각각의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통신환경정보를 변경하고(S230), 각각의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제 2 통신 모듈부 채널을 스캐닝한다(S230).
이때,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교통약자 단말기(300)로부터 식별정보(ID)가 인식되면(S250), 식별정보 인식에 대한 액크(ACK)를 전송하고(S260), 이어 교통약자 단말기(300)로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영역내에 있음을 알리는 음성정보를 전송한다(S270).
그에 따라, 교통약자 단말기(300)는 환경정보(위치정보)를 갱신하고, 교통약 자 인식장치(200)로부터의 음성정보를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280).
도 7은 각각의 교통약자 단말기(300)로부터 인식된 ID정보들을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100)에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자신의 영역에 복수개의 교통약자 단말기(300)가 인식된 경우(S300),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에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가 사전에 지정한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교통약자 단말기(200)의 식별정보들을 전송한다(S310).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교통약자 단말기(200)의 식별정보들을 잘 수신하였음을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에 알린다(S320). 이때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전송한 단말기 식별정보 수만큼 삭제한다.
한편,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교통약자 단말기(100)의 개수를 카운트한다(S340).
그리고,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로 교통약자 단말기(300)에 대한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식별정보와 교통약자 단말기(300) 식별정보를 전송한다(S350). 이를 수신한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는 확인 정보를 전송한다(S360).
이어,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는 해당 정보(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식별정보,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70).
한편,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설정된 주기로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를 전송한다(S380).
확인 정보를 수신한 교통약자 인식장치(200)는 확인 정보에 대해 응답함으로써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S390).
도 8는 교통약자 단말기에 대한 교통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교통약자 단말기에 대한 안내 방법은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에서 교통약자 단말기(300)의 상태변화(등록, 이동 등)에 따른 신호변화가 있으면(S420),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300)로 음성 정보를 설정된 회수(2 내지 4 회)전송한다(S410). 이때, 교통약자 단말기(300)는 방송 채널을 스캔하는 상태에서(S420), 음성 정보가 스캔되면 해당 음성을 안내한다(S430).
한편 교통약자 단말기(300)로부터 긴급호출(SOS)이 발생하면(S440), 해당 긴급 호출 정보를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로 설정된 횟수(3회 내지 4회) 전송한다(S450).
이를, 수신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교통약자 단말기(300)로 긴급 호출 정보 수신을 확인(ACK)한다(S460).
또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는 해당 긴급 호출 정보와 교통약자 단말기(300) 식별정보 및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식별정보 및 시간 정보를 교통약자 관리버내(400)로 전송하고(S470),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는 확인 정보를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100)로 확인한다(S480)
한편 교통약자 관리서버(400)는 해당 정보(교통약자 단말기(300) 식별정보 및 교통약자 인식장치(200)의 식별정보와 시간정보)를 저장한다(S490).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교통약자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약자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 200 : 교통약자 인식장치
300 : 교통약자 단말기 400 : 교통약자 관리서버
500 : 교통신호 제어기

Claims (10)

  1. 교통약자 인식장치나 교통약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교통약자 관리서버나 교통신호 제어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식별정보 및 시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부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위치정보나 주변주요 건물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 통신부, 제 1 메모리부 및 제 2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 교통신호의 변화 정보나,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가 근접한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위치정보를 무선 전송하고,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로부터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현 위치 정보, 이동 방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통상의 교통신호 제어기와 연결된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로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식별정보(Identifier)와,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정보(Identifier)를 전송하는 각각의 식별정보를 갖고 있는 복수의 교통약자 인식장치;
    자신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공중(Air)으로 출력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에서 교통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음성출력부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교통약자 단말기; 그리고,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영역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교통약자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여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 추적 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약자 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통약자 인식장치는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 및 교통약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는 상기 교통신호 정보에 포함된 각종 음성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상기 음성 출력부와,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 및 교통약자 인식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에서의 긴급호출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긴급호출 버튼 및 교통약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무선 송수신부와 통신하는 제 1 통신 모듈부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부와 통신하는 제 2 통신 모듈부로 구성되고,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무선 송수신부의 제 1 통신 모듈부와 통신하는 제 1 통신 모듈부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부와 통신하는 제 2 통신 모듈부로 구성되며,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무선 송수신부의 제 1 통신 모듈부와 통신하는 제 1 통신 모듈부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무선 송수신부의 제 2 통신 모듈부와 통신하는 제 2 통신 모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제 1 통신 모듈부와, 제 2 통신 모듈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제 1 통신 모듈부 및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제 1 통신모듈부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제 2 통신 모듈부 및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제 2 통신모듈부는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제 1 통신 모듈부와, 제 2 통신 모듈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제 1 통신 모듈부 및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제 1 통신모듈부의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하지만 서로간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약자 관리서버는,
    교통신호 제어기나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교통약자의 이름, 주민번호, 해당 교통약자의 교통약자 단말기 식별정보, 해당 교통약자의 보호자 전화번호 또는 이동 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이동정보 및 긴급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호출이 오면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 사용자의 보호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생성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위치정보 및 긴급호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 생성부를 통해 긴급호출이 발생한 교통약자 단말기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해당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8. 교통약자 단말기가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설정영역에 위치하면, 해당 교통약자 인식장치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교통약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자신의 교통약자 인식장치 식별정보를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는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현 위치정보, 이동방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위치정보를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교통약자 관리서버로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정보,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식별정보 및 시간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 교통신호 제어기와 연동하여 교통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는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교통신호 변화정보나 횡단보도 주변 지리 안내 방송 정보 등에 대해 음성 출력부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로부터 긴급호출이 발생하면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는 상기 긴급호출 교통약자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교통약자 인식장치의 식별정보 및 시간 정보를 상기 교통약자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통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를 통해 전송된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의 긴급호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긴급호출이 발생한 교통약자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시간 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 교통약자 인식장치는 상기 교통약자 관리서버와 상호접속인증을 위하여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의 식별정보(ID)와, 상기 교통약자 인식장치에 대한 식별정보(ID)를 전송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약자 단말기와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간에 교통정보안내와 긴급호출은 2 내지 4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방법.
KR1020080071145A 2008-07-22 2008-07-22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KR100861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145A KR100861094B1 (ko) 2008-07-22 2008-07-22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145A KR100861094B1 (ko) 2008-07-22 2008-07-22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094B1 true KR100861094B1 (ko) 2008-10-01

Family

ID=4015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145A KR100861094B1 (ko) 2008-07-22 2008-07-22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0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591B1 (ko) * 2011-06-15 2012-03-05 주식회사 에스씨앤에스 안심 케어 장치 및 안심 케어 시스템
KR101155530B1 (ko) * 2010-07-28 2012-06-11 (주) 파이시스네트웍스 무선 점자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KR20180070584A (ko) * 2015-10-16 2018-06-26 인벤티오 아게 음향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람을 안내하는 것
KR102030373B1 (ko) * 2018-07-19 2019-10-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실내 상시 공간 관리 기반 운영 시스템
KR102487037B1 (ko) * 2022-07-22 2023-01-11 (주)휴먼케어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49A (ko) * 2002-02-21 2003-08-27 (주)한길핸디케어 지능형 교통 정보 음성 안내 시스템
KR100846299B1 (ko) 2007-04-12 2008-07-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49A (ko) * 2002-02-21 2003-08-27 (주)한길핸디케어 지능형 교통 정보 음성 안내 시스템
KR100846299B1 (ko) 2007-04-12 2008-07-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530B1 (ko) * 2010-07-28 2012-06-11 (주) 파이시스네트웍스 무선 점자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KR101115591B1 (ko) * 2011-06-15 2012-03-05 주식회사 에스씨앤에스 안심 케어 장치 및 안심 케어 시스템
KR20180070584A (ko) * 2015-10-16 2018-06-26 인벤티오 아게 음향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람을 안내하는 것
KR102595401B1 (ko) * 2015-10-16 2023-10-27 인벤티오 아게 음향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람을 안내하는 것
KR102030373B1 (ko) * 2018-07-19 2019-10-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실내 상시 공간 관리 기반 운영 시스템
KR102487037B1 (ko) * 2022-07-22 2023-01-11 (주)휴먼케어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094B1 (ko)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KR101730266B1 (ko) 장애인을 위한 IoT 기반 길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708120B1 (ko)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보행자 위험 경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846299B1 (ko)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15861B2 (ja) 歩行者横断支援システム及び歩行者横断支援方法
JP2015521319A (ja) Gps及びスマートフォンアプリケーションを用いた視覚障害者向け音響信号システム
KR102460709B1 (ko)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4424B1 (ko) 음성 안내 시스템 및 음성 안내 방법
KR101371246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JP2008289584A (ja) 視覚障害者誘導システム
KR100963419B1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07097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시스템
JP2005160064A (ja) 歩行支援システムとこのシステムで使用する携帯端末機及びアダプタ装置
KR20190109801A (ko) 스마트 표지병
KR102590978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안전신호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TW201002912A (en) A system integrating traffic signs to guide visually impaired people to pass zebra marking and a guide method
JP3995425B2 (ja) 短距離無線を応用した交通信号システム、これで用いるユーザ端末、および横断歩道の信号誘導方法
JP2002230684A (ja) 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装置
JP3162816U (ja) 視覚障害者誘導システム
KR20080018333A (ko) 시각 장애인용 신호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호등 제어방법
JP4899839B2 (ja) 携帯端末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7379489B2 (ja) 通信システム、処理装置及び所持物
JP2005190438A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交通管理システム
KR101065669B1 (ko) 시각 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