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162B1 -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162B1
KR102627162B1 KR1020200134902A KR20200134902A KR102627162B1 KR 102627162 B1 KR102627162 B1 KR 102627162B1 KR 1020200134902 A KR1020200134902 A KR 1020200134902A KR 20200134902 A KR20200134902 A KR 20200134902A KR 102627162 B1 KR102627162 B1 KR 102627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arding
confirmation
unit
b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864A (ko
Inventor
심민식
Original Assignee
심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민식 filed Critical 심민식
Priority to KR102020013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1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3Recognising seat occupa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화면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된 영역의 선택에 따라 승하차 확인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승하차 확인 상태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BUS INFORMATION ALARM SYSTEM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대한 복수의 영상을 통해 직접 탑승자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영역 선택을 통해 직접 승하차확인 완료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는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어린이집 통학차량에 탑승한 아이를 두고 내려 통학차량 내에 장시간 방치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통학차량에 탑승한 인솔교사가 특정 아이가 하차하지 못했음을 인지하지 못한 채 몇 시간 뒤에 발견되어 아이가 폭염 속에서 통학차량 내에 장시간 갇혀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사고예방 대책이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재발방지를 위해 현장에서 차량을 운행하고 아이들을 보호하는 인솔 교사가 아이들의 통학차량 승하차 이력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승하차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통합적인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문헌 : 한국공개특허 10-2020-0017895
상기 선행문헌에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시트(Seat)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초음파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센싱한 제1 센싱값을 생성하며,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마그네틱 방식으로 탑승자가 존재를 센싱한 제2 센싱값을 생성하며, 차량 내부에 탑승자의 승하차시 촬영된 QR 코드를 인식한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RF 방식으로 전송하는 센싱 단말기, 및 상기 차량에 탑재되어 복수 개의 상기 센싱 단말기와 연동하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주차모드인 것으로 인지하여 복수 개의 상기 센싱 단말기를 활성화되도록 동작시키며, 상기 제1,2,3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하며, 기 설정된 운전자 단말기로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GPS 위치 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는 메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에서는 센서에 의한 탑승자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자동으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기술이 개시되나, 보다 효율적으로 탑승자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 및 장치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에 대한 복수의 영상을 통해 직접 탑승자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영역 선택을 통해 직접 승하차확인 완료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는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화면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된 영역의 선택에 따라 승하차 확인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승하차 확인 상태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 또는 버튼식 UI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영역 각각의 선택여부를 감지하고, 각각의 분할영역에 선택 여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승하차확인 완료 여부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은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는 차량상태 점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에서 판단된 차량의 상태에 따라 제어부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승하차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는, 차량의 시동이 온(on)/오프(off)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복수의 촬영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영역 선택에 의해 승하차확인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승하차 확인 완료 여부에 따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정보알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버스 정보알림 방법은, 상기 승하차확인 완료 여부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알람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정보알림 방법은, 상기 정보송출 단계 및 상기 알람단계 이전에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는 차량상태 점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대한 복수의 영상을 통해 직접 탑승자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영역 선택을 통해 직접 승하차확인 완료 절차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달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은 차량의 실내 및/또는 실외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은 차량에 내장 또는 매립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거치형 단말시스템 또는 모바일 디스플레이기를 활용한 별도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별도의 제품으로 구현되는 경우,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이 차량에서 분리된 별도의 제품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의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할수 있는 장치가 별도로 형성되고,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에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을 분할하여 차량에 대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차량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하나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버스의 좌석을 각각 촬영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한 화면에서 차량의 실내에 하차하지 않은 승객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승객 승차시에는 안전하게 착석하여 안전밸트를 체결하였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카메라를 설치한 경우에는 차량 외부의 위험지역에 승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터치스크린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차량의 좌석에 승객이 남아 있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화면을 터치하여 하차확인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승차했을 때는 안전하게 착석하여 안전밸트를 맺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화면을 터치하여 승차확인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각각의 분할된 화면에는 터치 신호 입력 여부를 표시하도록 터치신호 입력 표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신호 입력 표시부(111)에는 해당 분할화면에 대한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체크 표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의 분할영역 선택은 터치스크린이 아닌 버튼식 UI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터치 입력 여부를 감지하고, 터치 입력 여부에 따라 승하차확인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차량의 좌석에 승객이 남아있는지 혹은 승객이 좌석에 안전하게 착석하였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화면을 터치하여 승하차확인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분할된 영역에서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신호 입력 표시부(111)에 해당 영역의 승차확인 또는 하차확인 완료 상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따라 승하차확인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승하차확인 상태를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1)에서는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승객의 학부모, 유치원, 학원 등의 고객들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1)에서 고객들에게 전송되는 메시지의 형태는 텍스트나 이미지, 혹은 인터넷 주소 링크 등 다양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들에게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에서 판단된 승하차확인 상태를 전송하는 방법은 서버를 통해 전달할 수도 있으나,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으로부터 고객의 단말기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승하차확인 상태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실제 좌석이 촬영된 사진도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모두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승하차확인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승하차확인 완료 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은,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통신부(130)를 통해 하차확인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소정 시간 경과후 자동으로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off)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분할된 영역 모두에 터치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20)는 승하차확인이 미완료 된 것으로 판단하고 승하차확인 미완료 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에서는 제어부가 승하차확인 상태를 판단하는 시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시동이 꺼진 후 몇분 이내, 혹은 학원이나 학교 등 목적지에 도착한 후 몇분 이내에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승하차확인 터치 입력이 안되는 경우에는 승하차확인 미완료로 판단하도록 미리 제한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통신부(130)는, 상기 제어부(120)의 명령에 따라, 승하차확인 상태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통신부(130)는 외부의 서버(101)로 신호를 전달하여 서버에서 각 고객들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의 서버(101)를 활용하는 경우, 서버(101)는 통신부(130)를 통해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과 주기적인 통신을 수행하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서버(101)와 통신부(130)의 통신이 비정상 동작으로 판단될 경우 서버(101)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고객들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로 장시간 차량이 운행되는 경우에도 해당 정보를 고객들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에 사용되는 통신방법은 일반 무선통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tooth) 등 다양한 방법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는, 상기 통신부(130)에서 직접 고객들의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은 알람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의 명령에 따라 상기 승하차확인 완료 여부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40)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람부(140)는 표시등 혹은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어, 상기 제어부(120)에서 승하차확인 미완료로 판단이 되는 경우 표시등을 깜빡이거나 경보기의 경고음을 울려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승하차확인을 할 수 있도록 알람을 줄 수 있다.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이 차량에 매립 혹은 거치형의 단말제품인 경우에 상기 알람부(140)는 차량 자체에 설치된 깜박이나 경적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알람부가 차량의 깜박이나 경적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에서 승하차확인 미완료로 판단이 되는 경우 차량의 깜박이를 켜거나 차량의 경적을 울려 사용자에게 알람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40)는 승하차 확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안내나 문자 안내를 통해 시스템 사용자에게 알람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100)은 차량상태 점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150)는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150)에서 판단된 차량의 상태에 따라 제어부(120)에서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승하차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15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이후에도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시전원 또는 보조배터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에서는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150)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것이 확인된 후 소정시간 내에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하차확인 터치 입력이 안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에서 하차확인 미완료로 판단하고 이러한 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 알람부(140)를 통해 경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150)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의 위치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이 켜져있는 상태로 차량이 일정시간 이상 정차하는 경우에 제어부에서는 이를 특이한 사항으로 판단하여 승하차확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의 시동이 켜져있는 상태로 차량을 정차시켜 승객을 승차 또는 하차시킨 경우에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승차 또는 하차확인을 위한 터치입력을 진행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20)에서는 승차 또는 하차확인 미완료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하차확인 미완료시 제어부(120)는 알람부(140)를 통해 하차확인 미완료 알람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150)에서 차량의 위치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최종목적지인 승객 하차장소를 미리 입력해 놓고 해당 목적지에 차량이 도착하고 일정시간 이후에 제어부(120)는 하차확인 완료/미완료 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위치정보가 확인 가능한 경우에는 하차정보 뿐 아니라 승차정보에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내에 기 등록된 등록지점의 일정 반경내로 해당차량이 진입시 기 등록된 고객들에게 차량 승차 정보를 알리도록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방법은, 디스플레이 단계(210), 승하차확인 완료여부 판단 및 제어신호 생성단계(220), 및 정보송출 단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210)에서는 복수의 촬영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방법에서는 차량의 실내 및/또는 실외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부에는 터치스크린이 적용될 수 있다. 차량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하나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한 화면에서 차량의 실내에 하차하지 않은 승객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승객이 승차시 좌석에 안전하게 착석하여 안전밸트를 맺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카메라를 설치한 경우에는 차량 외부의 위험지역에 승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차량의 좌석에 승객이 남아 있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화면을 터치하여 하차확인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하게 착석하여 안전밸트를 맺는지를 확인하고, 하당화면을 터치하여 승차확인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각각의 분할된 화면에는 터치 신호 입력 여부를 표시하도록 터치신호 입력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신호 입력 표시부에는 해당 분할화면에 대한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체크 표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승하차확인 완료여부 판단 및 제어신호 생성단계(220)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입력 신호에 의해 승하차확인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여부를 감지하고, 터치 입력 여부에 따라 승하차확인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하차확인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탑승한 승객이 좌석에 안전하게 착석하였는지 혹은 승객이 모두 하차 후 차량의 좌석에 승객이 남아있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화면을 터치하여 승하차확인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따라 승하차확인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승하차확인 상태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에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승객의 학부모, 유치원, 학원 등의 고객들에게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방법은,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모두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승하차확인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승하차확인 완료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방법은,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 모두에 터치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승하차확인이 미완료 된 것으로 판단하고 승하차확인 미완료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송출단계(230)는 상기 승하차확인 완료 여부에 따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정보송출단계(230)는, 외부의 서버로 신호를 전달하여 서버에서 각 고객들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방법은, 상기 승하차확인 완료 여부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알람단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단계(240)는 상기 완료여부 판단 및 제어신호 생성단계(220)에서 승하차확인 미완료로 판단이 되는 경우 표시등을 깜빡이거나 경보기의 경고음을 울려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승하차확인을 할 수 있도록 알람을 줄 수 있다.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이 차량에 매립 혹은 내장되는 경우에는, 알람부가 차량 자체에 설치된 깜박이나 경적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알람단계(240)는 차량의 깜박이를 켜거나 차량의 경적을 울려 사용자에게 알람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음성 안내 또는 문자 안내를 표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방법은, 상기 정보송출 단계(230) 및 상기 알람단계(240) 이전에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는 차량상태 점검 단계(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상태 점검 단계(250)는 상기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차량상태 점검 단계(250)는 상기 승하차확인 완료여부 판단 및 제어신호 생성단계(220)와 동시에 진행되거나 상호간의 순서를 바꾸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차량상태 점검 단계(250)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정보알림 방법의 처음 순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차량상태 점검단계(250)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온/오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단계(250)에서 차량의 시동이 온/오프된 것으로 확인된 후 소정시간 내에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하차확인 터치 입력이 안되는 경우에는 승하차확인 미완료로 판단하고 이러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 알람부를 통해 경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차량상태 점검단계(250)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의 위치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이 켜져있는 상태로 차량을 정차시켜 승객을 승하차시킨 경우에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승차 또는 하차확인을 위한 터치입력을 진행하지 않는다면, 승차 또는 하차확인 미완료로 판단하고 이러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고 알람부를 통해 승차 또는 하차확인 미완료 알람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영역 분할이나 제어부의 작동 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승하차확인으로 표현한 부분은 승차확인 또는 하차확인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 알람부
150 : 차량상태 점검부

Claims (10)

  1.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화면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며 터치스크린 UI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된 화면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신호 입력 여부를 표시하는 터치 신호 입력 표시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분할된 영역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여 터치 여부를 상기 터치 신호 입력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 여부에 따라 승하차 확인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승하차 확인 상태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승하차확인 완료 여부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알람부; 및
    상기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는 차량상태 점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에서 판단된 차량의 상태에 따라 제어부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승하차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는,
    차량의 시동이 온(on)/오프(off)된 것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상태 점검부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8. 복수의 촬영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분할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여 터치 여부를 상기 분할된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터치 여부에 따라 승하차 확인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승하차 확인 완료 여부에 따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하차확인 완료 여부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알람단계; 및
    상기 정보송출 단계 및 상기 알람단계 이전에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는 차량상태 점검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알림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34902A 2020-10-19 2020-10-19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62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902A KR102627162B1 (ko) 2020-10-19 2020-10-19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902A KR102627162B1 (ko) 2020-10-19 2020-10-19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864A KR20220051864A (ko) 2022-04-27
KR102627162B1 true KR102627162B1 (ko) 2024-01-22

Family

ID=8139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902A KR102627162B1 (ko) 2020-10-19 2020-10-19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1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53B1 (ko) 2013-09-09 2014-12-31 박용재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KR101602250B1 (ko) * 2014-12-26 2016-03-10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어린이 통학 및 통원용 차량에서의 승하차 확인 및 이력관리를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89B1 (ko) * 2013-06-04 2015-01-14 서현택 운송차량용 안전시스템
KR20150095290A (ko) * 2014-02-13 2015-08-21 허진만 모바일 단말 장치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631647B1 (ko) * 2014-09-11 2016-06-27 (주)탑이앤씨코리아 통학차량에 설치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KR20200020035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이지원인터넷서비스 차량내 승객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53B1 (ko) 2013-09-09 2014-12-31 박용재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KR101602250B1 (ko) * 2014-12-26 2016-03-10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어린이 통학 및 통원용 차량에서의 승하차 확인 및 이력관리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864A (ko)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3046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並びに移動体
KR101889963B1 (ko)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297187B1 (ko) 차량의 탑승자 보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9281965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3569009A (zh) 用于车辆的警示系统和方法
CN103569010A (zh) 用于车辆的警示系统和方法
JP2006195580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US20210188162A1 (en) Vehicle state alert apparatus and vehicle state alert method
JP2012014689A (ja) 運転者支援情報を提供するコンピュータベー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7094783A1 (ja) 情報伝達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75695A (ja) 危険報知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11654937B2 (en) Reporting device sending collision information based on driving mode and occupant presence
CN111231891A (zh) 集成的无声车辆报警器
KR102185373B1 (ko) 자동차용 안전 및 비상 신호 표시 시스템
US9159233B2 (en) System including vehicle location alert based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audio entertainment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20200068090A (ko)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US11700522B2 (en) Vehicle that has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JP5994526B2 (ja) 運転支援装置
US9031546B2 (en) System including vehicle speed alert based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audio entertainment system and related methods
CN108417061B (zh) 用于识别至少一个信号装置的信号状态的方法和装置
KR102627162B1 (ko) 버스 정보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WO2018092231A1 (ja) 車載装置、携帯端末装置、認識支援システム、認識支援方法、及び認識支援プログラム
JP2017087812A (ja) 事故通報装置、事故通報アプリケーション、事故通報システム、事故通報方法
KR20190114327A (ko)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US10689009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warning about a wrong-way drive situation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6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322

Effective date: 202305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