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424B1 -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424B1
KR102367424B1 KR1020190177641A KR20190177641A KR102367424B1 KR 102367424 B1 KR102367424 B1 KR 102367424B1 KR 1020190177641 A KR1020190177641 A KR 1020190177641A KR 20190177641 A KR20190177641 A KR 20190177641A KR 102367424 B1 KR102367424 B1 KR 10236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ffic
movement
wea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031A (ko
Inventor
윤재민
김선우
조수연
조정옥
장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럭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럭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럭시티
Priority to KR1020190177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4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3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user preferences are taken into account or the user selects one route out of a plur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특히 실내에서, 교통약자를 고려하여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가 함께 모두 이용 가능한 길안내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유저가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교통약자에 해당하는 경우 유저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약자 타입 정보를 결정하는 사용자 정보 판단부; 키오스크 장치의 키오스크 입력 수단으로부터 목적 위치의 입력을 수신 시, 키오스크 장치의 설치 위치 및 목적 위치 사이의 다수의 노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토폴로지를 후보 이동 경로로 생성하고, 복수의 후보 이동 경로들 중, 교통약자 타입 정보에 따라서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교통 정보 생성부; 및 결정된 이동 경로를 키오스크 장치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교통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Kiosk Devices for Interior and Outdoor Path Guidance for both Handicapped and Con-handicpped}
본 발명은 실내외의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통약자의 이동성 및 정보 가독성을 고려하여,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실내에서의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키오스크 장치와 함께 키오스크 장치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의 휴대 단말에서 길안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 쇼핑몰 등에서는, 쇼핑몰에서 이용 가능한 매장 및 편의 시설 등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길안내 서비스를 위한 키오스크(Kiosk) 장치가 실내에 다수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큰 실내 공간에서, 각 공간에서 이용 가능한 매장 및 편의 시설의 위치를 암기하고 있지 못하고,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 등 사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이동 수단 및 길목 등에는 상기의 키오스크가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길안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휠체어 이용자 또는 시각 장애인 등 교통 약자들은, 해당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공항 등에서는 교통약자 안내 도우미 등이 별도로 선발되어, 교통약자의 이동 시 도우미가 교통약자와 함께 이동하는 등으로 교통약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도우미의 고용은 인력 및 비용 등의 한계가 있어 다수를 고용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교통약자는 일부 이동 수단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키오스크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즉 키오스크 장치를 그대로 이용 시 교통약자가 이용 불가능한 이동 수단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교통약자의 이동에 최적화된 길안내 서비스를 실내에서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정보 안내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0861094호 등에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은, 교통약자를 인식 장치, 단말 등을 이용하여 식별하고 이에 대한 위치 추적 기능과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결합하여, 교통약자의 교통 정보를 맞춤화하여 제공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정보 안내 시스템은, 실외에서만 이용 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교통약자가 이용 불가능한 이동 수단이 다수 존재하는 실내에서 교통약자에 최적화된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시간 위치 파악이 불가능한 실내에서 교통약자에게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서 설치되는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실내외에서 교통약자에게 편리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및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실내외 특히 실내에서, 교통약자를 고려하여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가 함께 모두 이용 가능한 길안내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교통약자가 이용 가능한 이동 수단을 고려하여 실내의 길안내 서비스를 지공하여, 키오스크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교통약자의 이용성을 높이는 기술을 제공하고, 이에 연동하여 유저 단말에 키오스크에서의 교통 정보를 전달/제공함으로써, 교통약자가 효율적으로 실내에서 길안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유저가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교통약자에 해당하는 경우 유저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약자 타입 정보를 결정하는 사용자 정보 판단부;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키오스크 입력 수단으로부터 목적 위치의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설치 위치 및 상기 목적 위치 사이의 다수의 노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토폴로지를 후보 이동 경로로 생성하고, 복수의 후보 이동 경로들 중,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에 따라서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교통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결정된 이동 경로를 키오스크 장치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교통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판단부는,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입력 수단 및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통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되,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별로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교통 정보 제공부의 기능 수행에 따른 입력 및 출력 방식을 서로 다르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드는, 목적 위치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위치 포인트 및 유저가 이동 시 이용 대상이 되는 경로 상의 이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포인트 및 상기 이동 수단에 대해서 이용 불가능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노드 정보에 매칭되어 있고,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후보 이동 경로들 중,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상기 이용 불가능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로 설정된 노드 정보가 매칭된 노드를 포함하는 후보 이동 경로를 제외하고, 잔존하는 후보 이동 경로 중 기설정된 이동 경로 결정 알고리즘에 따라서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경로 결정 알고리즘은, 교통약자 타입 정보에 따라서 설정된 이동 속도를 이용한 최소 이동 시간 기준, 최소 이동 거리 기준 및 교통약자별 이용 가능한 이동 수단의 횟수 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다수의 후보 이동 경로 중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후보 이동 경로들 중,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상기 이용 불가능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로 설정된 노드 정보가 매칭된 노드를 포함하는 후보 이동 경로를 제외한 결과 잔존하는 후보 이동 경로가 없는 경우 이동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정보인 이동 불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통 정보 제공부는,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로부터 상기 이동 불가 정보를 수신 시,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출력 수단을 통해 상기 목적 위치까지 이동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후보 이동 경로들 중,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상기 이용 불가능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로 설정된 노드 정보가 매칭된 노드를 포함하는 후보 이동 경로를 제외한 결과 잔존하는 후보 이동 경로가 없는 경우 상기 목적 위치에 인접한 상기 위치 포인트들 중, 상기 토폴로지 생성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위치 포인트를 대안 목적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대안 목적 위치에 대한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교통 정보 제공부는, 상기 대안 목적 위치에 대한 이동 경로가 결정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상기 목적 위치까지 이동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정보 및 상기 대안 목적 위치에 대한 이동 경로를 안내할지 여부를 묻는 질의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목적 위치의 입력에 포함된 목적 위치가 상기 위치 포인트 이외의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목적 위치에 임시 포인트인 제1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임시 포인트에 가장 인접된 기존 노드인 제2 노드를 선택한 뒤, 상기 선택된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토폴로지인 제1 토폴로지를 생성하고,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설치 위치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토폴로지인 제2 토폴로지를 생성한 뒤, 상기 제1 토폴로지 및 상기 제2 토폴로지에 각각 상기 이동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한 뒤 상기 제1 토폴로지 및 상기 제2 토폴로지를 결합하여 상기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통 정보 제공부는, 상기 유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경로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전송하되, 상기 유저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포맷으로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이동 경로의 안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의 실행 중, 유저 단말에 포함된 단말의 속도 및 방향을 계측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 뒤,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 단말의 이동 거리 및 방향을 연산한 결과를 상기 이동 경로에 적용하여, 유저의 이동 경로 상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이동 경로를 전송한 상기 교통 정보 제공부가 포함된 키오스크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키오스크의 설치 위치인 제1 초기 위치 및 상기 키오스크가 설치된 실내의 모델링 데이터를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드하고, 상기 모델링 데이터를 실제 건물의 수치 단위로 보정하여 실내 경로 도면을 생성하는 전처리부; 상기 제1 초기 위치를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가장 가까운 다음 노드를 체크 노드로 설정한 뒤, 상기 제1 초기 위치와 상기 체크 노드 사이의 거리 및 이동 방향을 부분 경로 정보로 생성하는 부분 경로 선택부; 상기 유저 단말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 단말의 실시간 이동 거리 및 방향인 유저 이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부분 경로 정보와 상기 유저 이동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체크 노드까지 유저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 경로 안내부; 및 상기 부분 경로 안내부의 기능 수행 결과 상기 체크 노드까지 유저가 이동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경로 상의 상기 체크 노드 다음의 체크 노드에 대한 상기 부분 경로 정보 생성 및 상기 부분 경로 안내부의 기능 수행을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경로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정보 판단부에 의해서 판단된 사용자가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어떤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길안내를 위하여 현재 키오스크 장치의 위치에서 목적 위치까지 생성된 다수의 토폴로지 중 어느 한 토폴로지를 이동 경로로 생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때 교통약자의 종류에 따라서 교통약자가 이용 불가능한 이동 수단이 포함된 경로를 제외하기 때문에, 교통약자가 이용 가능한 교통 수단만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생성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교통약자가 실제로 이용 가능한 길안내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서 교통약자별로 실질적인 길안내 서비스의 이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통약자가 이용 불가능한 목적 위치를 설정한 경우, 비슷한 시설 또는 인접한 위치를 대안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교통약자의 실내 공간의 이용성을 보조하여, 교통약자의 이동 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저 단말에 키오스크에서의 길안내 정보를 전송하고, 유저 단말의 센서를 이용하여 실외에서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들이 실내에서 편리하게 목적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 예 중, 유저 단말 측의 이동 안내부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의 구현에 따라서 키오스크 단말 및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구현에 따라서 실시간 경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 예 중, 유저 단말 측의 이동 안내부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의 구현에 따라서 키오스크 단말 및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구현에 따라서 실시간 경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 다수의 도면이 함께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며, 다수의 도면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불필요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키오스크 장치는, 일정한 장소에 설치 고정되고,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일정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일정한 서비스는 길안내 서비스, 교통 수단, 이동 경로, 지도 등을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키오스크 장치는, 사용자들이 휴대하는 스마트폰, VR/AR 전용 기기, 태블릿 PC 등의 유저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NFC, 블루투스, RFID) 또는 원거리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거나, 외부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 단말 등과 연동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키오스크 장치는, 입출력 수단,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 및 통신 수단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은 상술한 키오스크 장치, 유저 단말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 단말 들로 구성되어 다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거나, 키오스크 장치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포함된 도면 등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은 키오스크 장치 내부에 설치된 구성으로 설명될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1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사용자 정보 판단부(11), 교통 정보 생성부(12) 및 교통 정보 제공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정보 판단부(11)는, 유저 단말(20)과의 통신을 통해 유저 단말(20)로부터 유저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유저가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교통약자에 해당하는 경우 유저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약자 타입 정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유저 단말(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휴대 가능한 모든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일반 휴대 전화 단말, 태블릿 PC, 휴대용 PC, VR/AR 단말 또는 본 발명의 키오스크 장치 등을 통한 길안내 서비스(이하 본 발명의 서비스라 함)를 이용하기 위한 전용 단말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판단부(11)는 유저 단말(20)과의 통신을 통해 유저 타입 정보를 유저 단말(2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때 유저 단말(20)과의 통신은 유저 단말(20)에 포함된 통신 수단 및 키오스크 장치(100)의 통신 수단(104) 등에 따라서 NFC, 블루투스, 비컨, 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 또는 기타 무선 통신 방식 등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판단부(11)는 유저 타입 정보를 유저 단말(20)로부터 수신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키오스크 장치(100)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키오스크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 모듈(101) 등의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이 결합된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거나, 입력 수단과 출력 수단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화면(200)과 같이, 유저가 비교통약자 또는 시각 장애인 등이 아닌 경우, 즉 출력 수단을 통해 시각적인 인식이 가능한 경우, 교통 약자 또는 비교통약자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한 유저 단말(20)을 통한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교통 약자에 해당한다면 어떤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 수단을 통해 직접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저가 시각 장애인 등에 해당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화면(200)을 인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 경우 사용자 정보 판단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20)로부터 유저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유저가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교통 약자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유저 타입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가 어떤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교통약자 타입 정보를 결정하게 된다.
유저 타입 정보는, 유저의 특정 개인 정보로서, 유저가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교통약자에 해당하는 경우 어떤 교통약자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 휠체어 유저, 청각 장애인 등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판단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화면(200) 등을 통한 유저의 직접 입력 또는 유저 단말(20)과의 유저 타입 정보에 대한 공유를 통해 유저가 비교통약자인지 또는 교통약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한편, 유저 타입 정보를 통해서 교통약자에 해당하는 경우 어떤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비교통약자의 경우 일반적인 길안내 서비스와 동일하기 때문에, 교통약자인 경우를 예를 들어 이하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 수행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 정보 판단부(11)는 상술한 사용자에 대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를 결정하는 기능 수행에 더하여, 교통약자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키오스크 장치(100)를 통한 데이터 입력 및 출력 시 교통약자에 맞춤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정보 판단부(11)는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결정되는 경우, 키오스크 장치(100)의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통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되, 교통약자 타입 정보별로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교통 정보 생성부(12) 및 교통 정보 제공부(13)의 기능 수행에 따른 입력 및 출력 방식을 서로 다르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교통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를 구성함은, 예를 들어 입력 및 출력을 위한 화면을 구성 시, 기 구비된 교통약자별 인터페이스 중 유저의 교통약자 타입 정보에 매칭되는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해당 인터페이스의 실행을 통해 수행하도록 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인 경우, 입력 수단은 키오스크 장치(100)에 내장된 마이크로, 출력 수단은 점자 출력(102) 또는 스피커(103) 등의 출력 수단으로 구성되며, 실행 시 보호자를 위한 시각적 출력이 보조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를 화면의 일 종류가 아니라, 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의 구조 및 구성에 따른 시스템의 일 종류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출력 수단에 대해서 점자 출력(102) 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터치 스크린 모듈(101)에 있어서 점자를 2D로 출력하고, 해당 점자 위치에 대해서 유저가 점자를 읽으면서 점자의 형태를 따라 접촉 시 점자의 형태를 제대로 따라서 접촉하는 경우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진동 등을 발생시키는 등의 햅틱(Haptic) 반응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여, 시각 장애인이 터치 스크린 모듈(101)을 터치하면서 2D로 출력되는 점자를 햅틱 반응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키오스크 장치(100)의 키오스크 입력 수단으로부터 목적 위치의 입력을 수신 시, 키오스크 장치(100)의 설치 위치 및 상기 목적 위치 사이의 다수의 노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토폴로지를 후보 이동 경로로 생성하고, 복수의 후보 이동 경로들 중, 교통약자 타입 정보에 따라서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교통 정보는, 키오스크 장치(100)의 이용에 따라서 특정 목적 위치까지 이동을 원하는 것으로 입력을 수신 시 생성되는 실내에서의 길안내 정보를 대표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목적 위치는 상술한 노드에 포함되는 영역으로서, 실내에서 유저들이 이동 또는 식별 가능한 특정 위치를 의미한다. 쇼핑몰을 예로 들면, 예를 들어 특정 매장, 이동 수단, 실외와의 출입문, 실외의 목적지(버스 정류장 등), 특정 보조 시설(안내 데스크, 유모차 대여소 등) 등이 목적 위치가 될 수 있으며, 해당 목적 위치는 노드에 포함될 수 있다.
노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목적 위치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위치 포인트 및 유저가 이동 시 이용 대상이 되는 경로 상의 이동 수단 또는 갈림길 등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하여, 길 안내 시 이동 경로(토폴로지)의 생성을 위한 기준이 되는 각 포인트를 의미한다.
토폴로지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본 발명에서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먼저 출발지인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목적 위치까지의 사이에 존재하는 다수의 노드를 선택하고, 목적 위치까지의 노드에 대한 링크를 파악한 뒤, 노드 각각을 링크로 연결하여 목적 위치까지의 다수의 토폴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다수의 토폴로지를 후보 이동 경로로 생성하게 된다. 이후, 복수의 후보 이동 경로들 중 비교통약자인 경우 최단거리 또는 평균 도보 속도, 후보 이동 경로 들에 설치된 다수의 이동 수단의 이용 시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한 최단시간 등의 기준을 적용하여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목적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로 결정하게 된다.
한편 교통약자인 경우,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교통약자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상술한 후보 이동 경로들 중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목적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교통약자의 경우,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 등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동 경로를 설정 시 해당 이동 수단을 포함하도록 하면 교통약자에게는 쓸모없는 이동 경로가 설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휠체어 이용자 등 이용 가능한 이동 수단이 제한적인 교통약자에 대해서,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이러한 교통약자를 식별할 수 있는 교통약자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이동 경로들 중 이동 경로를 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각 노드로서의 위치 포인트 및 이동 수단 들에는, 해당 위치 포인트 및 이동 수단을 이용하지 못하는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해당 위치 포인트 및 이동 수단을 대표하는 노드의 노드 정보에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때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후보 이동 경로를 비교 시, 후보 이동 경로들 중, 사용자 정보 판단부(11)에 의하여 결정된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이용 불가능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로 설정된 노드 정보가 매칭된 노드를 포함하는 후보 이동 경로를 제외하고, 잔존하는 후보 이동 경로 중 기설정된 이동 경로 결정 알고리즘에 따라서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화면(210)을 참조하면, 두 개 층에 대한 화면이 표시되어 있고, 해당 화면(210)은 키오스크 장치(100)의 출력 수단에 출력될 수 있거나, 출력 수단에 출력되지 않은 가상의 화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1층(1F)에서 사용자가 특정 키오스크(K)에서 목적 위치(D)까지 이동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때, 후보 이동 경로는 점으로 표시된 노드(N)와 점선(최종적으로 결정된 이동 경로의 경우 실선)으로 표시된 링크(L)를 포함하는 토폴로지로서, 계단을 이용하는 경로(T1)과 엘리베이터(E)를 이용하는 경로(T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휠체어 이용자로 인식된 경우,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두 후보 이동 경로(T1, T2) 중, 점선의 계단을 이용하는 경로(T1)를 제외한다. 즉,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 계단 이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이 경우에 T1 경로는 이동 경로 결정 알고리즘을 적용할 후보 이동 경로에서 제외하게 된다. 이때 잔존하는 후보 이동 경로는 T2 경로뿐이기 때문에,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별도로 이동 경로 결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않고 T2 경로를 최종적인 이동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잔존하는 후보 이동 경로가 T2 이외에 다수 존재 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경로 결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최종적인 이동 경로로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동 경로 결정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실내외 길안내 프로그램에서 적용되는 다수의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동 경로 결정 알고리즘은, 교통약자 타입 정보에 따라서 설정된 이동 속도를 이용한 최소 이동 시간 기준, 최소 이동 거리 기준 및 교통약자별 이용 가능한 이동 수단의 횟수 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다수의 후보 이동 경로 중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에 포함된 데이터 처리 플로우를 의미한다.
이때 이동 수단의 횟수는, 교통약자의 경우 편의를 위해서 이용 가능한 이동 수단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게 하거나, 교통약자의 자가 이동이 가능한 경우 이동 수단 이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동 수단을 최소한으로 이용하게 하는 등의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서 파악해야 하는 이동 수단 노드의 포함 횟수를 의미한다.
상술한 고려 요소는 알고리즘에 따라서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고 가중치는 양/음 가중치 및 상대적인 가중치 크기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이동 시간 기준이 최소 거리 기준보다 가중치가 큰 경우, 어떤 후보 이동 경로에 대한 이동 시간에 대해서 가중치가 적용되고, 이동 거리에 대해서 더 큰 가중치가 적용되는 등의 프로세스가 반복되어, 모든 후보 이동 경로에 대해서 누적된 수치가 산출되며, 해당 수치가 가장 크거나 작은 후보 이동 경로가 최종적인 이동 경로로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교통 정보 제공부(13)는, 교통 정보 생성부(12)에 의하여 이동 경로로서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동 경로를 키오스크 장치(100)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 경로를 출력 시 상술한 사용자 정보 판단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 장애인의 경우 터치 스크린 모듈(101) 등을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출력하고, 시각 장애인인 경우 점자 출력 수단(102) 또는 스피커(103) 등을 이용하여 촉각 또는 청각 출력 수단을 활용한 출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교통약자의 경우 목적 위치에 따라서 특정 키오스크 장치(100)에서 이동 수단의 제한에 따라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 특정 키오스크 장치(100)의 설치 위치에서 특정 목적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데, 모든 후보 이동 경로 상에 계단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목적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해당 목적 위치에 인접한 위치 또는 목적 위치와 동일/유사한 목적 위치를 대안적인 목적 위치로 설정하여 유저에게 안내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이동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기능 수행 도중, 후보 이동 경로들 중, 결정된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이용 불가능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로 설정된 노드 정보가 매칭된 노드를 포함하는 후보 이동 경로를 제외한 결과 잔존하는 후보 이동 경로가 없는 경우 이동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정보인 이동 불가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교통 정보 제공부(13)는, 교통 정보 생성부(12)로부터 이동 불가 정보를 수신 시, 키오스크 장치(100)의 출력 수단을 통해 목적 위치까지 이동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들은, 자신이 입력한 목적 위치까지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즉시 인지하여, 다른 목적 위치를 검색하는 등의 행위를 제안받을 수 있어, 안정적인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이외에, 대안적인 목적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후보 이동 경로들 중, 결정된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이용 불가능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로 설정된 노드 정보가 매칭된 노드를 포함하는 후보 이동 경로를 제외한 결과 잔존하는 후보 이동 경로가 없는 경우 목적 위치에 인접한 상기 위치 포인트들 중, 토폴로지 생성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위치 포인트를 대안 목적 위치로 설정하고, 대안 목적 위치에 대한 이동 경로를 결정하게 된다. 즉 이 경우, 목적 위치가 특정 시설 등이 아니고 유저가 이동하기 원하는 곳에 해당하는 경우 적합한 실시예로서, 목적 위치에 인접한 어느 위치로 유저가 이동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와 달리,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예를 들어 유저가 입력한 목적 위치가 특정 기능 이용을 위한 목적 위치(특정 물품 판매 매장, 화장실 등)인 경우, 인접한 위치를 대안 목적 위치로 설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즉 이 경우,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잔존한 후보 이동 경로가 없는 경우, 다수의 목적 위치로 선택 가능한 포인트들 중, 유저가 입력한 목적 위치와 동일/유사한 시설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상술한 대안 목적 위치로 설정하고, 이들 목적 위치에 대해서 상술한 이동 경로 결정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이동 경로 결정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한 예를 위해서 도 5 및 6을 함께 참조하면, 도 5의 화면(220)에서는 이동 불가 정보가 문자 정보로 출력되는 동시에 인접한 대안 목적 위치(D2)를 함께 출력하고 이에 대한 이동 경로 안내 여부를 질의하여, 유저의 선택에 따라서 교통 정보 제공부(13)의 기능 수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도 6의 화면(230)에서는 이동 불가 정보가 문자 정보로 출력되는 동시에, 특정 목적 위치와 기능 및 목적이 동일/유사한 대안 목적 위치(D3)를 함께 출력하고 이에 대한 이동 경로 안내 여부를 질의하여, 유저의 선택에 따라서 교통 정보 제공부(13)의 기능 수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도 5 및 6과 같이, 대안 목적 위치가 결정되는 경우에, 교통 정보 제공부(13)는, 대안 목적 위치에 대한 이동 경로가 결정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목적 위치까지 이동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정보 및 대안 목적 위치에 대한 이동 경로를 안내할지 여부를 묻는 질의 정보를 키오스크 장치(100)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유저의 입력에 따라서 목적 위치가 기존에 데이터베이스(30) 등에 저장되어 목적 위치로서 선택 가능한 상술한 위치 포인트 이외의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임시 토폴로지 생성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해당 위치 포인트(목적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해서, 교통 정보 생성부(12)는, 목적 위치의 입력에 포함된 목적 위치가 위치 포인트로 저장된 노드 이외의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목적 위치에 임시 포인트인 제1 노드를 생성하고, 임시 포인트에 가장 인접된 기존의 위치 포인트 또는 노드인 제2 노드를 선택한 뒤, 선택된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의 토폴로지인 제1 토폴로지를 생성하고, 키오스크 장치(100)의 설치 위치와 제2 노드 사이의 토폴로지인 제2 토폴로지를 생성한 뒤, 제1 토폴로지 및 제2 토폴로지에 각각에 이동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택된 하나의 각각의 제1 토폴로지 및 제2 토폴로지를 결합하여 이동 경로를 결정하게 되거나, 각 제1 토폴로지와 제2 토폴로지의 결합들을 각각의 상술한 후보 이동 경로로 생성한 뒤, 이에 이동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종적인 이동 경로를 결정하게 된다.
이 경우 상술한 제1 노드는 이동 경로 결정 및 제공 후 삭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노드에 대한 유저들의 이용이 다수 포착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0)에 제1 노드를 새로운 기존 노드에 추가하도록 하여, 임시 포인트 생성 등의 프로세스를 유저들의 이용에 따라서 최소화하여 구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교통 정보 제공부(13)에 의하여 길안내 정보 또는 이 이외의 부가적인 지도 정보 등의 교통 정보를 제공 시 실내외의 정보를 적절하게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유저들의 공간 인지를 보조할 수 있다.
즉, 지하 등의 실내 공간에서 유저들이 공간을 인지하는 것이 어려운 점은 해당 공간이 실외 또는 지상의 어느 지점인지 알기 어렵다는 점인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실외 공간의 정보를 제공하여 실내외 통합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장치(100)가 설치되는 지하철, 지하상가 공간, 건물 등의 경우 지상 또는 실외 공간으로 연결되는 출구가 있으며, 해당 출구는 다른 건물 또는 실외로 이어지게 된다. 이때, 목적 위치가 다른 건물, 실외의 특정 위치 또는 상술한 출구 자체인 경우, 출구, 연결통로 등을 찾아서 제공하는 것 및 실내외의 정보를 정합하여 인지가 용이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교통 정보 제공부(13)는 키오스크 장치(100)를 통해 교통 정보를 제공 시, 실내 공간의 지도 위에 실외 지도를 레이어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상가 지도 위에 반투명 레이어로 지상의 지도를 적층하고, 주요 건물 정보도 함께 제공하거나, 실외 지도가 가시화된 상태에서 실내의 현재의 위치 등을 반투명 등으로 가시화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도 자체를 3D로 구성하여, 키오스크 장치(100)의 입력 수단 등을 통해서 확대, 축소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더욱 직관적으로 교통 정보를 유저들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이동 경로를 충분히 인지하고 이를 암기하여 목적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교통 정보 제공부(13)는, 상술한 바와 유사한 유저 단말(20)과의 통신을 통해, 이동 경로를 유저 단말(20)에 전송하되, 유저 단말(20)에서 실행 가능한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포맷으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이동 경로의 안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유저 단말(20)에서 포털 등에서 제공하는 실내의 지도 서비스를 상술한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으로 가정할 수 있으며, 이때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에 길안내 서비스가 포함된 경우 해당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포맷으로 설정하는 등의 프로세스를 진행하거나, 길안내 서비스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Add-On 방식 등을 이용하여 해당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에 길안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뒤, 이에 대한 포맷을 적용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상술한 유저 단말(20)과의 연동을 통한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실외의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유저의 이동 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가 제대로 이동하는지 여부 및 유저가 현재 위치에서 이동해야 하는 거리 및 방향 등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유저 단말(20)에는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의 실행 중, 유저 단말(20)에 포함된 단말의 속도 및 방향을 계측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 뒤,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 단말(20)의 이동 거리 및 방향을 연산한 결과를 이동 경로에 적용하여, 유저의 이동 경로 상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부(14)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유저 단말(20)이 VR 기기인 경우에는 3D 지도를 360도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지기능이 낮은 노인, 지적장애인도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하여 더욱 그 이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장애인 등의 교통약자의 경우, 길찾기 도중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변화 등을 경고 신호 등으로 포착하여 제공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화면(240)을 참조하면, 유저는 유저 단말(20)에 출력되는 화면(240)을 통해 기존의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에 Add-On되어 상술한 이동 안내부(14)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242)를 파악할 수 있고, 이동 경로(T3)에 대한 정보 및 각 노드(N1, N2)를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길안내에 관련된 안내 정보(243)를 확인하여, 실내에서도 편리하게 자신의 위치(242)를 파악하면서 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이동 안내부(14)는 실시간으로 유저의 위치 및 이동 등을 계측하여 이동 경로에 적용해야 한다. 실내에서의 위치 파악은 GPS 신호 수신의 불가 등으로 GPS 모듈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wi-fi 신호 수신 감도를 이용한 삼각 측량 역시, wi-fi 단말의 설치 여부에 따라서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유저 단말(20)에 현재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단말의 속도 및 방향을 계측하기 위한 센서들로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유저 단말(20)의 이동 거리 및 방향을 대략적으로라도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안내부(14)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부(141), 부분 경로 선택부(142), 부분 경로 안내부(143) 및 경로 안내부(1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처리부(141)는, 이동 경로를 전송한 교통 정보 제공부(13)가 포함된 키오스크(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키오스크(100)의 설치 위치인 제1 초기 위치(K) 및 키오스크(100)가 설치된 실내의 모델링 데이터를 외부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로드하고, 모델링 데이터를 실제 건물의 수치 단위로 보정하여 실내 경로 도면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내 경로 도면은 이후 이동 경로가 적용되어 이동의 파악 및 길안내에 사용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언급되지 않을 것이나, 이동 경로에 특정 거리 및 방향을 적용시 당연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후, 부분 경로 선택부(142)는 제1 초기 위치(K)를 유저 단말(20)의 위치로 결정하는 등의 초기화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제1 초기 위치(K)로부터 이동 경로 상의 가장 가까운 다음 노드(CP5)를 체크 노드로 설정한 뒤, 제1 초기 위치(K)와 체크 노드 사이의 거리 및 이동 방향을 부분 경로 정보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초기화 프로세스는 유저 단말(20)의 방향이 해당 위치에서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자이로 센서 등의 정확한 기능 수행을 위해서 초기화 프로세스 시의 제1 초기 위치(K)를 원점으로 하는 좌표 생성 시의 원점, X축 및 Y축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 진행된다.
이때 부분 경로 정보는, 초기화 프로세스를 통해서, 제1 초기 위치(K)를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를 설정하고, 이로부터 다음 노드(CP5)에 대한 벡터 정보(V2)를 이용하여, V2를 상술한 실내 경로 도면에 적용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분 경로 안내부(143)는, 유저 단말(20)의 센서 모듈(21)로부터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 단말(20)의 실시간 이동 거리 및 방향을 포함하는 벡터값인 유저 이동 정보(V1)를 생성하고, 부분 경로 정보와 유저 이동 정보를(V1)를 비교하여 체크 노드까지 경로(VA)에 대한 유저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경로 안내부(144)는 부분 경로 안내부(143)의 기능 수행 결과 체크 노드까지 유저가 이동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경로(T4) 상의 체크 노드 다음의 체크 노드(CP4, CP3, CP2)에 대한 부분 경로(V2 ~ V3, V3 ~ V4, V4 ~ V5 사이의 일점 쇄선)에 대한 부분 경로 선택부(142)의 기능 수행을 통한 부분 경로의 정보 생성 및 부분 경로 안내부(143)의 기능 수행을 반복하도록 제어하여, 부분 경로 생성부(142) 및 부분 경로 안내부(143)의 기능 수행 반복에 따라서 전체적인 목적 위치에 해당하는 체크 노드(CP2)까지의 경로 안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부분 경로 선택부(142)의 기능 수행 중, 원점이 아닌 체크 노드에 대해서는 제1 초기 위치가 아닌 해당 체크 노드, 즉 유저가 이미 통과하거나 현재 위치된 체크 노드에 대한 제1 초기 위치(K)를 기준으로 한 벡터값을 그 다음의 체크 노드의 벡터값과 비교 연산하여 부분 경로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계측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GPS 모듈의 기능 수행이 불가능한 실내에서도, 대략적으로라도 유저의 이동을 기존 실외 길안내 서비스와 유사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가 실내에서 효율적으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동 안내부(14)는 상술한 실내에서의 이동 안내를 보조하는 동시에,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 시, 교통약자가 근접한 키오스크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 시 상술한 바와 같이 GPS 모듈 등의 기능 수행이 중단될 수 있다. 유저 단말(20)의 이동 안내부(14)는 유저 단말(20)의 GPS 모듈 등과 연동되어, GPS 모듈이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을 감지 시, 수신이 중단된 위치를 최종 유저 단말(20)의 위치 정보로 임시 저장한다.
이후, 상술한 전처리부(141) 내지 부분 경로 안내부(143)의 기능을 수행하되, 초기 위치를 상술한 수신이 중단된 위치로, 최종 목적 위치를 실내 경로 도면 상의 가장 인접한 키오스크의 위치로 설정한 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여, 유저에게 가장 인접된 키오스크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교통약자,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의 경우, 키오스크 자체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유저 단말을 통한 직접적인 키오스크의 위치 안내를 통해 유저들이 빠르게 키오스크를 통해서 실내의 경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유저가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교통약자에 해당하는 경우 유저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약자 타입 정보를 결정하는 사용자 정보 판단부;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키오스크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제1 목적 위치의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설치 위치 및 상기 제1 목적 위치 사이의 다수의 노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토폴로지를 후보 이동 경로로 생성하고, 복수의 후보 이동 경로들 중,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에 따라서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교통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결정된 이동 경로를 키오스크 장치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교통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키오스크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목적 위치가 기존의 위치 포인트로 저장된 노드 이외의 제2 목적 위치인 경우, 상기 제2 목적 위치에 임시 위치 포인트인 제1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임시 위치 포인트에 가장 인접된 기존 위치 포인트 또는 기존 노드에 포함된 제2 노드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토폴로지인 제1 토폴로지를 생성하고,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설치 위치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토폴로지인 제2 토폴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토폴로지 및 상기 제2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후보 이동 경로를 생성하되,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키오스크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노드에 대응되는 임시 위치 포인트를 선택하는 입력이 다수 수신되는 경우, 상기 교통 정보 제공부에 의해 상기 기존 노드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판단부는,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입력 수단 및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통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되,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별로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교통 정보 제공부의 기능 수행에 따른 입력 및 출력 방식을 서로 다르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노드는, 목적 위치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위치 포인트 및 유저가 이동 시 이용 대상이 되는 경로 상의 이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존 위치 포인트 및 상기 이동 수단에 대해서 이용 불가능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기존 노드 정보에 매칭되어 있고,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후보 이동 경로들 중,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상기 이용 불가능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로 설정된 기존 노드 정보가 매칭된 기존 노드를 포함하는 후보 이동 경로를 제외하고, 잔존하는 후보 이동 경로 중 기설정된 이동 경로 결정 알고리즘에 따라서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결정 알고리즘은,
    교통약자 타입 정보에 따라서 설정된 이동 속도를 이용한 최소 이동 시간 기준, 최소 이동 거리 기준 및 교통약자별 이용 가능한 이동 수단의 횟수 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다수의 후보 이동 경로 중 어느 한 후보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후보 이동 경로들 중,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상기 이용 불가능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로 설정된 기존 노드 정보가 매칭된 기존 노드를 포함하는 후보 이동 경로를 제외한 결과 잔존하는 후보 이동 경로가 없는 경우 이동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정보인 이동 불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통 정보 제공부는,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로부터 상기 이동 불가 정보를 수신 시,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출력 수단을 통해 상기 목적 위치까지 이동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생성부는,
    상기 후보 이동 경로들 중, 상기 교통약자 타입 정보가 상기 이용 불가능한 교통약자 타입 정보로 설정된 기존 노드 정보가 매칭된 기존 노드를 포함하는 후보 이동 경로를 제외한 결과 잔존하는 후보 이동 경로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목적 위치에 인접한 상기 위치 포인트들 중, 새로운 토폴로지인 제3 토폴로지의 생성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위치 포인트를 대안 목적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대안 목적 위치에 대한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교통 정보 제공부는,
    상기 대안 목적 위치에 대한 이동 경로가 결정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1 목적 위치까지 이동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정보 및 상기 대안 목적 위치에 대한 이동 경로를 안내할지 여부를 묻는 질의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제공부는,
    상기 유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경로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전송하되, 상기 유저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포맷으로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이동 경로의 안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교통 정보 제공 프로그램의 실행 중, 유저 단말에 포함된 단말의 속도 및 방향을 계측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 뒤,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 단말의 이동 거리 및 방향을 연산한 결과를 상기 이동 경로에 적용하여, 유저의 이동 경로 상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이동 경로를 전송한 상기 교통 정보 제공부가 포함된 키오스크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키오스크의 설치 위치인 제1 초기 위치 및 상기 키오스크가 설치된 실내의 모델링 데이터를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드하고, 상기 모델링 데이터를 실제 건물의 수치 단위로 보정하여 실내 경로 도면을 생성하는 전처리부;
    상기 제1 초기 위치를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가장 가까운 다음 노드를 체크 노드로 설정한 뒤, 상기 제1 초기 위치와 상기 체크 노드 사이의 거리 및 이동 방향을 부분 경로 정보로 생성하는 부분 경로 선택부;
    상기 유저 단말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 단말의 실시간 이동 거리 및 방향인 유저 이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부분 경로 정보와 상기 유저 이동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체크 노드까지 유저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 경로 안내부; 및
    상기 부분 경로 안내부의 기능 수행 결과 상기 체크 노드까지 유저가 이동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경로 상의 상기 체크 노드 다음의 체크 노드에 대한 상기 부분 경로 정보 생성 및 상기 부분 경로 안내부의 기능 수행을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경로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KR1020190177641A 2019-12-30 2019-12-30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KR10236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41A KR102367424B1 (ko) 2019-12-30 2019-12-30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41A KR102367424B1 (ko) 2019-12-30 2019-12-30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031A KR20210085031A (ko) 2021-07-08
KR102367424B1 true KR102367424B1 (ko) 2022-02-24

Family

ID=7689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641A KR102367424B1 (ko) 2019-12-30 2019-12-30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4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4481A1 (en) * 2021-02-11 2022-08-11 Surgical Thea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KR102487037B1 (ko) 2022-07-22 2023-01-11 (주)휴먼케어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13020B (zh) * 2023-05-22 2023-08-18 合肥工业大学 一种用于医疗服务的智能化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191A (ja) * 2001-10-12 2003-04-23 Zenrin Co Ltd 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経路探索装置
KR100846299B1 (ko) * 2007-04-12 2008-07-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9733B1 (ko) * 2011-12-02 2013-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외 겸용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84A (ko) * 2014-07-02 2016-01-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보행자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KR20190128608A (ko) * 2019-10-29 2019-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191A (ja) * 2001-10-12 2003-04-23 Zenrin Co Ltd 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経路探索装置
KR100846299B1 (ko) * 2007-04-12 2008-07-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9733B1 (ko) * 2011-12-02 2013-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외 겸용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4481A1 (en) * 2021-02-11 2022-08-11 Surgical Thea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KR102487037B1 (ko) 2022-07-22 2023-01-11 (주)휴먼케어 교통약자용 실내 길 안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031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424B1 (ko)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Kim et al. Navigating visually impaired travelers in a large train station using smartphone and bluetooth low energy
Fallah et al. Indoor human navigation systems: A survey
US10422645B2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indoor navigation and method thereof
Bekkelien et al. Bluetooth indoor positioning
TWI500003B (zh) 基於虛擬地標之定位及地圖繪製技術
KR101460260B1 (ko) 장치 위치들에 대한 포지션 표시 제어
JP2017536784A (ja) 屋内測位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961804B2 (ja) ロボット案内システム
Flores et al. Easy return: an app for indoor backtracking assistance
KR101755785B1 (ko) 줌 제어를 수행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19591A (ko)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의 공간정보 설정 및 활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Árvai Mobile phone based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VUK—Visionless supporting frameworK
KR102442267B1 (ko) 태그기반 경로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135315B1 (ko) IoT 기반의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Chippendale et al. Personal shopping assistance and navigator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20190318624A1 (en) Boarding information guiding system and method, and procedur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Chen et al. Mobile crowdsourced guiding and finding with precise target positioning based on Internet-of-Things localization
Motta et al. Overview of smart white canes: connected smart cane from front end to back end
Muñoz et al. An assistive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multi-floor environments
Dias et al. Future directions in indoor navigation technology for blind travelers
KR102555924B1 (ko) 증강현실 뷰를 사용하는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JP2019144025A (ja) 位置特定方法、位置特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45296B1 (ko)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US20230417554A1 (en) Guide display control apparatus, guid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oute gui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