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174B1 -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174B1
KR102169174B1 KR1020190088267A KR20190088267A KR102169174B1 KR 102169174 B1 KR102169174 B1 KR 102169174B1 KR 1020190088267 A KR1020190088267 A KR 1020190088267A KR 20190088267 A KR20190088267 A KR 20190088267A KR 102169174 B1 KR102169174 B1 KR 10216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fall risk
mattress
mattres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석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포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포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포케어
Priority to KR102019008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Landscapes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상면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매트리스를 감싸는 매트리스커버;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의 상면 내의 뒤척임을 감지하는 뒤척임감지부;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의 상면 내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뒤척임감지부와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전송받은 감지 신호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낙상위험판단부; 및 상기 낙상위험판단부에서 발생하는 낙상 위험 신호를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MODULAR FALL-DOWN RISK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병원 등에서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낙상 사고를 실시간 감지하여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병원은 간병인이나 보호자 대신 간호사가 간병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간호, 간병 통합 서비스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간호 인력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간호 인력의 부족 현상은 더욱 심화되었다. 한편, 병원 등의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하는 환자의 안전사고 중 40%는 병실 침상에서 발생하는 낙상 사고에 해당된다. 낙상 사고는 환자가 침상에서 떨어져 사고를 당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병원 침상에는 안전을 위하여 대부분 측면에 안전 바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 바는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에게 답답함, 구속감 등 심리적 불편을 초래하여 환자 스스로 안전바를 내리고 침상에서 이탈 하려다가 낙상 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이로 인해, 의료기관과 환자/보호자 사이의 법적 분쟁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또한, 보건복지부는 낙상 사고에 대한 안전 주의경보를 내렸으며, 의료기관 역시 최근 보다 적극적인 예방 및 관리를 시도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 방법 등이 제안 공개되었다. 그러나, 종래 장치, 방법은 낙상 위험을 감지하거나 예측함에 있어 오류가 빈번하고, 신뢰도가 떨어지며, 고비용이 발생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88247호 (2008.10.0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5851호 (2017.03.3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5242호 (2018.08.27.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4679호 (2016.01.13.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호, 간병 업무의 부하를 해소하고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비접촉 무자각 방식으로 사용자의 낙상 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자 한다. 또한, 모듈식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의 관리, 유지 측면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을 반영하여 시스템 구성을 일부 달리할 수 있는 맞춤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개별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일부 부품이 고장 나더라도 쉽게 교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상면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매트리스를 감싸는 매트리스커버;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의 상면 내의 뒤척임을 감지하는 뒤척임감지부;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의 상면 내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뒤척임감지부와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전송받은 감지 신호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낙상위험판단부; 및 상기 낙상위험판단부에서 발생하는 낙상 위험 신호를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뒤척임감지부와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매트리스커버에 형성되는 포켓 내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리스커버는 세로 방향이 더 긴 직사각형 모양이며,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상면에는 상반신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상반신영역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뒤척임감지부는 상기 제1영역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뒤척임감지부가 형성되는 상기 제1영역과 직교하는 한 쌍의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뒤척임감지부와 상기 위치감지부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따라 형성 위치가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뒤척임감지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 측정하는 압전센서; 상기 압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신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필터링하여 뒤척임파형 만을 추출하는 필터링부; 상기 뒤척임파형을 변환 처리하여 대푯값을 형성하는 연산부; 및 상기 대푯값이 뒤척임으로 판단하는 임계값을 초과한 횟수와 상기 대푯값의 크기를 이용으로 뒤척임 정도를 구별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위치감지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 분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추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추정부는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무게 중심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낙상위험판단부는 낙상 위험을 확률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은 간호, 간병 업무의 부하를 해소하고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접촉 무자각 방식으로 사용자의 낙상 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듈식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의 관리, 유지 측면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을 반영하여 시스템 구성을 일부 달리할 수 있는 맞춤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개별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일부 부품이 고장 나더라도 쉽게 교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은 매트리스커버(100), 뒤척임감지부(200), 위치감지부(300), 낙상위험판단부(400), 통신부(500), 사용자관리부(미도시), 바닥압력감지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매트리스는 침대용의 두툼한 요를 의미하며, 쿠션을 제공하기 위해 그 속에 스프링이나 스펀지를 넣어 푹신하게 만든 것을 통칭한다. 또한, 매트리스는 라텍스 등 그 내부 소재와 상관없이 용도가 동일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이런, 매트리스는 대개 직사각형 모양의 납작한 형상을 갖는다. 매트리스는 바닥면 또는 침대 프레임 위에 배치되며, 상면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다.
한편, 매트리스커버(100)는 상면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매트리스를 감싸는 용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커버(100)는 설명의 편의상 세로 방향이 더 긴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뒤척임감지부(200)는 매트리스커버(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매트리스의 상면 내의 뒤척임을 감지한다. 여기서, 매트리스커버(100)의 하면은 그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뒤척임감지부(200)는 매트리스커버(100)의 하면이 바닥면 등과 대향 접촉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관상 노출되지 않는다. 그 결과, 사용자는 대개 이를 인식할 수 없다. 즉, 뒤척임감지부(200)는 사용자의 뒤척임 동작을 사용자의 무인식 하에 비접촉(untact)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뒤척임감지부(200)는 압전센서(210), 필터링부(220), 연산부(230), 분석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센서(21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실시간 측정한다. 이런, 압전센서(210)는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수, 움직임 등에 관한 복수 개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압전센서(210)는 그 측정 신호가 미약한 경우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은 압전센서(210)에 의해 측정되는 심박수, 호흡수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 사용자의 건강 이상 징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필터링부(220)는 압전센서(210)를 통해 측정되는 신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필터링하여 뒤척임파형 만을 추출한다. 즉, 필터링부(220)는 측정 데이터에서 심박수, 호흡수 등의 불필요한 부분은 제거하고,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되는 신호를 추출하여 뒤척임파형을 얻는다. 이런 필터링부(220)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트프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링부(220)는 뒤척임파형을 예를 들어 3초, 5초 등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분할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증폭하여 사용자의 뒤척임에 대한 변화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연산부(230)는 뒤척임파형을 변환 처리하여 대푯값을 형성한다. 연산부(230)는 전술한 단위 시간 내에서 각 뒤척임파형이 갖는 뒤척임 정도를 수치화하여 대푯값을 형성할 수 있다.
분석부(240)는 대푯값이 뒤척임으로 판단하는 임계값을 초과한 횟수와 그 대푯값의 크기를 이용하여 뒤척임 정도를 구별한다. 다만, 이런 뒤척임 정도는 미리 측정되는 수많은 샘플 데이터를 통해 얻어지는 경험과 실험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뒤척임은 분석을 통해 예를 들어, 통상적 뒤척임과 심한 뒤척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뒤척임 정도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 등의 요인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240)는 사용자가 비수면 상태에서 단지 침대를 이탈하는 경우, 임계값을 초과하는 대푯값이 수차례 검출되더라도 이를 유의미한 뒤척임 정도로 판정하지 않는다. 한편, 뒤척임감지부(200)는 사용자의 뒤척임 정도가 미약한 경우, 이에 대한 뒤척임 정도 역시 별도 제공하여, 오랜 시간 동일 자세를 갖는 사용자의 욕창 발생 가능성 등을 경고할 수 있다.
한편, 뒤척임감지부(200)는 매트리스커버(100)의 하면 중 특정 위치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커버(100)는 전술한 것처럼 세로 방향이 더 긴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다. 매트리스커버(100)가 씌워져 있는 매트리스 위에 사용자가 누워있는 자세를 취할 때, 매트리스커버(10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상반신이 놓이는 상반신영역(12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반신영역(120)은 고정된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개인 정보(신장, 체형 등), 수면 정보 등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매트리스커버(100)의 하면에는 상반신영역(120)과 대향하는 위치에 매트리스커버(100)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영역(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영역(130)은 서로 일정하게 이격되거나,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130)은 서로 동일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 개별적인 제1영역(130)은 예를 들어, 포켓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뒤척임감지부(200)는 매트리스커버(100)에 형성되는 포켓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이 때, 포켓은 매트리스커버(100)의 외면이나 내면 중 어느 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매트리스커버(100)는 대개 천 등의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뒤척임감지부(200)가 포켓에 수납되면, 그 상태에서 포켓의 입구는 실에 의한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봉합될 수 있다. 그 결과, 뒤척임감지부(200)는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뒤척임감지부(200)는 매트리스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매트리스의 하면에는 포켓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뒤척임감지부(200)는 복수 개의 제1영역(13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것처럼 뒤척임감지부(20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수면 정보 등에 따라 형성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점을 전체적으로 고려할 때, 뒤척임감지부(200)는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곳의 연직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감지부(300)는 매트리스커버(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매트리스의 상면 내의 위치를 측정한다. 여기서, 매트리스커버(100)의 하면은 그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위치감지부(300)는 매트리스커버(100)의 하면이 바닥면 등과 대향 접촉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관상 노출되지 않는다. 그 결과, 사용자는 대개 이를 인식할 수 없다. 즉, 위치감지부(300)는 사용자의 위치를 사용자의 무인식 하에 비접촉(untact)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부(300)는 압력센서(310), 위치추정부(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감지부(300)는 사용자의 뒤척임 정보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특히, 매트리스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낙상 가능성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압력센서(310) 자체는 이미 공지된 통상적인 어떠한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압력센서(310)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압력센서(310)는 압력의 세기, 압력이 전달되는 면적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력센서(310)는 압력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압력센서(310)는 예를 들어, 위치감지부(30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추정부(320)는 압력센서(310)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 분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한다. 압력 분포는 압력센서(310)에 의해 측정되는 매트리스의 일부 면적을 압력의 세기에 따라 색상의 차이 등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위치추정부(320)는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무게 중심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간주한다. 이는, 낙상 위험을 예측할 때 인체의 팔과 다리보다 그 상반신이 매트리스를 이탈하였는지 여부가 보다 중요하게 고려된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낙상 위험을 판단할 때, 사용자를 사용자의 전신이 아닌 상반신만으로 한정하여 모델링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부(300)는 뒤척임감지부(200)가 형성되는 제1영역(130)과 직교하는 한 쌍의 제2영역(150)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센서(310)는 제2영역(15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영역(130)이나 제2영역(150)은 반드시 특별한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위치감지부(300)가 제1영역(130)과 직교하는 제2영역(15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면, 메트리스커버(100)의 하면에는 뒤척임감지부(200)와 위치감지부(300)에 의해 전체적으로 H자 모양의 감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영역(150)은 예를 들어, 포켓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부(300)는 매트리스커버(100)에 형성되는 포켓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이 때, 포켓은 매트리스커버(100)의 외면이나 내면 중 어느 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매트리스커버(100)는 대개 천 등의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위치감지부(300)가 포켓에 수납되면, 위치감지부(300)는 그 상태에서 실에 의한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며, 동시에 봉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위치감지부(300)는 매트리스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매트리스의 하면에는 포켓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포켓(뒤척임감지부(200), 위치감지부(300)를 수납하기 위함)을 매트리스커버(100)의 하면에 형성하는 방법은 박음질 뿐만 아니라, 벨크로를 사용하는 방법, 지퍼를 이용하는 방법, 어느 한 쪽에 단추를 생성하고, 나머지 다른 쪽에 단추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 직접 접착하는 방법 등 다양하다.
한편, 제2영역(150)은 일 부분이 서로 중첩되는 복수 개의 제2서브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제2서브영역은 제2영역(150)이 매트리스커버(1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분할된 것이다. 이는, 복수 개의 제1영역(130)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는 뒤척임감지부(200)의 배치 위치에 따른 위치감지부(300)의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위치감지부(30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따라 형성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낙상위험판단부(400)는 뒤척임감지부(200)와 위치감지부(300)에서 전송받은 감지 신호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한다. 이를 위해, 낙상위험판단부(400)는 뒤척임감지부(200) 및 위치감지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낙상위험판단부(400)는 낙상 위험을 확률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낙상위험판단부(400)는 몇 단계의 등급을 사용하여 낙상 위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낙상위험판단부(400)는 주간과 야간, 더 구체적으로 시간대 별로 낙상 위험에 대한 가중치를 달리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압전센서(210)를 통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수면 정보(일정 기간 내의 통계값)에 근거할 수 있다. 또한, 낙상위험판단부(400)는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경우에만 낙상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비수면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 아무리 낙상 위험이 크더라도 이를 무시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낙상위험판단부(400)에서 발생하는 낙상 위험 신호를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500)는 낙상위험판단부(400)와 유선 또는 무선의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통신부(500)는 액세스 정보를 더 전송하여 해당 낙상 위험 신호에 대한 출처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단말기는 미리 저정된 특정인(의료진, 보호자 등)의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500)는 병원의 간호 스테이션 내에 구축된 환자 관리 시스템 서버 등에 낙상 위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500)는 매트리스커버(1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매트리스커버(100)는 대개 천 등의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며, 매트리스커버(100)의 일 측면에는 주머니 등의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500)는 포켓 등에 수납된 상태에서 실에 의한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그 위치가 고정되고, 동시에 봉합될 수 있다. 통신부(50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낙상 위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뒤척임감지부(200), 위치감지부(300), 낙상위험판단부(400), 통신부(500)는 외부 전원 등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관리부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개인 정보에는 사용자의 연령, 신체(키, 몸무게) 정보, 수면 정보, 과거 질병 이력 등에 대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관리부는 뒤척임감지부(200) 및/또는 위치감지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 데이터를 전송받아 수면 상태에서 사용자의 뒤척임, 자세 변경에 따른 위치의 변화 등에 대한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은 바닥압력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침대가 위치하는 공간의 바닥면에 압력센서(31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낙상하는 경우 그 충격으로 인한 급격한 압력 세기를 검출하도록 한다. 이 때, 바닥압력감지부는 최초 충격 이후 압력의 변화 및 그 지속 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이런 바닥압력감지부는 전술한 통신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제 낙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신속하게 의료진 등에 알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플레이스토어 등을 통해 다운로드 가능하다. 이를 통해, 의료진 등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고, 각 사용자의 낙상 위험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낙상 위험 시스템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매트리스커버 200: 뒤척임감지부
300: 위치감지부 400: 낙상위험판단부
500: 통신부
120: 상반신영역 130: 제1영역
150: 제2영역 210: 압전센서
220: 필터링부 230: 연산부
240: 분석부 310: 압력센서
320: 위치추정부

Claims (8)

  1. 상면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매트리스를 감싸는 매트리스커버;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의 상면 내의 뒤척임을 감지하는 뒤척임감지부;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의 상면 내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뒤척임감지부와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전송받은 감지 신호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낙상위험판단부; 및
    상기 낙상위험판단부에서 발생하는 낙상 위험 신호를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상면에는 상반신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상반신영역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매트리스커버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뒤척임감지부는 상기 제1영역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제1영역과 직교하는 한 쌍의 제2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제2영역의 양측에 형성되어 매트리스커버의 하면에는 H자 모양의 감지 영역이 형성되는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척임감지부와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매트리스커버에 형성되는 포켓 내에 수납되는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척임감지부와 상기 위치감지부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따라 형성 위치가 달라지는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척임감지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 측정하는 압전센서;
    상기 압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신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필터링하여 뒤척임파형 만을 추출하는 필터링부;
    상기 뒤척임파형을 변환 처리하여 대푯값을 형성하는 연산부; 및
    상기 대푯값이 뒤척임으로 판단하는 임계값을 초과한 횟수와 상기 대푯값의 크기를 이용으로 뒤척임 정도를 구별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위치감지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 분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추정부;를 포함하는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위험판단부는 낙상 위험을 확률로 제공하는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KR1020190088267A 2019-07-22 2019-07-22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KR10216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67A KR102169174B1 (ko) 2019-07-22 2019-07-22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67A KR102169174B1 (ko) 2019-07-22 2019-07-22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174B1 true KR102169174B1 (ko) 2020-10-22

Family

ID=7303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267A KR102169174B1 (ko) 2019-07-22 2019-07-22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458A (ko) 2020-12-03 2022-06-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명찰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앙상블 지도학습 기반의 일상생활동작 분류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247A (ko) 2007-03-29 2008-10-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압전센서를 이용한 이동체용 무선생체신호 감시장치
KR100927643B1 (ko) * 2006-02-22 2009-11-20 (주)한별메디텍 무구속 수면상태 판단 장치
KR20160004679A (ko) 2014-07-03 2016-0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감지를 위한 웨어러블 모션 센서 장치, 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 시스템 및 낙상 감지 방법
KR20170035851A (ko) 2017-03-13 2017-03-31 드림비전스주식회사 스마트 침대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70079765A (ko) * 2015-12-31 2017-07-10 코웨이 주식회사 매트리스에서의 수면 측정 및 분석 방법
JP2017153743A (ja) * 2016-03-02 2017-09-07 住友理工株式会社 マットレス
KR20180023225A (ko) * 2016-08-25 2018-03-07 정원미 관리 대상자의 상태 인식을 통한 질병 발병 및 위험 상황 방지를 위한 스마트 매트 시스템
KR20180082029A (ko) * 2017-01-09 2018-07-18 (주)에프에스알엔티 사용자 움직임 가속도 분석기반 낙상 추정시스템
KR20180095242A (ko) 2017-02-17 2018-08-27 (주)와이파이브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90026422A (ko) * 2017-09-05 2019-03-1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 센서의 격자 모양 배치를 이용한 스마트 침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43B1 (ko) * 2006-02-22 2009-11-20 (주)한별메디텍 무구속 수면상태 판단 장치
KR20080088247A (ko) 2007-03-29 2008-10-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압전센서를 이용한 이동체용 무선생체신호 감시장치
KR20160004679A (ko) 2014-07-03 2016-0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감지를 위한 웨어러블 모션 센서 장치, 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 시스템 및 낙상 감지 방법
KR20170079765A (ko) * 2015-12-31 2017-07-10 코웨이 주식회사 매트리스에서의 수면 측정 및 분석 방법
JP2017153743A (ja) * 2016-03-02 2017-09-07 住友理工株式会社 マットレス
KR20180023225A (ko) * 2016-08-25 2018-03-07 정원미 관리 대상자의 상태 인식을 통한 질병 발병 및 위험 상황 방지를 위한 스마트 매트 시스템
KR20180082029A (ko) * 2017-01-09 2018-07-18 (주)에프에스알엔티 사용자 움직임 가속도 분석기반 낙상 추정시스템
KR20180095242A (ko) 2017-02-17 2018-08-27 (주)와이파이브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70035851A (ko) 2017-03-13 2017-03-31 드림비전스주식회사 스마트 침대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90026422A (ko) * 2017-09-05 2019-03-1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 센서의 격자 모양 배치를 이용한 스마트 침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458A (ko) 2020-12-03 2022-06-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명찰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앙상블 지도학습 기반의 일상생활동작 분류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6299B2 (en) Bed exit and patient detection system
US10332377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patient mobility monitoring
US9931085B2 (en)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a position and predicting an exit of a subject on or from a substrate
US201900537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subject at rest
US20180089979A1 (en) Estimation and monitoring of patient torso angle
US8672842B2 (en) Smart mattress
US8444558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vital signs having fluid bladder beneath padding
US20130317393A1 (en) Pressure senso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for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pressure injuries
EP2229101B1 (en) Sleep position detection
JP4029177B2 (ja) 無拘束生体情報検知マット及び生体情報検知装置
US114578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continence device replacement interval
US20210161462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es with mobility assessment
KR101956429B1 (ko) 관리 대상자의 상태 인식을 통한 질병 발병 및 위험 상황 방지를 위한 스마트 매트 시스템
ES2909708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detección de presencia de personas postradas en una cama
JP2001187030A5 (ja) 無拘束生体情報検知マット及び生体情報検知装置
JP2014524792A (ja) ベッドの中の人の位置の変化を検出するための測定装置
KR101760616B1 (ko) 영유아 돌연사 방지용 침대 장치
US20220322971A1 (en) Contactless Patient Motion Monitoring
KR102169174B1 (ko)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KR102246649B1 (ko)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KR102404032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JP5006018B2 (ja) 生体情報計測用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生体情報計測システム
KR20110085816A (ko) 건강 진단장치
EP2878261A1 (en) A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e of a subject
EP4248845A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