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103A -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103A
KR20110003103A KR1020090060708A KR20090060708A KR20110003103A KR 20110003103 A KR20110003103 A KR 20110003103A KR 1020090060708 A KR1020090060708 A KR 1020090060708A KR 20090060708 A KR20090060708 A KR 20090060708A KR 20110003103 A KR20110003103 A KR 20110003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tag
visually impaired
braille block
route
impaired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411B1 (ko
Inventor
홍주형
김원호
이민희
Original Assignee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filed Critical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Priority to KR102009006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4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xic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aviga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이 휴대할 수 있는 지팡이 형태의 단말기에 RFID 리더기를 설치하고, 지하철역이나 공공장소의 바닥에 설치된 점자블럭에 RFID 태그를 내장시켜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로 RFID 태그를 인식하면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이 지하철이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해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공공시설물 내부에서 필요한 곳을 찾아갈 때, 올바른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정해진 경로에서 벗어난 경우에도 원래의 자리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시각장애인, 이동경로, 이탈, Active RFID 태그, Passive RFID 태그

Description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NAVIGATION SYSTEM USING RFID TAG}
본 발명은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이 휴대할 수 있는 지팡이 형태의 단말기에 RFID 리더기를 설치하고, 지하철역이나 공공장소의 바닥에 설치된 점자블럭에 RFID 태그를 내장시켜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로 RFID 태그를 인식하면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정신지체장애인 등의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때, 이동경로를 안내해주는 보조장치들이 개시되고 있다. 종래에 개시된 보조장치들은 대부분 이동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에서 현재위치를 파악하여 음성으로 진행방향을 알려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런 장치들은 GPS방식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현위치를 파악하고, 지자기센서를 구비하여 올바른 이동방향을 산출하도록 한다. 시각장애인은 보조장치에서 산출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하는 목적지로 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GPS방식의 통신을 하여야 하므로, 반드시 위성통신이 가능 한 실외에서 사용하여야 하며, 지하철 역사나 지하도, 터널, 공공시설물 내부에서는 위성과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정확한 경로안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도로나 공공시설물 바닥에 설치되는 점자블록 내부에 RFID 태그를 설치하고, 시각장애인이 지팡이형의 RFID 태그 리더기를 휴대하면서 점자블록 내부의 RFID 태그를 인식하면서 올바른 경로로 이동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시각장애인이 점자블록을 따라 형성된 이동경로를 벗어난 경우에 제자리로 찾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은 아직 개시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하철 역이나 버스터미널과 같이 올바른 경로안내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요소가 많은 시설물에서는 시각장애인이 경로를 벗어났을 때 즉시 경고를 해주어야 하지만, 종래의 경로안내 시스템에서는 이를 수행할 수 없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팡이형의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장치에 RFID 태그 리더기를 구비하고, 공공시설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점자블록 내부에 Passive RFID 태그를 내장시켜, 리더기로 RFID 태그를 인식하면서 올바른 경로로 시각장애인이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면서, 시각장애인이 점자블록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이탈했을 때, 즉시 시각장애인에게 경고를 해주면서 Active RFID 태그에서 송신하는 RF신호를 인식하여 올바른 경로로 복귀하는 방향을 시각장애인에게 안내하도록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 또는 공공시설물 바닥에 설치된 점자블록(104) 내부의 RFID 태그(106, 108)를 인식하여 시각장애인의 현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시각장애인에게 이동할 경로를 안내하면서 상기 경로를 이탈한 경우에 올바른 경로로 복귀하도록 안내하는 경로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점자블록(104) 내부의 RFID 태그(106, 108)를 비접촉식으로 인식하는 RFID 태그 리더기(102-8)와, 상기 시각장애인이 입력한 목적지로 가기 위한 경로를 계산하는 이동경로산출부(102-7)와, 방향을 인식하는 지자기센서(102-10)와, RF신호를 감지하는 RF수신부(102-9)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102);를 포함하며, 상기 RFID 태그(106, 108)에는 상기 RFID 태그(106, 108)가 설치된 곳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전자적으로 기록되며, 상기 RFID 태그 리더기(102-8)는 상기 RFID 태그(106, 108)에 기록된 위치 정보를 읽어들이며, 상기 점자블록(104)을 따라 이동하던 시각장애인이 상기 점자블록(104)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벗어남으로써 상기 RFID 태그 리더기(102-8)가 상기 점자블록(104)에 설치된 Passive RFID 태그(106)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보행보조장치(102)는 Active RFID 태그(108)가 설치된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Active RFID 태그(108)가 설치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수신부(102-9)는 지향성 안테나로서, 상기 Active RFID 태그(108)에서 송신되는 RF신호의 방향별 강도를 감지하여 상기 보행보조장치(102)로부터 상기 Active RFID 태그(108)까지의 방향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행보조장치(102)는 상기 시각장애인이 상기 점자블록(104)이 설치된 곳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벗어남으로써 상기 RFID 태그 리더기(102-8)가 상기 점자블록(104)에 설치된 상기 Passive RFID 태그(106)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음성 또는 진동으로 상기 시각장애인에게 경로이탈 경고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행보조장치(102)는 상기 시각장애인이 상기 보행보조장치(102)의 안내에 따라 상기 Active RFID 태그(108)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RFID 태그 리더기(102-8)가 상기 점자블록(104)에 설치된 상기 Passive RFID 태그(106)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경로이탈 경고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이 지하철이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해 다른 곳 으로 이동하거나, 공공시설물 내부에서 필요한 곳을 찾아갈 때, 올바른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정해진 경로에서 벗어난 경우에도 원래의 자리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이하, '경로안내 시스템(100)'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 시스템(100)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시각장애인에게 점자블록(104)에 설치된 RFID 태그(106, 108)로 이동경로를 안내해주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경로안내 시스템(100)은 시각장애인이 설정한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집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한다.
경로안내 시스템(100)의 이용을 위해 시각장애인은 보행보조장치(102)를 휴대하여야 한다. 보행보조장치(102)는 시각장애인이 보행시 주로 이용하는 지팡이 모양의 장치로서, 내부에는 경로안내를 위한 장치(네비게이션)가 내장된다.
또한 도로 또는 공공시설물 바닥 표면에 부착된 점자블록(104)에는 RFID 태그(106, 108)가 내장되는데, 보행보조장치(102)에는 RFID 태그(106, 108)를 인식하기 위한 RFID 태그 리더기(102-8)가 구비된다.
시각장애인이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서 먼저 인터넷(300)에 연결된 사용자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장애인정보센터(400)에 접속한다. 장애인정보센터(400)는 장애인에게 유용한 시설물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장애인에 게 제공하는 기관의 관리시스템으로서, 장애인용 시설물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시설물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포털사이트나 지도찾기 사이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시각장애인은 원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자신의 보행보조장치(102)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보행보조장치(102)와 사용자단말기(200)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는 USB를 이용한 유선 데이터 송수신이 사용되지만, 이외에도 무선 방식의 블루투스, 적외선 데이터 접속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시각장애인이 보행보조장치(102)에 입력한 이동정보에 따라 보행보조장치(102)는 최적화된 이동경로를 계산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게 된다.
로컬센터(500)는 인터넷(300)을 통해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장애인정보센터(400)와 연결되며,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장애인정보센터(400)로부터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목적지와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로컬센터(500)는 무선접속장치(600)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현재 위치한 곳의 정보를 수집하며, 시각장애인이 올바른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로컬센터(500)는 공공시설물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접속장치(600)와 보행보조장치(102)는 Wi-Fi 통신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무선접속장치(600)는 도로변이나 공공시설물 내부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공공시설물의 바닥면에 부착된 점자블록(104)은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블록과 정지선 또는 분기점임을 알려주는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시각장애인은 블록에 형성된 요철을 인식하여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를 파악한다.
점자블록(104) 내부에는 RFID 태그(106, 108)가 설치된다. RFID 태그(106, 108)는 자체적으로 RF신호를 송신할 수 있느냐에 따라 Active 타입과 Passive 타입으로 나뉘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Passive 타입과 Active 타입의 태그가 모두 사용된다.
Active RFID 태그(108)는 자체 전원이 구비되어 있어서 RF신호를 송신할 수는 있는 반면, Passive RFID 태그(106)는 자체 전원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자체적으로 RF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대신 Passive 타입은 태그 리더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공명되어 RF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 신호를 리더기가 읽는 방식으로 인식한다.
Active RFID 태그(10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점자블록(104) 바닥면을 통해 상용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지만, 유지관리비와 공사비의 절감을 위해 배터리를 점자블록(104) 내부에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Passive 타입은 정상적인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서, Active 타입은 경로를 이탈했을 때 복귀방향을 안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따라서 몇 개의 Passive 타입의 태그 사이에 한 개의 Active 타입의 태그를 설치한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개 정도의 Passive 태그마다 하나의 Active 태그를 설치한다.
RFID 태그 리더기(102-8)는 RFID 태그(106, 108)에서 송신되는 RF신호를 인식하여 태그의 위치와 방향, 거리, 기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RFID 태그(106, 108) 내부에는 태그가 설치된 곳의 위치 정보가 전자적으로 기록되는데, 각각의 태그에는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위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RFID 태그(106, 108)는 비접촉식으로 데이터를 인식하는데, 태그 리더장치와 태그 사이의 거리가 수 ㎝ 내지 수십 ㎝ 이내로 접근할 때에만 데이터의 독출이 가능하지만, Active RFID 태그(108)의 경우에는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좀 더 먼 거리까지 RF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할 경우 시각장애인이 경로를 이탈했을 때, 원래의 경로로 복귀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Active RFID 태그(108)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팡이형의 보행보조장치(102)의 말단부에 리더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각장애인은 지팡이의 끝부분을 RFID 태그(106, 108)에 최대한 근접시키면서 태그 정보를 읽어온다.
시각장애인이 미리 정해진 경로(점자블록으로 연결된 경로)를 따라 정상적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Passive RFID 태그(106)를 인식하면서 경로를 따라간다. 만약 시각장애인이 정해진 경로를 벗어나서 Passive RFID 태그(106)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보행보조장치(102)는 경고음을 울리면서 경로 이탈을 알려준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이 다시 올바른 경로로 돌아오도록 하기 위하여 Active RFID 태그(108)에서 송신되는 RF신호를 이용한다.
도 3은 보행보조장치(102)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보행보조장치(102)는 제어부(102-1)와 메모리(102-2), 전원부(102-3)를 포함한다. 제어부(102-1)는 보행보조장치(102) 내부에 구성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각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과 변환을 제어한다.
메모리(102-2)는 시각장애인이 입력한 이동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전원부(102-3)는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음성출력부(102-4)는 음성이나 음향을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경로, 이탈 여부, 진행 방향 등을 알려준다.
진동모터(102-5)는 시각장애인이 진행해야 할 방향을 진동으로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진동모터(102-5)를 보행보조장치(102)의 손잡이 부분에 평면 원주상으로 다수 개 배치하고, 시각장애인이 이동해야 할 방향에 있는 진동모터(102-5)를 동작시키면 시각장애인이 쉽게 자신의 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Wi-Fi 통신모듈(102-6)은 무선 인터넷 방식을 통해 무선접속장치(60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시각장애인이 이동할 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무선 인터넷 방식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동경로산출부(102-7)는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하여 최적화된 경로를 계산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경로안내에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역시 이 경우에도 최단거리 경로나 최적 경로, 최소환승 경로 등의 경로선택 옵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에는 현재상황의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가장 빠른 이동이 가능한 경로를 제공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이동경로산출부(102-7)도 교통정보가 반영된 경로계산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RFID 태그 리더기(102-8)는 점자블록(104) 내부에 설치된 RFID 태그(106, 108)를 비접촉식으로 인식한다. RFID 태그 리더기(102-8)는 지팡이 모양의 보행보조장치(102)의 아래쪽 말단에 설치되도록 하여 RFID 태그(106, 108)와의 거리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RF수신부(102-9)는 Active RFID 태그(108)에서 송신되는 RF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RF수신부(102-9)는 지향성 안테나로 이루어지며, Active RFID 태그(108)에서 송신되는 RF신호의 방향별 강도를 감지하여 보행보조장치(102)로부터 Active RFID 태그(108)까지의 방향을 계산한다. 즉, RF수신부(102-9)를 중심으로 주위의 RF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가장 강도가 높은 RF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에 Active RFID 태그(108)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지자기센서(102-10)는 지구 자기장을 인식하여 현재 보행보조장치(102)가 놓여있는 방향을 인식한다.
가속도센서(102-11)는 보행보조장치(102)가 이동하는 방향과 속도, 가속도의 크기 등을 측정한다. 보행보조장치(102)의 이동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현재 위치를 가늠할 수 있으며, 목적지에 대한 예상 도착시간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경로이탈시 복귀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은 점자블록(104) 내부의 Passive RFID 태그(106)를 읽으면서 자신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보행보조장치(102)가 Passive RFID 태그(106)를 감지하면서 올바른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는 정상적인 상태를 알리는 안내음이 송출되도록 하거나 아무런 경고음이 울리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Passive RFID 태그(106)에는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위험물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전철역 플랫폼의 탑승장에 설치된 Passive RFID 태그(106)에는 탑승장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되며, 시각장애인이 해당 태그를 인식했을 때, 음성출력부(102-4)를 통해 현재 시각장애인이 탑승장 앞에 서있음을 알려준다. 그리고 계단 입구에 설치된 태그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경우, 시각장애인이 미리 주변정보를 인식하여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RFID 태그 리더기(102-8)가 Passive RFID 태그(106)를 읽으면 제어부(102-1)는 시각장애인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Wi-Fi 통신모듈(102-6)을 통해 로컬센터(500)에 전송한다. 로컬센터(500)는 전송된 정보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파악하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시각장애인이 도 4에서와 같이 점자블록(104)으로부터 일정 거리(D)만큼 벗어난 경우에는 경로 이탈에 대한 경보와 함께 경로 복귀를 위한 방향을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시각장애인이 점자블록(104)으로부터 벗어나면서 보행보조장치(102)가 Passive RFID 태그(106)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우선 음성이나 진동으로 경로이 탈을 안내한다. 경로이탈에 대한 안내는 경로를 벗어난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탈된 거리에 따라 음량을 조절하거나 진동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스스로 어느 정도 이탈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RF수신부(102-9)는 Active RFID 태그(108)에서 송신되는 RF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가장 높은 크기의 RF신호가 송신되는 방향을 파악하면 지자기센서(102-10)가 Active RFID 태그(108)가 설치된 곳의 방향을 파악한다.
시각장애인은 Active RFID 태그(108)를 향해 이동하므로써 올바른 경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Active RFID 태그(108)에서 송신되는 RF신호는 수십 m 이상 전송이 가능하며, 상용전원이 아닌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에도 2년 정도 사용이 가능하다.
RF수신부(102-9)는 지향성이 큰 안테나로 구성되므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Active RFID 태그(108)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음성출력부(102-4) 또는 진동모터(102-5)는 시각장애인에게 경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시각장애인이 다시 원래의 경로로 복귀함으로써 RFID 태그 리더기(102-8)가 점자블록(104) 내부의 Passive RFID 태그(106)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면 경로 복귀 사실을 음성이나 진동으로 알려주면서 경로 복귀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
만약 시각장애인이 경로 복귀를 못하는 경우에 타인의 도움을 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행보조장치(102)에는 응급 구조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응급 구조버튼을 눌렀을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로컬센터(500)에 구조신호가 전 송되며, 도우미나 관리자가 직접 출동하여 시각장애인에게 경로를 안내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안내 시스템(100)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시각장애인에게 점자블록(104)에 설치된 RFID 태그(106, 108)로 이동경로를 안내해주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보행보조장치(102)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경로이탈시 복귀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경로안내 시스템 102 : 보행보조장치
104 : 점자블록 106 : Passive RFID 태그
108 : Active RFID 태그 200 : 사용자단말기
300 : 인터넷 400 : 장애인정보센터
500 : 로컬센터 600 : 무선접속장치

Claims (4)

  1. 도로 또는 공공시설물 바닥에 설치된 점자블록(104) 내부의 RFID 태그(106, 108)를 인식하여 시각장애인의 현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시각장애인에게 이동할 경로를 안내하면서 상기 경로를 이탈한 경우에 올바른 경로로 복귀하도록 안내하는 경로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점자블록(104) 내부의 RFID 태그(106, 108)를 비접촉식으로 인식하는 RFID 태그 리더기(102-8)와, 상기 시각장애인이 입력한 목적지로 가기 위한 경로를 계산하는 이동경로산출부(102-7)와, 방향을 인식하는 지자기센서(102-10)와, RF신호를 감지하는 RF수신부(102-9)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102);를 포함하며,
    상기 RFID 태그(106, 108)에는 상기 RFID 태그(106, 108)가 설치된 곳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전자적으로 기록되며, 상기 RFID 태그 리더기(102-8)는 상기 RFID 태그(106, 108)에 기록된 위치 정보를 읽어들이며,
    상기 점자블록(104)을 따라 이동하던 시각장애인이 상기 점자블록(104)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벗어남으로써 상기 RFID 태그 리더기(102-8)가 상기 점자블록(104)에 설치된 Passive RFID 태그(106)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보행보조장치(102)는 Active RFID 태그(108)가 설치된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Active RFID 태그(108)가 설치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수신부(102-9)는 지향성 안테나로서, 상기 Active RFID 태그(108)에서 송신되는 RF신호의 방향별 강도를 감지하여 상기 보행보조장치(102)로부터 상기 Active RFID 태그(108)까지의 방향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장치(102)는 상기 시각장애인이 상기 점자블록(104)이 설치된 곳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벗어남으로써 상기 RFID 태그 리더기(102-8)가 상기 점자블록(104)에 설치된 상기 Passive RFID 태그(106)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음성 또는 진동으로 상기 시각장애인에게 경로이탈 경고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장치(102)는 상기 시각장애인이 상기 보행보조장치(102)의 안내에 따라 상기 Active RFID 태그(108)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RFID 태그 리더기(102-8)가 상기 점자블록(104)에 설치된 상기 Passive RFID 태그(106)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경로이탈 경고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1020090060708A 2009-07-03 2009-07-03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101032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708A KR101032411B1 (ko) 2009-07-03 2009-07-03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708A KR101032411B1 (ko) 2009-07-03 2009-07-03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03A true KR20110003103A (ko) 2011-01-11
KR101032411B1 KR101032411B1 (ko) 2011-05-03

Family

ID=4361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708A KR101032411B1 (ko) 2009-07-03 2009-07-03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4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21B1 (ko) * 2011-04-12 2013-11-13 휴앤에스(주)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KR20140049415A (ko) * 2012-10-17 2014-04-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KR20150066763A (ko) 2013-12-09 2015-06-17 김봉재 휴대용 자가발전 정수물병
KR101876957B1 (ko) * 2016-11-16 2018-07-10 서삼천 관광코스 맞춤선택식 유도형 신발 연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12891157A (zh) * 2021-01-21 2021-06-04 上海傅利叶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拐杖的收集数据的方法、装置和智能拐杖
KR20210102708A (ko) * 2020-02-12 2021-08-20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보행자 안내용 경로 마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943B1 (ko) * 2005-11-10 2007-05-22 (주)카피온테크놀로지 전자나침반을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KR20070114637A (ko) * 2006-05-29 2007-12-04 조영선 맹인에게 주변정보를 자동으로 음성 안내하는무선태그/리더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21B1 (ko) * 2011-04-12 2013-11-13 휴앤에스(주)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KR20140049415A (ko) * 2012-10-17 2014-04-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KR20150066763A (ko) 2013-12-09 2015-06-17 김봉재 휴대용 자가발전 정수물병
KR101876957B1 (ko) * 2016-11-16 2018-07-10 서삼천 관광코스 맞춤선택식 유도형 신발 연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2708A (ko) * 2020-02-12 2021-08-20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보행자 안내용 경로 마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CN112891157A (zh) * 2021-01-21 2021-06-04 上海傅利叶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拐杖的收集数据的方法、装置和智能拐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411B1 (ko) 201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735B1 (ko) Rf비콘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101032411B1 (ko)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101501062B1 (ko) 능동형 rfid/nfc 태그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KR101494054B1 (ko) 시각장애인 보행안내 시스템 및 방법
WO2011083963A2 (ko) Rfid 블록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행방향 안내 유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1531B1 (ko) Nfc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KR101575776B1 (ko) 시각장애인용 사물인식 지팡이
KR101893374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101988424B1 (ko) Gps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100846299B1 (ko)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00480A (ko)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스마트 지팡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3318A (ko)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보행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보행 보조 시스템
KR20110003100A (ko) 진동으로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장치
WO2009001991A1 (en) Voice guidance apparatus for visually handicapped
KR101268486B1 (ko)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JPH11276516A (ja) 音声入出力による視覚障害者用誘導案内システム
JP2000020874A (ja) 誘導装置
JP3553373B2 (ja) 局所的行動予測に基づく視覚障害者用誘導案内システム
KR102237981B1 (ko) 교통 약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안내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약자 안내 방법
JP2005046607A (ja) 視覚障害者用誘導案内システム
KR20060136024A (ko) 시각장애인 보행용 네비게이션
KR20130115042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장애물 경고 시스템 및 경고방법
JP4611713B2 (ja) 歩行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70000054A (ko) 시각장애인 보행용 네비게이션
JP2007132721A (ja) 歩行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