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401B1 - 음향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람을 안내하는 것 - Google Patents

음향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람을 안내하는 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401B1
KR102595401B1 KR1020187010747A KR20187010747A KR102595401B1 KR 102595401 B1 KR102595401 B1 KR 102595401B1 KR 1020187010747 A KR1020187010747 A KR 1020187010747A KR 20187010747 A KR20187010747 A KR 20187010747A KR 102595401 B1 KR102595401 B1 KR 102595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signal generator
mobile device
sig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584A (ko
Inventor
플로리안 트뢰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70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2Guidance using non-audiovisual output, e.g. tactile, haptic or electric stimul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2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경로 (8) 를 따라 사람 (2) 을 안내하기 위해, 영역 (1) 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들 (4, 4A) 에 의해 생성되는 가청 음향 신호들이 사용된다. 사람 (2) 은 이들 음향 신호들을 사용하여 영역 (1) 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사람 (8) 이 경로 (8) 를 따라 목적지를 향해 이동할 때, 경로 상에서 다음 차례로 배치된 신호 발생기 (4, 4A) 가 사람 (2) 이 이동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신호 발생기 (4, 4A) 는 사람 (2) 이 휴대한 모바일 디바이스 (6) 로부터 또는 제어 디바이스 (17) 로부터 제어 커맨드를 수신할 때, 이러한 타입의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음향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람을 안내하는 것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시작 지점으로부터 목적지로의 루트를 따라 시력이 손상된 사람을 안내하는 것과 관련된다. 그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특히, 공간적으로 분포된 신호 발생기들의 도움으로 시력이 손상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WO 2010/037839 는 빌딩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며, 빌딩에서의 특정 포인트들 (문들, 길들, 교차지점들, 승강기들 등등) 에는 정보 포인트들이 존재하고, 정보 포인트들은 능동적으로 EDP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거나 수동적으로 임의의 EDP 시스템에 접속되지 않고, 여기서 각각의 정보 포인트는 자신의 로컬 위치 코드를 저장한다. 사람은, 그들의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그들의 장애와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사람이, 그들의 최종 목적지로의 루트 상에 있는 동안, 정보 포인트의 커버리지 영역을 입력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러한 정보 포인트의 위치 코드를 수신하고, 그 후 그들의 안내에 대한 정보가 결정된다. 안내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가시적으로 또는 가청적으로 사람에게 통신된다.
WO 2010/037839 가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기술하지만, 특히 사람이 거의 또는 완전히 맹인인 경우에, 사람에 대한 안내 정보의 통신이 고유하지 않을 수도 있는 상황들이 존재할 수도 있는데, 이는 안내 정보의 해석이 그 사람, 및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배향되는 방향에 의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명령 "스트레이트 어헤드" 는 사람이 180°까지 회전하는 경우에 반대 방향으로 유도한다.
US 2005/0099291 는 시력이 손상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을 기술한다. 시스템은 시스템에 의해 제어가능한 중앙 컴퓨터 및 오디오 비컨들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에서 사람이 루트 안내를 원한다면, 그들은 모바일 전화기를 사용하여 목적지를 입력한다. 그 결과, 컴퓨터는 목적지로의 경로를 결정하고, 오디오 비컨들 간의 거리들을 계산하고, 오디오 비컨들을 활성화한다. 이 시스템에서 사람의 위치는 RFID 기술에 의해 결정된다. 추가의 RFID 디바이스들이 그 목적을 위해 요구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된다.
그러므로, 루트 안내에 대한 개선된 기술이 요구된다.
그러한 기술의 일 양태는 복수의 신호 발생기들이 고정된 로케이션들에 배치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그 방법에 따르면, 영역에 있는 사람이 휴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가 결정되고,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사람이 도달할 다음 신호 발생기인, 신호 발생기가 식별된다. 제어 커맨드가 식별된 신호 발생기로 전송되고, 여기서 제어 커맨드는 식별된 신호 발생기로 하여금, 사람이 인지가능한 신호를 생성하게 한다.
다른 양태는 영역 내의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련된다. 시스템은 사람이 휴대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역의 특정 로케이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발생기들,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루트 안내를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갖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동작 시에, 프로세서가 영역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결정한다면, 프로세서는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사람이 도달할 다음 신호 발생기인, 신호 발생기를 식별하고, 제어 커맨드를 식별된 신호 발생기에 전송하며, 여기서 제어 커맨드는 식별된 신호 발생기로 하여금, 사람이 인지가능한 신호를 생성하게 한다.
여기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 중 일부에서, 안내는 신호 발생기들이 생성하는 가청 음향 신호들에 기초하며, 그 신호들에 기초하여 사람은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사람이 목적지 로케이션으로의 경로를 따라 이동중이라면, 그 경로를 따라 사람에 최인접하게 배치되는 신호 발생기는 가청 신호를 생성하며, 그 신호의 방향으로 사람이 이동할 수 있다. 음향 신호들은, 신호 발생기로부터 신호 발생기로 경로를 따라 사람을 안내하기 위해, 시간상 연속하여 생성된다. 앞서 설명된 종래 기술과는 반대로, 사람은 그들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로컬로 통신되는 정보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멀리 떨어진 로케이션들에서 생성된 음향 신호들에 의해 배향된다. 그러므로, 사람이 현재 어떻게 위치되는지 또는 어떻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유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특히 맹인들은 통상적으로 예외적으로 우수한 청력을 갖는다. 음향 신호의 파라미터들, 예컨대 볼륨, 타입 (예컨대, 연속적인 사운드, 변조된 사운드 또는 펄스화된 사운드), 주파수 및 지속기간을 결정할 시, 이러한 속성은 맹인들이 용이하게 들을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이 짜증나거나 불쾌하지 않은 음향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이들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은 배향 및/또는 위치측정 (localisation) 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최적화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더 높은 톤들은 더 낮은 톤들보다 더 양호하게 위치측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사람은 특정 신호들이 그들에게 어떻게 울려야만 하는지를 명시할 수도 있다. 그러한 사양은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패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람이 터치할 경우, 원하는 신호가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신호 발생기 상에서 울리게 한다. 다수의 사람들이 하나의 영역에서 안내되고 있고, 특정 상황들에서, 다수의 신호들이 거의 동시에 생성되는 경우에, 사람이 그들을 위해 의도된 신호를 다른 신호들과 구별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음향 신호는 또한 음성 메세지일 수 있다.
관련 신호 발생기가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시간은 사람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로케이션은 사람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 로케이션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의 식별자를 수신한다는 사실에 의해 결정된다. 신호 발생기의 식별자 및 로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 레코드에 저장되어, 로케이션이 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사람의 루트와 관련하여 결정된 로케이션을 사용하여, 음향 신호를 생성해기 위한 다음 신호 발생기여야 하는, 신호 발생기가 식별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사람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사람이 도달할 다음 신호 발생기인, 신호 발생기의 결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제어 커맨드의 식별된 신호 발생기로의 송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안내의 필수 기능들을 수행한다. 이는 블루투스 비컨들과 같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비용-효율적인 신호 발생기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신호 발생기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현재 위치가 결정된다. 특정 로케이션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가 데이터를 수신한다면, 현재 위치는 제 1 신호 발생기의 특정 로케이션과 동일하게 세팅된다. 그 후,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신호 발생기에 또는 상기 신호 발생기 부근에 로케이트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사람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사람이 도달할 다음 신호 발생기인, 신호 발생기의 결정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제어 커맨드를 식별된 신호 발생기로 송신하는 것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 커맨드는, 신호 발생기들이 링크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언급된 이들 가능성들의 사용은, 여기서 설명되는 루트 안내를 위한 기술의 구현과 관련하여 고 레벨의 유연성을 발생한다. 루트 안내 기능은 주로 간단한 신호 발생기들과 통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그렇지 않으면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차례로, 신호 발생기들과 통신하고, 그들 차례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그들 부근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루트 안내의 목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오직 그 ID 만을 전송하는 일종의 신호 송신기로서 동작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구현에 있어서 큰 유연성은 목적지 제안들이 상이한 장소들에 있는 사람에게 형성될 수 있고, 그로부터 사람이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획득된다. 이 경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제안이 생성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제안이 현재 위치에서 시작하는 경로를 통해 도달가능하다. 목적지 제안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사람에게 송신된다. 목적지가 사람에 의해 선택된 후에, 그 목적지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가 식별되고 제어 커맨드가 그 목적지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로 전송되며, 여기서 신호 발생기는 사람이 인지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신호 발생기 및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기술을 갖추고, 이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스마트폰들은 통상적으로, 상기 기술을 위한 설비들을 이미 갖추고, 따라서 어떤 특수한 모바일 디바이스도 여기서 설명되는 안내를 위해 필요하지 않다. 그러한 스마트폰들은 블루투스-가능 신호 발생기들, 소위 비컨들과 통신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신호 발생기들은, 인접하는 신호 발생기들보다 그들의 로케이션들이 개입하는 장애물들 (예컨대, 벽, 기둥, 문, 판매용 키오스크, 등) 없이 도달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회피가 실현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또는 일시적인 장애물 (예컨대, 건설 현장) ?문에, 신호 발생기가 이러한 장애물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발생기는 예컨대, 이 장애물을 사람에게 통지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들의 배치에 대한 이들 옵션들은 사람이 그들의 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지원한다.
하기에서, 개선된 기술의 상이한 양태들이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기초하고 도면들과 결합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들을 갖는다. 도시되는 것은:
도 1a 사람이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빌딩에서의 예시적인 상황의 개략적인 도면;
도 2a 다수의 로케이션들을 따른 예시적인 안내의 개략적인 도면;
도 3a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
도 4a 모바일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도면;
도 5 개략적인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도면.
도 1 은 빌딩 (1) 에서의 예시적인 상황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사람 (2) 은 안내 시스템에 의해 경로 (8) 를 따라 목적지 방향으로 이동한다. 기술은 빌딩 (1) 내에서의 안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도로들을 따른 안내를 위해, 예컨대 빌딩 (1) 외부의 다른 영역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빌딩 (1) (예컨대, 주택, 오피스 및 비지니스 빌딩, 호텔, 스포츠 경기장, 공항 빌딩, 공장) 은 경로가 연장할 수 있는 영역의 일 예로서 이해될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상황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6) 를 휴대하는 사람 (2) 은 빌딩 층 (20) 상에 로케이트되고, 경로 (8) 를 따라 이동한다. 액세스 (22) 는 예컨대, 1 층에서 빌딩 (1) 에 입장하고 퇴장할 수 있는 빌딩의 외부 문이다. 도 1 은 또한, 복수의 오피스 또는 미팅 룸들 (14), 휴게실 (12), 3 개의 승강기들 (10), 1 층 터미널 (16), 및 복수의 신호 발생기들 (4) 을 도시한다. 또한 도시되는 승강기 제어기 (18) 는, 이동 요청에 따라 승강기들 (10) 을 제어하기 위해, 층 터미널 (16) 과 승강기들 (10) 에 통신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중 화살표 (19) 로 표시됨).
경로 (8) 는 상이한 방식들로 명시될 수 있다. 사람 (2) 은 예컨대, 시작 지점으로부터 (단일) 목적지로, 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관심있는 중간 목적지들 또는 장소들을 통해 이동할 의도가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사람 (2) 은 이미 시작 로케이션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상의 원하는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목적지로의 경로 (8) 는 사람 (2) 이 경로 (8) 를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기 전에 명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경로 (8) 는 시작 로케이션과 목적지 간의 루트를 정의한다. 시작 로케이션, 목적지 및 연관된 맵핑 재료 (예컨대, 빌딩 평면도, 시티 맵, 등) 에 대한 지식으로, 경로 (8) 및 연관된 안내 정보는 사람 (2) 을 그들의 목적지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결정될 수 있다. 사람 (2) 의 현재 로케이션 또는 거기에 존재하는 신호 발생기 (4) 에 기초하여, 경로 (8) 를 따른 다음 신호 발생기 (4) 가 식별되고, 사람 (2) 이 인지가능한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가청 음향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절차는 경로 (8) 상에 로케이트된 각각의 신호 발생기 (4) 에서 그리고 사람 (2) 에 의한 추가의 액션 없이, 사람이 그들의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자동으로 반복된다.
다른 경우에, 사람 (2) 은 목적지를 명시하지 않는다. 대신에, 사람은 그들의 현재 소재에서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소재에 기초하여, 여기서 설명된 기술은 사람 (2) 에게 가능한 목적지들을 제공하며, 사람 (2) 이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경로 (8) 는 현재 로케이션으로부터 다음 목적지로의 루트로 구성되며, 여기서 설명된 기술은 사람 (2) 을 경로 (8) 를 따라 다음 목적지로 안내한다. 다른 목적지가 그곳에서 선택된다면, 새로운 경로 (8) 가 결정된다.
도 2 는 사람 (2) 이 목적지를 명시하지 않는 언급된 케이스를, 예컨대 일반적인 형태로 도시한다: 사람 (2) 이 로케이션 A 으로부터 로케이션 B 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거기에 도달하면, 사람 (2) 은 그들에게 통신된 가능한 로케이션들 C1, C2 또는 C3 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한다. 그들이 로케이션 C3 을 선택한다면 (실선 화살표로 도시), 로케이션 C3 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 (4) 가 사람 (2) 에 가청인 음향 신호를 생성하며, 사람 (2) 이 뒤따를 수 있다. 그들이 로케이션 C3 에 도달할 때, 사람 (2) 은 로케이션 D1 또는 로케이션 D2 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한다. 도 2 에서, 사람 (2) 은 로케이션 D2 로 결정하고 (실선 화살표로 도시), 로케이션 D2 에 위치된 신호 발생기 (4) 는 사람 (2) 이 로케이션 D2 까지 뒤따를 수 있는 가청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도 1 의 상황에 적용될 때, 액세스 (22) (로케이션 A) 에서 나오는 사람 (2) 은 액세스 (22) (로케이션 B) 의 범위에 로케이트된다. 거기 (로케이션 B) 에서, 사람은 리프트 (10) (로케이션 C1) 로 이동할지, 층 터미널 (16) (로케이션 C2) 로 이동할지, 오피스 (14) (로케이션 C3) 로 이동할지 선택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이들 옵션들을 가청 방식으로 사람에게 통신한다. 사람 (2) 이 예컨대, 음성 입력을 사용하여, 오피스 (14) (로케이션 C3) 를 선택한다면, 거기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 (4) 는 가청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사람 (2) 은 오피스 (14) (로케이션 C3) 에 도달하기 위해 음향 신호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거기에서, 사람 (2) 은 다른 오피스 (14) (로케이션 D1) 로 이동할지 또는 휴게실 (12) (로케이션 D2) 로 이동할지 선택한다. 사람이 휴게실 (12) 을 선택한다면, 거기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 (4) 는 가청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유사한 상황은 예컨대, 복수의 인접하는 오피스들 (14) 또는 워크스테이션들을 갖는 빌딩 (1) 에서, 또는 인접하는 숍들을 갖는 쇼핑 센터에서 획득할 수 있다. 사람 (2) 이 상기 종류의 환경에서 이동중이라면, 모바일 디바이스 (2) 는 예컨대, 오피스들 (14) 에 근무중인 사람의 명칭들 또는 숍들의 명칭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오피스 (14) 또는 숍의 내부 또는 전면에 있는 사람 (2) 은 그들이 어떤 사람 또는 어떤 숍에 도달하기를 원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들 (4) 은 신호의 생성을 트리거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신호 발생기 (4) 는 개별 식별자 또는 어드레스를 통해 어드레싱될 수 있고; 예컨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제어 커맨드를 원하는 신호 발생기 (4) 에 어드레싱한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신호 발생기 (4) 는 신호 라인들, 버스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 발생기들 (4) 을 작동시키는 제어 디바이스 (17) 와 네트워킹된다 (도 3 에 도시). 이들 대안들에서도, 제어 디바이스 (17) 는 제어 커맨드를 원하는 신호 발생기 (4) 로 어드레싱할 수 있다. 이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제어 커맨드는 케이블-바운드 (cable-bound) 신호 및/또는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어드레싱된 신호 발생기 (4) 는 각 경우에, 제어 커맨드를 수신한 후에 신호를 생성하는 반면, 어드레싱되지 않은 임의의 인접 신호 발생기들 (4) 은 침묵을 지킨다 (remain silent). 당업자는, 복수의 신호 발생기들 (4) 이 또한, 예컨대 경로 (8) 의 방향을 따라 이동중인 광과 같은 효과를 생성하도록 제어어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여, 신호 발생기들 (4) 은 빌딩 (1) 내의 다양한 포인트들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이들은 빌딩 (1) 내의 사람이 자주 다닐수도 있는 로케이션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신호 발생기 (4) 는 각각, 룸들 (12, 14), 액세스 (22) 의 영역에서 액세스 (22), 층 터미널 (16) 및 승강기들 (10) 과 같은 다양한 로케이션들에 배치된다. 신호 발생기들 (4) 은 일반적으로, 이들 로케이션들의 바로 부근에 또한 배치될 수 있다. 당업자는, 신호 발생기들 (4) 의 수 및 하나 이상의 인접 신호 발생기들 (4) 로부터의 거리를 포함하는 그들의 배치가 예컨대, 빌딩 상황에 의존하여 선택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앞서 언급된 것과 같이, 인접하는 신호 발생기들 (4) 은 그들 사이에 로케이트된 장애물들이 없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신호 발생기들 (4) 의 배치는, 예컨대 빌딩 평면도에, 또는 루트 안내가 도시의 도로들을 따라 발생할 경우, 시티 맵에, 문서화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사람 (2) 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의 현재 로케이션이 결정될 수 있는 신호 발생기 (4) 로부터의 데이터 (예컨대, 그 식별 번호 또는 식별자) 를 수신하도록 지정된다. 수신은 예컨대, 광학 코드 (예컨대, QR 코드, 바코드, 컬러 코드) 를 스캔하거나, 또는 NFC (near-field communication), Wi-Fi 다이렉트, RFID 또는 블루투스에 대한 공지된 기술들 중 하나에 기초하여 무선 접속을 확립함으로써, 비접촉 방식으로 발생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위치 결정을 위한 설비, 예컨대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을 위한 디바이스를 갖는다.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IPS (Indoor Positioning System) 로서 또한 공지된, 빌딩들을 위한 포지셔닝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한 IPS 는 적절히 배치된 로컬 무선 셀들 (예컨대, WLAN 노드들) 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일부에서, 신호 발생기 (4) 에 의해 위치 결정이 발생한다. 이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블루투스-가능 스마트폰이고, 신호 발생기들 (4) 은 또한, 유사하게 블루투스-가능하다. 그러므로, 그러한 신호 발생기 (4) 는 하기에서 "비컨" 또는 "블루투스 비컨" 으로 지정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 (6) (스마트폰) 와 비컨들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 표준, 예컨대 블루투스 표준 4.0 (블루투스 저 에너지 (BLE)) 또는 임의의 다른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 발생한다. 그러한 비컨들은 통상적으로, 명시된 송신 프로토콜에 따라 대략 1 초의 짧은 인터벌로 고유 식별 번호 (식별자) 를 영구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저전력 소비를 갖는 배터리 전력공급 송신기들이다. 비컨은 예컨대, 그 MAC 어드레스 (미디어 액세스 제어) 에 의해 어드레싱가능하다.
언급된 것과 같이, 비컨은 항상 동일한 데이터, 예컨대 그 식별 번호 (예컨대, "ID = 5") 를 브로드캐스팅한다. (블루투스 기능이 작동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6) 가 비컨의 무선 범위 내에 있다면,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한다. 당업자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무선 범위에 있을 수 있고, 이들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각각은 그 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들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 (6) 가 예컨대, "ID = 5" 를 갖는 비컨의 부근에 현재 로케이트되는 것으로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 (6) 가 다시 무선 범위 외부에 로케이트될 때, 어떤 데이터도 수신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블루투스 기술로 잘 알려진 페어링은, 예컨대 빌딩 (1) 에 분포된 복수의 비컨들과 빌딩 (1) 에 존재할 수도 있는 임의의 (일시적인) 방문자들 때문에 제공되지 않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그러나 제공되어야 한다면,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 (6) 와 비컨들 간의 제 1 통신 접촉 (즉, 페어링) 이 이미 발생된 것으로 가정된다. 페어링 동안, 통신 파트너들은 식별 데이터를 교환하여, 그들이 다음에 서로를 자동으로 인식하게 한다.
비컨이 모바일 디바이스 (6) 와 통신 접속을 시작할 수 있는 능력이 도 1 에 무선 송신에 대한 심볼로 도시된다. 이러한 기능에 부가하여, 비컨은 사람 (2) 에게 가청인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도 1 에 라우드스피커 심볼로 도시된다. 사용될 수 있는 이들 기능들을 가지는 비컨의 일 예는 회사 Onyx Beacon Ltd., Romania 에 의해 공급되는 Enterprise Beacon 이다. 그러한 비컨은 가청 음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버저, 및 원하는 로케이션에 그러한 비컨을 위치시키기 위한 접착 면을 갖는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라우드스피커 또는 버저는 또한, 비컨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또는 버저는 케이블을 통해 또는 무선으로 비컨에 접속될 수 있다. 비컨이 모바일 디바이스 (6) 로부터 제어 커맨드를 수신한다면, 비컨은 제어 커맨드에 따라 라우드스피커 또는 버저를 작동시킨다.
버저 또는 라우드스피커를 갖는 비컨은 언급된 식별 번호를 브로드캐스팅할 뿐만 아니라, 거기에 어드레싱된 제어 커맨드를 또한 수신할 수 있다. 비컨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자 회로를 갖는다. 제어 커맨드는 예컨대, 버저로 하여금 음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작동하게 한다.
비컨의 설명된 기능을 이해하여, 블루투스-가능 스마트폰은 고정된 비컨으로 고려될 수 없는 경우에도 비컨의 종류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인식된다. 스마트폰은 규칙적인 인터벌들로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식별자는 그 후, 범위 내에 로케이트된 다른 블루투스-인에이블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1 에 도시된 터미널 (16) 은 그러한 블루투스-가능 디바이스이거나 도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분포된 신호 발생기들 (4) 과 유사하게, 복수의 그러한 블루투스-가능 디바이스들은 영역 (1) 에 있는 명시된 사이트들에 존재할 수 있으며, 그 후에 빌딩 평면도에 문서화된다.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신호 발생기들 (4) 은 그들의 식별 번호들을 브로드캐스팅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수신된 식별 번호로부터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그 후에 다음 신호 발생기 (4) 의 작동을 포함하여 루트 안내를 수행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신호 발생기들 (4) 은 모바일 디바이스 (6) 와 독점적으로 통신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모바일 비컨의 종류로서 사용되고, 안내 기능의 적어도 일부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에서 발생한다. 도 3 은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도 3 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11) 에 링크된, 앞서 이미 언급된 제어 디바이스 (17) 와 복수의 신호 발생기들 (4A) 을 포함한다. 이에 부가하여, 그들의 모바일 디바이스 (6) 로 경로 (8) 를 따라 이동중인 사람 (2) 이 도시되고, 그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또한, 네트워크 (11) 에 링크된다. 설계에 의존하여, 네트워크 (11) 는 케이블-바운드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위해 의도될 수도 있고, 그 목적을 위해 버스 시스템, LAN, WLAN,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11) 는 또한, 예컨대, 원격 데이터 센서에서 데이터의 저장을 지칭하지만, 또한 로컬로 설치되지 않고 원격으로 설치된 프로그램들의 실행을 지칭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IT 인프라구조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설계에 의존하여, 특징 기능이 모바일 디바이스 (6) 에 설치되거나 "클라우드" 를 통해 사용가능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 (4A) 및 제어 디바이스 (17) 는 따라서, 케이블들 또는 무선 접속들에 의해 네트워크 (11) 에 링크된다.
도 1 에 도시된 신호 발생기들 (4) 과 대조적으로, 도 3 에 도시된 신호 발생기들 (4A) 은 비컨으로서 구현될 수 없다. 도 3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신호 발생기들 (4A) 은 따라서, 오직 라우드스피커에 대한 심볼로 도시된다.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현재 위치는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 (6) 에 존재하는 GPS 기능에 의해, 또는 앞서 언급된 것과 같은 IPS (indoor positioning system) 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결과적인 현재 기능을 예컨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 디바이스 (17) 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어 디바이스 (17) 는 모바일 디바이스 (6) 가 어디에 로케이트되는지를 알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현재 위치가 신호 발생기 (4A) 의 로케이션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면, 그 후 일 실시형태에서, 신호 발생기 (4A) 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6) 와 통신하는 무선 모듈로 (예컨대, 블루투스 무선 모듈로서) 설계될 수 있다. 통신 접속이 신호 발생기 (4A) 의 무선 모듈과 모바일 디바이스 (6) 간에 확립되지마자, 신호 발생기 (4A) 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ID 를 수신하고, 이를 메세지에서 네트워크 (11) 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 (17) 로 송신한다. 제어 디바이스 (17) 는 루트 안내를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갖는다. 메시지는 송신 신호 발생기 (4A) 의 어드레스를 포함 할 수 있고 및/또는 송신 신호 발생기 (4A) 에 제공된 제어 디바이스 (17) 의 신호 입력에 도달할 수도 있다. 개별 신호 발생기들 (4A) 의 로케이션들은 제어 디바이스 (17) 에 저장된다. 어드레스 및/또는 신호 입력을 알고 있으면, 제어 디바이스 (17) 는 송신 신호 발생기 (4A) 를 식별하고 그 로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 (17) 는 모바일 디바이스 (6) 가 송신 신호 발생기 (4A) 근처에 로케이트되는 것을 알고 있다.
루트 안내의 추가 기능으로서, 제어 유닛 (17) 은 경로 (8) 를 따른 다음 신호 발생기인, 신호 발생기 (4A) 를 결정한다. 그 후에, 제어 디바이스 (17) 는 이 신호 발생기 (4A) 에 어드레싱되거나 또는 이 신호 발생기 (4A) 에 대해 명시된 신호 출력으로부터 제어 커맨드를 이 신호 발생기 (4A) 에 전송한다. 제어 커맨드에 응답하여, 신호 발생기 (4A) 는 신호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로부터, 당업자는 여기서 설명된 루트 안내를 위한 기술이 모바일 디바이스 (6) (도 1 참조) 에서 또는 제어 디바이스 (도 3 참조) 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양자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안내가 구현되어야하는 위치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6) 가 사용된다.
도 4 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예로서 스마트폰을 도시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30) (터치스크린) 아래에 로케이트된 프로세서 (36) 및 저장 다바이스 (38) (메모리) 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점선들로 도시됨).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람 (2) 은 필요에 맞게 모바일 디바이스 (6) 에서 세팅들 및 원하는 기능들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이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후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블루투스 기능이 없으면, 빌딩 (1) 의 사람 (2) 의 움직임들과 소재들이 결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추가로, 루트 안내를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앱) 은 사람 (2) 에 의해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사람 (2) 은 블루투스 기능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비컨이 근처에 있을 때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모바일 디바이스 (10) 가 스위치 온될 때 항상 활성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일 예로서의 스마트폰은 안내 중에 사람 (2) 을 지원한다. 사람 (2) 이 시각 장애가 있거나 맹인이고,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디스플레이 (30) 상의 시각적 표시들이 사람 (2) 에 의해 불량하게 검출되거나 또는 전혀 검출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은 이러한 핸디캡들을 위해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음성 입력 및 음성 출력을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설계될 수 있어서, 예컨대, 사람 (2) 은 음성 지원으로, 메뉴를 통해 안내되고, 발언된 커맨드들로 원하는 선택 및/또는 입력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예를 들어, 사람 (2) 에 의해 발언된 목적지를 검출하고, 이를 프로세싱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 옵션들의 예들의 도면으로서, 도 4 는 디스플레이 (30) 상의 상이한 목적지 선택 필드들 (32, 34) 에 할당되는, 복수의 목적지들 (목적지 A, 목적지 B, 목적지 C, 기타) 을 나타낸다.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음성에 의해 이들 목적지들을 사람 (2) 에게 통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주요 시스템 컴포넌트들 (모바일 디바이스 (6), 신호 발생기 (4), 신호 발생기 (4A)) 및 그들의 기능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루트 안내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설명이 도 5 를 참조하여 제공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루트 안내는 블루투스-가능 신호 발생기들 (4) (비컨들) 과 통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에서 구현된다. 예시적인 방법은 단계 S1 에서 시작하여 단계 S5 에서 종료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6) 및 비컨들은 경로 (8) 를 따라 사람 (2) 의 안내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일부이다. 이 시스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비컨들과 상호작용하며, 비컨의 개별 식별자 (예를 들어, "ID=5") 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에 의해 수신된다. 단계 S2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현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6) (또는 루트 안내 용으로 설치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안내 앱)) 는 수신된 비컨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이 비컨의 로케이션 및 따라서 그 자신의 로케이션을 결정한다. 식별은 안내 앱에 의해 로컬로 수행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안내 앱에 의해 개시된 원격 배치 데이터베이스로의 액세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로컬 결정의 경우, 안내 앱은 저장 디바이스 (38) 의 모바일 디바이스 (6) 에 저장된 빌딩 평면도 정보 및 데이터 레코드들을 사용한다. 각 데이터 레코드는 비컨의 로케이션을 그 식별자와 함께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 레코드의 수는 비컨의 수와 동일하다. 빌딩 평면도 정보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6) 상에 안내 앱을 설치하는 동안 저장될 수 있어서, 사람 (2) 이 목적지를 입력할 때 이미 존재한다. 안내 앱이 비컨의 식별자를 수신하면, 그 후에 이는 빌딩 (1) 에서 비컨의 로케이션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22) 에서, "ID = 5").
원격 데이터베이스로의 액세스에 의한 결정의 경우에, 안내 앱은 무선 접속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개시한다.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식별자는 이 비컨이 배치된 로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와 연관된다. 데이터베이스는 빌딩 관리 시스템의 저장 시스템, 서비스 제공자의 저장 시스템 또는 승강 제어기 (18)의 저장 시스템에 보유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 할 때,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식별 파라미터 (예를 들어, 전화 번호 및/또는 디바이스 ID 코드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어드레스)) 가 또한 전송될 수 있다.
당업자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현재 위치가 앞서 언급된 GPS 및 IPS 시스템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결정이 발생하는 방법 및 장소와 관계없이, 안내 앱은 결정된 로케이션을 경로 (8) 와 관련하여 세팅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빌딩 평면도 상에 그래픽으로 경로 (8) 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건물 평면도 상에 그래픽으로 경로 (8) 의 현재 로케이션을 도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특히 그들의 시력이 심각하게 손상된 경우, 이 정보를 사람 (8) 에게 통신하기 위해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비컨의 로케이션 및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로케이션을 알게 되면, 단계 S3 에서 안내 앱은 경로 (8) 를 따라 순차적으로 다음 비컨을 결정한다. 단계 S4 에서, 안내 앱은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고, 제어 커맨드는 이 비컨이 예를 들어 버저에 의해 음향 신호를 생성하게 한다. 신호의 특성은 안내 앱을 사용하는 사람 (2) 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므로, 다른 안내 목적으로 그들의 환경에서 다수의 신호들이 생성되더라도, 사람 (2) 이 "그/그녀의" 신호를 검출한다. 사람 (2) 은 이 음향 신호를 듣고,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비컨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사람 (2) 이 그들의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경로 (8) 를 따라 로케이트된 각각의 비컨에서 경로 (8) 상의 길을 따라 반복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음향 신호는 또한, 예를 들어 장애물에 대해 경고하기 위해 경고 신호 또는 음성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메시지는 어떤 경우에, 장애물의 유형을 나타낼 수도 있다. 앞서 언급된 것과 같이, 장애물은 영구적이거나 일시적일 수 있다.
본 설명의 다른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서, 사람 (2) 은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비컨들을 사용하여 여기에 설명된 기술로 자기 위치를 알게 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안내에 대한 정보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6) 에 의해 사람 (2) 에게 송신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사람 (2) 의 현재 시각 손상의 정도에 따라, 이 정보는 디스플레이 (30) 상에 음성 또는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진동에 의해 통신되는 텍스트, 그래픽 심볼들 (예를 들어, 화살표들), 맵들 및/또는 장소들의 그림들로 제시될 수 있다. 안내 정보는 사람 (2) 에게 예를 들어, 그들이 다음으로 가야할 곳 및/또는 다음 웨이포인트까지의 거리가 얼마나 큰지를 통지하거나 지시한다. 승강기 (10) 가 사용되어야만 하는 경우, 예컨대, 어떤 엘레베이터 (10) 가 사용되어야만 하는지, 특정 층에 언제 도착하는지, 및/또는 엘리베이터 캐빈이 도착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 얼마나 긴지가 사람 (2) 에게 통신될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안내 정보가 소위 스마트워치들 또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가능하게는 증강 현실의 기능을 허용하는 기술과 함께, 디스플레이 및 라우드스피커를 구비한 안경) 에 의해 또한 사람 (2) 에게 통신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4)

  1. 복수의 신호 발생기들 (4, 4A) 이 특정 로케이션들에 배치되는 영역 (1) 에서 사람 (2) 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영역 (1) 에 있는 상기 사람 (2) 이 휴대한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현재 위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6) 가 제 1 신호 발생기 (4, 4A) 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결정되고, 상기 제 1 신호 발생기 (4, 4A) 의 로케이션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레코드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레코드로부터 상기 제 1 신호 발생기 (4, 4A) 의 상기 로케이션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람 (2) 이 현재 위치에서 시작하여 도달할 다음 신호 발생기인, 신호 발생기 (4, 4A) 를 검출하는 단계; 및
    식별된 상기 신호 발생기 (4, 4A) 에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어 커맨드는 식별된 상기 신호 발생기 (4, 4A) 로 하여금 상기 사람 (2) 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게 하는, 상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 (2) 이 현재 위치에서 시작하여 도달할 다음 신호 발생기인, 상기 신호 발생기의 결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6) 에 의해 수행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식별된 상기 신호 발생기 (4, 4A) 에 상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6) 에 의해 실행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는, 상기 제 1 신호 발생기 (4, 4A) 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6) 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결정되고,
    상기 현재 위치는 상기 제 1 신호 발생기 (4, 4A) 의 특정 로케이션과 동일하게 세팅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 (2) 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시작하여 도달할 다음 신호 발생기인, 상기 신호 발생기 (4, 4A) 의 식별은, 제어 디바이스 (17) 에 의해 수행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식별된 상기 신호 발생기 (4, 4A) 에 상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 (17) 에 의해 실행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제안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제안은 경로 (8) 를 통해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도달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제안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6) 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제안을 상기 사람 (2) 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람 (2) 에 의한 목적지의 선택 후에, 상기 목적지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 (4, 4A) 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발생기 (4, 4A) 를 사용하여, 상기 사람 (2) 이 인지가능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목적지에 배치된 상기 신호 발생기 (4, 4A) 에 상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들 (4, 4A)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6) 는 블루투스 기술을 갖추고, 상기 기술에 의해 서로 통신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신호는 음향 신호인,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
  10. 영역 (1) 에서 사람 (2) 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람 (2) 이 휴대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상기 영역 (1) 에서의 고정된 로케이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발생기들 (4, 4A); 및
    프로세서 (17, 36) 에서 실행가능한 안내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갖는 프로세서 (17, 36)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동작 시에,
    상기 영역 (1) 에 있는 상기 사람 (2) 이 휴대한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현재 위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6) 가 제 1 신호 발생기 (4, 4A) 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결정되고, 상기 제 1 신호 발생기 (4, 4A) 의 로케이션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레코드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레코드로부터 상기 제 1 신호 발생기 (4, 4A) 의 상기 로케이션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6) 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람 (2) 이 현재 위치에서 시작하여 도달할 다음 신호 발생기인, 신호 발생기 (4, 4A) 를 검출하며, 그리고
    식별된 상기 신호 발생기 (4, 4A) 에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 커맨드는 식별된 상기 신호 발생기 (4, 4A) 로 하여금 상기 사람 (2) 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게 하는, 상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36) 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6) 에 배치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 디바이스 (17) 에 배치되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들 (4, 4A) 은 블루투스 기술을 갖춘,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14.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 발생기 (4, 4A) 는 어드레싱될 수 있는, 영역에서 사람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187010747A 2015-10-16 2016-10-10 음향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람을 안내하는 것 KR102595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0261.6A EP3156765A1 (de) 2015-10-16 2015-10-16 Wegeleitung von personen mit akustischen signalen
EP15190261.6 2015-10-16
PCT/EP2016/074199 WO2017063992A1 (de) 2015-10-16 2016-10-10 Wegeleitung von personen mit akustischen signa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584A KR20180070584A (ko) 2018-06-26
KR102595401B1 true KR102595401B1 (ko) 2023-10-27

Family

ID=5433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747A KR102595401B1 (ko) 2015-10-16 2016-10-10 음향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람을 안내하는 것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41495B2 (ko)
EP (2) EP3156765A1 (ko)
KR (1) KR102595401B1 (ko)
CN (1) CN108139215B (ko)
AU (1) AU2016339106B2 (ko)
HK (1) HK1249928A1 (ko)
PL (1) PL3362766T3 (ko)
WO (1) WO2017063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2875A1 (en) * 2014-11-26 2016-06-02 Kone Corporation Local navigation system
DE102017009187A1 (de) * 2017-09-30 2019-04-04 Rtb Gmbh & Co. Kg Einrichtung zur Unterstützung der Mobilität sehbehinderter Personen im Straßenverkehr
CN110407043B (zh) * 2018-04-26 2023-01-13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服务请求的通信
US20210072027A1 (en) * 2019-09-09 2021-03-11 Caci, Inc. - Federa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lization and navigation services
CN110478206B (zh) * 2019-09-10 2022-02-15 李少阳 一种智能导盲系统及设备
DE102022000426A1 (de) 2022-02-04 2023-08-10 Rtb Gmbh & Co. Kg Sprechende Bake oder Absperrung
GR20220100657A (el) * 2022-08-08 2024-03-12 Κλεμαν Ελλας - (Kleeman Hellas) Ανωνυμος Βιομηχανικη Εμπορικη Εταιρεια Για Μηχανολογικες Κατασκευες Α.Ε., Μεθοδος και συστημα επικοινωνιας χρηστη και ανελκυστηρα με κωδικα μπραϊ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094B1 (ko) * 2008-07-22 2008-10-01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5071B (en) * 2002-08-06 2006-05-1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ethod and arrangement for guiding a user along a target path
JP4030064B2 (ja) * 2003-02-24 2008-01-09 ハーマン ベッカー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ゲーエムベーハー 音響経路情報を有す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7039522B2 (en) * 2003-11-12 2006-05-02 Steven Landau System for guiding visually impaired pedestrian using auditory cues
KR20060040013A (ko) * 2004-11-04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주행경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방법
KR20090004252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보행자 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T104120B (pt) 2008-06-30 2010-11-23 Metro Do Porto S A Sistema de orientação, navegação e informação especialmente adaptado para pessoas cegas ou amblíopes
CH699676B1 (de) 2008-10-02 2015-11-30 Design Ag A Verfahren zur Wegleitung eines Benutzers in einem Gebäude.
US8594935B2 (en) * 2009-03-18 2013-11-26 Intouch Graphics, Inc.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for providing wayfinding orientation and wayfinding data to blind travelers
DE112011103419B4 (de) * 2010-11-30 2014-0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fahren, Einheit und Computerprogramm zum Abbilden einer Bewegungsrichtung durch Töne
CN201903350U (zh) * 2010-12-16 2011-07-20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导航系统
KR101328121B1 (ko) * 2011-04-12 2013-11-13 휴앤에스(주)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CN103917847B (zh) * 2011-11-10 2017-03-01 三菱电机株式会社 导航装置及方法
CN202383520U (zh) * 2011-12-22 2012-08-15 湖南城市学院 声音定位导航装置
EP2733502A1 (en) 2012-11-15 2014-05-21 James Buchheim Locator beacon and radar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US9262915B2 (en) * 2013-05-09 2016-02-16 KERBspace, Inc Intelligent urban communications portal and methods
EP2977782B1 (en) * 2014-07-22 2020-11-18 Mitel Networks Corporatio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9726746B2 (en) * 2015-03-06 2017-08-08 Sensible Innovations, LLC Audio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094B1 (ko) * 2008-07-22 2008-10-01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2766B1 (de) 2019-08-28
US20180296427A1 (en) 2018-10-18
EP3156765A1 (de) 2017-04-19
PL3362766T3 (pl) 2020-03-31
AU2016339106B2 (en) 2019-09-26
HK1249928A1 (zh) 2018-11-16
KR20180070584A (ko) 2018-06-26
US10441495B2 (en) 2019-10-15
CN108139215B (zh) 2021-10-15
AU2016339106A1 (en) 2018-05-10
EP3362766A1 (de) 2018-08-22
WO2017063992A1 (de) 2017-04-20
CN108139215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5401B1 (ko) 음향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람을 안내하는 것
EP3100593B1 (en) A method of controlling lighting devices
KR101711064B1 (ko)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ES2534217T3 (es) Guía de usuario con dispositivos electrónicos móviles
CN104272359B (zh) 使用基础设施元件的街道智能导航系统
KR20160028146A (ko)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거리에 기반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21024888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Evacuation Routes
JP2018537372A (ja) スマートウォッチならびにエレベータおよび案内システム
KR20180040933A (ko) 스마트 주차장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H11252121A (ja) 位置依存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460709B1 (ko)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3089392A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KR101154424B1 (ko) 음성 안내 시스템 및 음성 안내 방법
KR102327137B1 (ko) 시각장애인용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JP7251713B2 (ja) 案内システム
KR20210084409A (ko)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JP3462449B2 (ja) 情報案内方法および移動無線局
KR102467141B1 (ko) 지향성 비콘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60050410A (ko)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JP2014059780A (ja) 警報システム、警報方法、及び警報管理装置
US20230336942A1 (en) Medical device alarm method and system
JP201405005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US20230165464A1 (en) Medical device alarm method and system
JP2002109679A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JP2022170839A (ja)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