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275A -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275A
KR20200049275A KR1020180132326A KR20180132326A KR20200049275A KR 20200049275 A KR20200049275 A KR 20200049275A KR 1020180132326 A KR1020180132326 A KR 1020180132326A KR 20180132326 A KR20180132326 A KR 20180132326A KR 20200049275 A KR20200049275 A KR 20200049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intelligent
signal
robot
gu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기
김경희
이태형
황종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9275A/ko
Publication of KR2020004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Abstract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관제 서버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안내 로봇 및 교통 약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안내 로봇 또는 상기 교통 약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안내 로봇 또는 상기 교통 약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의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로 구성된 최적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상기 안내 로봇이 상기 최적 이동 경로의 시작 안내 블록에 도착하기까지의 도착 시간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도착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전에 상기 경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으로 ON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은, 상기 관제 서버의 상기 신호 송신부로부터 상기 ON 신호 또는 OFF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에서 상기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등이 켜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무선 수신부에서 상기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Service by Using Guidance Robot and Intelligent Guidance Block}
본 실시예는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철도의 고속화 등을 통해 전국 반나절 생활권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용객의 일정이 탄력적이고 유연해지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철도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용객들이 증가함에 따라 철도 역사는 최근 들어 더욱 복잡해져서 역사 이용객들이 역사 내부에서 본인들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찾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교통 약자들은 길을 찾는 데 더 어려움이 많으므로, 교통 약자의 철도 역사 이용 만족도를 향상시켜 불편 사항을 해소하고, 다양한 철도 이용객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철도 서비스 창출을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철도 여객 편의 시설 개선 기술 개발 기획 연구에서 수행한 철도 이용 만족도 및 불편 사항 조사 분석 결과에 의하면, 철도 이용시 불편함을 겪는 이용객은 기차역 59.5%, 열차 63.0%, 지하철역 59.5%, 전동차 51.0%에서 불편함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통 약자를 위한 철도 이동 편의 시설의 기준 적합 설치율은 매년 높아지고 있으나, 만족도는 정체하고 있거나 오히려 낮아지고 있는바 교통 약자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국토 교통부에서는 통합 교통 정보 상황 제공을 위한 TAGO(Transport Advice onGOing anywhere)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실내 서비스 단절 및 실시간 내비게이션 역할 등의 세부 정보 제공 부족으로 이용이 불편한 상황이다.
한편, 철도 역사 내에는 기본적으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록이 설치되어 있어, 기설치되어 있는 점자 블록을 이용하여 안내 로봇이 시각 장애인 등의 교통 약자를 안내할 수 있다. 그런데 안내 로봇이 길 안내를 할 때 주변 사람들에 의해 경로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주기적으로 안내 방송을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주변 사람들이 안내 로봇이 접근하기 전까지 안내 로봇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안내 로봇의 이동 경로를 알지 못하므로 어느 방향으로 피해야 하는지 곤란한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안내 로봇이 길안내를 하는 경우 지능형 안내 블록이 로봇의 위치와 경로에 따라 경고등과 경고음을 울림으로써 경로 상의 주변 사람들에게 안내 로봇의 이동을 알려 안내 로봇의 안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으로 이루어진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관제 서버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안내 로봇 및 교통 약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안내 로봇 또는 상기 교통 약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안내 로봇 또는 상기 교통 약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의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로 구성된 최적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상기 안내 로봇이 상기 최적 이동 경로의 시작 안내 블록에 도착하기까지의 도착 시간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도착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전에 상기 경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으로 ON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은, 상기 관제 서버의 상기 신호 송신부로부터 상기 ON 신호 또는 OFF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에서 상기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등이 켜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무선 수신부에서 상기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내 로봇은, 관제 서버로부터 복수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로 구성된 최적 이동 경로 정보 및 상기 최적 이동 경로의 시작 안내 블록에 도착하기까지의 도착 시간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도착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전에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으로 ON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은, 상기 안내 로봇의 상기 신호 송신부로부터 상기 ON 신호 또는 OFF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에서 상기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등이 켜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무선 스위치에서 상기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관제 서버,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방법에 있어서, (a) 안내 로봇 또는 교통 약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안내 로봇 및 상기 교통 약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감지된 상기 안내 로봇 또는 상기 교통 약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의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로 구성된 최적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안내 로봇이 상기 최적 이동 경로의 시작 안내 블록에 도착하기까지의 도착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 계산된 상기 도착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전에 상기 경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으로 ON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ON 신호를 수신한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경고등이 켜지고, 경고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방법을 제공한다.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융합한 길안내 시스템 사용시 주변 사람들과 안내 로봇의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안내 로봇 경로를 미리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길 안내가 가능하여 교통 약자에게 신속하고 안전한 길 안내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철도 역사 내에 RFID 태그가 내장된 점자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안내 블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관제 서버,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은 교통 약자 단말(100), 관제 서버(110), 안내 로봇(120), 및 지능형 안내 블록(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200), GPS 모듈(210), 및 통신 모듈(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은 교통 약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단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에는 교통 약자에게 경로 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200)이 탑재된다.
교통 약자는 애플리케이션(200)을 실행시켜 자신이 진입하고자 하는 출발역 및 철도 역사 내에서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 또는 목표 위치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약자 단말(100)은 내부에 GPS 모듈(210)을 구비하여 교통 약자 단말(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관제 서버(110)에 전달한다.
즉, 교통 약자는 경로 안내 등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 자신의 교통 약자 단말(1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200)을 실행시킨다. 애플리케이션(200) 실행 후 초기 단계에서 교통 약자는 자신의 교통 약자 유형을 애플리케이션(200) 상에 선택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역사 이용을 위한 최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교통 약자 유형이라 함은 장애의 종류(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지체 장애인, 휠체어 장애인 등), 노인, 유아 동반인, 및 임산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출발역에 도착하기 전에 교통 약자는 단말 상의 애플리케이션(200)상 진입하고자 하는 출발역 및 목표 위치를 입력하면, 이 입력된 정보(출발역 및 목표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요청이 관제 서버(110)에 전달된다.
또한, 교통 약자 단말(100)의 GPS 모듈(210) 및 통신 모듈(220)에서는 교통 약자 단말(100)의 위치, 다시 말해 교통 약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교통 약자의 위치 및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제 서버(11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통 약자 단말(100)은 개인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예의 철도 역사 경로 안내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특수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는 교통 약자 단말(100)로부터 경로 또는 목표 위치, 및 교통 약자의 위치 등을 수집하여 해당 경로를 안내 로봇(120)에 전달한다. 이때 관제 서버(110)는 철도 역사내 시설물 정보, 열차 정보 및 환경 정보, 이용자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는 교통 약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업데이트 및 운영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안내 로봇(120)의 운영을 관리한다. 관제 서버(110)는 철도 역사를 통합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는 철도 역사 운영 시스템 등에 설치될 수도 있고, 철도 역사 운영 시스템과 별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300), 위치 감지부(310), 경로 생성부(320), 계산부(330), 신호 송신부(340), 안내 로봇 관리부(350), 및 운영 관리부(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부(300)는 교통 약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회원 가입, 및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기능 및 정보 표출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부(310)는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120) 및 교통 약자 단말(100)의 위치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의 관제 서버(110)의 위치 감지부(310)는 안내 로봇(120)의 위치를 일정 주기로 수신할 수 있다. 수신받는 방법으로는, 무선 랜 또는 LTE 등의 통신을 통하여 안내 로봇(1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역사 내에서 안내 로봇(1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면 어떤 방법도 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부(320)는 안내 로봇(120) 또는 교통 약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위치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안내 로봇(120) 또는 교통 약자 단말(100)의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의 지능형 안내 블록(140)의 ID로 구성된 최적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 여기서, 경로 생성부(320)에서 생성되는 최적 이동 경로는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정보와 각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위치 정보의 조합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로 생성부(320)는 교통 약자 단말(100)로부터 경로 또는 목표 위치, 및 교통 약자의 위치가 전달되면, 해당 경로 또는 목표 위치, 및 교통 약자의 위치 및 철도 시설물, 환경, 이용자 정보 등을 최적화 계산을 통하여 안내 로봇(120)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안내 로봇(120)이 교통 약자에게 그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산부(330)는 안내 로봇(120)이 경로 생성부(320)에서 생성한 최적 이동 경로의 시작 안내 블록(130)에 도착하기까지의 도착 시간을 계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부(340)는 본 실시예의 계산부(330)에서 계산된 도착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전에 경로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최적 이동 경로 상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130)으로 ON 신호를 전송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의 신호 송신부(340)에서는 위치 감지부(310)에서 수신된 안내 로봇(120)의 위치와 경로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최적 이동 경로 정보를 조합하여 각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별 ON, OFF 정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각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별 ON, OFF 정보는 각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전송되는데, 이때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모든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한꺼번에 ON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지능형 안내 블록(130) 중 기설정된 개수 만큼씩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ON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가 짧은 경우에는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모든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한꺼번에 ON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동 경로가 긴 경우에는 일정 개수 만큼씩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ON 신호를 전송하여 안내 로봇(120)의 이동 경로를 부분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부(340)에서 이러한 ON/OFF 신호를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Bluetooth, 지그비, 및 LTE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하여 ON/OFF 신호를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역사 내에서 ON/OFF 신호를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면 어떤 방법도 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 관리부(350)는 철도 역사 내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나 동작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안내 로봇(12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등을 체크하고, 안내 로봇(120)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관리자 등에게 안내할 수 있다. 더불어 안내 로봇(120)으로 전달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로봇 관리부(350)는 교통 약자가 이동할 수 있는 동선에서 관련되는 철도 시설물 정보, 철도 이용객 정보, 열차 정보, 및 교통 약자가 진입할 출입구의 위치와 각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안내 로봇(120) 중 현재 경로 안내 중이지 않고 교통 약자가 진입한 출입구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안내 로봇(120)을 선정하여 동작 지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철도 역사 내 복수 개의 안내 로봇(120)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안내 로봇(120)의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며, 한 명의 교통 약자에게 하나의 안내 로봇(120)이 경로 지원을 하도록 함으로써, 안내 로봇(120)의 운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영 관리부(360)는 철도 역사 시설물의 장치 운영이 가능하여 안내 로봇(120)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안내 로봇(120)의 도착 시간에 맞춰 엘리베이터 탑승이 가능하게 하거나, 근처 장애인 화장실의 사용 현황을 확인하여 실시간 최적의 화장실 장소 안내 등이 가능하도록 하여 교통 약자의 이용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관제 서버(110)의 일부 기능, 즉 본 실시예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별 ON, OFF 정보를 생성/전송하는 기능을 안내 로봇(120)에서 담당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는 안내 로봇(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은 경로 안내부(400), 위치 감지부(410), 이동부(420), 정보 수신부(430), 및 신호 송신부(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은 이동 경로 정보에 따라 이동하며, 지능형 안내 블록(130)과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와 같은 적절한 통신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안내 로봇(120)의 주변에 있는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경고등을 표시하고 경고음을 울려야 하는 안내 블록(130)의 ID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의 위치 감지부(410)는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위치 감지부(410)는 철도 역사 내에 미리 마련되어 있는 RFID, Bluetooth, 또는 WiFi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RFID 태그(500)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도 역사 내 점자 블록(510) 등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RFID 태그(500)에는 현재 위치가 매칭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120)의 위치 감지부(410)는 RFID 태그(500)를 인식하고, 인식된 RFID 정보를 기반으로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점자 블록 이외의 일반적인 블록에도 소형 RFID를 이용하여 2차원 방향의 위치 검지가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의 이동부(420)는 경로 안내부(4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안내 로봇(120)을 이동시킨다. 경로 안내부(400)는 교통 약자의 위치와 현재 위치를 전달받고, 교통 약자의 위치에 설정된 철도 역사 내 설정 위치까지의 경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교통 약자가 철도 역사의 3번 출구에 위치할 경우, 3번 출구와 가까운 위치, 예를 들어 안내 로봇(120)이 이동 가능하며 교통 약자의 3번 출구 진입시 교통 약자와 만날 수 있는 설정 위치를 검출한 후, 해당 설정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가 설정되면, 경로 안내부(400)는 위치 감지부(410)를 통해 감지된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부(420)를 제어하여 해당 경로까지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경로 안내부(400)는 위치 감지부(410)를 통해 감지된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부(420)를 제어하여 이동한다. 이때, 교통 약자는 안내 로봇(120)에 마련된 손잡이부 등을 통해 안내 로봇(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의 경로 안내부(400)는 교통 약자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설정된 경로 중에 엘리베이터 등이 있을 경우 관제 서버(110)와 연계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은 철도 역사를 이용 중인 다른 보행자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촬영부 또는 센서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120)의 경로 안내부(400)는 촬영부 또는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서 다른 보행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도를 검출한다. 이후, 경로 안내부(400)는 검출된 충돌 위험도에 따라 이동부(420)를 정지시키거나 그 속도를 감속시킨다.
본 실시예의 안내 로봇(120)의 정보 수신부(430)는 관제 서버(110)로부터 복수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로 구성된 최적 이동 경로 정보 및 최적 이동 경로의 시작 안내 블록에 도착하기까지의 도착 시간을 수신한다. 여기서, 정보 수신부(430)에서 수신되는 최적 이동 경로는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정보와 각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위치 정보의 조합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관제 서버(110)로부터 수신받는 방법으로는, 무선 랜 또는 LTE 등의 통신을 통하여 최적 이동 경로 정보 및 도착 시간 정보를 수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역사 내에서 이러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면 어떤 방법도 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부(440)는 정보 수신부(430)로부터 수신된 도착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전에, 정보 수신부(430)에서 수신된 최적 이동 경로 상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130)으로 ON 신호를 전송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20)의 신호 송신부(440)에서는 위치 감지부(410)에서 감지된 안내 로봇(120)의 위치와 정보 수신부(430)에서 수신된 최적 이동 경로 정보를 조합하여 각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별 ON, OFF 정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각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별 ON, OFF 정보는 각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전송되는데, 이때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모든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한꺼번에 ON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지능형 안내 블록(130) 중 기설정된 개수 만큼씩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ON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부(440)에서 이러한 ON/OFF 신호를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Bluetooth 또는 지그비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하여 ON/OFF 신호를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역사 내에서 ON/OFF 신호를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면 어떤 방법도 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부(440)는 통신을 위해 지능형 안내 블록(130)에 마그네틱 방식 비접촉 인터록 스위치가 탑재되는 실시예의 경우 마그네틱이 포함될 수 있고, 지능형 안내 블록(130)에 광전 스위치가 탑재되는 실시예의 경우는 빛 발생기가 포함되어 지능형 안내 블록(130)과 ON/OFF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안내 블록(130)은 무선 수신부(600), 발광 다이오드(610), 경고음 발생부(620), 및 배터리(6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안내 블록(130)은 안내 로봇(120)으로부터 경고등과 경고음을 ON 또는 OFF 해야 한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와 같은 적절한 통신 수단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경고등과 경고음을 울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안내 블록(130)은 철도 역사 내에 설치하는 일반 점자 블록과 외형을 동일하게 하여 사전 설계한 위치에 일반 점자 블록을 대신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서비스를 위해 특수 제작된 안내 블록을 일반 점자 블록이 위치되지 않은 곳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부(600)는 관제 서버(110)의 신호 송신부(340)로부터 ON 신호 또는 OFF 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부(600)에서 이러한 ON/OFF 신호를 관제 서버(110)의 신호 송신부(340)로부터 수신하는 방법으로는, Bluetooth, 지그비, 및 LTE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부(600)는 안내 로봇(120)의 신호 송신부(440)로부터 ON 신호 또는 OFF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무선 수신부(600)는 마그네틱 방식 비접촉 인터록 스위치 또는 광전 스위치가 될 수 있고, 이러한 무선 스위치 방식의 무선 수신부(600)를 제어하기 위해 안내 로봇(120)의 신호 송신부(440)는 마그네틱 또는 빛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부(600)에서 ON/OFF 신호를 안내 로봇(120)의 신호 송신부(440)로부터 수신하는 방법으로는, Bluetooth 또는 지그비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610)는 무선 수신부(600)에서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등이 켜지도록 제어된다. 즉, 본 실시예의 지능형 안내 블록 중 ON 신호를 전송받은 지능형 안내 블록은 블록의 색깔이 바뀌거나, 점멸하는 방식으로 안내 로봇(120)의 경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경고를 보낸다. 이때, 발광 다이오드(610)에서 발생되는 경고등은 교통 약자의 유형별로 색깔을 다르게 하거나 또는 점멸 방식을 다르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고음 발생부(620)는 멜로디 IC와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져 무선 수신부(600)에서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된다. 즉, 본 실시예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은 안내 로봇(120)의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방식으로 점등뿐만 아니라 특정한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시각적, 청각적으로 경고를 할 수 있다. 이때, 경고음 발생부(620)에서 발생되는 경고음은 교통 약자의 유형별로 사운드의 종류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안내 멘트를 다르게 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관제 서버,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에서는 안내 로봇(120) 또는 교통 약자 단말(100)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한다(S700). 이후, 관제 서버(110)의 위치 감지부(310)에서는 안내 로봇(120) 및 교통 약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S710).
본 실시예의 관제 서버(110)의 경로 생성부(320)에서는 위치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안내 로봇(120) 또는 교통 약자 단말(100)의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로 구성된 최적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S720). 이때 생성되는 최적 이동 경로는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정보와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위치 정보의 조합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10)의 계산부(330)에서는 안내 로봇(120)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최적 이동 경로의 시작 안내 블록에 도착하기까지의 도착 시간을 계산한다(S730).
본 실시예의 관제 서버(110)의 신호 송신부(340)에서는 계산부(330)에서 계산된 도착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전에 경로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최적 이동 경로 상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130)으로 ON 신호를 전송한다(S740).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안내 로봇(120)의 신호 송신부(440)가 관제 서버(110)의 계산부(330)에서 계산된 도착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전에 경로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최적 이동 경로 상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ID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130)으로 ON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일부 실시예에서는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모든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ON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지능형 안내 블록(130) 중 기설정된 개수만큼씩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으로 ON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능형 안내 블록(130)의 무선 수신부(600)에서 전술한 ON 신호를 수신하면, 지능형 안내 블록의 발광 다이오드(610)에서 경고등이 켜지고 경고음 발생부(620)에서 경고음을 발생한다(S750). 이때, 경고등은 교통 약자의 유형별로 색깔을 다르게 하거나 또는 점멸 방식을 다르게 할 수 있고, 경고음은 교통 약자의 유형별로 사운드의 종류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안내 멘트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과정 S700 내지 과정 S75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700 내지 과정 S750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교통 약자 단말 110: 관제 서버
120: 안내 로봇 130: 지능형 안내 블록
200: 애플리케이션 210: GPS 모듈
220: 통신 모듈 300: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310: 위치 감지부 320: 경로 생성부
330: 계산부 340: 신호 송신부
350: 안내 로봇 관리부 360: 운영 관리부
400: 경로 안내부 410: 위치 감지부
420: 이동부 430: 정보 수신부
440: 신호 송신부 500: RFID 태그
510: 점자 블록 600: 무선 수신부
610: 발광 다이오드 620: 경고음 발생부
630: 배터리

Claims (18)

  1. 관제 서버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안내 로봇 및 교통 약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안내 로봇 또는 상기 교통 약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안내 로봇 또는 상기 교통 약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의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로 구성된 최적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상기 안내 로봇이 상기 최적 이동 경로의 시작 안내 블록에 도착하기까지의 도착 시간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도착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전에 상기 경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으로 ON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은,
    상기 관제 서버의 상기 신호 송신부로부터 상기 ON 신호 또는 OFF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에서 상기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등이 켜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무선 수신부에서 상기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에서는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모든 지능형 안내 블록으로 상기 ON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지능형 안내 블록 중 기설정된 개수 만큼씩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으로 상기 ON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상기 경고등은 상기 교통 약자의 유형별로 색깔을 다르게 하거나 또는 점멸 방식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경고음은 상기 교통 약자의 유형별로 사운드의 종류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안내 멘트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상기 최적 이동 경로는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정보와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위치 정보의 조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6.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내 로봇은,
    관제 서버로부터 복수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로 구성된 최적 이동 경로 정보 및 상기 최적 이동 경로의 시작 안내 블록에 도착하기까지의 도착 시간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도착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전에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으로 ON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은,
    상기 안내 로봇의 상기 신호 송신부로부터 상기 ON 신호 또는 OFF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에서 상기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등이 켜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무선 수신부에서 상기 ON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에서는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모든 지능형 안내 블록으로 상기 ON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지능형 안내 블록 중 기설정된 개수 만큼씩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으로 상기 ON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상기 경고등은 교통 약자의 유형별로 색깔을 다르게 하거나 또는 점멸 방식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경고음은 교통 약자의 유형별로 사운드의 종류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안내 멘트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부는 마그네틱 방식 비접촉 인터록 스위치 또는 광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최적 이동 경로는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정보와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위치 정보의 조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12. 관제 서버,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방법에 있어서,
    (a) 안내 로봇 또는 교통 약자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안내 로봇 및 상기 교통 약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감지된 상기 안내 로봇 또는 상기 교통 약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의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로 구성된 최적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안내 로봇이 상기 최적 이동 경로의 시작 안내 블록에 도착하기까지의 도착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 계산된 상기 도착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전에 상기 단계 (c)에서 생성된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으로 ON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ON 신호를 수신한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경고등이 켜지고, 경고음을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모든 지능형 안내 블록으로 상기 ON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최적 이동 경로 상에 있는 지능형 안내 블록 중 기설정된 개수 만큼씩의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으로 상기 ON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경고등은 상기 교통 약자의 유형별로 색깔을 다르게 하거나 또는 점멸 방식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경고음은 상기 교통 약자의 유형별로 사운드의 종류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안내 멘트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의 상기 ON 신호는 상기 관제 서버 또는 상기 안내 로봇에서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경고등은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생성하는 상기 최적 이동 경로는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ID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정보와 상기 지능형 안내 블록의 위치 정보의 조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버, 안내 로봇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방법.
KR1020180132326A 2018-10-31 2018-10-31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KR20200049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26A KR20200049275A (ko) 2018-10-31 2018-10-31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26A KR20200049275A (ko) 2018-10-31 2018-10-31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275A true KR20200049275A (ko) 2020-05-08

Family

ID=7067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326A KR20200049275A (ko) 2018-10-31 2018-10-31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92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42643B2 (en) Elevator reservations using destination arrival time
US11331242B2 (en) Travel assistance system
US10441494B2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KR101130735B1 (ko) Rf비콘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101172000B1 (ko)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KR102033174B1 (ko) 스마트폰 통합측위를 활용한 지하철역 도착알림 및 역사 정보안내 시스템
KR20170066942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2143596B1 (ko)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371246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KR20110003103A (ko)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20200049275A (ko) 안내 로봇과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KR102237981B1 (ko) 교통 약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안내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약자 안내 방법
KR102285501B1 (ko)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KR101799391B1 (ko) 스마트 점자블럭 시스템.
KR102304156B1 (ko) 관제 서버, 이동 보조 수단,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CN111226508A (zh) 用于控制人员运输物体的照明设备的控制器和方法
KR20160059495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2178152B1 (ko)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KR20200130794A (ko)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 블록 길안내 시스템
JP7379489B2 (ja) 通信システム、処理装置及び所持物
CN112384183A (zh) 一种智能盲道系统、基于智能盲道系统的盲人行走辅助装置及方法
KR20200049271A (ko) 교통 약자를 위한 지능형 점자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약자 안내 시스템
KR101653640B1 (ko) 블루투스를 활용한 안심택시 서비스
KR20160050410A (ko)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US11844741B2 (en) Travel assistanc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