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523A - 보행 유형을 고려한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보행 유형을 고려한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523A
KR20190066523A KR1020180028867A KR20180028867A KR20190066523A KR 20190066523 A KR20190066523 A KR 20190066523A KR 1020180028867 A KR1020180028867 A KR 1020180028867A KR 20180028867 A KR20180028867 A KR 20180028867A KR 20190066523 A KR20190066523 A KR 20190066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user
route
guidanc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6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3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a camera or code reader, e.g. for optical or magnetic c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Abstract

보행 유형을 고려한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연속된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을 기반으로 상기 경로 안내 데이터에 상응하는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Description

보행 유형을 고려한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FOR DIRECTING PERSONAL ROUTE CONSIDERING WALK TYP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인화 경로 안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인, 시각장애인, 일시적 상해자, 노인 및 임산부 등 다양한 보행자들 각각의 보행 유형을 고려하여 맞춤형 보행 안내 및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IT 기술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환경을 통해 사용자 요청에 대해 신속한 기능 제공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범위의 제한도 없어졌다. 이는, 일반인 누구나 범용을 위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들이 상호 기여하며 사용하는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최근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유익한 기능으로는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한 차량 경로 안내나 택시 연결 서비스가 있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차량을 이용한 이동 이외에도, 대형 상점이나 타지 이동을 위해서 넓은 실내 공간에서의 보행 안내가 필요한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인이 처음 가는 지역에서는 교통 역사, 정거장, 상가와 같은 이동 공간에서 보행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상세한 안내가 필요하며, 시각장애인, 일시적 상해자, 노인, 임산부 등의 교통 약자는 환승 구역을 포함하여 출입구 위주의 최단 거리 안내를 더욱 필요로 한다. 이 때, 시각장애인을 위해 보행 도로 상에 유도 블록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유도 블록은 직각 이동에 의한 원거리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보행을 유도하므로 육체적 피로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교통 약자들은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 등의 편의시설을 최대한 이용하면서 화장실이나 출구까지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스마트 단말의 센서를 기반으로 구축한 서버 정보와의 연동으로 일반인을 위한 위치정확도 향상에 기여하고, 또한 장애인을 위한 모든 수단이 동원된 기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일반인과 장애인 혹은 노약자의 생활 공간이 유리되어 있고, 그 간극이 좁혀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대국민 복지 개선 차원으로 해결되어야 하지만 부족한 예산을 해결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다. 스마트 단말 응용 프로그램도 소수의 제한적 사용에 그치면서 낭비적인 요소가 크므로, 이용자 누구나 정보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구조에서 서비스를 위한 기본 정보가 수집되고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특정 이용자의 요구사항과 보편적인 요구사항에 대해 최대한 수용이 가능하면서 기기 환경도 그에 따른 조합으로 구성되는 확장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5-0135633호, 2015년 12월 3일 공개(명칭: 보행자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외의 모든 공간에서 사용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원활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보행자들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의 경로 지원을 통해 경제성, 공공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을 통해 구축된 최신의 정보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고 저가의 유지보수가 가능한 공공 교통 관련 시설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장애인, 일시적 상해자, 노인 및 임산부와 같은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도 블록을 대체함으로써 유도 블록의 설치를 위한 예산을 절감하고 보행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단말을 활용하여 범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편적인 복지 달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연속된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을 기반으로 상기 경로 안내 데이터에 상응하는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은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로 보행하는 제1 유형 및 목적지까지 최소 걸음으로 보행하는 제2 유형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로를 검색하여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이동해야 하는 제1 보행거리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함으로써 단축되는 제2 보행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보행 편의시설에 의한 경로를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로 이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생성하는 단계는 기생성된 보행 환경 맵을 기반으로 상기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보행 환경 맵은 기설정된 업데이트 주기마다 상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보행 상황을 고려하여 장애물 주의 안내, 보행 편의시설에 대한 진입 오류 안내 및 경로 이탈 안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보행 상황에 상응하는 영상에 포함된 장애물, 보행 안내 표지판 및 경로 안내 표지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게 상기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 및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공 방식을 고려하여 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공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연속된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을 기반으로 상기 경로 안내 데이터에 상응하는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보행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는 상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은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로 보행하는 제1 유형 및 목적지까지 최소 걸음으로 보행하는 제2 유형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로를 검색하여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이동해야 하는 제1 보행거리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함으로써 단축되는 제2 보행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보행 편의시설에 의한 경로를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로 이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기생성된 보행 환경 맵을 기반으로 상기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보행 환경 맵은 기설정된 업데이트 주기마다 상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보행 상황을 고려하여 장애물 주의 안내, 보행 편의시설에 대한 진입 오류 안내 및 경로 이탈 안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간 보행 상황에 상응하는 영상에 포함된 장애물, 보행 안내 표지판 및 경로 안내 표지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게 상기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 및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공 방식을 고려하여 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공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외의 모든 공간에서 사용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원활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보행자들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의 경로 지원을 통해 경제성, 공공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을 통해 구축된 최신의 정보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고 저가의 유지보수가 가능한 공공 교통 관련 시설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 일시적 상해자, 노인 및 임산부와 같은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도 블록을 대체함으로써 유도 블록의 설치를 위한 예산을 절감하고 보행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단말을 활용하여 범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편적인 복지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유도 블록으로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유도 블록과 상관없이 최단 거리로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계단과 경사면을 고려하여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보행 편의시설을 시용하는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생성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간 보행 상황에서 장애물을 인식하여 장애물 주의 안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간 보행 상황에서 보행 안내 표지판을 인식하여 보행 편의시설에 대한 진입 오류 안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간 보행 환경에서 경로 안내 표지판을 인식하여 이탈 안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간 보행 환경을 기반으로 인식된 실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서버의 상세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이동 경로 안내 방법 중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제2 유형일 경우에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시스템은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120-1~120-N)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교통 약자는 사회적 약자이자 경제적 약자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고령화 시대 또는 장애인의 관점에서도 이동권을 향상시키는 것은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사항에 해당한다. 가령, 시각 장애인의 경우, 보행을 위한 유도 블록을 따르면 자주적이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최단거리가 아니므로 이동에 따른 소요시간이 길어지고 체력 소모가 많게 되어 활동성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유도 블록의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상의 사회적 부담이 가중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도 블록은 실제로 단절되는 부분이 많아서 시각 장애인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보행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보행 시 가장 복잡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지하철과 환승역 등에서는 일반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지하 공간으로의 이동은 깊이나 계단, 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의 방향성과 길이, 엘리베이터의 위치와 고장 여부 등에 따라 장애인이나 노약자에게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일반인의 경우에도 수하물이 있는 경우에는 계단으로 이동이 가능하더라도 에스컬레이터 또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필요할 수 있고, 특히 화장실과 같은 공공시설은 반드시 유효한 시간 내에 도착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지하철과 같은 공간에서는 오르내림의 거리에 따라 이동 시간이 매우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인과 교통 약자가 느끼는 피로감은 큰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인과 교통약자 모두가 지하철과 같이 보행이 복잡한 공간에서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경로 안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서버(11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120, 120-1~120-N)과의 데이터통신을 기반으로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개인화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10)는 많은 개인 소유의 스마트 단말 혹은 착용형 단말을 기반으로 구축된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로 개인화된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에 구비된 다양한 출력 수단을 통해 개인화된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 오류를 줄일 수 있고,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연속된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기생성된 보행 환경 맵을 기반으로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되, 보행 환경 맵은 기설정된 업데이트 주기마다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을 기반으로 경로 안내 데이터에 상응하는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한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120-1~120-N)로부터 수신되는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은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로 보행하는 제1 유형 및 목적지까지 최소 걸음으로 보행하는 제2 유형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로를 검색하여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이동해야 하는 제1 보행거리와 사용자가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함으로써 단축되는 제2 보행거리를 고려하여 보행 편의시설에 의한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이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보행 상황을 고려하여 장애물 주의 안내, 보행 편의시설에 대한 진입 오류 안내 및 경로 이탈 안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2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보행 상황에 상응하는 영상에 포함된 장애물, 보행 안내 표지판 및 경로 안내 표지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게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 및 안내 메시지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공 방식을 고려하여 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제공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 및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120-1~120-N)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서버(110)와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서버(110)와 사용자 단말(120) 또는 서버(110)와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120-1~1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연속된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한다(S210).
이 때, 연속된 경로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중간에 단절되는 부분이 없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의 경로 안내를 위한 유도 블록의 경우에는 중간중간 단절된 부분이 많고, 모든 보행 도로에 설치하기에는 설치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기차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 역사에 위치하는 촉지 안내도의 경우에는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공공 장소에 설치된 음성 안내의 경우에도 주변 소음이나 음성 재생 속도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내용을 인지하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도 블록의 설치비용을 절약하면서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 연속된 경로를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때, 목적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는 개인화 경로 안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목적지를 입력함으로써 서버가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맵을 기반으로 한 터치 입력, 음성 입력, 텍스트 입력 등을 통해 목적지를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기생성된 보행 환경 맵을 기반으로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되, 보행 환경 맵은 기설정된 업데이트 주기마다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때, 보행 환경 맵은 사용자의 보행 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도 정보, 도로 정보는 물론이고, 보행에 도움이 되는 보행 편의시설과 보행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최초의 보행 환경 맵은 종래의 맵 기술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활용하거나, 다양한 수집 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도 있다.
이 때, 보행 환경 맵을 업데이트를 위해 사용되는 보행 환경 정보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것으로, 보행 환경 맵에 포함된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환경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과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에 상응하게 수신될 수 있고, 영상에 포함된 경로, 편의시설, 장애물 등의 정보가 GPS 상 위치에 적용되어 보행 환경 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때, 업데이트 주기는 서버의 성능에 상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고성능의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업데이트 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함으로써 보행 환경 맵이 가능한 최신의 정보로써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서버의 성능이 낮은 경우에는 업데이트에 의한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라도 업데이트 주기를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업데이트 주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담당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및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을 기반으로 경로 안내 데이터에 상응하는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220).
이 때, 경로 안내 데이터가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한 경로 자체를 의미한다면, 개인화 이동 경로는 세분화된 경로 내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보행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집까지 이동하기 위해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경로 안내 데이터는 지도 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집까지의 경로를 선으로 보여주는 수준에 해당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화 이동 경로는 사용자가 현재 서있는 곳에서 어느 방향으로 걸음을 옮겨야 하는지 또는 어느 방향으로 회전해서 얼만큼 걸어야하는 지와 같이 세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 이동 경로는 의미 그대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맞춤식으로 생성된 이동 경로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은 교통 약자에게는 많이 걷지 않고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써 제공할 수 있고, 일반인에게는 좀 더 많이 걷더라도 빨리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는 단순히 길에 대한 정보 이외에도 보행 편의시설이나 장애물, 방해물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보행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환경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보행하면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하는 영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수집될 수 있다. 이 때, 영상에 촬영된 인도 및 도로와 같은 길 정보나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엘리베이터와 같은 보행 편의시설 및 보행을 방해하는 장애물 등을 인식하여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써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환경 정보로 수신된 영상을 통해 새롭게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가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의 보행 유형에 따라 해당 시설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은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로 보행하는 제1 유형 및 목적지까지 최소 걸음으로 보행하는 제2 유형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최단 거리는 경로를 이동할 때 가장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선에 따른 이동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유도 블록(300)을 따라 보행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도 블록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적인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들은 일반인들보다 더 긴 거리를 돌아서 이동하게 된다. 즉, 유도 블록에 의한 보행 거리는 최단 거리가 아니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단 거리 이동 경로(4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최단 거리 이동 경로(41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유도 블록(300, 400)이 없는 장소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최소 걸음은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한 최소 걸음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에서 환승을 하는 경우에 계단을 통해 최단 거리로 이동할 수도 있지만,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이동할 수도 있다. 이 때, 거리상으로는 계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겠지만, 실제로 사용자의 걸음 수를 고려하였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걸음 수를 단축시킬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 이외에도 사용자의 선호 정보에 따라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경로 상에 계단(510)과 경사면(520)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계단(510)과 경사면(520) 중에서 어느 경로를 더 선호하는지 판단하여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계단(510)이 아닌 경사면(520)을 이용하도록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로를 검색하여 개인화 이동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제2 유형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서 개인화 이동 경로를 요청한 경우에는 평지나 계단을 이용해야 하는 직접 도보 경로(610, 710)보다는 무빙워크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보행 편의시설 이용 경로(620)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최대한 걷지 않고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이동해야 하는 제1 보행거리와 사용자가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함으로써 단축되는 제2 보행거리를 고려하여 보행 편의시설에 의한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이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건물의 구조를 고려한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목적지를 향한 방향이 아니더라도 엘리베이터가 구비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리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제1 보행거리와 엘리베이터를 탑승함으로 인해서 단축된 제2 보행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제1 보행거리가 제2 보행거리를 초과한다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고 판단되므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는 경로로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행거리가 제2 보행거리를 초과하지는 않지만, 그 차이가 없거나 매우 적은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는 경로로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보행 상황을 고려하여 장애물 주의 안내, 보행 편의시설에 대한 진입 오류 안내 및 경로 이탈 안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보행 상황에 상응하는 영상에 포함된 장애물, 보행 안내 표지판 및 경로 안내 표지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게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실시간 보행 상황을 통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영상을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시각장애인이 장애물(800)과 충돌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장애물 주의 안내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해 줄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보행 상황을 통해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영상을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시각장애인은 보행 안내 표지판(900, 1010)을 확인하지 못하고 잘못된 곳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진입 오류 안내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실시간 보행 상황을 통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영상을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면, 각각의 영상에 포함된 경로 안내 표지판(1100, 1210, 1220, 1300)을 기반으로 시각장애인이 목적지에 맞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잘못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면, 경로 이탈 안내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해 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제대로 된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보행 상황을 통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설 수리나 공사로 인해 설치된 펜스나 가림막도 장애물(1400)로 인식하고, 이를 회피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와 함께 장애물(1400)을 회피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최단 거리 이동 경로(1410)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간 보행 상황을 통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설 안내 표지판(1500)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정보와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간 보행 상황을 획득한 경우, 사용자에게 화장실을 이용할지 여부를 질의하여 화장실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다. 이 때, 시설 안내 표지판(1500)은 공공 시설에 대한 안내 표지판에 상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용 여부를 질의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 및 안내 메시지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공 방식을 고려하여 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이나 텍스트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에션에 연동된 카메라로 현재 위치를 촬영하는 경우에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화 이동 경로 또는 안내 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음성으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의 형태로 개인화 이동 경로 또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과 연동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개인화 이동 경로 또는 안내 메시지를 보여줄 수도 있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 및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는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향후 개발 가능한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값에 상응하게 제공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한 특정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은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개인화 경로 안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에게 경로 안내 데이터 및 개인화 이동 경로를 전달하고 보행 환경 정보 또는 실시간 보행 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를 위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별도의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교통약자들의 이동 연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 단말의 센서와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함으로써 범국민적 복지 관점에서 지역 접근성과 유동성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실시간성 정보를 수집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신뢰도 높은 개인화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통신부(1610), 프로세서(1620) 및 메모리(1630)를 포함한다.
통신부(16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개인화 경로 안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610)는 사용자 단말에게 경로 안내 데이터 및 개인화 이동 경로를 전달하고 보행 환경 정보 또는 실시간 보행 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62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연속된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연속된 경로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중간에 단절되는 부분이 없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의 경로 안내를 위한 유도 블록의 경우에는 중간중간 단절된 부분이 많고, 모든 보행 도로에 설치하기에는 설치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기차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 역사에 위치하는 촉지 안내도의 경우에는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공공 장소에 설치된 음성 안내의 경우에도 주변 소음이나 음성 재생 속도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내용을 인지하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도 블록의 설치비용을 절약하면서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 연속된 경로를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때, 목적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는 개인화 경로 안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목적지를 입력함으로써 서버가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맵을 기반으로 한 터치 입력, 음성 입력, 텍스트 입력 등을 통해 목적지를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기생성된 보행 환경 맵을 기반으로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되, 보행 환경 맵은 기설정된 업데이트 주기마다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때, 보행 환경 맵은 사용자의 보행 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도 정보, 도로 정보는 물론이고, 보행에 도움이 되는 보행 편의시설과 보행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최초의 보행 환경 맵은 종래의 맵 기술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활용하거나, 다양한 수집 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도 있다.
이 때, 보행 환경 맵을 업데이트를 위해 사용되는 보행 환경 정보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것으로, 보행 환경 맵에 포함된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환경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과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에 상응하게 수신될 수 있고, 영상에 포함된 경로, 편의시설, 장애물 등의 정보가 GPS 상 위치에 적용되어 보행 환경 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때, 업데이트 주기는 서버의 성능에 상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고성능의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업데이트 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함으로써 보행 환경 맵이 가능한 최신의 정보로써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서버의 성능이 낮은 경우에는 업데이트에 의한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라도 업데이트 주기를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업데이트 주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담당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및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620)는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을 기반으로 경로 안내 데이터에 상응하는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이 때, 경로 안내 데이터가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한 경로 자체를 의미한다면, 개인화 이동 경로는 세분화된 경로 내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보행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집까지 이동하기 위해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경로 안내 데이터는 지도 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집까지의 경로를 선으로 보여주는 수준에 해당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화 이동 경로는 사용자가 현재 서있는 곳에서 어느 방향으로 걸음을 옮겨야 하는지 또는 어느 방향으로 회전해서 얼만큼 걸어야 하는 지와 같이 세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 이동 경로는 의미 그대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맞춤식으로 생성된 이동 경로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은 교통 약자에게는 많이 걷지 않고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써 제공할 수 있고, 일반인에게는 좀 더 많이 걷더라도 빨리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는 단순히 길에 대한 정보 이외에도 보행 편의시설이나 장애물, 방해물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보행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환경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보행하면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하는 영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수집될 수 있다. 이 때, 영상에 촬영된 인도 및 도로와 같은 길 정보나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엘리베이터와 같은 보행 편의시설 및 보행을 방해하는 장애물 등을 인식하여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써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환경 정보로 수신된 영상을 통해 새롭게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가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의 보행 유형에 따라 해당 시설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은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로 보행하는 제1 유형 및 목적지까지 최소 걸음으로 보행하는 제2 유형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최단 거리는 경로를 이동할 때 가장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선에 따른 이동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유도 블록(300)을 따라 보행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도 블록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적인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들은 일반인들보다 더 긴 거리를 돌아서 이동하게 된다. 즉, 유도 블록에 의한 보행 거리는 최단 거리가 아니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단 거리 이동 경로(4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최단 거리 이동 경로(41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유도 블록(300, 400)이 없는 장소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최소 걸음은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한 최소 걸음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에서 환승을 하는 경우에 계단을 통해 최단 거리로 이동할 수도 있지만,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이동할 수도 있다. 이 때, 거리상으로는 계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겠지만, 실제로 사용자의 걸음 수를 고려하였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걸음 수를 단축시킬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 이외에도 사용자의 선호 정보에 따라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경로 상에 계단(510)과 경사면(520)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계단(510)과 경사면(520) 중에서 어느 경로를 더 선호하는지 판단하여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계단(510)이 아닌 경사면(520)을 이용하도록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로를 검색하여 개인화 이동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제2 유형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서 개인화 이동 경로를 요청한 경우에는 평지나 계단을 이용해야 하는 직접 도보 경로(610, 710)보다는 무빙워크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보행 편의시설 이용 경로(620)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최대한 걷지 않고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이동해야 하는 제1 보행거리와 사용자가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함으로써 단축되는 제2 보행거리를 고려하여 보행 편의시설에 의한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이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건물의 구조를 고려한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목적지를 향한 방향이 아니더라도 엘리베이터가 구비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리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제1 보행거리와 엘리베이터를 탑승함으로 인해서 단축된 제2 보행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제1 보행거리가 제2 보행거리를 초과한다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고 판단되므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는 경로로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행거리가 제2 보행거리를 초과하지는 않지만, 그 차이가 없거나 매우 적은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는 경로로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보행 상황을 고려하여 장애물 주의 안내, 보행 편의시설에 대한 진입 오류 안내 및 경로 이탈 안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보행 상황에 상응하는 영상에 포함된 장애물, 보행 안내 표지판 및 경로 안내 표지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게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실시간 보행 상황을 통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영상을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시각장애인이 장애물(800)과 충돌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장애물 주의 안내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해 줄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보행 상황을 통해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영상을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시각장애인은 보행 안내 표지판(900, 1010)을 확인하지 못하고 잘못된 곳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진입 오류 안내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실시간 보행 상황을 통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영상을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면, 각각의 영상에 포함된 경로 안내 표지판(1100, 1210, 1220, 1300)을 기반으로 시각장애인이 목적지에 맞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잘못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면, 경로 이탈 안내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해 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제대로 된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보행 상황을 통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설 수리나 공사로 인해 설치된 펜스나 가림막도 장애물(1400)로 인식하고, 이를 회피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와 함께 장애물(1400)을 회피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최단 거리 이동 경로(1410)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간 보행 상황을 통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설 안내 표지판(1500)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정보와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간 보행 상황을 획득한 경우, 사용자에게 화장실을 이용할지 여부를 질의하여 화장실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다. 이 때, 시설 안내 표지판(1500)은 공공 시설에 대한 안내 표지판에 상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용 여부를 질의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 및 안내 메시지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공 방식을 고려하여 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이나 텍스트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에션에 연동된 카메라로 현재 위치를 촬영하는 경우에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화 이동 경로 또는 안내 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음성으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의 형태로 개인화 이동 경로 또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과 연동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개인화 이동 경로 또는 안내 메시지를 보여줄 수도 있다.
이 때, 개인화 이동 경로 및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는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향후 개발 가능한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62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값에 상응하게 제공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한 특정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메모리(1630)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보행 환경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6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163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서버를 통해, 일시적 상해자, 노인, 장애인, 임산부 등 보행 편의시설의 이용이 필요한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인 안내를 통해 보편적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가적인 장비 없이도 사용자 중심의 다양한 입출력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성과 편의성 측면에서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서버의 상세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720)은 통상의 센서와 문자, 음성, 영상 등의 입출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증강 현실 출력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 경로 안내를 위한 서버(1710)는 위치 기반의 서비스를 위한 기본 구성 요소가 구축되는 전형적인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교통약자를 위한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 보행연속성과 자동 개선 시스템 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720)은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다양한 수단에 의한 정보입력 모듈(1721)과,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입력된 정보를 컴퓨터에서 이해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는 정보변환 모듈(1722), 목적지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1710)에게 개인화 이동 경로를 요청하고 결과를 이행하는 처리모듈(17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처리 모듈(1723)은 차량 경로 안내와 달리 사용자 별로 다양한 보행 유형에 따른 개인화 이동 경로 선택과 그에 따른 재경로 안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720)은 공사나 고장 등으로 인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의미정보 등록모듈(1724)을 기반으로 서버(1710)에게 보행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사용자가 정보 제공자인 동시에 소비자가 되는 경제적 구조의 중심적 요소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1720)을 통해 촬영된 영상과 그 안에서 인식된 문자 정보를 중심으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720)은 서버(1710)와의 통신을 위한 단말통신 모듈(1725)을 포함하며, 서버(1710)에서 제공된 개인화 이동 경로나 선호 정책, 위치 중심 정보 등은 경로 안내 데이터 DB(1727)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서버(1710)에서는 통상의 위치 기반 정보 구축과 사용자에 의한 개인화 경로 안내 요청 및 정책관리 모듈(1716)을 기반으로 한 경로산출 모듈(17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710)는 서버통신 모듈(1711)을 통해 사용자 단말(1720)로부터 영상 기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의미정보 가공모듈(1712)에서 영상 기반의 정보에 포함된 의미를 인식하여 비정형 영상 이미지나 문자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보는 보행 환경 맵의 구축 및 업데이트를 위해 보행 환경 DB(1717)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1710)는 서버데이터 학습 및 관리 모듈(1714)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된 특정 지역의 영상이나 문자 등을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정보나 상태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무빙 워크 및 그 밖의 편의시설 등의 실내 건축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누구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반영하여 서버(1710)가 최신 정보를 유지하는 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위치 기반의 안내 체제는 소규모에서부터 다양하게 구축되어 서비스되는 사례가 이미 존재하고 있으므로, 서버(1710)는 기존시스템 연동모듈(1715)을 통해 기존의 서비스와 연동하여 통합적인 운영체제로 운영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저비용으로 수월하게 DB를 구축할 수 있으며, 학습 기반의 신뢰도 높은 개인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이동 경로 안내 방법 중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제2 유형일 경우에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이동 경로 안내 방법 중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제2 유형일 경우에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방법은 먼저,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 안내 데이터 상 보행 편의시설을 검색할 수 있다(S1810). 즉, 사용자의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상응하는 경로 안내 데이터 상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보행 편의시설을 검색할 수 있다.
이 후, 경로 안내 데이터 상 보행 편의시설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815), 보행 편의시설이 검출되면 제1 보행거리와 제2 보행거리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S1820).
이 때, 제1 보행거리는 사용자가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직접 이동해야 하는 이동 거리에 상응하고, 제2 보행거리는 사용자가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함으로써 단축되는 이동 거리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행거리는 시각장애인의 경우, 유도 블록을 따라 원거리 직각 이동하지 않고, 단거리 직선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보행거리와 제2 보행거리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이미 생성되어 있는 보행 환경 맵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후, 제2 보행거리에서 제1 보행거리를 뺀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거리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S1825), 기설정된 임계거리보다 크면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S1830).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거리가 30미터라고 가정한다면, 제2 보행거리에서 제1 보행거리를 뺀 거리가 30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임계거리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경로 안내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단계(S1825)의 판단결과 기설정된 임계거리보다 작으면,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S1840).
즉,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오히려 비효율적인 것으로 판단하고,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도보로 이동하는 경로를 개인화 이동 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개인화 이동 경로의 생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835), 사용자 목적지까지 개인화 이동 경로의 생성이 완료되었으면 생성된 개인화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S1850).
예를 들어, 경로 안내 데이터에 의한 전체 경로를 복수개의 구간으로 분할한 뒤 분할된 구간마다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되, 전체 경로에 대해 개인화 이동 경로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835)의 판단결과 사용자 목적지까지 개인화 이동 경로의 생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경로 안내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체 경로에 대해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할 때까지 단계(S1810)부터 단계(S1835)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815)의 판단결과 보행 편의시설이 검출되지 않으면, 보행 편의시설을 고려하지 않고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185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유형을 고려한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1710: 서버 120, 120-1~120-N, 1720: 사용자 단말
130: 네트워크 300, 400: 유도 블록
410, 1410: 최단 거리 이동 경로 510: 계단
520: 경사면 610, 710: 직접 도보 경로
620, 720: 보행 편의시설 이용 경로
800, 1400: 장애물 900, 1010, 1020: 보행 안내 표지판
1100, 1210, 1220, 1300: 경로 안내 표지판
1500: 시설 안내 표지판 1610: 통신부
1620: 프로세서 1630: 메모리

Claims (18)

  1. 서버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연속된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을 기반으로 상기 경로 안내 데이터에 상응하는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은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로 보행하는 제1 유형 및 목적지까지 최소 걸음으로 보행하는 제2 유형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로를 검색하여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이동해야 하는 제1 보행거리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함으로써 단축되는 제2 보행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보행 편의시설에 의한 경로를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로 이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기생성된 보행 환경 맵을 기반으로 상기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보행 환경 맵은 기설정된 업데이트 주기마다 상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보행 상황을 고려하여 장애물 주의 안내, 보행 편의시설에 대한 진입 오류 안내 및 경로 이탈 안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보행 상황에 상응하는 영상에 포함된 장애물, 보행 안내 표지판 및 경로 안내 표지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게 상기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 및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공 방식을 고려하여 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공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10. 사용자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연속된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을 기반으로 상기 경로 안내 데이터에 상응하는 개인화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보행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는
    상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은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로 보행하는 제1 유형 및 목적지까지 최소 걸음으로 보행하는 제2 유형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로를 검색하여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별 보행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이동해야 하는 제1 보행거리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행 편의시설을 이용함으로써 단축되는 제2 보행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보행 편의시설에 의한 경로를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로 이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생성된 보행 환경 맵을 기반으로 상기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보행 환경 맵은 기설정된 업데이트 주기마다 상기 보행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보행 상황을 고려하여 장애물 주의 안내, 보행 편의시설에 대한 진입 오류 안내 및 경로 이탈 안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간 보행 상황에 상응하는 영상에 포함된 장애물, 보행 안내 표지판 및 경로 안내 표지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게 상기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이동 경로 및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공 방식을 고려하여 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공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80028867A 2017-12-05 2018-03-12 보행 유형을 고려한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665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33 2017-12-05
KR20170165833 2017-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523A true KR20190066523A (ko) 2019-06-13

Family

ID=6684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867A KR20190066523A (ko) 2017-12-05 2018-03-12 보행 유형을 고려한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65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4029A1 (en) * 2019-08-08 2021-02-11 Kukreja Ani Dave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and adaptive indoor navigation for users with single or multiple disabilities
KR20210067613A (ko) * 2019-11-29 2021-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관제 서버, 이동 보조 수단,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633A (ko) 2014-05-22 2015-1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보행자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633A (ko) 2014-05-22 2015-1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보행자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4029A1 (en) * 2019-08-08 2021-02-11 Kukreja Ani Dave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and adaptive indoor navigation for users with single or multiple disabilities
KR20210067613A (ko) * 2019-11-29 2021-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관제 서버, 이동 보조 수단,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lal et al. Drishti: An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and disabled
US8886462B1 (en)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for providing wayfinding orientation and wayfinding data to blind travelers
KR20090004252A (ko) 보행자 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89218A (ko)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
US11346672B2 (en) Multi-mode route selection
KR102173634B1 (ko)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372032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connecting map units in a digital wayfinding map
JP2014190725A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066523A (ko) 보행 유형을 고려한 개인화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eyrer et al. Intermodal door-to-door routing for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in a web-based, open-source platform
Kim et al. Mobile applications for assisting mo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IoT infrastructure
Balata et al. Indoor-outdoor intermodal sidewalk-based navigation instructions for pedestrians with visual impairments
US20210232819A1 (en) Method and system of determining a recommended pathway through a physical structure environment
KR102580576B1 (ko) 스마트 사이니지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경로 안내 시스템
KR20150135633A (ko) 보행자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0568798B1 (en) Transportation support for a user having chronic or acute mobility needs
KR20190023017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105134A (ko)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터치맵 생성 방법, 안내 방법, 및 제공 방법
JP3728497B2 (ja) 歩行者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200049266A (ko)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04370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by interlinking a user terminal with an information terminal
JP2020165710A (ja) 歩行経路情報提示システム、サーバ、端末機、及び歩行経路情報提示方法
KR102351516B1 (ko)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사물주소 기반의 공간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97317B1 (ko)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108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customized route based on disability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