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121B1 -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121B1
KR101328121B1 KR1020110033537A KR20110033537A KR101328121B1 KR 101328121 B1 KR101328121 B1 KR 101328121B1 KR 1020110033537 A KR1020110033537 A KR 1020110033537A KR 20110033537 A KR20110033537 A KR 20110033537A KR 101328121 B1 KR101328121 B1 KR 10132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l server
radio wave
identification key
smart wand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035A (ko
Inventor
김광섭
김장환
허재동
홍정철
김완기
Original Assignee
휴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앤에스(주) filed Critical 휴앤에스(주)
Priority to KR102011003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12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리더부가 RFID 태그에 저장된 식별키 값을 인식하여 로컬서버로 전송하면 로컬서버가 전송받은 식별키 값에 해당되는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들을 추출하여 개인휴대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교통약자는 지하철 실시간 음성정보를 제공받게 되며, 스마트 지팡이는 경로이탈이 발생되는 경우 비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전파들을 이용하여 로컬서버가 지명한 비콘으로의 복귀경로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검출한 복귀경로에 따라 방향표출 진동자들을 진동시킴으로써 교통약자가 경로를 이탈하더라도 안전하게 복귀되도록 하여 교통약자에게 최적화된 이동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A subway station of guidance information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에게 실시간으로 이동경로 및 편의시설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며, 교통약자가 이동경로를 이탈할 경우 스마트 지팡이의 방향표출 진동자를 진동시켜 교통약자를 이동경로로 복귀시킴으로써 교통약자가 안전하게 지하철역 내를 이동하도록 하는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태그(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바코드보다 저장용량 및 인식률이 뛰어나며, 단순히 저장 기능뿐만 아니라 쓰는 기능까지 제공되는 장점으로 인해 제조, 유통물류, 서비스산업 등의 산업계 전반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다.
보행자 ITS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은 이러한 무선태그를 도로, 가로등, 신호등 및 횡단보도 등의 특정 물체나 장소에 설치하는 시스템이며, 보행자에게 이동경로 및 위치정보 등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장점으로 인해 보행자 ITS 시스템을 이용한 음성안내 및 교통안내 시스템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출원번호 제 10-1999-0041221번으로 출원된 길 안내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 안내 시스템(100)은 상기의 보행자 ITS 시스템을 이용하여 버스 정류장(101)에 정류장 정보(정류장 명칭, 탑승 가능한 노선번호 등)(107)를 시각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103)에게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약자가 버스 정류장(101)이나 지하철역에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된 무선태그(105)를 설치함으로써 교통약자가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 1의 종래의 음성안내 시스템(100)은 교통약자(103)가 무선태그(105)가 설치된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무선태그(105)가 띄엄띄엄 설치되는 경우 무선태그(105)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작업으로 인해 오히려 교통약자(103)의 대중교통 이용시간이 더욱 지체되며, 교통약자(103)가 이동 중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돌발 상황으로 인해 경로에서 이탈할 경우 교통약자를 다시 경로로 복귀시킬 수 있는 방법이 구성되지 않았다.
특히 버스 정류장(101)이나 지하철역에는 유동인구가 많으므로 돌발 상황들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교통약자의 경로이탈이 더욱 자주 발생되기 때문에 경로이탈 발생 시 대응방안이 해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로컬서버가 RFID 태그에 저장된 식별키 값에 해당되는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들을 추출하여 개인휴대 단말기들로 전송함으로써 교통약자는 이동 시 현재 위치에 가장 적합한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 음성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경로이탈이 발생되는 경우 로컬서버는 각각의 비콘(Beacon)들에서 송출하는 전파들을 수신한 스마트 지팡이의 전파정보들을 분석하여 복귀경로를 검출하며 검출한 복귀경로에 따라 방향표출 진동자들을 진동시킴으로써 교통약자가 경로를 이탈하더라도 교통약자를 신속하게 이동경로로 복귀시키는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점자블록들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각기 다른 식별키 값들이 저장되는 복수개의 RFID 태그들; 상기 RFID 태그들에 저장된 상기 식별키 값을 인식하는 RFID 리더부와, 상기 점자블록들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에지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내에서 점자블록들이 이어지는 양측면의 에지들을 검출한 후 검출된 에지들이 기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벗어나는 경우 이탈발생경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모듈과, 상기 영상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이탈발생 경고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점자블록들로의 복귀방향을 사용자에게 표출하는 표출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 지팡이; 음성출력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 지팡이로부터 상기 RFID 리더부에 의해 인식된 식별키 값을 전송받는 통신장치; 상기 식별키 값들 각각에 부여되는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들을 저장하며,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인식된 식별키 값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식별키 값에 대응되는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로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를 상기 음성출력수단을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장치는 이동통신 및 인터넷통신 접속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이며, 와이파이 통신이 지원되어 상기 로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스마트 지팡이와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청구항 1에서, 상기 교통약자용 음성안내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전파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파발생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지팡이는 상기 RFID 리더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식별키 값을 인식하지 못하면 경로이탈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로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로컬서버는 상기 전파발생기들의 ID값 및 위치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어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경로이탈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스마트 지팡이로부터 가장 근접한 전파발생기인 최단거리 전파발생기를 검출하여 검출된 전파발생기의 ID값을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 지팡이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지팡이는 상기 전파발생기들의 ID값과, 상기 전파발생기들 각각에서 송출되는 전파 세기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되며,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ID값에 해당되는 최단거리 전파발생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 세기를 측정한 후 상기 최단거리 전파발생기의 기 설정된 전파 세기와 비교하여 상기 최단거리 전파발생기로의 복귀경로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상기 표출수단은 상기 스마트 지팡이로부터 사각형상으로 돌출되는 전면에 형성되되 좌측, 우측 및 하측으로 분류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탈발생 경고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귀경로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좌측 방향표출 진동자, 우측 방향표출 진동자 및 직진 방향표출 진동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표출수단은 상기 전송받은 복귀경로가 좌측으로 이동일 경우 상기 좌측 방향표출 진동자를, 우측으로 이동일 경우 상기 우측 방향표출 진동자를, 직진으로 이동일 경우 상기 직진 방향표출 진동자들을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약자에게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를 실시간으로 음성 지원함으로써 교통약자는 안전하고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 지팡이는 RFID 리더부가 RFID 태그를 인식하지 못하면 경로를 이탈하였다고 판단하며, 경로이탈이라고 판단한 경우 스마트 지팡이가 복수개의 비콘(Beacon)들 각각으로부터 송출된 전파들을 수신하여 각각의 전파들의 세기들을 산출하며, 산출한 전파세기들을 이용하여 복귀경로를 검출하여 검출된 복귀경로에 따라 방향표출 진동자들을 진동시킴으로써 교통약자는 진동자들의 진동방향에 따라 이동하여 기 설정된 이동경로로 복귀한다.
도 1은 출원번호 제 10-1999-0041221번으로 출원된 길 안내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도 4는 도 3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1)은 지하철역 입구부터 플랫폼들까지 설치되는 점자블록들 내부에 설치되며 각기 다른 식별키 값들이 저장되는 복수개의 RFID 태그(5-1), ..., (5-N)들과, RFID 태그(5-1), ..., (5-N)들이 설치된 점자블록들의 상부 천장들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 방향으로 전파를 송출하는 복수개의 비콘(Beacon)(7-1), ..., (7-N)들과, RFID 태그(5-1), ..., (5-N)들에 저장된 식별키 값들을 인식하는 RFID 리더부가 장착되며 비콘(7-1), ..., (7-N)들이 송출한 전파들을 수신하여 복귀경로를 검출하는 스마트 지팡이(3)와, 교통약자에게 지급되며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통신이 지원되는 개인휴대 단말기(9)와, 개인휴대 단말기(9)로부터 식별키 값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식별키 값에 해당되는 이동경로정보와 편의시설정보들을 추출하여 개인휴대 단말기(9)로 전송하는 로컬서버(10)로 이루어진다.
RFID 태그(5-1), ..., (5-N)들은 지하철역 입구부터 플랫폼까지 그물망으로 설치된 점자블록들 내부에 설치되며, 각각이 서로 다른 식별키 값들을 저장하여 로컬서버(10)가 전송받은 식별키 값에 따라 교통약자의 현재위치,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들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경로정보란 현재 위치 및 경로안내들을 포함하는 정보이며, 상기 편의시설정보란 지하철역 내에 비치된 화장실, 편의점, 식당, 매표소 및 승강기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비콘(Beacon)(7-1), ..., (7-N)들은 지하철역 각 층의 천장들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임의의 점자블록들의 일직선상으로 상부에 설치되며, 주기적으로 전파들을 송출한다.
개인휴대 단말기(9)는 교통약자에게 지급되어 이동통신 및 무선통신이 지원되는 단말기이며,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 지원되어 스마트 지팡이(3)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와이파이(Wi-Fi) 통신으로 로컬서버(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개인휴대 단말기(9)는 스마트 지팡이(3)로부터 인식된 식별키 값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식별키 값을 로컬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개인휴대 단말기(9)는 "직진하십시오." 또는 "우측에 화장실이 있습니다." 등과 같이 로컬서버(10)가 전송하는 모든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들에 대한 음성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로컬서버(10)로부터 특정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들을 전송받으면 기 저장된 데이터들을 탐색하여 전송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개인휴대 단말기(10)는 추출한 음성정보를 스피커(미도시) 또는 이어폰(미도시)으로 출력함으로써 교통약자는 실시간으로 현재위치에 따른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들을 음성으로 제공받는다.
스마트 지팡이(3)는 후술되는 도 3의 RFID 리더부(13)가 장착되어 RFID 태그(5-1), ..., (5-N)들에 저장된 식별키 값을 인식하며, RFID 태그(5-1), ..., (5-N)들에서 인식한 식별키 값을 개인휴대 단말기(9)로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 지팡이(3)는 이탈경로가 발생되는 경우 비콘(7-1), ..., (7-N)들로부터 송출되는 전파들을 수신하여 전파세기들을 각각 산출하며, 산출한 전파세기들을 개인휴대 단말기(9)를 통해 로컬서버(10)로 전송한다. 이때 로컬서버(10)는 개인휴대 단말기(9)로부터 전파세기들을 전송받으면 최적의 경로 상에 위치한 비콘(7-1)의 복귀경로를 검출하며, 검출한 복귀경로를 개인휴대 단말기(9)를 통해 스마트 지팡이(3)로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 지팡이(3)는 개인휴대 단말기(9)를 통해 로컬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복귀경로에 따라 후술되는 도 3의 방향표출 진동자(21), (23), (25)들을 진동시킴으로써 교통약자는 진동되는 방향표출 진동자(21), (23), (25)들의 방향에 따라 경로를 추적하여 로컬서버(10)에서 지정한 비콘(10-1)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의 스마트 지팡이(3)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1)와, 안테나와 RFID 리더기를 포함하며 RFID 태그(5)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몸체(11)의 하부에 설치되는 RFID 리더부(13)와, 몸체(11)의 상부에 사각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후술되는 도 4의 제어부(30)가 설치되는 제어장치(15)와, RFID 리더부(13)를 향하는 제어장치(15)의 일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7)와, 제어장치(15)의 전면에 형성되되 좌측, 우측 및 하측으로 분류되어 제어장치(15)로부터 복귀경로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복귀경로에 따라 진동되는 방향표출 진동자(21), (23), (25)들로 이루어진다.
RFID 리더부(13)는 RFID 태그(5-1), ..., (5-N)들에 저장된 정보인식이 용이하도록 점자블록에 인접하도록 몸체(11)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안테나와 리더기를 포함하여 RFID 태그(5-1), ..., (5-N)들에 저장된 식별키 값들을 인식한다.
카메라(17)는 제어장치(15)가 RFID 리더부(13)를 향하는 제어장치(15)의 일면에 설치되며, 실시간으로 교통약자의 이동상황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어장치(15)로 전송함으로써 제어장치(15)가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통해 교통약자의 이동경로 이탈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방향표출 진동자(21), (23), (25)들은 제어장치(15)의 전면에 형성되되 임의의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표출 진동자(21)는 기준에서 좌측으로 , 우측 방향표출 진동자(23)는 기준에서 우측으로, 직진 방향표출 진동자(25)는 기준에서 하측으로 분류되어 형성된다.
또한 방향표출 진동자(21), (23), (25)들은 제어장치(15)로부터 전송받은 좌측이동, 우측이동 및 전방이동의 제어신호들 각각에 대응하여 진동됨으로써 좌측으로 분류된 좌측 방향표출 진동자(21)는 교통약자의 경로를 좌측으로 유도하며, 우측 방향표출 진동자(23)는 우측으로 유도하며, 하측으로 분류된 직진 방향표출 진동자(25)는 직진하도록 유도하여 교통약자의 보행경로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장치(15)의 일 측에는 지향성 안테나(19)가 설치되어 비콘(5-1), ..., (5-N)들로부터 송출되는 전파를 수신한다.
도 4는 도 3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스마트 지팡이(3)의 제어장치(15)의 제어부(30)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2)와, RFID 태그(5-1), ..., (5-N)들에 저장된 식별키 값을 인식하는 RFID 리더부(13)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4)와, 방향표출 진동자(21), (23), (25)들을 구동시키는 방향표출 진동자 구동부(16)들에 연결되며, 이들 연결대상(12), (14), (16)들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비콘(7-1), (7-N)들의 위치 및 ID들을 저장하는 메모리(31)와, RFID 리더부(13)에서 식별키 값을 인식하지 않을 경우 경로이탈로 판단하는 이탈여부 판단모듈(35)과, 이탈여부 판단모듈(35)에서 경로이탈을 판단하면 데이터 송수신부(12)로 전송된 전파들의 세기를 산출하는 전파세기 산출모듈(37)과, 로컬서버(10)로부터 최적경로의 비콘 ID를 전송받으면 해당 비콘으로의 복귀경로를 검출하는 복귀경로 검출모듈(39)과, 카메라(14)의 촬영으로 인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에지영상으로 변환하여 교통약자가 점자블록들로부터 교통약자가 이탈하려는 경우 이탈발생경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모듈(41)과, 이들 제어대상(33), (35), (37), (39), (41)들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3)로 이루어진다.
제어모듈(33)은 제어부(30)의 OS(Operating System)이며, RFID 리더부(13)에서 식별키 값을 인식하면 인식한 식별키 값을 실시간으로 개인휴대 단말기(9)를 통해 로컬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모듈(33)은 이탈여부 판단모듈(35)에서 이탈확인 데이터가 검출되면 전파세기 감출모듈(37)로 제어신호를 보내 전파세기 감출모듈(37)이 비콘(7-1), ..., (7-N)들로부터 수신받은 전파들의 세기를 산출하도록 하며, 산출한 전파세기들을 개인휴대 단말기(9)로 전송함으로써 산출된 전파세기가 개인휴대 단말기(9)를 통해 로컬서버(10)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33)은 데이터 송수신부(12)가 로컬서버(10)로부터 최적경로의 비콘의 ID를 전송받으면 해당 비콘 ID를 복귀경로 검출모듈(39)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모듈(33)은 복귀경로 검출모듈(39)에서 복귀경로를 검출하면 방향표출 진동자 구동부(16)로 복귀경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방향표출 진동자 구동부(16)가 복귀경로에 따라 방향표출 진동자(21), (23), (25)들을 진동하도록 제어한다.
이탈여부 판단모듈(35)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RFID 리더부(13)로부터 아무런 식별키 값을 전송받지 못할 경우 교통약자가 RFID 태그(5-1), ..., (5-N)들이 설치된 점자블록들로부터 이탈하였다고 판단하여 이탈확인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된 이탈확인 데이터는 제어모듈(33)의 제어에 따라 전파세기 산출모듈(37)로 전송된다.
전파세기 산출모듈(37)은 이탈여부 판단모듈(35)로부터 이탈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실행되며, 전술하였던 도 3의 지향성 안테나(19)로 수신된 각각의 비콘(7-1), ..., (7-N)들로부터 송출되는 전파들의 세기를 산출하며, 산출한 전파세기들을 제어모듈(33)의 제어에 따라 개인휴대 단말기(9)와 복귀경로 검출모듈(39)로 전송한다.
복귀경로 검출모듈(39)은 전파세기 산출모듈(37)로부터 전송받은 전파세기 값들을 메모리(31)에 기 저장된 각각의 비콘(7-1), ..., (7-N)들에 저장된 전파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비콘(7-1), ..., (7-N)들과의 상대 거리를 검출하되 개인휴대 단말기(9)를 통해 로컬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최적경로의 비콘 ID에 해당되는 비콘으로의 상대거리(이하, 복귀경로라고 하기로 함)를 검출한다.
영상처리모듈(41)은 카메라(14)의 촬영으로 인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교통약자가 지정된 이동경로(점자블록들)를 따라 이탈하지 않고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영상처리모듈(41)은 카메라(14)의 촬영으로 인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에지영상으로 변환한 후 에지영상 내에서 점자블록들이 이어지는 양 측면의 에지들을 검출한다.
또한 영상처리모듈(41)은 점자블록의 에지가 카메라의 적정위치로부터 적정수준 이상으로 벗어나는 경우 이탈발생경고 데이터를 출력하며 만약 검출된 에지가 적정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경우 교통약자의 이동이 좌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복귀경로 신호를 제어모듈(33)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모듈(33)은 전송받은 제어신호를 방향표출 진동자 구동부(16)로 전송하여 방향표출 진동자 구동부(16)에 의해 좌측 방향표출 진동자(21)가 진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교통약자가 점자블록으로부터 우측으로 이탈되는 경우 영상처리모듈(41)은 이를 인지하여 이탈발생경고 데이터를 출력하여 우측 방향표출 진동자(23)를 진동시킴으로써 교통약자의 이동경로를 보정하며, 만약 교통약자가 방향표출 진동자(21), (23), (25)들의 진동을 무시하거나 돌발 상황에 의해 점자블록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경우 전파세기 산출모듈(37)과 복귀경로 검출모듈(39)에서 검출되는 복귀경로에 따라 방향표출 진동자(21), (23), (25)들이 진동됨으로써 교통약자를 이동경로로 복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탈여부 판단모듈(35), 복귀경로 검출모듈(39) 및 영상처리모듈(41)이 스마트 지팡이(3)의 제어부(30)에 포함되어 스마트 지팡이(3)가 교통약자의 경로이탈 판단, 복귀경로 검출 및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모듈(35), (39), (41)들은 로컬서버(10)의 제어부(미도시)에 포함되어도 무방하다.
1: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3:스마트 지팡이
5:RFID 태그 7:전파발생기
9:통신장치 11:몸체
13:RFID 리더부 15:제어장치
17:카메라
21, 23, 25:좌측, 우측, 직진 방향표출 진동자
30:제어부 31:메모리
33:제어모듈 35:이탈여부 판단모듈
37:전파세기 산출모듈 39:복귀경로 검출모듈

Claims (5)

  1. 점자블록들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각기 다른 식별키 값들이 저장되는 복수개의 RFID 태그들;
    상기 RFID 태그들에 저장된 상기 식별키 값을 인식하는 RFID 리더부와, 상기 점자블록들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에지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내에서 점자블록들이 이어지는 양측면의 에지들을 검출한 후 검출된 에지들이 기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벗어나는 경우 이탈발생경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모듈과, 상기 영상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이탈발생 경고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점자블록들로의 복귀방향을 사용자에게 표출하는 표출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 지팡이;
    음성출력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 지팡이로부터 상기 RFID 리더부에 의해 인식된 식별키 값을 전송받는 통신장치;
    상기 식별키 값들 각각에 부여되는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들을 저장하며,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인식된 식별키 값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식별키 값에 대응되는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로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이동경로정보 및 편의시설정보를 상기 음성출력수단을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통신장치는 이동통신 및 인터넷통신 접속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이며, 와이파이 통신이 지원되어 상기 로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스마트 지팡이와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교통약자용 음성안내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전파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파발생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지팡이는 상기 RFID 리더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식별키 값을 인식하지 못하면 경로이탈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로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로컬서버는 상기 전파발생기들의 ID값 및 위치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어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경로이탈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스마트 지팡이로부터 가장 근접한 전파발생기인 최단거리 전파발생기를 검출하여 검출된 전파발생기의 ID값을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 지팡이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지팡이는 상기 전파발생기들의 ID값과, 상기 전파발생기들 각각에서 송출되는 전파 세기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되며,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ID값에 해당되는 최단거리 전파발생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 세기를 측정한 후 상기 최단거리 전파발생기의 기 설정된 전파 세기와 비교하여 상기 최단거리 전파발생기로의 복귀경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안내 시스템.
  4. 청구항 3에서,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상기 표출수단은
    상기 스마트 지팡이로부터 사각형상으로 돌출되는 전면에 형성되되 좌측, 우측 및 하측으로 분류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탈발생 경고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귀경로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좌측 방향표출 진동자, 우측 방향표출 진동자 및 직진 방향표출 진동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표출수단은 상기 전송받은 복귀경로가 좌측으로 이동일 경우 상기 좌측 방향표출 진동자를, 우측으로 이동일 경우 상기 우측 방향표출 진동자를, 직진으로 이동일 경우 상기 직진 방향표출 진동자들을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5. 삭제
KR1020110033537A 2011-04-12 2011-04-12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KR10132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537A KR101328121B1 (ko) 2011-04-12 2011-04-12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537A KR101328121B1 (ko) 2011-04-12 2011-04-12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035A KR20120116035A (ko) 2012-10-22
KR101328121B1 true KR101328121B1 (ko) 2013-11-13

Family

ID=4728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537A KR101328121B1 (ko) 2011-04-12 2011-04-12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279B1 (ko) * 2014-10-06 2021-06-01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재생 시스템, 콘텐츠 재생 방법, 미디어 재생 장치, 콘텐츠 제공 서버 및 콘텐츠 제공 방법
EP3156765A1 (de) * 2015-10-16 2017-04-19 Inventio AG Wegeleitung von personen mit akustischen signalen
KR102178152B1 (ko) * 2019-03-18 2020-11-12 (주)블루모바일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KR102259251B1 (ko) * 2019-03-18 2021-06-01 (주)블루모바일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 블록 길안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554A (ko) * 2005-02-25 2006-08-30 이인수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KR100998264B1 (ko) 2009-12-30 2010-12-03 (주) 부성 리싸이클링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시각장애인 전자지팡이
KR20110003103A (ko) * 2009-07-03 2011-01-11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20110003102A (ko) * 2009-07-03 2011-01-11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Rf비콘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554A (ko) * 2005-02-25 2006-08-30 이인수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KR20110003103A (ko) * 2009-07-03 2011-01-11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20110003102A (ko) * 2009-07-03 2011-01-11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Rf비콘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100998264B1 (ko) 2009-12-30 2010-12-03 (주) 부성 리싸이클링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시각장애인 전자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035A (ko)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093B1 (ko) Rfid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1130735B1 (ko) Rf비콘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101575776B1 (ko) 시각장애인용 사물인식 지팡이
JP6551304B2 (ja) 詳細経路作成装置、車両用自動運転システム及び詳細経路作成プログラム
KR101328121B1 (ko)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KR100846299B1 (ko)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EP2226645A1 (en) Information notifying apparatus, mobile apparatus, information notifying system,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message outputting method, information notification control program and mobile apparatus control program
KR101527506B1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교통시설물과 안전설비의 안내 및 표시방법
JP5866807B2 (ja) 歩行者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情報報知方法
KR101796276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87784A (ko) 이동 객체를 식별하여 맵을 작성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JP6352010B2 (ja)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KR101268486B1 (ko)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WO2012070384A1 (ja) 通信装置
KR20110003100A (ko) 진동으로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장치
JP6403306B2 (ja) システム
CN104042430A (zh) 一种盲人用室内场所智能引导方法及系统
KR101712815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사물 위치 추적 방법
KR20210072225A (ko) 자율주행 차량의 원거리와 근거리 주변 환경 감지시스템
KR100718117B1 (ko) 전파식별을 이용한 지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전파식별을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US202202333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259251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 블록 길안내 시스템
KR102178152B1 (ko)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KR101590885B1 (ko)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1130056B1 (ko) 장애인용 교통 편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