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649B1 -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649B1
KR102246649B1 KR1020190116643A KR20190116643A KR102246649B1 KR 102246649 B1 KR102246649 B1 KR 102246649B1 KR 1020190116643 A KR1020190116643 A KR 1020190116643A KR 20190116643 A KR20190116643 A KR 20190116643A KR 102246649 B1 KR102246649 B1 KR 10224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d
side rail
sig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831A (ko
Inventor
공석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포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포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포케어
Priority to KR102019011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649B1/ko
Priority to CN202010567811.5A priority patent/CN112542028A/zh
Publication of KR2021003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1Sensor means for detecting integrated or attached to an it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 but not worn by the person, e.g. chair, walking stick, bed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61B5/1115Monitoring leaving of a patient support, e.g. a bed or a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침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사이드레일부; 상기 사이드레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레일부의 흔들림을 측정하는 진동측정부; 상기 사이드레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레일부가 승강 및 하강 위치 중 어느 위치인지 여부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흔들림 또는 상기 사이드레일부의 위치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수신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FALL-DOWN PREVENTION SYSTEM FOR BED}
본 발명은 병원 등에서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낙상 사고를 감지하여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병원은 간병인이나 보호자 대신 간호사가 간병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간호, 간병 통합 서비스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간호 인력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간호 인력의 부족 현상은 더욱 심화되었다. 한편, 병원 등의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하는 환자의 안전사고 중 40%는 병실 침상에서 발생하는 낙상 사고에 해당된다. 낙상 사고는 환자가 침상에서 떨어져 사고를 당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병원 침상에는 대부분 사이드레일이 배치되어 있다.
낙상 사고는 대개 환자가 사이드레일을 내린 후 침상에서 내려올 때 발생한다. 환자 뿐만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나 노약자들의 경우에도 낙상 사고가 쉽게 발생한다. 그 결과, 의료기관과 환자/보호자 사이의 법적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보건복지부는 낙상 사고에 대한 안전 주의경보를 내렸으며, 의료기관 역시 최근 보다 적극적인 예방 및 관리를 시도하고 있다.
선행문헌을 살펴보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 방법 등이 제안 공개되었다. 그러나, 종래 장치, 방법은 낙상 위험을 감지하거나 예측을 함에 있어 오류가 빈번하고, 신뢰도가 떨어지며, 높은 비용이 발생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5851호 (2017.03.3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5242호 (2018.08.27.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4679호 (2016.01.13.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호, 간병 업무의 부하를 해소하고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비접촉 무자각 방식으로 사용자의 낙상 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자 한다. 또한, 모듈식 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리, 유지 측면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또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을 반영하여 시스템 구성을 일부 달리할 수 있는 맞춤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침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사이드레일부; 상기 사이드레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레일부의 흔들림을 측정하는 진동측정부; 상기 사이드레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레일부가 승강 및 하강 위치 중 어느 위치인지 여부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흔들림 또는 상기 사이드레일부의 위치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수신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사이드레일부가 하강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침대를 담당하는 간호스테이션에 제1알림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침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조명을 점등하는 조명컨트롤러에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사이드레일부가 상승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침대를 담당하는 간호스테이션에 제2알림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침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조명을 소등하는 조명컨트롤러에 제2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측정부는 가속도센서 또는 고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측정부, 상기 위치측정부 및 상기 송신부는 단일 모듈유닛 내에 수납되며, 상기 모듈유닛은 상기 사이드레일부에 내장 또는 외장될 수 있다.
상기 침대 위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압전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레일부가 하강 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압전센서부를 통한 측정 신호가 상기 전환되는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침대를 담당하는 간호스테이션에 제3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진동측정부의 흔들림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침대 위에서의 사용자 위치 및 자세를 각각 예측하는 위험추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은 간호, 간병 업무의 부하를 해소하고,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접촉 무자각 방식으로 사용자의 낙상 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간호, 간병을 하는 제3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듈식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의 관리, 유지 측면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동시에,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을 반영하여 시스템 구성을 일부 달리할 수 있는 맞춤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도 1의 매트리스커버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압전센서부에 대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은 사이드레일부(100), 진동측정부(200), 위치측정부(300), 송신부(400) 등을 포함한다. 침대는 가정용, 병원용 등 그 용도, 사양에 관계없이 모두 포함한다. 사이드레일부(100)는 침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된다. 사이드레일부(100)는 낙상 방지를 위한 용도를 갖는다. 사이드레일부(100)는 크게 접이식과 폴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이드레일부(100)는 예를 들어, 손잡이 버튼을 잡아당겨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면, 승강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그 위치를 하강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사이드레일부(100)에는 진동측정부(200), 위치측정부(300), 송신부(40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진동측정부(200)는 사이드레일부(100)에 설치되어 사이드레일부(100)의 흔들림을 측정한다. 사이드레일부(100)에는 사용자인 환자, 환자의 간병인, 간호사 등에 의해 작용하는 외력으로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눕은 자세에서 앉은 자세로 바꾸고자 할 때, 사용자는 대개 사이드레일부(100)의 도움을 받기 위해 이를 그립하는 바, 사이드레일부(100)에는 흔들림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는 수면 상태에서 뒤척일 때, 무의식 중에도 상반신, 팔, 손 등을 사용하여 사이드레일부(100)를 가격할 수 있다.
사이드레일부(100)가 잠금 상태일 때, 즉, 승강 위치에서 사이드레일부(100)에 외력이 작용하면, 사이드레일부(100)에는 어느 특정 방향으로 반복되는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흔들림은 대개 진동을 수반한다. 구체적으로, 이런 흔들림은 3차원 공간 상의 어느 양 방향으로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측정부(200)는 3축진동센서 또는 3축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진동측정부(200)는 측정 신호를 필요에 따라 필터링할 수 있다. 한편, 진동측정부(200)는 사이드레일부(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위치측정부(300)는 사이드레일부(100)에 설치되며, 사이드레일부(100)가 승강 및 하강 위치 중 어느 위치인지 여부를 측정한다. 여기서, 승강 위치는 예를 들어, 사이드레일부(100)가 접이식인 경우, 사이드레일부(100)가 완전하게 펼쳐진 고점 위치를 의미하고, 하강 위치는 사이드레일부(100)가 완전하게 접혀진 저점 위치를 의미한다. 위치측정부(300)는 사이드레일부(100)가 서로 반대되는 두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정부(300)는 가속도센서 또는 고도센서를 포함한다. 위치측정부(300)는 사이드레일부(100)의 승하강 운동에 따른 가속도 변화 등을 측정한다. 승하강 운동은 승하강 자체의 운동 특성, 승하강 운동이 종료되는 시점과 그 후속 동작에서 각각 발생하는 운동 특성의 차이로 인해 측정 신호를 통해 서로 구별된다. 따라서, 승하강 운동에 따른 측정 신호를 분석하면 사이드레일부(100)가 승강 및 하강 위치 중 어느 위치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승하강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할 때, 위치측정부(300)에 의한 측정 신호는 주로 사이드레일부(100)에 대한 z축 방향의 가속도 변화이다.
이와 달리, 위치측정부(300)는 초음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측정부(300)는 이미 공지된 초음파센서 기술을 통해 사이드레일부(100)가 하강 위치에 위치할 때, 이를 직접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위치 역시 공지된 초음파센서 기술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이 때, 위치측정부(300)는 측정 신호를 필요에 따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위치측정부(300)는 사이드레일부(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송신부(400)는 흔들림 또는 사이드레일부(1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수신부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송신부(400)는 진동측정부(200) 및 위치측정부(30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송신부(4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수신부에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송신부(40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400)는 예를 들어, Lte(엘티이), LoRa(로라) 등의 이동 통신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400)는 신호에 대한 출처 즉 어느 침대에서 비롯된 것인지 식별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는 미리 저정된 특정인(간병인, 간호인, 보호자, 의료진 등)의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다. 수신부는 환자 관리 시스템 서버 등을 포함하는 병원의 간호스테이션(8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는 침대를 구름 이동시키는 구동바퀴에 대해 락킹 및 언락킹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전환시키는 락컨트롤러(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는 침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컨트롤러(8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400)는 사이드레일부(100)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송신부(400)는 사이드레일부(100)가 하강 위치로 전환되면, 침대를 담당하는 간호스테이션(810)에 제1알림신호를 전송하고, 침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조명을 점등하는 조명컨트롤러(830)에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400)는 사이드레일부(100)가 상승 위치로 전환되면, 침대를 담당하는 간호스테이션(810)에 제2알림신호를 전송하고, 침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조명을 소등하는 조명컨트롤러(830)에 제2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400)는 사이드레일부(100)가 하강 위치로 전환되면, 침대를 구름 이동시키는 구동바퀴를 락킹하는 락컨트롤러(820)에 제3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알림신호는 '주의'에 해당되는 위험 표시로 제1알림신호에 의해 간호스테이션(810)에는 시각적, 청각적 방법 등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알림 메시지가 전달된다. 제2알림신호는 '안전'에 해당되는 표시로 간호스테이션(810)에는 이에 해당되는 알림 메시지가 전달된다. 제1제어신호 및 제2제어신호는 조명컨트롤러(830)에 전송되어, 조명의 온/오프 상태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제3제어신호는 락컨트롤러(820)에 전송되어, 구동바퀴의 락 상태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송신부(400)는 사이드레일부(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측정부(200), 위치측정부(300) 및 송신부(400)는 단일 모듈유닛(1000) 내에 수납되며, 모듈유닛(1000)은 사이드레일부(100)에 내장 또는 외장될 수 있다. 한편, 모듈유닛(1000)은 건전지 등의 전력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듈유닛(1000)은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간호스테이션(810)에 알림할 수 있는 콜버튼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콜버튼부는 전술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사이드레일부(100) 중 어느 일 개소에는 모듈유닛(1000)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이드레일부(100)에는 모듈유닛(1000)이 거치되거나, 부착될 수 있는 마운트브라켓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은 압전센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전센서부(500)는 침대 위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이런 압전센서부(500)는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수, 뒤척임 정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전센서부(500)는 압전센서패드(510), 신호처리유닛(5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센서패드(510)와 신호처리유닛(5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압전센서패드(510)는 직사각형 모양의 얇은 패드 형태이며, 압전센서패드(510)의 가로 변의 길이는 매트리스의 가로 방향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센서패드(510)는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수, 움직임 등에 관한 복수 개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압전센서패드(510)는 그 측정 신호가 미약한 경우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이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센서패드(510)는 매트리스커버(7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한다. 매트리스커버(700)는 상면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매트리스를 감싸는 용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커버(700)는 설명의 편의상 세로 방향이 더 긴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매트리스커버(700)의 하면은 그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매트리스커버(700)의 하면이 침대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향 접촉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압전센서패드(510)는 외관상 노출되지 않는다. 즉, 압전센서패드(51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사용자의 무인식 하에 비접촉(untact)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다.
압전센서패드(510)는 매트리스커버(700)의 하면 중 특정 위치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커버(700)는 전술한 것처럼 세로 방향이 더 긴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다. 매트리스커버(700)가 씌워져 있는 매트리스 위에 사용자가 누워있는 자세를 취할 때, 매트리스커버(70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상반신이 놓이는 상반신영역(72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반신영역(720)은 고정된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개인 정보(신장, 체형 등), 수면 정보 등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매트리스커버(700)의 하면에는 상반신영역(720)과 대향하는 위치에 매트리스커버(700)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납영역(7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납영역(730)은 예를 들어, 포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압전센서패드(510)는 매트리스커버(700)에 형성되는 포켓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이 때, 포켓은 매트리스커버(700)의 외면이나 내면 중 어느 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매트리스커버(700)는 대개 천 등의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압전센서패드(510)가 포켓에 수납되면, 그 상태에서 포켓의 입구는 실에 의한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봉합될 수 있다.
한편, 제1수납영역(730)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 수면 정보 등에 따라 그 형성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제1수납영역(730)은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곳의 연직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처리유닛(520)은 필터링부(521), 연산부(522), 분석부(523), 서브송신부(5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부(521)는 압전센서패드(510)를 통해 측정되는 신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필터링하여 심박수파형, 호흡수파형, 뒤척임파형 등을 추출한다. 이런 필터링부(521)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링부(521)는 전술한 각 파형을 예를 들어 3초, 5초 등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분할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증폭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대한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연산부(522)는 뒤척임파형을 변환 처리하여 대푯값을 형성한다. 연산부(522)는 전술한 단위 시간 내에서 각 뒤척임파형이 갖는 뒤척임 정도를 수치화하여 대푯값을 형성한다. 분석부(523)는 대푯값이 뒤척임으로 판단되는 임계값을 초과한 횟수와 그 대푯값의 크기를 이용하여 뒤척임 정도를 구별, 분석한다. 다만, 이런 뒤척임 정도는 미리 측정되는 수많은 샘플 데이터를 통해 얻어진 경험과 실험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한편, 뒤척임은 예를 들어, 통상적 뒤척임과 심한 뒤척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서브송신부(524)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신호 처리된 생체신호를 미리 저정된 특정인(간병인, 간호인, 보호자, 의료진 등)의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서브송신부(524)는 병원의 간호스테이션(810) 내에 구축된 환자 관리 시스템 서버 등에 사용자에 대한 생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처리유닛(520)은 매트리스커버(7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2수납영역(74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매트리스커버(700)는 대개 천 등의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2수납영역(740)은 주머니 등의 포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신호처리유닛(520)은 포켓 등에 수납된 상태에서 실에 의한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그 위치가 고정되고, 동시에 봉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에 의하면, 사이드레일부(100)가 하강 위치로 전환되고, 압전센서부(500)를 통한 측정 신호가 상기 전환되는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는 경우, 송신부(400)는 상기 침대를 담당하는 간호스테이션(810)에 제3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침대를 이탈한 경우로 간주되는 바, 간호스테이션(810)에 '경고' 수준의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제3알림신호가 전송되고, 그 때부터 일정 시간이 더 경과하더라도 압전센서부(500)를 통해 생체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송신부(400)는 간호스테이션(810)에 제4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간호사 등에게 사용자의 복귀 여부를 다시 체크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은 진동측정부(200)의 흔들림 데이터를 분석하여 침대 위에서의 사용자 위치 및 자세를 각각 예측하는 위험추정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위험추정부(600)는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무게 중심 위치를 사용자 위치로 간주한다. 이는, 침대에서의 이탈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인체의 상반신 위치가 중요하게 고려된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낙상 위험을 판단할 때, 사용자 위치를 사용자의 전신이 아닌 상반신만으로 한정하여 모델링한다.
한편, 침대에서 사용자 위치는 세이프존과 언세이프존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자세는 바로 누운 자세, 옆으로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로 구분될 수 있다. 위험추정부(600)는 사이드레일부(100)에 가해진 외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한다. 그러나, 위험추정부(600)는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한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위험추정부(600)는 진동측정부(200)와 압전센서부(500)에서 전송받은 측정 신호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을 추정한다. 이를 위해, 위험추정부(600)가 진동측정부(200) 및 압전센서부(5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은 사용자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관리부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개인 정보에는 사용자의 연령, 신체(키, 몸무게) 정보, 수면 정보, 과거 질병 이력 등에 대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관리부는 진동측정부(200) 및/또는 압전센서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심박수 등, 사용자의 뒤척임, 자세 변경에 따른 위치 변화 등에 대한 패턴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사이드레일부 200: 진동측정부
300: 위치측정부 400: 송신부
500: 압전센서부 600: 위험추정부
510: 압전센서패드 520: 신호처리유닛
521: 필터링부 522: 연산부
523: 분석부 524: 서브송신부
700: 매트리스커버 720: 상반신영역
730: 제1수납영역 740: 제2수납영역

Claims (7)

  1. 침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사이드레일부;
    상기 사이드레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레일부의 흔들림을 측정하는 진동측정부;
    상기 사이드레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레일부가 승강 및 하강 위치 중 어느 위치인지 여부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흔들림 또는 상기 사이드레일부의 위치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수신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사이드레일부가 하강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침대를 담당하는 간호스테이션에 제1알림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침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조명을 점등하는 조명컨트롤러에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사이드레일부가 상승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침대를 담당하는 간호스테이션에 제2알림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침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조명을 소등하는 조명컨트롤러에 제2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정부는 가속도센서 또는 고도센서를 포함하는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측정부, 상기 위치측정부 및 상기 송신부는 단일 모듈유닛 내에 수납되며, 상기 모듈유닛은 상기 사이드레일부에 내장 또는 외장되는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위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압전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레일부가 하강 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압전센서부를 통한 측정 신호가 상기 전환되는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침대를 담당하는 간호스테이션에 제3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측정부의 흔들림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침대 위에서의 사용자 위치 및 자세를 각각 예측하는 위험추정부;를 더 포함하는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KR1020190116643A 2019-09-23 2019-09-23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KR102246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43A KR102246649B1 (ko) 2019-09-23 2019-09-23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CN202010567811.5A CN112542028A (zh) 2019-09-23 2020-06-19 床跌落预防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43A KR102246649B1 (ko) 2019-09-23 2019-09-23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31A KR20210034831A (ko) 2021-03-31
KR102246649B1 true KR102246649B1 (ko) 2021-04-30

Family

ID=7501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643A KR102246649B1 (ko) 2019-09-23 2019-09-23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6649B1 (ko)
CN (1) CN1125420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409A (ko) 2021-07-26 2023-02-02 최기도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650A (ja) * 2005-02-18 2006-08-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ベッド、起き上がり検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289663A (ja) 2007-05-24 2008-12-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起き上がり予兆検知装置
JP2009066068A (ja) 2007-09-11 2009-04-02 Paramount Bed Co Ltd 自動照明制御機構
JP2014176512A (ja) 2013-03-14 2014-09-25 Kanazawa Univ 患者のツーウェイコールシステム
JP2016192998A (ja)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デンソー 報知装置
JP2018082843A (ja) 2016-11-22 2018-05-3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9503822A (ja) * 2015-12-04 2019-02-14 アルジョ アイピー ホールディング アクチエボラグArjo IP Holding Aktiebolag 表示器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45B1 (ko) * 2011-12-29 2013-10-15 주식회사 하이로닉 낙상방지를 위한 의료용 침대
US20160049820A1 (en) * 2013-03-14 2016-02-18 Ramon Anthony Caamaño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s, Electric Drive Systems, Controllers, and Electrical Power Management Systems
TWM465162U (zh) * 2013-06-25 2013-11-11 Hui-Chu Yu 預防跌倒警示床欄
KR101638408B1 (ko) 2014-07-03 2016-07-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감지를 위한 웨어러블 모션 센서 장치, 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 시스템 및 낙상 감지 방법
WO2016186067A1 (ja) * 2015-05-19 2016-11-24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使用者位置検出装置及び方法
KR20180095242A (ko) 2017-02-17 2018-08-27 (주)와이파이브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70035851A (ko) 2017-03-13 2017-03-31 드림비전스주식회사 스마트 침대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7260427A (zh) * 2017-07-07 2017-10-20 上海市第六人民医院 一种护理病床及其安全监测系统
CN208876548U (zh) * 2018-03-22 2019-05-21 深圳和而泰数据资源与云技术有限公司 一种看护系统
CN108320458A (zh) * 2018-03-27 2018-07-24 上海市杨浦区中心医院(同济大学附属杨浦医院) 床栏报警器系统
CN110200442B (zh) * 2019-06-25 2022-02-01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防护围栏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650A (ja) * 2005-02-18 2006-08-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ベッド、起き上がり検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289663A (ja) 2007-05-24 2008-12-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起き上がり予兆検知装置
JP2009066068A (ja) 2007-09-11 2009-04-02 Paramount Bed Co Ltd 自動照明制御機構
JP2014176512A (ja) 2013-03-14 2014-09-25 Kanazawa Univ 患者のツーウェイコールシステム
JP2016192998A (ja)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デンソー 報知装置
JP2019503822A (ja) * 2015-12-04 2019-02-14 アルジョ アイピー ホールディング アクチエボラグArjo IP Holding Aktiebolag 表示器デバイス
JP2018082843A (ja) 2016-11-22 2018-05-3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409A (ko) 2021-07-26 2023-02-02 최기도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31A (ko) 2021-03-31
CN112542028A (zh)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2377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patient mobility monitoring
US9931085B2 (en)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a position and predicting an exit of a subject on or from a substrate
US9468399B2 (en) Detection of changes from a seated or lying body position by sensing body angle
US9836942B2 (en) Estimation and monitoring of patient torso angle
US20100191136A1 (en) System, pad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leeping person to detect an apnea state condition
US7656299B2 (en) Bed exit and patient detection system
US8620625B2 (en) Above bed sensor
US9338617B2 (en) Smart monitoring sensor system for monitoring mobility
JP2014515628A (ja) 患者支持装置のためのセンシングシステム
KR101935232B1 (ko) 낙상 방지용 침대
US11071393B2 (en) Apparatus for adding hospital bed functionality to an at-home bed
JP5826050B2 (ja) 荷重検出機能付きベッド及び荷重検出器
WO2007148638A1 (ja) ベッドの在床状況検出方法
CN210983689U (zh) 一种老人睡觉起身防跌倒报警装置
JP2010148700A (ja) 寝床上の被験者の情報検出システム
CN109276384A (zh) 一种智能婴儿床
KR102246649B1 (ko)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KR20130072428A (ko) 유아 급사 방지구 및 유아 급사 방지구를 포함하는 유아 안전 관리 시스템
JP2020194212A (ja) システム
KR102404032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KR102169174B1 (ko)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CN213518592U (zh) 一种患者离床监测系统
US11100779B1 (en) Comprehensive care device
CN101390135B (zh) 人身警报装置
JP2021089633A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プログラム及び見守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