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064B1 -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064B1
KR101711064B1 KR1020140150293A KR20140150293A KR101711064B1 KR 101711064 B1 KR101711064 B1 KR 101711064B1 KR 1020140150293 A KR1020140150293 A KR 1020140150293A KR 20140150293 A KR20140150293 A KR 20140150293A KR 101711064 B1 KR101711064 B1 KR 10171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sound wave
user
radio wave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514A (ko
Inventor
신야 사쿠라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7Hybrid positioning
    • G01S5/0263Hybrid positioning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s derived from two or more separate position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4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Abstract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소정 장소에 방문할 때,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있는 영역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장치는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서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음파 수신 유닛은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성 신호에 A/D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또한 점포 식별 코드를 얻기 위해 음성 신호에 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단말 장치가 음파 및 전파를 발신하기 위한 발신기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 단말 장치는 예를 들면 진동 또는 소리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스텝 S1~S5). 이어서, 단말 장치는 발신기로부터 전파가 수신되는 것을 조건으로, 음파 수신 유닛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스텝 S4). 발신기로부터 음파가 수신될 때, 단말 장치는 수신되는 음파에 의거하여 특정 처리를 수행한다(스텝 S5, S6).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음성 신호로부터 점포 식별 코드를 얻었을 때, 단말 장치는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방문 상황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발신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본 발명은 사람이 소정 장소를 방문하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휴대하는 단말 장치의 기능을 이용해서, 점포 또는 행사장(event site)과 같은 소정 장소에 사람이 방문하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52371 호는 불가청음(즉, 초음파)을 이용해서, 손님이 특정 장소에 방문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52371 호에 개시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식별 정보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 설치 장치로부터 손님이 휴대하는 포터블 단말기에 불가청음을 이용해서 발신된다. 단말 장치는 불가청음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추출해서 추출된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로 발신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52371 호에 개시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음파가 전파와 비교해서 벽 또는 문과 같은 장해물을 투과하는 능력이 낮다는 음파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해서, 높은 정확도로 사람의 방문을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 물리적 특성에 따르면, 방문을 검지하기 위해 필요되는 장소에 사람이 방문해도, 사람이 휴대하는 단말 장치가 음파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사람이 단말 장치를 휴대했을 때, 음파가 도달할 가능성이 적은 주머니 또는 가방의 내부와 같은 위치에 단말 장치가 종종 위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파를 사용하여 발신되는 정보를 이용해서 사람이 소정 장소에 방문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사람은 단말 장치가 음파 도달 가능 위치에 위치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52371 호에 개시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음파 도달 가능 영역 내에 사람이 있는 동안, 사람의 존재 위치와 상관없이, 단말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는 동일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음파 도달 가능 영역 내에, 사람이 있는 위치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환경을 고려해서 달성되었으며, 사용자가 소정 장소를 방문할 때, 사용자가 있는 영역에 따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음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음파 수신기,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파 수신기,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된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제어기,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동 제어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전파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스텝,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음파를 수신하도록 단말 장치 내의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음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음파 수신기와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내의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제어기, 및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동 제어기로서 컴퓨터가 기능하도록 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음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음파 수신기 및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내의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프로그램은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제어기,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동 제어기로서 컴퓨터가 기능하도록 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동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가 소정 장소에 방문할 때, 사용자가 있는 영역에 따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단말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단말 장치와 관리 서버 간에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떠날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떠날 때 단말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라, 단말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떠날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4는 제 1 변형예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와 단말 장치의 작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 2 변형예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와 단말 장치의 작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제 3 변형예에 따라, 단말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 4 변형예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 4 변형예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 4 변형예에 따라,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0은 제 4 변형예에 따라, 점포를 떠날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실내 또는 실외와 같은 소정 장소에의 사람의 방문을 검지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사람이 점포(200)를 방문하는 것을 검지한다. 점포(200)는 예를 들면 상점, 까페, 또는 레스토랑이지만, 점포의 종류는 그곳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사용자(U)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 장치(10), 점포(200)에 설치되는 발신기(20), 및 점포 방문의 검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30)는 범용 서버(컴퓨터)와 동등한 하드웨어 자원을 포함한다. 관리 서버는 사용자(U)의 점포(200) 방문 이력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예를 들면 점포(200)를 방문했던 사용자(U)에게 소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 장치(10)를 휴대한 사용자(U)는 점포(200)의 고객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는 사용자(U)의 손에 쥐어지거나 주머니 또는 가방 속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사용자(U)에 의해 휴대된다. 단말 장치(10)는 본 실시형태에서 스마트폰이다. 도 1은 대표적인 예로서, 점포(200)의 부지 내[예를 들면, 점포(200)의 실내]에 있는 하나의 단말 장치(10)와 점포(200)의 부지 외[예를 들면, 점포(200)의 실외]에 있는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10)를 나타낸다.
발신기(20)는 음파와 전파를 사용하여 위치 비컨으로서 기능하는 정보를 발신하는 장치이다. 발신기(20)는 전파를 발신(방사)하기 위한 전파 발신기로서 기능하는 안테나(21)와 음파를 발신(방사)하기 위한 음파 발신기로서 기능하는 스피커(22)를 포함한다. 전파는, 예를 들면 발신 위치로부터의 도달 가능한 거리(도달 가능 영역)와 벽, 문, 또는 파티션과 같은 장해물을 투과하는 능력에 있어서 음파와 다르다. 음파는 전파에 비해 직진성(straight travelling property)에 있어서 보다 뛰어나고, 회절될 가능성이 적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벽, 문, 또는 파티션과 같은 방음성을 갖는 장해물이 음파 도달 가능 영역을 제한하기 위한 유닛(영역 제한 유닛)으로서 사용될 때, 음파 도달 가능 영역은 비교적 쉽게 제어될 수 있다.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전파와 음파 간의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발신기(20)로부터 단말 장치(10)로 발신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점포(200)에의 사용자(U)의 방문을 검지한다.
도 2는 점포(200)의 고객으로 될 사용자(U)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발신기(20)의 안테나(21)로부터 발신되는 전파가 도달 가능한 영역(TE)(이후 "전파 도달 가능 영역"이라 칭해진다)이 점포(200)의 부지와 점포(200)의 부지 외부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발신기(20)의 스피커(22)로부터 발신되는 음파가 도달 가능한 영역(TS)(이후 "음파 도달 가능 여역"이라 칭해진다)은 예를 들면 점포(200)의 부지에 형성된다. 발신기(20)는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전체 영역이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에 포함되도록 음파와 전파를 발신한다. 이 경우에는, 발신기(20)에 대한 사용자(U)의 상대적인 위치는 다음의 세가지 타입, 즉 "사용자 위치 Ⅰ", "사용자 위치 Ⅱ", 및 "사용자 위치 Ⅲ"로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 위치 Ⅰ"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 또한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외부에 위치한다.
"사용자 위치 Ⅱ"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부이지만,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외부에 위치한다.
"사용자 위치 Ⅲ"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부, 또한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내부에 위치한다.
방문 검지 시스템(1)에서, "사용자 위치 Ⅰ"~"사용자 위치 Ⅲ" 중 "사용자 위치 Ⅲ"에 있는 사용자(U), 즉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 내에 있는 사용자(U)는 점포(200)에 방문한 사람으로 검지된다.
도 3은 방문 검지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첫째, 발신기(20)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기(20)는 그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안테나(21), 스피커(22), 및 발신 제어 유닛(23)을 포함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연산 처리 유닛, 연산 처리 유닛이 엑세스하는 메인 메모리, 및 발신기(20)에 할당되는 식별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코드 메모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코드 메모리에 저장되는 식별 코드는 본 실시형태에서 점포(200)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식별 코드는 이후 "저장 식별 코드"라 불리운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전파와 음파를 사용하여 정보 발신에 관한 제어를 수행한다. 전파를 사용하는 정보 발신을 설명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블루투스(상세하게는 단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파를 안테나(21)로부터 발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발신 제어 유닛(23)은 블루투스 LE(Low Energy)라 불리우는 규격에 따라, 코드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점포 식별 코드를 안테나(21)로부터 주기적으로(예를 들면, 소정 주기로) 발신한다.
음파를 사용하는 정보 발신을 설명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음성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음파를 스피커(22)로부터 발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발신 제어 유닛(23)은 음성 신호 처리 기술을 이용해서, 코드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점포 식별 코드를 스피커(22)로부터 주기적으로(예를 들면, 소정 주기로) 발신한다. 예를 들면, 발신 제어 유닛(23)은 특정 확산 코드에 의해 점포 식별 코드를 변조해서, 변조 후에 확산 코드의 주파수가 고주파 밴드로 시프트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보다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행 출원으로서 제출된 국제 공개 제 2010/016589 호를 보라). 발신 제어 유닛(23)은 점포 식별 코드가 중첩된, 생성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22)에 공급해서 음성 신호를 나타내는 음파를 발신한다.
변조 후 확산 코드의 주파수 시프트에 있어서, 발신 제어 유닛(23)은 사람에게 거의 들리지 않지만 불쾌감이나 위화감이 덜하고, 또한 가청 범위의 최대 극한값(예를 들면, 20㎑)을 포함하는 주파수(예를 들면, 18㎑)보다 낮지 않은 가청 범위의 비교적 고주파인 주파수 범위로 주파수를 시프트한다. 가청 범위의 최대 극한값은 발신기(20)와 단말 장치(10)의 주파수를 샘플링하는 것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청 범위의 최대 극한값은 22.05㎑(샘플링 주파수가 44.1㎑일 때) 또는 24.0㎑(샘플링 주파수가 48.0㎑일 때)일 수 있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점포 식별 코드를 사람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범위의 음성 신호에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 제어 유닛(23)은 점포 식별 코드를 음악 또는 음성[예를 들면, 점포(200)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과 점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과 같은 가청음을 나타내는 음성 신호에 중첩시킨다.
그런데, 점포 식별 코드가 중첩되는 주파수 밴드는 스피커(22)로부터 음파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술한 주파수 밴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발신 제어 유닛(23)은 확산 스펙트럼 변조를 대신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또는 다른 변조 시스템에 의해 음파를 사용하여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발신기(2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30) 및 다른 외부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코드 메모리에 저장되는 점포 식별 코드를 얻거나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단말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는 그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제어 유닛(11), 무선 통신 유닛(12), 마이크로폰(13), A/D(Analog to Digital) 변환기(14), 메모리 유닛(15), 통지 유닛(16), 및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11)은 CPU와 같은 연산 처리 유닛과 연산 처리 유닛이 엑세스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제어 유닛(11)은 프로그램을 작동시킴으로써 단말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무선 통신 유닛(12)은 예를 들면 통신 회로와 안테나를 포함하고 블루투스(근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통신 유닛(12)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기로서 기능한다. 마이크로폰(13)은 음파를 검지하는 음파 검지기이다. 마이크로폰은 검지되는 음파를 전기 신호로서 아날로그 형식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형식의 음성 신호를 A/D 변환기(14)에 공급한다. A/D 변환기는 아날로그 형식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형식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디지털 형식의 음성 신호를 제어 유닛(11)에 공급한다.
메모리 유닛(15)은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장치를 갖는다. 메모리 유닛(15)은 예를 들면 제어 유닛(11)에 의해 실행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저장한다.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은 점포에 방문하는 것을 검지하는 것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점포 식별 코드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대안적으로,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한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기 위한 엑세스 목적지(예를 들면, 통신 목적지의 주소)의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은 관리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서비스의 제공을 수신하기 위한 엑세스 목적지(예를 들면, 통신 목적지의 주소)의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은 이미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처리(예를 들면,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처리 및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 통신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통지 유닛(16)은 예를 들면 진동기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사용자(U)에게 소정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통지 유닛(16)은 사용자(U)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현상(phenomenon)을 발생시키고 사용자(U)에게 소정 정보를 통지하는 유닛일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은 예를 들면 통신 회로와 안테나를 포함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30)와 통신한다.
단말 장치(10)는 상술한 하드웨어 구성에 더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일반적인 스마트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작동시킴으로써 통지 제어 유닛(111), 기동 제어 유닛(112), 및 처리 유닛(113)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처리 유닛(113)은 발신기(20)로부터 음파에 의해 발신되는 점포 식별 코드를 얻기 위해 코드 처리를 수행하는 코드 처리 유닛(1131)을 포함한다.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될 때, 통지 제어 유닛(111)(통지 제어기)은 통지 유닛(16)을 통해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무선 통신 유닛(12)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의 작동 중에는 전파를 대기시켰다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를 수신한다. 통지 제어 유닛(111)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에 의거하여 단말 장치(10)와 발신기(20)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여 그 거리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통지 제어 유닛(111)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가 소정 레벨보다 낮은 것을 조건으로,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소정 거리, 또는 그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을 판별한다. 이어서, 통지 제어 유닛(11)에 의한 제어하에, 통지 유닛(16)은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소정 거리, 또는 그 이상 떨어져 있다는 것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기동 제어 유닛(112)(기동 제어기)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키고 중단시키는 기동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기동 제어 유닛(112)은 무선 통신 유닛(12)이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를 수신한 것을 조건으로,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음파 수신 유닛(100)(사운드 수신기)은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음파를 수신하는 유닛이다. 구체적으로, 음파 수신 유닛(100)은 A/D 변환기와 코드 처리 유닛(1131)에 의해 실현된다. 음파 수신 유닛(100)이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을 때, A/D 변환기(14)는 A/D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코드 처리 유닛(1131)은 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기동 제어 유닛(112)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에 의거하여 단말 장치(10)와 발신기(20) 간의 거리를 추정하여 추정된 거리에 따라 기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기동 제어 유닛(112)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가 소정 레벨보다 낮은 것을 조건으로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소정 거리, 또는 그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을 판별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처리 유닛(113)(프로세서)은 음파 수신 유닛(100)이 발신기(20)로부터 음파를 수신했을 때, 수신된 음파에 의거하여 특정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처리 유닛(113)의 코드 처리 유닛(1131)은 A/D 변환기(14)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형식의 음성 신호를 필터링 처리함으로써 변조된 신호를 추출하고, 이어서 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코드 처리에 있어서, 코드 처리 유닛(1131)은 추출된 신호에 디코드 처리를 수행해서 점포 식별 코드를 얻는다. 이어서, 처리 유닛(113)은 코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키고, 기동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처리 유닛(113)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와 통신한다.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방문했을 때의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5는 사용자(U)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 장치(10)가 본 발명에 따라 이후에 설명되는 처리 작동을 시작하기 전 상태에서, 사용자(U)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 또한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외부에 있는 사용자 위치 Ⅰ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메모리 유닛(15)에 저장된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시작하고,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한 전파의 수신을 시작한다(스텝 S1). 제어 유닛(11)은 사용자(U)에 의한 조작에 따라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기동시키거나 백그라운드에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작동시킬 수 있다.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의 작동 중,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로부터 점포 식별 코드를 얻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 스텝 S2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수신된 전파로부터 점포 식별 코드가 얻어졌는지의 여부에 따라,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 수신의 유무를 판별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사용자 위치 Ⅰ에 있을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2 처리에 있어서의 "NO"를 판별하고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이후,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와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외부인 사용자 위치 Ⅱ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로부터 점포 식별 코드를 얻고 전파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판별한다(스텝 S2에서 YES). 스텝 S2의 처리에서 "YES"로 판별되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통지 유닛(16)에 의해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 수신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스텝 S3). 예를 들면, 제어 유닛(11)은 진동기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스피커가 소정 사운드[예를 들면, 벨소리(ring alert) 또는 알람음(alarm tone)]를 출력하게 한다. 단말 장치(10)가 주머니 또는 가방 속 등에 위치되어 있다 해도,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사용자(U)가 단말 장치(10)로부터의 통지를 인식했을 때, 사용자는 단말 장치(10)가 주머니 또는 가방 속 등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도 단말 장치(10)를 꺼내 쥘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통지에 더하여 또는 대신에, 전파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단말 장치(10)의 스크린에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스텝 S4). 스텝 S4의 처리에 따라, 제어 유닛(11)은 A/D 변환기(14)를 기동시켜 A/D 변환 처리를 시작하고 또한 코드 처리를 시작한다. 도 5에 "기동 및 통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부터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로 이동한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통지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음파 수신 유닛(100)이 기동되어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단말 장치(10)의 스크린에 예를 들면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스텝 S4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에 의거하여 전파의 수신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와 대응하는 관계를 갖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특정하고, 특정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킨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수신기(20)로부터 음파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5). 스텝 S5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이 점포 식별 코드를 얻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발신기(20)로부터의 음파 수신의 유무를 판별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사용자 위치 Ⅱ에 있을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5 처리에 있어서의 "NO"를 판별하고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이후,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인 사용자 위치 Ⅲ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이 점포 식별 코드를 얻고 음파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판별한다(스텝 S5에서 YES). 음파 수신 유닛(100)이 점포 식별 코드를 얻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작동되고 있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따라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와 통신하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소정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6). 예를 들면, 제어 유닛(11)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해 지정된 통신 주소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에 엑세스한다. 제어 유닛(11)은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와 통신하고, 도 6을 참조해서 설명될 바와 같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도 6은 단말 장치(10)와 관리 서버(30) 간에 수행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처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에 엑세스하고 방문 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리 서버(30)로 발신한다(스텝 S61). 방문 상황 데이터는 사용자(U) 방문의 상황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에 특정된 단말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전화 번호)와 코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점포 식별 코드가 얻어질 때마다, 또는 점포 식별 코드가 연속적으로 얻어지는 동안 소정 시간마다 방문 상황 데이터를 관리 서버(30)로 발신한다.
관리 서버(30)는 단말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방문 상황 데이터에 의거하여, 단말 장치(10)를 휴대한 사용자(U)의 점포에의 방문을 검지한다(스텝 S62). 스텝 S62의 처리에 있어서, 관리 서버(30)는 방문 검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 처리에 있어서, 관리 서버(30)는 단말 식별 정보 및 점포 식별 코드와 관련된 방문 이력을 나타내는 방문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방문 이력 정보는 예를 들면 방문 일자, 시간, 점포(200)에서 머무른 시간, 및 점포에 방문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30)는 방문 상황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사용자(U)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소정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 장치(10)로 발신한다(스텝 S63). 관리 서버(30)에 의해 사용자(U)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예를 들면 쿠폰 또는 방문에 따른 포인트와 같은 금전적 가치의 제공, 사용자(U)를웹샵으로 안내하는 메세지[예를 들면, 웹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발신, 및 컨텐츠의 분배(예를 들면, 상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광고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서비스의 종류는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리 서버(30)는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 장치(10)에 발신할 경우, 단말 장치(10)에 서비스를 제공할 때 발생되는 소정 처리를 수행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쿠폰 취소 처리 또는 쿠폰 발행 처리이다.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이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제어 유닛(11)은 메모리 유닛(15)에 수신된 서비스를 저장한다. 사용자(U)가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제어 유닛(11)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의 실행 중에 메모리 유닛(15)으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처리(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처리 및 통신 처리)를 수행한다.
이후, 사용자(U)가 점포(200)를 떠날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8은 사용자(U)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 장치(10)가 이후에 설명되는 작동을 시작하기 전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U)는 사용자 위치 Ⅲ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의 수신이 중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1).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즉, 사용자 위치 Ⅱ 또는 사용자 위치 Ⅲ)에 있을 때,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로부터 점포 식별 코드를 얻는다. 따라서, 제어 유닛(11)은 스텝 S11의 처리에 있어서의 "NO"를 판별하고 처리가 대기된다.
이후,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즉, 사용자 위치 Ⅰ)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의 수신이 중단되었는지 판별한다(스텝 S11에서 YES). 이어서, 통지 유닛(16)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스텝 S12). 스텝 S12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스텝 S3의 처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U)에게 통지하는 것을 수행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한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이후나 또는 스텝 S12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U)에게 통지한 이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3). 이 설정 시간은 예를 들면 5초이지만, 5초 이외의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이 설정 시간은 고정되거나 또는 사용자(U)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별되었을 때(스텝 S13에서 NO),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4). 제어 유닛(11)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스텝 S14에서 NO), 처리는 스텝 S13으로 돌아간다. 이후,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지 않으면서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별하고(스텝 S13에서 YES),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스텝 S15). 도 8에 "통지" 및 "중단"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유닛(11)은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내부로부터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이동했을 때 사용자(U)에게 통지를 수행하고, 또한 그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스텝 S15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작동되고 있던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종료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11)이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된 것을 판별했을 때(스텝 S14에서 YES), 처리는 스텝 S11로 돌아간다. 즉,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유지시킨다. 예를 들면, 도 8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일시적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전파 도달 가능 영역 내로 돌아왔을 때, 단말 장치(10)는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다시 수신한다. 단말 장치(10)가 설정 시간 이내의 단기간 동안에만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 사용자(U)가 단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일시적으로 이동하고 점포를 떠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유지시킨다.
예를 들면,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에 도달하지 않는 장소이거나, 단말 장치(10) 또는 발신기(20)의 장해로 인해 단말 장치(10)가 일시적으로 전파를 수신할 수 없을 때, 사용자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일시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단말 장치(10)는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방문 검지 시스템(1)에 있어서,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 단말 장치(10)는 음파를 사용하여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된 정보가 도달 가능한 영역(즉, 사용자 위치 Ⅲ)과 근접한 영역(즉, 사용자 위치 Ⅱ)에 사용자가 도달했는지 판별한다. 이어서, 단말 장치(10)는 사용자(U)에게 이 판별 사항을 통지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킨다. 사용자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된 음파가 도달 가능한 영역에 접근한 것을 단말 장치(10)로부터의 통지에 따라 사용자(U)가 인식했을 때, 사용자는 단말 장치(10)를 음파 수신 가능 상태로 설정한다(즉, 사용자 위치 Ⅲ). 사용자(U)의 이 작동에 따라, 단말 장치(10)가 음파를 사용하여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음파 수신 유닛(100)을 항상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하지 않아도, 단말 장치(10)는 사용자가 발신기(20)에 접근할 때 발신기(20)로부터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10)는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의 기간을 감소시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파 대기 상태의 전력 소비는 음파 대기 상태의 전력 소비보다 작다. 특히, 블루투스 LE의 규격에 따르면 전력 소비는 단말 장치(10)가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때보다 작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을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은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한 후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 것이 판별되었을 때,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킨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 발신기(20)와 관리 서버(30)의 구성 및 작동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 및 처리 스텝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이후,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9는 단말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0)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구성에 더하여 센서 유닛(18)을 포함한다.
센서 유닛(18)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센서 유닛(18)은 단말 장치(10) 주위(주변)의 휘도(brightness)를 검지하기 위한 휘도 센서이다. 센서 유닛(18)은 단말 장치(10) 주위의 휘도를 나타내는 광량을 검지하고, 검지된 광량을 나타내는 광량 데이터를 제어 유닛(11)에 공급한다.
제어 유닛(11)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작동시킴으로써,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기능적 구성에 더하여 판별 유닛(114)을 실현한다.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센서 유닛(18)으로부터 공급되는 광량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량이 문턱값(threshold value) 또는 그 이상일 때,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다고 판별한다. 이는, 단말 장치(10)가 비교적 밝은 환경에 위치될 때, 사용자(U)가 손으로 단말 장치(10)를 쥐고 있다고 가정되기 때문이다. 반면, 센서 유닛(18)으로부터 공급되는 광량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량이 문턱값보다 적을 때,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별한다. 이는, 단말 장치(10)가 비교적 어두운 환경에 위치될 때, 사용자(U)가 단말 장치(10)를 주머니 또는 가방과 같은 곳 내에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자(U)가 단말 장치(10)를 휴대하고 있지 않다고 가정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스텝 S1~S3의 처리를 실행하고, 무선 통신 유닛(12)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사용자(U)는 전파의 수신을 통지받는다. 이어서,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7). 센서 유닛(18)으로부터 공급되는 광량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량이 문턱값보다 적을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7 처리에 있어서의 "NO"를 판별하고 대기한다. 반면, 센서 유닛(18)으로부터 공급되는 광량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량이 문턱값 또는 그 이상일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7 처리에 있어서의 "YES"를 판별하고, 처리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즉,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되고 사용자(U)가 전파의 수신을 통지받은 후, 제어 유닛(11)이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다고 판별했을 때,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이후, 제어 유닛(11)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스텝 S5 및 S6의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에 있어서,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후,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실질적으로 음파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을 때, 단말 장치(10)는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킨다. 따라서,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지 않아 음파 수신 유닛(100)이 기동되지 않는 동안의 기간에 대응하는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절약할 수 있다.
그런데, 센서 유닛(18)은 휘도 센서 이외의 센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유닛(18)은 단말 장치(10)의 자세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 경사도 센서, 지자기(geomagnetism) 센서, 및 자세 센서 중 하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U)가 손으로 단말 장치(10)를 쥐고 있을 때, 단말 장치(10)의 자세가 사용자(U) 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센서 유닛(18)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자세 변화를 검지했을 때, 제어 유닛(11)의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다고 판별한다. 대안적으로, 센서 유닛(18)은 사용자(U)가 손으로 단말 장치(10)를 쥐고 있을 때, 단말 장치(10)의 케이스에 작용하는 힘을 검지하는 센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힘이 단말 장치(10)의 케이스에 작용하는 문턱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큰 것을 센서 유닛(18)이 검지했을 때,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다고 판별한다.
대안적으로, 판별 유닛(114)은 센서 유닛(18)의 검지 결과를 사용하지 않고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는 센서 유닛(18)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가 단말 장치(10)를 작동하고 있는 작동 상태이거나, 단말 장치(10)가 스크린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다고 판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별 유닛(114)에 의해 수행되는 판별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술에 따르면, 데이터를 수신할 때 수신한 데이터의 강도(즉,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발신 지점과 데이터 수신 지점 간의 거리가 추정(계산)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방문 검지 시스템(1)에 있어서, 단말 장치(10)는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에 의거하여 발신기(2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작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10), 발신기(20), 및 관리 서버(30)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신기(20) 및 관리 서버(30)의 작동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 및 처리 스텝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이후,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11은 사용자(U)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은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비교적 높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과,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비교적 낮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으로 구성된다.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보다 발신기(20)로부터의 거리가 짧다. 이후,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에서의 전파의 수신 강도는 "높음"으로 나타내고,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에서의 전파의 수신 강도는 "낮음"으로 나타낸다.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 TE2)은 임의 레벨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분류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스텝 S1~S3의 처리를 실행하고, 무선 통신 유닛(12)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이어서 사용자(U)는 전파의 수신을 통지받는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유닛(11)은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의 외부로부터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 내로 이동할 때, 전파의 수신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8). 환언하면, 제어 유닛(11)은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 내로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제어 유닛(11)이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이 아닌, 즉 수신 강도가 "낮음" 또는 전파가 수신되지 않은 것(스텝 S8에서 NO)을 판별했을 때 처리가 대기된다. 한편, 제어 유닛(11)이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인 것(스텝 S8에서 YES)을 판별했을 때, 처리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즉,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되고 사용자(U)가 전파의 수신을 통지받은 후,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발신기(20)로부터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짧은 것이 판별되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스텝 S5 및 S6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떠날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먼저,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6).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 내에 있을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16의 처리에서 "YES"를 판별하고 처리가 대기된다. 이후,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 내로 이동했을 때,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이 아닌 것을 판별하고(스텝 S16에서 NO) 통지 유닛(16)에 의해 사용자(U)에게 통지된다(스텝 S12).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7). 제어 유닛(11)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된 것을 판별했을 때(스텝 S17에서 YES), 처리가 대기된다. 반면, 제어 유닛(11)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을 판별했을 때(스텝 S17에서 NO),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스텝 S15).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유닛(11)은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의 내부로부터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의 외부로 이동했을 때,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에 있어서, 사용자(U)가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10)는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발신기(20)로부터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짧은 것을 판별했을 때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킨다. 사용자가 음파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에 접근한 후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키기 때문에,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U)가 점포를 떠날 때,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발신기(20)로부터의 거리가 소정 거리 또는 그 이상인 것이 판별되었을 경우, 사용자(U)는 이 판별 사항을 통지받는다. 따라서, 단말 장치(10)는 제 1 실시형태보다 빠르게 사용자(U)에게 통지를 수행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단말 장치(10)와 발신기(20) 간의 거리에 따른 단말 장치(10)의 작동은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단말 장치(10)에 적용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다음의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제 1 변형예)
사용자(U)가 점포를 떠날 때,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0)는 이하에 설명되는 (제 1 작동예)~(제 3 작동예) 중 하나에 따라 작동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U)의 위치와 단말 장치(10)의 작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서, "기동 및 통지"는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될 경우 사용자(U)에게로의 통지 및 음파 수신 유닛(100)의 기동이 수행되는 타이밍을 의미한다. "통지"는 음파 수신 유닛(100)이 중단되기 전에 사용자(U)에게로의 통지가 수행되는 타이밍을 의미한다. "중단"은 음파 수신 유닛(100)이 중단되는 타이밍을 의미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작동예)에서,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이동하고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판별 사항을 사용자(U)에게 통지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제 2 작동예)에서, 사용자(U)가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외부로 이동하고 발신기(20)로부터의 음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판별 사항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또한,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되지 않은 것이 판별되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제 1 작동예)는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이 판별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제어 유닛(11)이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는 점에서 (제 2 작동예)와 다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점포를 떠날 때,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에게 통지를 수행하는 타이밍 및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키는 타이밍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들은 전파 또는 음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을 조건으로,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에게 통지를 수행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키는 점에 있어서 공통이다.
사용자(U)는 단말 장치(10)가 작동될 제 1 실시형태 및 이 제 1 작동예~제 3 작동예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
사용자(U)가 점포를 떠날 때,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0)는 이하에 설명되는 (제 4 작동예)~(제 6 작동예) 중 하나에 따라 작동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15는 사용자(U)의 위치와 단말 장치(10)의 작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4 작동예)에서,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의 외부로 이동하고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에서 "낮음"으로 변경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판별 사항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이 판별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제 5 작동예)에서, 발신기(20)로부터의 음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판별 사항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에서 "낮음"으로 변경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제 6 작동예)는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에서 "낮음"으로 변경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제어 유닛(11)이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는 점에서 (제 5 작동예)와 다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점포를 떠날 때,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에게 통지를 수행하는 타이밍 및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키는 타이밍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에게 통지하는 타이밍, 또는 음파 수신 유닛(100)의 중단 타이밍을 판별하는 점에 있어서는 공통이다.
사용자(U)는 단말 장치(10)가 작동되는 제 3 실시형태와 이 제 4 작동예~제 6 작동예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
복수의 점포가 모여있는 쇼핑몰에 있어서,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점포에 의해 형성되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도 16은 사용자(U)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포(200A)와 점포(200B)는 서로 가까운 것으로 가정한다. 발신기(20A)와 발신기(20B)는 각각 점포(200A)와 점포(200B) 내에 설치된다. 발신기(20A)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A)과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A)을 형성한다. 발신기(20B)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B)과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B)을 형성한다. 또한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A)과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B)은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중첩 영역(Tov)을 형성한다.
이 경우, 중첩 영역(Tov)에 있는 사용자(U)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 장치(10)는 각각의 발신기(20A, 20B)로부터 전파를 수신한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A, 20B) 중 전파의 수신 강도가 보다 높은 쪽에 대응하는 전파에 의거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킨다. 이는, 사용자(U)가 보다 높은 전파의 수신 강도에 대응하는 발신기가 설치된 점포 내에 있거나, 이 점포를 방문하러 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으로서, 중첩 영역(Tov)에 있는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A, 20B)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에 의거하여 점포 식별 코드를 얻고, 얻어진 2개의 점포 식별 코드에 의거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킬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전파 도달 가능 영역이 중첩될 경우, 단말 장치(10)는 발신기(20) 중 전파의 수신 강도가 보다 높은 쪽에 대응하는 전파에 의거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장치(10)는 모든 발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에 의거하여 점포 식별 코드를 얻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킬 수 있다.
(제 4 변형예)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음파 대신 광파에 의거하여 점포로의 방문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광파는 예를 들면 벽, 문, 또는 파티션과 같은 장해물을 투과하는 능력에 있어서 전파와 다르다. 대부분의 경우, 전파와 비교했을 때, 광파는 투과 능력이 보다 낮고, 직진성에 있어서 보다 뛰어나며, 회절될 가능성이 적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음파 대신 광파를 사용할 경우,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의 음파에 관한 구성은 광파에 관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후,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의 음파에 관한 구성이 광파에 관한 구성으로 대체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변형예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기(20)는 스피커(22) 대신에, 광파를 방사하는 광파 발신 유닛으로서 발광 유닛(24)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10)가 광파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거리 내의 발신기(20)로 접근했을 때, 단말 장치(10)는 발신기(20)의 발광 유닛(24)으로부터 발신되는 광파를 수신한다. 발신기(20)의 발광 유닛(24)으로부터 발신되는 광파가 도달 가능한 영역(TL)(이후 "광파 도달 가능 영역"이라 칭해진다)은 예를 들면 점포(200)의 부지 내에 포함되고, 이 전체 영역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에 포함된다.
도 18은 방문 검지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발신기(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기(20)는 안테나(21), 발광 유닛(24), 및 발신 제어 유닛(23)을 포함한다. 발광 유닛(24)은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이며, 발신 제어 유닛(23)의 제어에 따라 광파를 발신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전파와 광파를 이용하여 정보 발신을 제어한다. 광파를 이용하는 정보 발신을 설명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명멸(blinking)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광파를 발광 유닛(24)으로부터 발신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분배될 점포 식별 코드와 일의적으로 관련된 광파를 발신한다.
이어서, 단말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마이크로폰(13) 및 A/D 변환기(14) 대신 촬상(imaging) 유닛(19)을 포함한다. 촬상 유닛(19)은 촬상을 수행하기 위한 촬상 장치(디지털 카메라)이다. 촬상 유닛은 촬상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촬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처리를 수행하고 제어 유닛(11)에 데이터를 공급한다. 제어 유닛(11)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작동시켜 통지 제어 유닛(111), 기동 제어 유닛(112a), 및 처리 유닛(113a)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처리 유닛(113a)은 광파에 의해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점포 식별 코드를 얻기 위해 코드 처리를 수행하는 코드 처리 유닛(1131a)을 실현한다.
기동 제어 유닛(112a)은 광파 수신 유닛(100a)을 기동시켜,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조건으로 광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광파 수신 유닛(11a)은 광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었을 때 광파를 수신하는 유닛(광파 수신기)이다. 구체적으로, 광파 수신 유닛(100a)은 촬상 유닛(19) 및 코드 처리 유닛(1131a)에 의해 실현된다. 광파 수신 유닛(100a)이 광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었을 때, 촬상 유닛(19)은 촬상 처리를 수행하고 코드 처리 유닛(1131a)은 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광파 수신 유닛(100a)이 발신기(20)로부터 광파를 수신했을 때, 처리 유닛(113a)은 수신된 광파에 의거하여 특정 처리를 수행한다. 처리 유닛(113a)의 코드 처리 유닛(1131a)은 촬상 유닛(19)으로부터 공급되는 촬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점포 식별 코드를 얻는다. 처리 유닛(113a)은 코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키고 기동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스텝 S1~S3의 처리를 실행하고, 무선 통신 유닛(12)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며, 사용자(U)는 전파의 수신을 통지받는다. 이어서, 광파 수신 유닛(100a)이 기동되어 광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된다(스텝 S4a). 스텝 S4a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에 의거하여, 전파의 수신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특정하고, 특정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의 광파가 광파 수신 유닛(100a)에 의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5a). 스텝 S5a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광파 수신 유닛(100a)이 코드 처리에 의해 점포 식별 코드를 얻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발신기(20)로부터의 광파 수신의 유무를 판별한다.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광파가 수신된 것이 판별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5a에서 NO). 이후, 사용자(U)가 광파 도달 가능 영역(TL) 내로 이동하고 촬상 유닛(19)을 발신기(20)의 발광 유닛(24)쪽으로 향하게 했을 때, 제어 유닛(11)은 광파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5a에서 YES).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코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에 의거하여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스텝 S6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떠날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제어 유닛(11)은 촬상 유닛(19)이 광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었을 때,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이 중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1).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이동했을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11의 처리에 있어서의 "NO"를 판별하고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을 통지 유닛(16)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스텝 S12).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한 전파의 수신이 중단되거나, 또는 스텝 S12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U)에게 통지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3).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되지 않은 것이 판별되었을 때(스텝 S14에서 NO), 제어 유닛(11)은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스텝 S13과 스텝 S14의 처리를 반복한다(스텝 S13에서 NO → 스텝 S14에서 NO → 스텝 S13에서 NO...).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다시 수신하지 않은 채 설정 시간이 경과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스텝 S13에서 YES), 제어 유닛(11)은 광파 수신 유닛(100a)을 중단시킨다(스텝 S15). 반면, 설정 시간의 경과 전에 전파가 다시 수신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스텝 S14에서 YES), 처리는 스텝 S11의 처리로 돌아간다.
또한, 음파에 관한 구성 대신의 광파에 관한 구성은 각각의 제 2, 제 3 실시형태 및 상기 각각의 변형예의 방문 검지 시스템(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광파에 관한 이 구성이 적용된 방문 검지 시스템(1)의 구성 및 작동은 본 변형예의 설명으로부터 추정될 것이다.
(제 5 변형예)
각각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파 수신 유닛(100)이 A/D 변환기(14), 코드 처리 유닛(1131)을 포함하지만, A/D 변환기(14)는 제외될 수 있다. 음파 수신 유닛(100)의 중단 중에라도, 제어 유닛(11)은 마이크로폰(13)에 의해 검지되는 음파에 의거하여 A/D 변환기(14)로부터 디지털 형식의 음성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음파 수신 유닛(100)이 중단되었을 때, 코드 처리 유닛(1131)이 수신된 음성 신호에 의거하여 코드 처리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장치(10)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구성을 제 2 실시형태의 단말 장치(10)에 적용했을 경우,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의 중단 중에 마이크로폰(13)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의거하여 단말 장치(10)가 음파 도달 가능 영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유닛(11)이 마이크로폰(13)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의거하여, 주머니 또는 가방으로부터 단말 장치(10)를 꺼낼 때 생성되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운드를 검지했을 때, 단말 장치(10)가 음파 도달 가능 영역 내에 있다고 판별된다. 또한, 제 4 변형예에 따른 광파 수신 유닛(100a)이 촬상 유닛(19) 및 코드 처리 유닛(1131a)을 포함하지만, 촬상 유닛(19)은 제외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음파 수신 유닛(100)이 중단되었을 때, 코드 처리 유닛(1131a)이 수신된 촬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코드 처리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장치(10)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제 6 변형예)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점포(200)에의 사람의 방문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되는 장소로의 사람의 방문도 검지할 수 있다.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유원지와 같은 점포 이외의 상업 시설이나, 역 또는 관공서(town hall)와 같은 공공 시설, 사무실 또는 호텔 로비와 같은 많은 불특정 사람들이 드나드는 장소에 사람이 방문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예를 들면 스탬프 랠리(stamp rally) 또는 워크 랠리(walk rally)에 있어서 소정 위치(체크 포인트)에 사람이 방문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방문 검지 시스템(1)은 회사, 공장, 또는 집과 같이 특정 사람이 드나드는 장소에 사람이 방문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방문 검지 시스템(1)에 의해 검지되는, 사람이 방문하는 장소에 관계없이, 발신기(20)는 단지 전파 또는 음파를 이용하여 자신의 장치 또는 그 설치 위치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점포 식별 코드를 발신하기 위해 필요된다.
대안적으로, 비교적 큰 범위의 전파 도달 가능 영역과 비교적 작은 범위의 음파 도달 가능 영역을 구별하도록, 발신기(20)는 각각의 이 영역에 다른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기(20)는 계층적으로 연관된 복수의 정보 중 전파를 사용하여 상위 레벨의 정보를, 음파를 사용하여 하위 레벨의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발신기(20)가 기차 또는 버스(또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 또는 다양한 종류의 수송기)와 같은 차량에 설치되어 정보를 발신하는 예를 설명한다. 차량 내부 영역과 차량의 외부 영역을 구별함으로써, 발신기(20)는 각각의 개별적인 영역에 있는 사용자(U)의 단말 장치(10)에 존재 영역에 대응하여 사용자(U)에게 유용한 정보를 발신한다.
예를 들면, 발신기(20)는 차량 주변의 외부 공간(예를 들면, 입구와 가까운 공간)과 차량의 내부 공간(예를 들면, 객실)을 향해, 차량의 목적지 및 주요 경유 지점(예를 들면, 역 또는 버스 정류장)을 포함하는 이동 안내와 같은 정보를 안테나(21)로부터 발신한다. 또한, 발신기(20)는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해 다음 정류장 및 다음 정류장과 가까운 지리적 정보와 같은 정보를 스피커(22)로부터 발신한다. 이 점에 있어서, 발신기(20)는 차량 주변의 외부 공간을 향해 스피커(22)로부터 정보를 발신하지 않는다.
(제 7 변형예)
단말 장치(10)로부터 관리 서버(30)에 발신되는 방문 상황 데이터는 점포와 관련된 마케팅을 위해 유용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는 방문 상황 데이터 내에 사용자(U)를 특정할 수 있는 사용자 특정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ID 또는 성명), 사용자(U)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속성 정보는 나이, 성별, 직업, 및 취미와 같은 정보이다. 단말 장치(10)를 휴대한 사용자(U)가 전자 결재 서비스를 이용해서 점포(200)에서 전자 결재를 수행했을 때, 단말 장치(10)는 방문 상황 데이터 내에 지불 상태(구매한 상품 및 결재)를 나타내는 지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는 음파에 의거하여 특정되는 방문 상황뿐만 아니라 전파에 의거하여 특정되는 방문 상황을 나타내는 방문 상황 데이터를 관리 서버(30)에 발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30)는 사용자가 점포(200)에 실제로 방문했는지, 사용자가 점포에 들렀지만 실제로 그 안으로 들어오지 않았는지의 여부와 같은 보다 상세한 사용자(U)의 방문 상황을 검지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는 단말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방문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여 마케팅에 관한 정보를 생성해서, 생성된 정보를 마케팅 회사의 컴퓨터 장치와 같은 소정 출력 목적지로 출력할 수 있다.
(제 8 변형예)
발신기(20) 및 단말 장치(10)는 블루투스 이외의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기(20)는 와이파이 규격 또는 다른 무선랜(Local Area Network)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21)로부터 전파를 발신할 수 있다.
음파와 전파를 발신하는 기능을 갖는 발신기(20)를 실현하는 대신에, 발신기는 전파를 발신하는 발신기(전파 발신기) 및 음파를 발신하는 발신기(음파 발신기)를 분리적으로 구비하도록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파 발신기 및 음파 발신기는 점포(200) 내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발신기(20)는 이 안테나로부터 각각 다른 식별 코드를 발신하도록 다른 전파의 발신 강도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는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지 않고 소정 발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코드에 의거하여 소정 발신기(20)(즉, 발신 위치)까지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 및 음파의 발신 경로의 매개체는 공기와 같은 기체에 한정되지 않고, 고체 또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9 변형예)
방문 검지 시스템(1)은 복수의 점포(200)에의 사용자(U)의 방문을 검지하기 위해 복수의 발신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신기(20)는 점포(200)의 부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발신기(20)들은 점포(200) 부지 내의 다른 영역(예를 들면, 카운터)에 각각 다른 식별 코드를 발신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10)가 수신되는 음파에 의거하여 코드 처리를 수행하지만, 단말 장치(10)는 수신되는 음파에 의거한 코드 처리 이외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는 목소리 인식 처리 또는 음성 지문의 분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U)가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에게 통지한 후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U)에게로의 통지 및 음파 수신 유닛(100)의 기동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U)에게로의 통지는 음파 수신 유닛(100)의 기동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는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켰을 경우 사용자(U)에게로의 통지를 제외할 수 있다.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수행되는 음파 수신 유닛(100)의 기동 제어에 대해, 단말 장치(10)는 음파 수신 유닛(100)의 기동을 수행하지만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키는 것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폰 단말기, 태블릿 단말기, 개인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바일 컴퓨터, 포터블 게임기, 또는 포터블 뮤직 플레이어와 같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다른 단말 장치(즉, 포터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각각의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 및 발신기(20)의 발신 제어 유닛(23)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복수의 프로그램의 조합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자원의 협동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유닛(11) 및 발신 제어 유닛(23)의 기능을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경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 분배되거나, 자기 기록 매체[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Hard Disk Drive), FD(Flexible Disc) 등], 광학 기록 매체(광학 디스크 등), 광자기 기록 매체 또는 반도체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1 : 방문 검지 시스템
10 : 단말 장치
11 : 제어 유닛
111 : 통지 제어 유닛
112, 112a : 기동 제어 유닛
113, 113a : 처리 유닛
1131, 1131a : 코드 처리 유닛
12 : 무선 통신 유닛
13 : 마이크로폰
14 : A/D 변환기
15 : 메모리 유닛
16 : 통지 유닛
17 : 네트워크 통신 유닛
18 : 센서 유닛
19 : 촬상 유닛
20 : 발신기
21 : 안테나
22 : 스피커
23 : 발신 제어 유닛
24 : 발광 유닛
30 : 관리 서버
100 : 음파 수신 유닛
100a : 광파 수신 유닛
200, 200A, 200B : 점포

Claims (17)

  1. 음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음파 수신기,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파 수신기,
    상기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전파에 포함된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제어기,
    센서부의 검출 결과 또는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판별 유닛, 및
    소정의 조건에 따라 상기 음파 수신기를 기동 및 중단시키는 기동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통지 후에 상기 판별 유닛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음파 수신 가능 상태라고 판별할 때 중단 상태의 상기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동 제어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전파를 수신하는 스텝,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스텝,
    센서부의 검출 결과 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 및
    상기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통지 후에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음파 수신 가능 상태라고 판별될 때 음파를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 내의 중단 상태인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수신기는 상기 음파 수신기의 기동 후 수신되는 전파에 의거하여 중단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수신기는 상기 전파의 발신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그 이상인 것을 조건으로 중단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수신기는 상기 전파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설정 기간 동안 유지되었을 때 중단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의 도달 가능 영역 내에서 음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음파에 의거하여 특정 처리를 수행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휘도 센서, 가속 센서, 경사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세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지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별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 상태, 또는 이미지가 상기 단말 장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상태일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별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0. 음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음파 수신기와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내의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제어기;
    센서부의 검출 결과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판별 유닛; 및
    소정의 조건에 따라 상기 음파 수신기를 기동 및 중단시키는 기동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그리고 상기 사용자로의 통지 후에 상기 판별 유닛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음파 수신 가능 상태라고 판별할 때 중단 상태의 상기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동 제어기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제어기는 상기 음파 수신기의 기동 후, 상기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에 의거하여 상기 음파 수신기를 중단시키는 것인 프로그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제어기는 상기 전파의 발신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그 이상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음파 수신기를 중단시키는 것인 프로그램.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제어기는 상기 전파가 상기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설정 기간 동안 유지될 때 상기 음파 수신기를 중단시키는 것인 프로그램.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를,
    상기 전파의 도달 가능 영역 내에서 상기 음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음파에 의거하여 특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로서 더 기능하도록 하는 것인 프로그램.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유닛은 휘도 센서, 가속 센서, 경사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세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인 프로그램.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 상태, 또는 이미지가 상기 단말 장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상태일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인 프로그램.
KR1020140150293A 2013-10-31 2014-10-31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711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7507 2013-10-31
JP2013227507A JP6160447B2 (ja) 2013-10-31 2013-10-31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514A KR20150050514A (ko) 2015-05-08
KR101711064B1 true KR101711064B1 (ko) 2017-03-13

Family

ID=5190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293A KR101711064B1 (ko) 2013-10-31 2014-10-31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17160A1 (ko)
EP (1) EP2869080B1 (ko)
JP (1) JP6160447B2 (ko)
KR (1) KR101711064B1 (ko)
CN (1) CN104601250B (ko)
TW (1) TWI6157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1412B2 (en) * 2015-02-25 2018-08-14 Ricoh Company, Ltd. Loca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loca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6631038B2 (ja) * 2015-05-19 2020-01-1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91946B2 (ja) * 2015-05-19 2021-06-1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505615B2 (ja) * 2016-01-15 2019-04-24 株式会社リクルート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6907456B2 (ja) * 2015-08-10 2021-07-21 株式会社リコー 出力装置、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位置情報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20551B2 (ja) * 2015-12-25 2019-12-18 株式会社リコー 出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音波の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210294B (zh) * 2016-06-30 2019-10-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状态切换控制方法及装置
CN106896356B (zh) 2016-08-17 2019-11-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确定距离变化的方法、位置提示方法及其装置和系统
CN106355394A (zh) * 2016-08-22 2017-01-25 广西咪付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智能终端传感器控制支付的方法
JP6666227B2 (ja) * 2016-09-30 2020-03-13 株式会社Nttドコモ 判定装置
JP6923860B2 (ja) * 2017-04-17 2021-08-25 株式会社スマート・ソリュ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86329B2 (ja) * 2018-01-31 2023-06-05 株式会社東芝 無線システム
JP7121963B2 (ja) * 2020-09-29 2022-08-19 株式会社パークランド 広告システム
JP7129743B1 (ja) 2021-07-01 2022-09-02 株式会社電通 店舗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装置、店舗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方法及び店舗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2849A1 (en) * 2007-02-02 2008-10-23 Markus Buck Voice control system
US20110028160A1 (en) * 2009-07-29 2011-02-03 Cyriac Roeding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triggered rewards
US20130281084A1 (en) * 2012-04-24 2013-10-24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Providing derived location information for customer relationship in response to receipt of short range wireless beac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2895B2 (en) * 2011-06-03 2015-02-10 Apple Inc. Motion-based device operations
JP4535857B2 (ja) * 2004-11-30 2010-09-01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共同利用システム
JP4634878B2 (ja) * 2005-07-07 2011-02-1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20090049610A1 (en) * 2007-08-20 2009-02-26 Hill-Rom Services, Inc. Proximity activation of voice operation of hospital bed
US7710824B1 (en) * 2007-09-18 2010-05-0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Location monitoring and sonar determination of presence
PL2065726T3 (pl) * 2007-11-13 2012-07-31 Univ Oslo Ultradźwiękowy system lokalizacji stref o wysokiej przepustowości
JP5096128B2 (ja) * 2007-12-25 2012-12-12 エイディシ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312763A4 (en) 2008-08-08 2015-12-23 Yamaha Corp MODULATION DEVICE AND DEMODULATION DEVICE
US20120158238A1 (en) * 2010-07-14 2012-06-21 Marcus Isaac Daley Location based automobile inspection
JP2012252371A (ja) 2011-05-31 2012-12-20 Butterfl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2849A1 (en) * 2007-02-02 2008-10-23 Markus Buck Voice control system
US20110028160A1 (en) * 2009-07-29 2011-02-03 Cyriac Roeding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triggered rewards
US20130281084A1 (en) * 2012-04-24 2013-10-24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Providing derived location information for customer relationship in response to receipt of short range wireless beac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9080B1 (en) 2022-05-11
US20150117160A1 (en) 2015-04-30
JP6160447B2 (ja) 2017-07-12
KR20150050514A (ko) 2015-05-08
CN104601250A (zh) 2015-05-06
JP2015088054A (ja) 2015-05-07
CN104601250B (zh) 2018-07-06
TW201531979A (zh) 2015-08-16
TWI615788B (zh) 2018-02-21
EP2869080A1 (en)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064B1 (ko)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97878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features of wireless mobile devices
KR101625702B1 (ko) 이동 장치용 맥락정보-기반 상호작용 모델
KR101811546B1 (ko)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이동형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
JP5971768B2 (ja) 音声信号の符号化及び認識を使用する音声測位
KR102365944B1 (ko) 초음파 근접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50065078A1 (en) Alarm system
JP4417531B2 (ja) 位置処理システム及び位置処理用移動ユニット装置
JP2017116389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携帯通信端末の位置を検出する方法
CN106781242B (zh) 危险区域的预警方法和装置
US10441495B2 (en) Guiding people using acoustic signals
US20180012259A1 (en) Product display systems integrated with beacon technology to assist shopper navigation
JP2014192813A (ja) チャネル毎の電波受信強度に基づいて特定位置を検知する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8621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ding an object at distance
KR20120076509A (ko) 쇼핑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90706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6713943B2 (ja) 電子機器、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US101878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ding a user device based on sensor readings of the user device
KR20170087270A (ko) 숙박 관리 서버, 숙박 관리 방법, 숙박 관리를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KR102250572B1 (ko)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107457A (zh) 基于耳机位置的设备和应用控制
KR20160023983A (ko) 비콘을 이용한 택시 이용 서비스 시스템
KR101193237B1 (ko) 지리/환경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26237B1 (ko) Rssi와 시간차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