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960B1 -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960B1
KR102592960B1 KR1020230062148A KR20230062148A KR102592960B1 KR 102592960 B1 KR102592960 B1 KR 102592960B1 KR 1020230062148 A KR1020230062148 A KR 1020230062148A KR 20230062148 A KR20230062148 A KR 20230062148A KR 102592960 B1 KR102592960 B1 KR 10259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terminal
event
terminal
current location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크레스트인볼브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스트인볼브먼트 filed Critical (주)크레스트인볼브먼트
Priority to KR1020230062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27Post collision measures, e.g. notifying emergency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60R2021/01081Transmission medium
    • B60R2021/01088Transmission medium wire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은 IoT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IoT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판단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IoT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여 인식된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IoT 단말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여 IoT 단말내부에 설치된 LTE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한다.

Description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 IOT DEVICE RECOGNIZING POWER UP TO PERFORM LOCATION AND EVENT DETECTION }
아래 실시예들은 전원 인가 인식을 기반으로 위치 및 이벤트 감지를 수행하는 IoT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보유하는 운전자의 수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차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주행중인 차량이 충격을 입을 경우 운전자가 즉시 알아차리는 반면, 주차중인 차량이 충격을 입을 경우 운전자는 그 사실을 즉시 알아차리기 어렵고, 이로 인해 운전자는 바로 수리 및 처치를 하지 못해 차량의 안전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되어 있는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원거리에 위치한 운전자에게도 이러한 충격 발생의 사실을 알려주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 발생 알림 장치가 최근의 차량에 탑재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충격 발생 알림 장치는 단순히, 차량에 충격이 발생했다는 사실만을 알려주어,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 위해 생성된 충격 등 불필요한 알림도 제공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는 차량에 충격이 발생했다는 알림을 획득할 경우, 확인을 위해 차량에게 갈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종래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는 차량의 위치를 추가로 전송하지 않아 운전자는 차량을 찾다가 뒤늦게 차량을 발견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원 인가 인식을 기반으로 위치 및 이벤트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64161호 (2022.02.16.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2077763호 (2020.02.17. 공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23-0021914호 (2023.02.14.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516223호 (2015.05.04. 공고)
실시예들은 전원 인가 인식을 기반으로 위치 및 이벤트를 감지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생긴 이벤트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충격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의 제어 방법은 IoT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IoT 단말의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판단하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IoT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여 인식된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IoT 단말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LTE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IoT 단말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LTE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IoT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IoT 단말의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IoT 단말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되고 상기 제1 시간 이내 상기 IoT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인 이벤트 감지 시점에서 상기 IoT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충격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가장 최근에 인식된 IoT 단말의 위치인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된 지역의 인구 밀도 및 상권의 개수를 확인하여, 상기 현재 위치가 혼잡 구역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혼잡 구역으로 판단되면, 제1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의 날씨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 강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에 강수가 있다고 확인되면, 제2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의 조도를 확인하여, 상기 현재 위치의 조도에 기반하여 제3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점수, 상기 제2 점수 및 상기 제3 점수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치의 이벤트 발생 가능성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벤트가 감지된 횟수를 확인하여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의 이벤트 발생 가능성 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현재 위치의 최종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의 최종 점수에 비례하여 상기 충격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LTE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IoT 단말을 기준으로, 상기 IoT 단말과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이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임계 거리 이내에 포함된다고 확인되면,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이벤트 감지 알림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임계 거리 이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LTE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의 제어 방법은 상기 IoT 단말과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로 스케줄 에디터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 에디터 화면은 상기 IoT 단말과 매칭된 사용자의 목록인 사용자 리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IoT 단말과 매칭된 사용자가 복수일 경우, 현재 IoT 단말이 구비된 물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물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순서를 포함하는 스케줄을 확인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스케줄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스케줄 리스트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 리스트 화면에 표시된 스케줄 중 우선적으로 수행할 스케줄을 선택할 수 있는 바로수행 버튼을 포함하고, 요일, 시작날짜, 종료날짜, 시작시간, 종료시간, 특정 스케줄 삭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케줄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스케줄 편집 버튼을 포함하고, 스케줄을 저장하는 스케줄 저장 버튼을 포함하되, 스케줄 또는 사용자 변동 후 상기 스케줄 저장 버튼을 누르지 않고 다른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알림을 표시한다.
실시예들은 전원 인가 인식을 기반으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위치를 감지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생긴 이벤트를 파악하여 불필요한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들은 충격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여 이벤트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서 민감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생긴 이벤트를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벤트 감지 알림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IoT 단말(100), 사용자의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IoT 단말(100)은 충격 감지 센서(110), LTE 모듈(120), 및 제어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oT 단말(100)은 사용자가 소유한 물체에 위치될 수 있으며, IoT 단말(100)은 사용자가 소유한 물체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IoT 단말(100)은 충격 감지 센서(110), LTE 모듈(120), 및 제어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단말(100)은 IoT 단말(100)에 포함된 제어 장치(130)를 통해 물체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위치를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으면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충격을 감지하여 LTE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200)로 충격 감지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소유한 물체는 차량, 트랩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외의 위치 및 이벤트를 감지하고 싶은 물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가 소유한 물체를 차량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그 외의 위치 및 이벤트를 감지하고 싶은 물체가 포함될 수 있다. IoT 단말(100)은 본문에 작성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IoT 단말이 수행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IoT 단말(100)은 전원이 인가되었을 경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IoT 단말(100)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 IoT 단말(100)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어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충전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oT 단말(100) 내부에 포함된 배터리는 충격 감지 센서(110), LTE 모듈(120), 제어 장치(1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센서(110)는 충격이나 진동이 감지되면 작동하는 센서로, 충격 감지 센서(110)는 IoT 단말(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충격 감지 센서(110)는 충격 센서 또는 진동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른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충격 감지 센서(110)는 본문에 작성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충격 감지 센서가 수행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센서(110)는 제어 장치(1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LTE 모듈(120)은 Long-Term Evolution(장기 진화) 모듈 즉, 모바일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모듈로, 외부 전자 장치인 사용자의 단말(20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이다. LTE 모듈(120)은 본문에 작성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LTE 모듈이 수행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LTE 모듈(120)은 제어 장치(1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에 포함되며, 충격 감지 센서(110), LTE 모듈(120)과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장치로, 제어 장치(130)는 제어 장치(1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제어 장치(13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이 구비된 사용자가 소유한 물체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IoT 단말(100)의 위치를 인식하여 인식된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IoT 단말(100) 내부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여 IoT 단말(100) 내부에 설치된 LTE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200)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SNS를 포함하는 웹사이트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200)은 IoT 단말(100)이 구비된 물체를 소유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11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단말(20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200)은 IoT 단말(100) 내부에 있는 제어 장치(1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200)은 제어 장치(1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되거나, 제어 장치(1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200)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장치(130)와 연동될 수 있다.
도1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의 단말(200) 하나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제어 장치(13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T 단말(100)은 사용자가 소유한 물체 즉, 차량과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차량에 시동이 걸려 차량에 전원이 켜질 경우, IoT 단말(100) 또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시동이 꺼져 차량에 전원이 꺼질 경우, IoT 단말(100) 또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즉, IoT 단말(100)은 IoT 단말(100)이 구비된 차량의 시동 여부에 따라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S202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IoT 단말(100)의 위치를 인식하여 인식된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주기는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에 시동이 걸린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이 주행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어 장치(130)는 차량이 어떤 경로로 가는지 또는 차량이 어디에 위치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IoT 단말(100)의 위치를 인식하여 인식된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IoT 단말(100)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은 GPS 시스템을 포함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위치 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IoT 단말(1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제어 장치(13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는 위치가 인식된 날짜 및 시각에 대응하여 인식된 위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인 위치 이력의 제공을 요청받을 수 있으며,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위치 이력의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203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 내부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여 IoT 단말(100) 내부에 설치된 LTE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200)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차량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 내부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충격 즉,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벤트가 감지되었다고 판단하면 IoT 단말(100) 내부에 설치된 LTE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200)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차량이 주행을 할 것인지 주차를 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즉, 차량이 주행 중으로 판단되면 IoT 단말(100)의 위치를 인식하여 인식된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즉, 차량이 주차 중으로 판단되면, IoT 단말(100)을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벤트가 감지될 경우 사용자의 단말(200)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차량이 어떤 경로로 가는지 또는 차량이 어디에 위치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고, 차량이 주차된 상황에서 이벤트가 감지될 경우 이벤트 감지 알림을 통해 바로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생긴 이벤트를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한 뒤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생긴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제1 시간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시간일 수 있으며, 제1 시간은 후술할 S304 단계 및 S305 단계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이 설정되고,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를 감지할 경우,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한 뒤,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한 뒤,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되고, 제1 시간 이내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1 단계에서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한 뒤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S302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간이 설정되고,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제어 장치(130)는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한 뒤,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 결과,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확인되면, 제어 장치(130)는 해당 이벤트가 시동을 걸기 위해 생긴 이벤트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단말(200)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S301 단계에서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한 뒤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303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간이 설정되고,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제어 장치(130)는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한 뒤,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 결과,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확인되면,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제1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데, 제1 시간은 하기의 S304 단계 및 S305 단계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되고, 제1 시간 이내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벤트 감지 시점에서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되고, 제1 시간 이내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해당 이벤트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생긴 이벤트라고 판단되면,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인 이벤트 감지 시점 및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을 확인하여 이벤트 감지 시점에서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이 20초이고, 이벤트 감지 시점이 2023년 5월 12일 오전 10시 16분 10초이고,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이 2023년 5월 12일 오전 10시 16분 25초일 경우,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로부터 제1 시간인 20초가 경과한 뒤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고, 해당 이벤트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생긴 이벤트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인 이벤트 감지 시점을 2023년 5월 12일 오전 10시 16분 10초로 확인하고,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을 2023년 5월 12일 오전 10시 16분 25초로 확인하여 이벤트 감지 시점에서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15초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획득한 이벤트 감지 시점에서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통해 제1 시간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확인된 시간을 날짜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확인된 시간에 기반하여 제1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인 이벤트 감지 시점에서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확인된 시간 중 가장 빈도수가 높은 시간인 제2 시간을 확인하여 제1 시간을 제2 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간은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간이 2023년 5월 1일부터 2023년 5월 12일까지인 경우, 제어 장치(130)는 2023년 5월 1일부터 2023년 5월 12일까지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인 이벤트 감지 시점에서 IoT 단말(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추출할 수 있으며, 각각 10초, 12초, 15초, 15초, 13초, 8초, 19초, 15초, 10초, 15초, 14초가 추출된 경우, 제어 장치(130)는 15초가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을 확인하여 제1 시간을 15초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 장치(130)는 제1 시간을 추가로 고려하여 사용자가 차량에 시동을 걸기 위해 차문을 여는 과정에서 생성된 충격, 차량 시트에 앉는 과정에서 생성된 충격 등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생긴 이벤트를 파악하여 불필요한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의 민감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여 이벤트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서 민감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가장 최근에 인식된 IoT 단말(100)의 위치인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가장 최근에 인식된 IoT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위치를 현재 위치로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된 지역의 인구 밀도 및 상권 개수를 확인하여 현재 위치가 혼잡 구역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가 혼잡 구역으로 판단되면, 제1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범위는 미리 설정된 범위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된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은 동 단위일 수도 있고, 구 단위일 수도 있고, 시 단위일 수도 있다. 또한, 지역의 그 외의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확인된 지역의 인구 밀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상권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상권 데이터베이스는 비즈니스 업체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비즈니스 업체는 상점, 음식점, 서비스 업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상권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에 포함된 비즈니스 업체를 확인할 수 있고, 기준 범위에 포함된 비즈니스 업체의 개수를 상권 개수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확인된 지역의 인구 밀도 및 상권 개수를 통해 현재 위치가 혼잡 구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가 혼잡 구역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된 지역의 인구 밀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인구 밀도보다 많은지 여부와 확인된 상권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권 개수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130)는 확인된 지역의 인구 밀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인구 밀도보다 많고, 확인된 상권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권 개수보다 많다고 확인되면, 현재 위치를 혼잡 구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130)는 확인된 지역의 인구 밀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인구 밀도보다 많지 않다고 확인되거나, 확인된 상권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권 개수보다 많지 않다고 확인되면, 현재 위치를 혼잡 구역으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가 혼잡 구역으로 판단되면, 제1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가 혼잡 구역으로 판단되면, 제1 점수로 제1 점수의 최고 점수를 부여할 수 있고, 현재 위치가 혼잡 구역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제1 점수로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의 날씨 데이터를 획득하여 현재 위치에 강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에 강수가 있다고 확인되면, 제2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의 날씨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기상청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기상청 데이터베이스에는 위치에 대응하여 현재 기온, 현재 강수량, 현재 습도 등을 포함하는 날씨 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30)는 기상청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현재 위치의 날씨 데이터를 획득하여 현재 위치에 강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강수는 비, 눈, 우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에 강수가 있다고 확인되면, 제2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에 강수가 있다고 확인되면, 제2 점수로 제2 점수의 최고 점수를 부여할 수 있고, 현재 위치에 강수가 있지 않다고 확인되면, 제2 점수로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의 조도를 확인하여 현재 위치의 조도에 기반하여 제3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T 단말(100)이 구비된 사용자가 소유한 물체에는 물체가 위치한 장소의 조도를 확인할 수 있는 조도계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130)는 조도계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이 구비된 사용자가 소유한 물체에 구비된 조도계를 통해 현재 위치의 조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획득한 현재 위치의 조도에 기반하여 제3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의 조도를 기초로, 현재 위치의 조도가 작을수록 즉, 물체가 위치한 장소가 어두울수록 제3 점수를 크게 생성할 수 있고, 현재 위치의 조도가 클수록 즉, 물체가 위치한 장소가 밝을수록 제3 점수를 작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의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보다 작을 경우, 제3 점수로 제3 점수의 최고 점수를 부여할 수 있고, 현재 위치의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보다 작지 않을 경우, 현재 위치의 조도와 반비례하여 제3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제1 점수, 제2 점수 및 제3 점수를 기초로, 현재 위치의 이벤트 발생 가능성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혼잡 구역인지 여부를 통해 생성된 제1 점수, 강수의 여부를 통해 생성된 제2 점수, 조도를 기초로 생성된 제3 점수를 합산한 값으로 현재 위치의 이벤트 발생 가능성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점수, 제2 점수, 및 제3 점수 각각의 최고 점수는 모두 동일한 점수로 설정될 수도 있지만, 장치 관리자 설정에 따라 최고 점수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점수, 제2 점수, 제3 점수의 최고 점수가 모두 10점으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고, 제1 점수의 최고 점수는 10점, 제2 점수의 최고 점수는 8점, 제3 점수의 최고 점수는 15점으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S406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에서 이벤트가 감지된 횟수를 확인하여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에서 이벤트가 감지된 횟수를 획득하기 위해 이벤트 발생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 데이터베이스는 각 위치에 대응하여 이벤트가 감지된 횟수가 저장되어 있다. 한편, 이벤트 발생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IoT 단말(1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이 구비된 물체에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물체의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위치와 매칭하여 어떤 사용자의 물체가 언제, 어느 세기의 충격을 받았는지 이벤트 발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30)는 이벤트 발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이벤트가 감지된 횟수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현재 위치에서 이벤트가 감지된 횟수를 통해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가중치는 현재 위치에서 이벤트가 감지된 횟수가 많을수록 높게 생성될 수 있고, 현재 위치에서 이벤트가 감지된 횟수가 적을수록 낮게 생성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의 이벤트 발생 가능성 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현재 위치의 최종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혼잡 구역인지 여부를 통해 생성된 제1 점수, 강수의 여부를 통해 생성된 제2 점수, 조도를 기초로 생성된 제3 점수를 합산한 값으로 생성된 현재 위치의 이벤트 발생 가능성 점수에 현재 위치에서 이벤트가 감지된 횟수를 기초로 생성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현재 위치의 최종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의 최종 점수에 비례하여 충격 감지 센서(110)의 민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 장치(130)는 현재 위치의 혼잡 여부, 강수 여부, 조도 및 기존에 현재 위치에서 발생한 이벤트 감지 횟수를 통해 이벤트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여 이벤트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서 민감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벤트 감지 알림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단말(200)이 임계 거리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거리는 미리 설정된 거리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IoT 단말(100)을 기준으로, IoT 단말(100)과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200)이 임계 거리 이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IoT 단말(100)과 해당 IoT 단말(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200)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임계 거리 이내에 포함된 사용자의 단말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사용자의 단말들 중 IoT 단말(100)과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200)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1 단계에서 사용자의 단말(200)이 임계 거리 이내에 포함된다고 확인되면, S502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이벤트 감지 알림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T 단말(100)은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되었고, IoT 단말(100)과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200)이 임계 거리 이내에 포함된다고 확인되면, 스피커를 통해 이벤트 감지 알림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130)는 스피커를 통해 이벤트 감지 알림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단말(200)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는 과정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S501 단계에서 사용자의 단말(200)이 임계 거리 이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면, S503 단계에서,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충격 감지 센서(110)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되었고, IoT 단말(100)과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200)이 임계 거리 이내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확인되면, 사용자의 단말(200)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와 임계 거리 이내에 물체가 있을 경우, 이벤트가 감지되면 스피커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음성으로 획득할 수 있어, 사용자는 즉시 물체를 찾을 수 있어 물체에 충격을 가한 원인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에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200)로 스케줄 에디터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에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200)로 스케줄 에디터 화면 및 스케줄 에디터 버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200)로 제공된 스케줄 에디터 화면 및 스케줄 에디터 버튼을 이용하여 IoT 단말(100)이 구비된 물체를 사용하는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 에디터 버튼은 스케줄 에디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해 일전 관리 화면과 연결된 버튼을 의미할 수 있고, 스케줄 에디터 화면은 IoT 단말(100)이 구비된 물체를 사용하는 일정을 추가하거나, 수정하거나, 삭제하여 사용자가 IoT 단말(100)이 구비된 물체를 사용할 일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있다. 즉, 스케줄 에디터 화면은 일정을 업로드하거나, 편집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의미하며, 제어 장치(130)는 스케줄 에디터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스케줄 에디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우선, 스케줄 에디터 화면은 IoT 단말(100)과 매칭된 사용자의 목록인 사용자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IoT 단말(100)과 매칭된 사용자가 복수 명일 경우, 현재 IoT 단말(100)이 구비된 물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의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의 테두리를 선택되지 않은 사용자의 테두리보다 비교적 굵게 표시되도록 하여 선택된 사용자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에디터 화면은 물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순서를 포함하는 스케줄을 확인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스케줄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스케줄 리스트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케줄 리스트 버튼은 스케줄 에디터 화면의 좌측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에디터 화면은 스케줄 리스트 화면에 표시된 스케줄 중 우선적으로 수행할 스케줄을 선택할 수 있는 바로수행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스케줄 리스트에 해당하는 스케줄 중에서 바로수행 버튼이 클릭되면, 바로수행 버튼이 클릭된 스케줄에 해당하는 스케줄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당 스케줄에 매칭된 사용자가 IoT 단말(100)이 구비된 물체를 사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바로수행 버튼이 클릭된 스케줄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IoT 단말(100)이 구비된 물체를 사용한다는 것에 대한 확인 화면을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에디터 화면은 요일, 시작날짜, 종료날짜, 시작시간, 종료시간, 특정 스케줄 삭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케줄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스케줄 편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 편집 버튼이 클릭되면, 스케줄 에디터 화면에 스케줄 편집 화면을 표시될 수 있으며, 스케줄 편집 화면은 요일, 시작날짜, 종료날짜, 시작시간, 종료시간, 특정 스케줄 삭제를 선택하도록 하는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요일이 선택된 경우, 스케줄 편집 버튼이 클릭된 것에 해당하는 스케줄에 물체를 사용할 사용자가 물체를 사용할 요일, 날짜,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입력된 요일, 날짜, 시간에 따라 해당 스케줄에 맞게 사용자가 물체를 사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에디터 화면은 스케줄을 저장하는 스케줄 저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스케줄 편집 버튼을 통해 스케줄 또는 사용자의 변동 후 스케줄 저장 버튼이 눌린 것을 수신하면, 스케줄 또는 사용자의 변동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130)는 스케줄 편집 버튼을 통해 스케줄 또는 사용자의 변동 후 스케줄 저장 버튼을 누르지 않고 다른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에디터 화면은 스케줄 리스트 중에서 특정 스케줄을 삭제하기 위한 스케줄 삭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IoT 단말(100)이 구비된 물체의 현재 위치, IoT 단말(100)과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200)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 정보, 현재 위치의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화면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IoT 단말(100)이 구비된 물체를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경우, 복수의 사용자가 물체와 관련하여 스케줄을 공유하여, 공유된 스케줄을 참고하여 새로운 스케줄 및 약속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30)는 프로세서(131) 및 메모리(13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31)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어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132)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IoT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IoT 단말의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판단하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IoT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여 인식된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IoT 단말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LTE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oT 단말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LTE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벤트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IoT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IoT 단말의 전원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IoT 단말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이벤트 감지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되고 상기 제1 시간 이내 상기 IoT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인 이벤트 감지 시점에서 상기 IoT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 내부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충격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가장 최근에 인식된 IoT 단말의 위치인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된 지역의 인구 밀도 및 상권의 개수를 확인하여, 상기 현재 위치가 혼잡 구역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혼잡 구역으로 판단되면, 제1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의 날씨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 강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에 강수가 있다고 확인되면, 제2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의 조도를 확인하여, 상기 현재 위치의 조도에 기반하여 제3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점수, 상기 제2 점수 및 상기 제3 점수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치의 이벤트 발생 가능성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벤트가 감지된 횟수를 확인하여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의 이벤트 발생 가능성 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현재 위치의 최종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의 최종 점수에 비례하여 상기 충격 감지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의 제어 방법.
KR1020230062148A 2023-05-15 2023-05-15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9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148A KR102592960B1 (ko) 2023-05-15 2023-05-15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148A KR102592960B1 (ko) 2023-05-15 2023-05-15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960B1 true KR102592960B1 (ko) 2023-10-23

Family

ID=8850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148A KR102592960B1 (ko) 2023-05-15 2023-05-15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96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321A (ko) * 1997-02-27 1998-10-26 김영귀 무선 주행 정보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사고 기록 장치
KR20130103949A (ko) * 2012-03-12 2013-09-25 백상은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15068807A (ja) * 2013-10-01 2015-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電子キー装置、車両用位置情報記憶システム、車両位置情報送信方法
KR101516223B1 (ko) 2014-02-06 2015-05-04 (주)비이인터렉티브 차량의 충격 감지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60035661A (ko) * 2014-09-23 2016-04-01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블랙 박스에서 충격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잘못된 사고 영상을 구분하는 방법
KR102077763B1 (ko) 2018-03-29 2020-02-17 주식회사 지아이티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2364161B1 (ko) 2020-04-21 2022-02-16 (주)참슬테크 주차중 차량충격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1914A (ko) 2021-08-06 2023-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321A (ko) * 1997-02-27 1998-10-26 김영귀 무선 주행 정보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사고 기록 장치
KR20130103949A (ko) * 2012-03-12 2013-09-25 백상은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15068807A (ja) * 2013-10-01 2015-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電子キー装置、車両用位置情報記憶システム、車両位置情報送信方法
KR101516223B1 (ko) 2014-02-06 2015-05-04 (주)비이인터렉티브 차량의 충격 감지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60035661A (ko) * 2014-09-23 2016-04-01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블랙 박스에서 충격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잘못된 사고 영상을 구분하는 방법
KR102077763B1 (ko) 2018-03-29 2020-02-17 주식회사 지아이티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2364161B1 (ko) 2020-04-21 2022-02-16 (주)참슬테크 주차중 차량충격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1914A (ko) 2021-08-06 2023-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8733B1 (en) Initiating transportation requests
US10852903B2 (en) Optimizing transportation networks through dynamic user interfaces
EP3131316B1 (en) Method of managing geo-fen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594777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information used to present content on a public display device
US108201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dynamic geo-fences based on content consumption levels in a geographic location
CN105929925B (zh) 电子装置以及用于在电子装置中管理功率的方法
KR102255952B1 (ko)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EP2954407B1 (en) Managing applications on a client device
US9058702B2 (en) Method for securely delivering indoor positioning data and applications
EP2972934B1 (en) Device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contextual planning
EP2919115B1 (en) Task mig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4701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nd component
US20140330881A1 (en) Temporary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KR102539580B1 (ko) 조건부 액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00128171A1 (en) Machine learning-based device placement and configuration service
JP2020512645A (ja) ユーザのToDoリストに対する通知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698728B2 (ja)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US20160124404A1 (en) User device, driving method of user device,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of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CN109117153A (zh) 应用程序的处理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0825509A (zh) 应用管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592960B1 (ko) 전원 인가 인식 기반 위치 및 이벤트 감지 IoT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0629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084963B1 (ko)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993525B (zh) 应用程序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698720B2 (ja) 通信制御プログラム、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管理サーバ、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