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327A -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327A
KR20190114327A KR1020180036857A KR20180036857A KR20190114327A KR 20190114327 A KR20190114327 A KR 20190114327A KR 1020180036857 A KR1020180036857 A KR 1020180036857A KR 20180036857 A KR20180036857 A KR 20180036857A KR 20190114327 A KR20190114327 A KR 2019011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cm
signal
collision
vehicle
collis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763B1 (ko
Inventor
김의
서기봉
조광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티
Priority to KR102018003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7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차량의 BCM(body control module)을 이용하는 충돌 감지 장치 및 충돌 감지 시스템에 관련된다.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는 차량의 BCM으로부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수신하기 위한 BCM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BCM 요청 신호를 BCM으로 전송한다.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는 BCM으로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포함하는 BCM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N인 경우,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는 충돌 감지 신호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COLLISION DETECTION DEVICE AND SYSTEM USING BODY CONTROL MODULE OF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의 BCM(body control module)을 활용하는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 및 충돌 감지 시스템에 관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는 OBD(on-board diagnostics) 단자를 통해 차량에 연결되어 BCM 충돌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차량의 애프터 마켓(after market)을 위한 충돌 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충돌 감지 시스템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차량을 보유하는 운전자의 수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차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 사고의 위험성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교통 사고 중에는 차량 간의 가벼운 접촉 사고도 있지만, 고속으로 운전하는 차량들이 충돌하게 되면 자칫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위급 상황 시에는 신속하게 긴급 구조 기관에 사고 위치와 사고 정보 등을 알리고 긴급 구난을 요청하여야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심각한 사고로 인해 운전자가 수술이 필요하게 되어 보호자 동의가 필요한 경우 운전자의 보호자에게도 신속하게 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알릴 필요가 있다.
따라서, 차량 관련 업계에서는 차량에 긴급 구난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8036호에서는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차량 충돌에 따른 에어백 전개 시 차량에 구비된 ACU(airbag control unit)로부터 출력되는 에어백 전개 신호를 수신하여 ACN 정보를 생성 후 텔레매틱스 상담원 센터로 전송하는 자동 충돌 알림 시스템을 개시한다. 그러나, 에어백 전개 신호를 직접 감지하는 방식의 자동 충돌 알림 시스템은 차량 생산 단계에서 차량에 임베디드될 경우에만 구현 가능하다. 생산 단계가 아닌 판매 이후 단계에서 차량 외부 장치를 통해 ACU와 직접 통신하여 에어백 전개 신호를 감지하고자 할 경우 차량의 에어백 경고등이 점등되며, 계기판의 에어백 경고등이 켜지면, 차량의 운전자는 에어백이 고장 났다고 오해하게 될 여지가 있으므로 ACU와의 직접 통신 방식으로 구현되는 충돌 알림 방식은 애프터 마켓에서 판매되는 차량용 장치에는 도입되기 어렵다.
긴급 구난 기능이 생산 시 포함되지 않은 채 판매되는 차량은 여전히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이처럼 긴급 구난 기능이 없는 차량에서도 애프터 마켓에서 판매되는 차량용 장치를 통해 긴급 구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 애프터 마켓의 긴급 구난 기능을 구현한 차량용 장치는 자이로 센서 또는 G 센서와 같은 별도의 센서를 장착하여 로직을 구현하고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별도의 센서는 추가의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차량 자체에서의 센싱과는 별개로 센싱되기 때문에 정확하지 못하다.
KR 10-1738036 B1
본 개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BCM을 활용하는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 및 충돌 감지 시스템에 관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는 OBD 단자를 통해 차량에 연결되어 BCM 충돌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차량의 애프터 마켓을 위한 충돌 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충돌 감지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을 위한 충돌 감지 장치가 제시된다. 이러한 충돌 감지 장치는 제어부, 차량의 BCM 및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BCM 요청 송신부, 그리고 BCM 및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BCM 응답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BCM으로부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수신하기 위해서, BCM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BCM 요청 송신부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BCM 응답 수신부로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포함하는 BC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N인 경우,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BCM을 이용하는 충돌 감지 시스템이 제시된다. 이러한 충돌 감지 시스템은 차량 및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ACU, BCM 및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ACU는 차량의 설정 값 이상의 충격력을 감지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어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ACU는 BCM으로 ACU 충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BCM은 ACU 충돌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OFF에서 ON으로 변경하는 BCM 충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는 BCM으로부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수신하기 위한 BCM 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BCM 요청 신호를 BCM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는 BCM으로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포함하는 BC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는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N인 경우,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는 생성된 충돌 감지 신호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충돌 감지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충돌 감지 시스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BCM 충돌 신호의 파형 특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고 감지 알림 서비스 설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사고 감지 알림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차량의 충돌 시, 충돌 감지를 안내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지정된 단말 장치에 발송되는 사고 감지 알림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BCM(body control module)을 활용하는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 및 충돌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OBD 단자를 통해 BCM의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검출하고,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N일 경우 차량의 충돌로 인식하여 중앙 서버 및 지정된 단말 장치에 알리기 위한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 및 충돌 감지 시스템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충돌 감지 시스템(100)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충돌 감지 시스템(100)은 차량(105)의 충돌을 감지하여 사고 상황을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차량(105)은 점선의 사각형으로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본 개시에서 필요한 필수 구성 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충돌 감지 시스템(100)은 충돌 감지 장치(110) 및 차량 임베디드 시스템(120)을 포함하는 차량(105), 차량(105)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용자 장치(130), 사용자 장치(13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앙 서버(140) 및 중앙 서버(14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50, 152, 15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5)은 생산 시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내부에 장착되는 차량 임베디드 시스템(120)을 포함하며, 이 임베디드 시스템(120)은 적어도 ACU(122) 및 BCM(124)을 포함할 수 있다. ACU(122)와 BCM(124)은, 예컨대 와이어링 연결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5)은 차량의 생산 이후 OBD 단자를 통해 차량(105)의 임베디드 시스템(12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ACU(122)는 차량(105)이 충돌할 시에, 에어백 센서를 통해 차량(105)이 설정 값 이상의 충격력을 받았는지 감지하고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어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U(122)에서의 에어백 신호를 통해 에어백은 부풀려질 수 있다. ACU(122)는 에어백 신호의 생성과 동시에 또는 에어백 신호의 생성에 응답하여, BCM(124)에 ACU 충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BCM(124)은 차량 장치 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듈로서, 차량(105)의 에어백뿐만 아니라, 에어컨, 윈도, 램프, 부저, 도어 등 모든 차체에 관한 제어가 가능하다. BCM(124)은 ACU(122)로부터 ACU 충돌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BCM 충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BCM(124)의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은 평상 시에는 OFF로 되어 있다가, BCM(124)이 ACU 충돌 신호가 감지하여 BCM 충돌 신호를 생성하면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FF에서 ON으로 변경될 수 있다. BCM(124)은 도어 락(lock) 및 언락(unlock) 제어가 가능하므로 BCM 충돌 신호를 통해 차량(105)의 도어 락을 해제하여, 충돌 사고 발생 시 사용자가 차량(105)으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BCM(124)은 스캐너와 같은 차량용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충돌 감지 장치(110)는 BCM(124)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BCM 충돌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충돌 감지 장치(110)는 예컨대, OBD 단자를 통해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하여 BCM(124)과 통신할 수 있다. 충돌 감지 장치(110)는BCM 충돌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중에, BCM 충돌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즉 BCM(124)의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FF 에서 ON으로 변경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차량(105)이 충돌하여 에어백이 작동되었음을 인식하고,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13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30)는, 휴대 전화, PDA(personal data assistant), 개인용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무선 웹-워치(web-watch) 장치, 개인용 헤드셋 장치, 특수 용도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장치 같은 소형 폼 팩터(small-form factor)의 휴대용(또는 모바일) 전자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30)는, 예컨대, 블루투스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충돌 감지 장치(1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연결은 블루투스 연결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음파, 무선 주파수(RF), 마이크로웨이브, 적외선(IR)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3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고 감지 알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30)는 충돌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30)는 충돌 감지 신호가 수신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충돌 감지 신호에 응답하는 사용자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만 중앙 서버(140)에 사용자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중앙 서버에 사용자 알림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응답 신호에 따른 사용자 알림 신호의 전송 유무와 관련하여서는 도 7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충돌 감지 장치(1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사용자 장치(130)가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중앙 서버(140)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충돌 감지 장치(110)가 중앙 서버(140)와 직접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충돌 감지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충돌 감지 장치(110)는 예컨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탑재하는 등, 임의의 방식으로 통신부를 구비하여 사용자 장치(130)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서버(14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충돌 감지 장치(110)가 사용자 장치(130)을 통해 중앙 서버(140)로 사고 알림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장치(130) 대신에 차량에 탑재된 멀티미디어 시스템(예컨대, 차량 대시보드에 장착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충돌 감지 장치(110)와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연결되어 충돌 감지 장치(110)로부터의 충돌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선택적으로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인터넷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서버(140)로 이 사용자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독립형 서버, 웹 서버 및 기타 데이터 송수신 기능, 데이터 식별 기능 및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춘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차량(105)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 장치(130)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도 1에 도시되지 않음)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40)는 사용자 장치(130)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50, 152, 154)의 식별 정보, 예컨대 휴대 전화 번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사용자 장치(130)로부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사고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고 알림 신호는 차량(105)의 현재 위치 정보, 차량(105)에 관한 정보 및/또는 사용자 장치(13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고 알림 신호를 사용자 장치(130)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50, 152, 154)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장치(130)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50, 152, 154)는 사용자 장치(130)가 미리 식별 정보를 전송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130)와 중앙 서버(140) 사이의 네트워크 (또는, 충돌 감지 장치(110)가 중앙 서버(140)와 직접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충돌 감지 장치(110)와 중앙 서버(140) 사이의 네트워크) 및 중앙 서버(140)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50, 152, 154) 사이의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시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50, 152, 154)는, 휴대 전화, PDA(personal data assistant), 개인용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무선 웹-워치(web-watch) 장치, 개인용 헤드셋 장치, 특수 용도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장치 같은 소형 폼 팩터(small-form factor)의 휴대용(또는 모바일) 전자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50, 152, 154)는 차량(105)의 충돌 위치를 포함하는 사고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50, 152, 154)에서 긴급 구조 기관에 긴급 구난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충돌 감지 장치 및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는 충돌 감지 시스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20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충돌 감지 장치는 도 1의 도면부호 110의 충돌 감지 장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는 도 1의 도면부호 130의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스(200)가 시작되면, 사용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된 사고 감지 알림 설정(210)을 확인할 수 있다. 사고 감지 알림 설정(210)이 ON인 경우,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를 통해 차량의 BCM 충돌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사고 감지 알림 설정(210)이 OFF인 경우에는 프로세스(200)를 종료할 수 있다.
차량의 BCM 충돌 신호가 감지(220)되면 사용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충돌 감지 알림을 전송(230)할 수 있다. 충돌 감지 알림은 예컨대, 푸시 알림으로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안내될 수 있다. 차량의 충돌 감지 알림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15초) 내 사용자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240), 프로세스(200)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충돌 감지 알림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240), 차량 사고로 간주하고 중앙 서버로 사용자 알림 신호를 전송(250)할 수 있다. 사용자 알림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지정된 단말 장치에 사고 알림 신호를 발송(260)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 구성(300)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 내부 구성(300)은 도 1에서 차량(105)의 내부에 존재하는 구성으로서, 특히 충돌 감지 장치(11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 내부 구성(300)은 차량 생산 시 내장되는 차량 임베디드 시스템(320) 및 차량을 위한 충돌 감지 장치(3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임베디드 시스템(320)은 예컨대, 와이어링 연결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ACU(322) 및 BCM(324)을 포함할 수 있다. ACU(322)는 에어백 센서로부터 차량의 설정 값 이상의 충격력을 감지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어백 신호를 생성하고, BCM(324)으로 ACU 충돌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ACU 충돌 신호는 예컨대, PWM 신호일 수 있다. BCM(324)은 ACU 충돌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BCM(324)의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ON시키는 BCM 충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BCM 충돌 신호가 발생하여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N일 경우, BCM(324)은 차량의 도어 락을 해제할 수 있다. 충돌 감지 장치(310)는 예컨대, 차량이 판매된 이후 애프터 마켓에서 판매되는 차량용 장치로서,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고 사용자 장치에 이를 알릴 수 있다. 충돌 감지 장치(310)는 제어부(311), BCM 요청 송신부(312), BCM 응답 수신부(313), 위치 확인부(31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1)는 BCM 요청 송신부(312), BCM 응답 수신부(313), 위치 확인부(31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충돌 감지 장치(310)를 제어할 수 있다.
BCM 요청 송신부(312) 및 BCM 응답 수신부(313)는 각각 차량 임베디드 시스템(320)의 BCM(324) 및 제어부(31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BCM 요청 송신부(312) 및 BCM 응답 수신부(313)는 예컨대, 차량의 OBD 단자를 통해 BCM(324)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11)는, BCM(324)으로부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수신하기 위한 BCM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BCM 요청 송신부(312)로 전송할 수 있다. BCM 요청 송신부(312)는 BCM(324)으로 BCM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BCM(324)은 BCM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포함하는 BCM 응답 신호를 생성한 후 BCM 응답 수신부(313)로 전송할 수 있다.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은 ON 또는 OFF를 나타낼 수 있다. BCM 응답 수신부(313)는 제어부(311)로 BCM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11)는 BCM 응답 수신부(313)로부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포함하는 BC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1)는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N인 경우,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BCM 충돌 신호의 파형 특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의 BCM 충돌 신호의 파형은 각각 상이한 차량용 스캐너 또는 진단기를 통해 획득한 결과 화면이다. BCM 충돌 신호가 생성되면 BCM의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은 ON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발생 시 BCM 충돌 신호를 측정한 결과,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FF에서 1.0s 동안 ON 으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OFF로 변경되는 파형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4(b)는 RAW 파일의 형식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발생 시 듀티(duty)가 변화되는 시점을 관찰한 결과, 마찬가지로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FF에서 1.0s 동안 ON 으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OFF로 변경되는 파형 특성을 나타내었다. 즉, BCM 충돌 신호는 충돌 시 계속 ON 파형을 전달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ON 파형을 전달한 후 OFF 파형으로 복원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 4(a) 및 도 4(b)에서 측정된 BCM 충돌 신호의 지속 시간은 약 1.0s였으나, 차종이 상이할 경우 지속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도 4(a)및 도 4(b)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ACU(322)를 통해 에어백이 작동하는 경우, BCM(324)의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은 OFF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예컨대, 1.0s) 동안 ON 으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OFF로 변경된다. 따라서, 제어부(311) 및 BCM 요청 송신부(312)가 BCM 충돌 신호의 지속 시간보다 긴 주기로 BCM 요청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경우에는, BCM 충돌 신호가 발생하여도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N인 BCM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예컨대, BCM 충돌 신호의 지속 시간이 1.0 s인 경우 1.0 s 보다 긴 BCM 충돌 신호의 요청 주기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311)가 BCM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요청 주기를 1.0 s 보다 짧게 하는 경우 BCM 충돌 신호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차종에 따라 이러한 요청 주기는 달라질 수 있다. 즉, BCM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요청 주기는 BCM 충돌 신호로부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N을 나타내는 시간, 즉 BCM 충돌 신호의 지속 시간보다 짧게 설정하여, 언제나 충돌 감지 장치(310)가 BCM 충돌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다시 도 3를 참조하면, 충돌 감지 장치(310)는 제어부(31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확인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확인부(314)는 예컨대, GPS 센서로서 차량의 GPS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11)는 위치 확인부(314)로부터 차량의 위치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1)는 위치 확인부(314)로부터 수신된 위치 값을 포함하여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충돌 감지 장치(310)는 제어부(311) 및 사용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는 제어부(311)에서 생성된 충돌 감지 신호를 사용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는 또한 사용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상의 사고 감지 알림 설정 여부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는 사고 감지 알림 설정이 ON 또는 OFF 되었는지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부(311)에 전달하여 제어부는 사고 감지 알림 설정이 ON인 경우에만 BCM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 상의 사고 감지 알림 설정에 관해서는 도 5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한다.
이상, 도 3의 충돌 감지 장치(310)에서는 제어부(311), BCM 요청 송신부(312), BCM 응답 수신부(313), 위치 확인부(31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충돌 감지 장치(310)의 도시된 구성들 중 하나 이상이 제거되거나 조합될 수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예시에서, 충돌 감지 장치(310)는 위치 확인부(31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대안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용자 장치의 GPS 센서를 통해 GPS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GPS 위치 등 위치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로부터 위치 값을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로 사용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로부터 수신된 위치 값을 포함하여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예시에서, 충돌 감지 장치(310)는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방식의 통신부를 더 구비하여, 예컨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탑재하는 등, 사용자 장치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충돌 감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예시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충돌 감지 장치와 연계하여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고 감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개발될 수 있다.
도 5는 사고 감지 알림 서비스 설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후 애플리케이션 설정(Application settings)에서 사고 감지 알림 서비스 기능, 즉, 긴급 구난 서비스 기능(Emergency assist service)을 ON 또는 OFF할 수 있다. 충돌 감지 장치는 사고 감지 알림 서비스가 OFF로 설정되어 있으면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고, ON인 경우에만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설정 상에서 본 서비스가 차량의 사고 감지 시 차량의 위치 및 정보를 설정된 수신자에게 알림을 주는 기능임을 간략하게 설명할 수 있다.
도 6은 사고 감지 알림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상에서 긴급 구난 서비스 기능이 ON 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는 긴급 구난(Emergency assist) 메뉴에서 세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여기에서 본 서비스의 개요 및 목적을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 구난 서비스는 차량 충돌 및 심각한 사고 발생 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긴급 구조 기관에 사고 위치와 사고 정보 등을 전송 및 긴급 구난을 요청하여 신속한 구난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며, 신속한 구난뿐 아니라 사용자가 지정한 수신자에게 자동으로 SMS(사고 감지 알림)를 전송하여 수신자들로 하여금 구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서비스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기능의 설정은 예컨대, RSA, 전화번호, 구난 문구의 설정과 관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화번호(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하나 이상 추가할 수 있으며, 중앙 서버에서는 사용자 알림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사고 상황 시 등록된 모든 번호로 사고 감지 알림(SMS)을 전송한다. 추가된 전화번호는 수정이 가능하며, 전화번호가 모두 삭제되면 사고 감지 알림 서비스 기능도 OFF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난 문구는 사고 감지 알림에 표시될 문구로서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하지 않을 경우 기본 문구(예컨대, "차량 사고가 발생했습니다.")가 전송될 수 있다. 사고 감지 알림은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가 차량 사고 감지 시, 구난 문구와 함께 사고위치 정보(지도 이미지 포함 가능), 해당 차량 및 고객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차량의 충돌 시, 충돌 감지를 안내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BCM충돌신호를 활용한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의 사고 발생 감지 후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는 BCM 충돌 신호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푸시 알림 또는 팝업창이 표출될 수 있다. 화면 상에는 사용자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지정된 시간(15초) 내에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전송 취소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장치는 중앙 서버에 사용자 알림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긴급 상황으로 간주하고, 자동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알림 신호를 중앙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서버는 지정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에 사고 알림 신호를 예컨대, SMS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지정된 단말 장치에 발송되는 사고 알림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고 알림에는 구난 문구, 사고위치 정보(지도 이미지 포함 가능), 해당 차량 및 고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고 위치 정보로는 충돌 감지 장치의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된 차량의 현재 위치 값 예컨대, GPS 위치 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질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 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때 앞서 설명한 구현예에 따라 해당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을 하드웨어로 구현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것인지는, 일반적으로 비용 대비 효율의 트레이드오프를 나타내는 설계상 선택 문제이다. 본 개시에서는 프로세스, 시스템, 기타 다른 기술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 있으며, 선호되는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현자가 속도 및 정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정한다면, 구현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면, 구현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구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어떤 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를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게 되며, 당업자라면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혹은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차량을 위한 충돌 감지 장치로서,
    제어부;
    상기 차량의 BCM(body control module)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BCM 요청 송신부;
    상기 BCM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BCM 응답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BCM으로부터 BCM 충돌 신호의 ON 또는 OFF를 나타내는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수신하기 위한 BCM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BCM 요청 송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BCM 응답 수신부로터, 상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포함하는 BCM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N인 경우,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충돌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CM 요청 송신부 및 상기 BCM 응답 수신부는 상기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 단자를 통해 상기 BCM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충돌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BCM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요청 주기는 상기 BCM 충돌 신호의 지속 시간보다 짧은 것인, 충돌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 장치는 상기 제어부 및 사용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충돌 감지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것인, 충돌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확인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값을 수신하고, 상기 위치 값을 포함하여 상기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충돌 감지 장치.
  6. BCM을 이용하는 충돌 감지 시스템으로서,
    ACU(airbag control unit), 상기 BCM 및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및
    상기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용자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ACU는 상기 차량의 설정 값 이상의 충격력을 감지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어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BCM으로 ACU 충돌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BCM은 상기 ACU 충돌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OFF에서 ON으로 변경하는 BCM 충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용 충돌 감지 장치는,
    상기 BCM으로부터 상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수신하기 위한 BCM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BCM 요청 신호를 상기 BCM으로 전송하고,
    상기 BCM으로터, 상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을 포함하는 BCM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충돌 신호 센서 데이터 값이 ON인 경우,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충돌 감지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인, 충돌 감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앙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충돌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 서버에 상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충돌 감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충돌 감지 신호가 수신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충돌 감지 신호에 응답하는 사용자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중앙 서버에 상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충돌 감지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 시스템은 상기 중앙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사고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저장된 상기 식별 정보와 연관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에 상기 사고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충돌 감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알림 신호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충돌 감지 시스템.
KR1020180036857A 2018-03-29 2018-03-29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2077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857A KR102077763B1 (ko) 2018-03-29 2018-03-29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857A KR102077763B1 (ko) 2018-03-29 2018-03-29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27A true KR20190114327A (ko) 2019-10-10
KR102077763B1 KR102077763B1 (ko) 2020-02-17

Family

ID=6820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857A KR102077763B1 (ko) 2018-03-29 2018-03-29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7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04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딥러닝을 이용한 사고 예방 시스템
KR20230054514A (ko) 2021-10-15 2023-04-25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딥러닝을 이용한 사고 예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960B1 (ko) 2023-05-15 2023-10-23 (주)크레스트인볼브먼트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790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핸드프리장치를 이용한 차량사고발생 통보방법 및 장치
KR20150117561A (ko) * 2014-04-10 2015-10-20 (주)아이피앤 자동차 충돌 감지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1738036B1 (ko) 2015-07-15 2017-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자동충돌알림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790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핸드프리장치를 이용한 차량사고발생 통보방법 및 장치
KR20150117561A (ko) * 2014-04-10 2015-10-20 (주)아이피앤 자동차 충돌 감지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1738036B1 (ko) 2015-07-15 2017-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자동충돌알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04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딥러닝을 이용한 사고 예방 시스템
KR20230054514A (ko) 2021-10-15 2023-04-25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딥러닝을 이용한 사고 예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763B1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38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policy enforcement
US9369856B2 (en) Service of an emergency event based on proximity
Fernandes et al. Automatic accident detection with multi-modal alert system implementation for ITS
US9020690B2 (en) Qualifying automatic vehicle crash emergency calls to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s
Fernandes et al. Mobile application for automatic accident detection and multimodal alert
KR102077763B1 (ko)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TWI657945B (zh) 機車事故偵測通知方法
CN108632347A (zh) 使用gnss速度测量和总线监测的碰撞检测
US101944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ting an emergency call using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CN111231891B (zh) 集成的无声车辆报警器
CN108140294A (zh) 车辆内部触觉输出
Bonyár et al. A review on current eCall systems for autonomous car accident detection
JP2016068905A (ja) 乗員状態推定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KR101921055B1 (ko)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JP201716791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5194830A (ja) 車両事故通報システム
JP2015207049A (ja) 車両事故状況予測装置及び車両事故状況予測システム、車両事故通報装置
KR101714514B1 (ko) 자동차 응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조치 방법
KR102201646B1 (ko)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차량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1161551A (zh) 用于检测、警报和响应紧急车辆的设备、系统和方法
KR20120063389A (ko) 차량사고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4004A (ko)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65353A (ko) 캔통신을이용한 자동차 고장진단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CN117794790A (zh) 用于确保机动车的乘客舱安全的方法、用于机动车的控制设备、具有乘客舱的机动车
JP2015161977A (ja) 車両用緊急対応装置及び車両事故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